'전체 글' + 2655

오늘은 소위 말하는 예정론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바울 사도가 로마서 8장 30절에서 이렇게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미리 아신 자들로 또한 그 아들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하셨으니 이는 그로 많은 형제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려 하심이니라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롬 8:29-30)


잠깐 딴 이야기 같지만 영화나 드라마에서 많은 경우 미래를 예측하거나 심지어 미래에서 현재로 오는 것이나 자유로운 시간 여행과 같은 것을 주제로 설정합니다. 그만큼 사람들에게 미래는 아주 궁금한 것입니다. 아니 궁금한 정도를 지나 두려움과 연관된, 그래서 알면 행복할 것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제가 본 많은 영화들 중에서 미래 예측과 관련된 명대사(어느 영화 혹은 드라마인지 기억나지 않음)는 다름이 아니라, “미리 알 수 있다면 이미 미래가 아니라 현재다.”라는 대사였습니다.


사람들이 성경에서 예정론을 이야기하는 것을 간략하게 줄여 본다면 그것은 먼저 <구원받을 사람이 정해져 있는가?>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궁금한 것은 당연히 자신이 그 범주에 속하는 것인가가 궁금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에서 파생이 되어서 그렇게 정해져 있다면 종교적 열심과 같은 것이 왜 필요한가 하는 것이 동전의 양면처럼 함께 합니다.


그러나

성경의 모든 말씀은 고백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면 성경이 말씀하시는 예정론이라는 것이 한 개인 개인을 대상으로 구원을 받을 사람과 받지 못할 사람을 정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은 특정 개인이 구원을 받을 것인가 아닌가에 관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정하신 구원이 무엇인지를 정하신 것이라는 것입니다.


성경 어디를 봐도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을 하나님께서 구원하시겠다는 것은 없습니다. 특히나 그것이 그 사람의 살아가는 행동양식에 관한 것이라면 절대로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구원의 법, 구원의 대상이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을 자기 삶의 목적으로 삼는 사람 그 하나 뿐입니다. 


예수 외에는 구원 받을 이름을 주신 적이 없다고 하심이 그것입니다. 예수님이 유일한 구원의 근거와 법과 기준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 어떤 모습일 때 하나님 아들임이 드러났는지를 알면 됩니다. 그것은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 육신을 하나님께서 정하신 대로 하나님의 성품(아들임이 드러나도록)을 표현하는 것에 사용하실 때라는 것입니다.


그 십자가는 예수님께서 가지신 의무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본성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의지로 지신 것이 아니라 본성이 십자가를 지게 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잔이 물려지기를 바라셨지만 잡혀 먹힌다는 것을 알면서 산란하러 알래스카로 가는 연어처럼 십자가를 지러 가신 것입니다. 이것은 본성에 관한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의 모든 본성은 그 지으신 이에게서 나오는 것입니다. 사람은 자기 삶의 어느 하나, 머리카락 하나도 자기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 없습니다. 그러니 그 본성도 하나님의 것이라는 것입니다. 십자가를 지는 본성이라는 것이 원래 사람 안에 있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그것을 목적으로 사람을 만드셨는데 그것이 사람 안에 없다면 그것은 불량이고, 그렇다면 하나님은 온전하신 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하나님께서 주신 그 본성, 십자가를 지는 본성을 사람들이 죄로 여기는 것이 문제일 뿐입니다. 다시 말해서 이 육신으로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죄악된 것이라고 여긴 것이 잘못이지 사람은 원래 하나님의 본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존재입니다. 그 존재 목적이 자기 삶의 목적인 것이 인정만 되면 구원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은 원래 모든 사람이 다 구원을 받는 하나님의 예정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들에게 예정하신 것이 원래 그것 하나 밖에 없습니다.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것.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만드신 사람은 누구나 다 구원이 예정된 사람입니다. 이것은 비단 사람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만드신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기를, 그 만들어진 목적대로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기 위하여 예정된 것입니다. 오늘 피었다 지는 들풀도 하나님께서 먹이신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세상에 존재하기에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것은 다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표현하시기로 예정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다 구원받도록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자기가 가진 기준으로 하나님이 만드신 사람과 세상을 보고서 부끄럽게 여기고 잘못된 것이라고 여깁니다. 그래서 율법을 지켜 의롭게 되려하고, 공로와 소유를 드려 하나님 앞에서 구원을 사려합니다. 바로 그런 관점에서 하나님의 예정을 보면 ‘어떤 행동, 어떤 드림, 어떤 모양이 하나님께서 정한 것인가?’라고 궁금해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예정이 the Man에 관한 것인데, 자꾸 a man에 관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그러다 사람이 맏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서 하나님 아들의 정체성이란 것이 원래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그 정체성 그대로를 인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나서 사람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보면 하나님께서 the Man이라는 존재를 구원에 예정하셨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때 고백적으로 자신의 운명과 구원과 존재 목적을 하나님께서 예정하셨다는 것을 고백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그렇게 쓴 글들이 모여 성경이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울 사도가 하나님께서 미리 정하신 사람들이라는 것은 어떤 특정한 개인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사람 만드신 목적이 자기 삶의 목적이라는 것을 개달은 모든 사람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특정한 사람을 정한 것이 아니라, 자기 정체성을 어디에 두는지에 대한 부류를 지청하신 것이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의 맏아들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입니다.


예정론을 각 개인을 두고서 누구는 구원을 받은 사람, 또 누구는 그렇지 못한 사람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보면 안 됩니다. 그것은 성경이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모든 사람을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기 위하여 하나님께서 만드신 존재로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구원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의 존재 정체성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구원은 어디까지나 고백적인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렇게 만드셨다는 것을 심령에서 고백하는 사람의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강제적인 것이 아니라 스스로 그것을 인정하는 것일 때 의미가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 사이에도 ‘사랑한다.’는 말을 몰라서 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스스로 그렇게 말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 고백할 때 비로소 의미가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와 같이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 그 놀라운 은혜도 사람이 스스로 자기의 본질로 받아들여서 감사함으로 고백하지 않는 것이라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이것을 두고 신학자들이 ‘자유의지’라고 말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사람이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 그리고 그렇게 사람을 만드신 그 뜻을 사람에게 보이신 하나님의 은혜가 자신의 심령 안에서 감동(성령으로)이 되어 그것을 스스로 고백할 때 하나님의 예정하심이 자신의 것이 되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8: 26-30) They called the pre-appointed ones


Today,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so-called predestination theory. The apostle Paul says this in Romans 8:30.

And we know that in all things God works for the good of those who love him, who have been called according to his purpose. For those God foreknew he also predestined to be conformed to the likeness of his Son, that he might be the firstborn among many brothers. (Romans 8: 29-30)


It seems like a little bit of a story, but in movies and dramas, we often set the topic, such as forecasting the future or even coming to the present from the future, or free time travel. The future for people is very curious. No, I'm afraid it's related to fear, so it seems to be happy. However, among the many films I have seen, it is not the same as the movie about the future (I do not remember which movie or drama), but the ambassador, "If you know ahead of time, it is not the future.


If we briefly reduce what people say in the Bible about predestination, it is first, "Is there a person to be saved?" That's because I wonder if I belong to that category. And if it has become so derived from it, why it is necessary to be like religious zeal is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But

Knowing that all the words of the Bible are confessions, we learn that the Bible does not set the person to be saved or to receive salvation for an individual. What God has ordained is not about whether or not a particular individual will be saved, but what God has ordained for salvation.


There is no way that God will save a person with any qualities in any Bible view. Especially if it is about the way people live. The law of salvation that God has ordained, the object of salvation, is the one that makes God the purpose of man's life for his life.


It is said that you have not given a name to save other than Jesus. Jesus is the only source of salvation, law, and standards. Therefore, when we see what Jesus is like, we need to know what is revealed as the Son of God. It is when you have been crucified. In other words, it is time to use the flesh to express God's character (as revealed by the Son) as God has ordained.


The cross was not due to Jesus' duty. It was about nature. It is not that he was willed, but that nature has made him bear the cross. So Jesus wanted the cup to be slaughtered, but he knew he was being caught, and he went to the cross like a salmon to Alaska to spawn. This is about nature.


And all the natures of a man come from his Maker. No one in his life, no hair, was made by his own choice. Therefore, the nature is also God's. It is the nature of the cross to be in the original person. Because God created man for that purpose, if it is not in man it is bad, and then God is not perfect.


However, it is only a problem that people regard sin and nature that God gave him as sin. In other words, it is wrong to think that expressing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is body is impossible and sinful. Man is originally created to express the nature of God. If the purpose of existence is the purpose of your life, you can be saved. So it is that all of you are all in the plan of God, who is saved. There is only one thing that God originally intended for people. Expressing the character of God.


Therefore, all who God has made are those who are to be saved. This is not just about people. Everything that God has made is intended to express the character of God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which the Son of God came out. It is that God feeds the grass that we bred today. All that can be perceived to exist in the world is that God is meant to express that character. In other words, they are supposed to be saved.


However, people regard God's work and the world created by him as embarrassing and wrong. So I will keep the law to be justified, to give merit and possessions, to seek salvation before God. In that sense, when God's plan is seen, he wonders, "What kind of action, what kind of dream, what kind of image is God's decision?" So God's plan is about the Man, and he sees it as a man.


Then, after realizing that a man met Jesus Christ, his firstborn son, and that the identity of the Son of God was originally acknowledging the identity of God made man, then he saw that God had planned the existence of the Man to be saved It is to be realized. And then confessing that God had intended His destiny, purpose of salvation and existence as a confession. It is also the Scriptures that have been written together.


Therefore, it is not about any particular individual that the Apostle Paul is a pre-determined person. This refers to every person who has developed that God's purpose for His life is the purpose of His life. In other words, it is not a specific person, but a kind of place where you place your identity. And the firstborn of them is Jesus Christ.


You should not have the notion of a person who is saved and someone who is not. It is because the Bible does not speak. The Bible speaks of God as the Creator of all people in order to express God's character. So salvation is for all. It is because every person's identity exists.


But that salvation is only a confession. It is the person who confesses in the soul that God has made it. This is not mandatory because it is meaningful when you acknowledge it yourself. It does not mean that we do not know the word "I love you" even among people. It is because it is meaningful when you confess that you want to say so.


As such, it is meaningless if God does not confess man's purpose, his wonderful grace, in man's own essence, and gratitude with thanksgiving. (This is what theologians call "free will" ). When the grace of a man on the cross, and the grace of God, who showed such a will to man that he made man, is moved in his own spirit (by the Spirit) and confesses it himself, i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8:26-30) 성령의 탄식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4. 11:11 Writer : 김홍덕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롬 8:26)


우리가 익히 잘 아는 말씀입니다. 성령께서는 우리가 무엇을 빌어야(기도해야)할지 모를 때에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신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보통은, ‘우리가 삶의 모양을 어떻게 이루어 가야할지 모를 때에 성령께서 우리 인생을 이끄신다.’정도로 생각합니다. 한 마디로 살길 막막할 때 우리가 하나님께 그것을 구할 수 있도록 인도하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성령은 그런 것이나 하시는 분이 아닙니다. 성령은 하나님의 또 다른 모습입니다. 그렇다는 것은 하나님과 그 의와 뜻이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존재의 하나님이시면, 성령의 관심과 탄식도 당연히 사람의 존재에 관한 것이지, 육신의 삶에 속한 문제에 대하여 걱정하시는 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성경이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에 관한 말씀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압니다. 그렇다면 성령도 예수 그리스도라는 정체성에 관여하시는 분이라는 것이 당연한 것이 되어야 하는데, 사람들은 자주 사람으로서 할 수 없는 기적, 그것도 삶의 문제가 해결된 것을 두고 성령의 역사나 기적이라고 하는 것은 성경의 본질을 망각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바울 사도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는 이들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른다(하나님의 아들이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롬 8:12-17) 그것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보여주신 하나님 아들의 정체성이 나의 정체성이 되도록 인도하시는 분이 성령님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령께서 우리가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성령께서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친히 간구하시는 내용은 다름이 아니라,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에 관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바울 사도는 세상의 모든 피조물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는 것을 고대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피조물의 소망, 그것은 또한 모든 인생의 소망입니다. 사람이 빌 바를 알지 못한다고 하는 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행위는 정체성만 정해지면 분명해지는 것이기에 뭔지 모른다는 것은 상황도 존재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사람이 하나님께서 자신을 지은 목적을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성령께서 탄식하신다는 것도 같은 것입니다. 성령께서 사람에게 바라시는 것이 다른 것이 아닙니다. 성령은 하나님이시니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실 때에 사람에게서 하나님의 성품이 표현되어 하나님의 아들로 나타나기를 바라시고 만드셨는데, 그 하나님과 성령께서 탄식하신다면 무엇을 인하여 탄식을 하시겠습니까? 그것은 오직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로 나타나는 것, 그것 외에 하나님과 성령께서 탄식하실 이유도 없고, 하나님과 성령께서 사람에게 바라시는 간절한 오직 하나는 바로 하나님의 아들로 나타나는 것, 하나님께서 목적하신 바가 그의 삶이 되는 그 하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령의 탄식을 인생 살다가 만난 삶의 문제들 앞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는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답을 아신다는 것으로 여길 것이 아닙니다. 인생이 살다가 문제를 만나는 것은 인생의 정체성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처음 만날 때도 그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면 어떻게 대할 것인지 자연스럽게 정해집니다. 물건도 무엇을 하는 것인지 알면 사용법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길도 이 길의 처음과 시작, 곧 길의 정체성을 알면 찾기 쉽습니다. 인생도 그렇습니다.


성령의 탄식은 인생의 문제들, 삶의 곤고함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결정의 순간 무엇을 결정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도 아닙니다. 성령의 탄식, 그 간절함은 오직 하나, 우리가 존재하게 된 목적이 우리의 삶이 되는 것입니다. 그것은 진정 빛과 같아서 그것만 알게 되면 그렇게 암흑 같은 세상의 모든 것이 분명해지고, 그 존재하는 목적이 분명하여 져서 세상의 모든 것을 그 목적대로 사용하고 대응하게 됩니다. 그것이 모든 것을 다스리는 것입니다.


또한 어떤 결정, 어떤 문제도 항상 분명합니다. 사람이 그 존재 목적이 분명해지면 모든 순간 어떤 결정을 해야 하는지 밝아진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소경이 눈을 뜨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상의 모든 것이 자기에게 들립니다. 그것이 귀머거리가 듣게 되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오직 하나, 인생을 만드신 하나님의 목적, 그것을 알고 살아가는 그 하나만 있으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직 예수인 것입니다. 그러니 성령께서 이것에 대하여 간절하시지 않겠습니까? 성령의 간절하심이 바로 이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8:26-30) The desire of the Holy Spirit.



In the same way,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with groans that words cannot express. (Romans 8:26)


It is a word we know well. When we do not know what we should pray for, the Holy Spirit is praying for us with a sigh that the Spirit can not speak. We usually think of it as 'the Holy Spirit leads our life when we do not know how to make the shape of life'. In a word, when we live, we are guiding God to save it.


But the Holy Spirit is not like that. The Holy Spirit is another form of God. It means that God and His will are the same. If God is the God of being, the interest and groaning of the Holy Spirit is, of course, about a person's being, not the person who cares about the problems of the physical life.


Everyone knows that the Bible is about the identity of Jesus Christ. Then, it should be natural that the Holy Spirit is also involved in the identity of Jesus Christ. It is a miracle that people can not often do as a person, and the fact that the problem of life is solved is the history of the Holy Spirit or miracle. It can also be said.


In the past, the apostle Paul said that those who receive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call God God the Father (Rom 8: 12-17). It is because of the identity of the Son of God, Is the Holy Spirit. Therefore, the Holy Spirit does not know what we will pray for, but what the Holy Spirit does in his unspeakable groaning is not the same thing, but that we are about to become the Son of God.


The Apostle Paul said that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look forward to the coming of the Son of God, who represents God's righteousness. The hope of the creature, it is also the hope of all life. The fact that people do not know what to save means that they do not know their identity. Every act is evident when only identity is established, so knowing what it is may not be possible. It is that man does not know the purpose God has made of himself.


It is the same that the Holy Spirit is sighing. It is not what the Holy Spirit wants people to do. The Holy Spirit is God. When God made man, he desired that the character of God be expressed and manifested as the Son of God. If he and the Holy Spirit are sighing, what will he sigh for? It is not only that a person appears as the Son of God, but there is no reason for God and the Holy Spirit to sigh besides that, and the only thing that God and the Holy Spirit aspire to man is to appear as the Son of God, That is the only one that is not.


Therefore, it is not to be understood that God does not know the answer even if we do not know what to do in front of the problems of life we ​​encountered in our lives. It is because life does not know the identity of life when we encounter problem when we live. When you meet a person for the first time, you know who you are. If you know what you are doing, you can easily find out how to use it. The road is also easy to find if you know the beginning and beginning of this road, the identity of the road. Life is also true.


The sighing of the Holy Spirit is not about the problems of life, the suffering of life. It is not about what to decide at the moment of decision. The sighing of the Holy Spirit, the only one of its sincerity, is that our purpose of existence is our life. It is like a light, so when you know it, everything in such a dark world becomes clear, its purpose becomes clear, and everything in the world is used and responded to its purpose. That is what rules everything.


Also any decision, any problem is always clear. When a person becomes clear about his purpose of existence, he or she is made aware of what decisions to make at every moment. It is that the blind man opens his eyes. And everything in the world is heard by him. It is that deaf is heard. All this is but one, the purpose of God who made life, and one that lives and knows it. So it is only Jesus. So the Holy Spirit is not willing to do this? This is the desire of the Holy Spirit.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롬 8:28)


예수님께서는 부자 청년과의 대화(마 19장, 막 10장, 눅 18장)에서 오직 하나님만이 선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니까 선(善)이라는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의에 부합되는 것만이 선하다는 말씀입니다. 이는 보통 사람들이 선하다고 하는 것에 대하여 도덕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칭찬을 받을 만한 행동을 하는 것을 선한 것이라고 여기는 것과는 좀 다른 것입니다. 그런 차이가 보편적으로 어느 것들끼리의 차이면 문제가 없지만, 절대 기준과의 차이라면 이야기가 다릅니다.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선과 사람이 생각하는 선이 다르면 그것은 사람이 생각하는 선은 선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말씀하시는 이 말씀, 제법 유명해서 어지간한 사람은 암송하고 있는 이 로마서 8장 28절의 말씀에 나오는 ‘선’, 모든 것이 협력하여 이루어내는 선(善) 역시 하나님이 선하게 여기시는 것, 그 하나를 말씀하시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로마서 8장 전체를 흐르는 맥락과도 일치합니다. 모든 피조물이 바라는 바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는 것 – 모든 하나님의 피조물은 하나님의 목적을 표현하는 존재가 되는 것이라는 맥락과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선(善)’이란 역시 하나님의 의도하심이 나타나는 것 그것입니다.



여기서 일반적인 안목으로 보면 눈에 띄지 않지만 의외에 주목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선을 이루는 과정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면 선을 이루려면 선한 것이 모이고, 선한 것을 추구할 때 선이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바울 사도는 ‘모든 것’이 협력해서 선을 이룬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란 예외가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서 이는 악한 것조차 선을 이루는 일에 협력하는 것이라는 말씀이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보편적 가치관으로 볼 때, 선을 이루는 일에 악이 협력한다는 것은 용납되기 힘듭니다. ‘성경을 읽는다는 이유로 촛불을 훔칠 수 없다.’는 말에서 보듯이 그럴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무엇이 악한 것인가?’의 문제에 관한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세상의 모든 것, 모든 피조물은 다 하나님께서 그 의도하신 목적이 있어 만드신 것으로 악하지 않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는 디모데전서에서 말씀하신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현재 이야기하고 있는 로마서 8장에서도 바울 사도는 세상의 모든 피조물은 하나님의 목적을 표현하는 아들을 고대하는 존재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에서만 봐도 세상의 모든 것은 다 하나님의 의도하심이 있고 그것을 표현할 때 선한 것이라는 하나님의 안목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지으신 모든 것이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나니(딤전 4:4)


따라서 선을 이룬다는 것, 하나님의 의를 이루는 것은 세상의 모든 것이 다 협력한다는 말씀을 하고 계신 것입니다. 다만 사람들이 가진 생각, ‘선을 이루는 것은 선함’이라는 생각은 사람의 가치 기준에 관한 것입니다. 그 사람의 가치기준은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심히 좋았다고 하신 사람을 부끄럽게도 여기는 그런 가치기준에 관한 것입니다. 즉 세상에 악한 것은 하나님이 만드신 것을 악한 것으로 규정하는 사람의 선악에 대한 기준 그 하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수님께서 부자청년과 나누신 대화에도 고스란히 녹아 있는 하나님의 뜻입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아들인 자신을 보고 ‘선한 선생’이라고 부른 청년을 꾸짖었습니다. 그 이유는 다른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을 자기가 가진 선과 악에 대한 기준으로 판단해 보니 선한 선생이라고 판단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 청년은 그 마음 안에 선과 악에 대한 판단 기준, 곧 선악과를 먹은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예수님께서 ‘오직 하나님 한 분만이 선하시다’고 답을 하시는 것은 선과 악에 대한 기준은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에 합당하면 선한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악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만드실 때에 실패한 것이나 악한 것을 만드셨겠습니까? 전지전능하신 사랑의 하나님께서 그랬단 말입니까? 그것이 아닌데 세상에 악한 것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세상에 악한 것이 있는데 어떻게 창조를 마치시고 안식하실 수 있었겠습니까?


악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을 악한 것으로 보는 안목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자기에게 불이익이 생기는 것이라면 악한 것과 연관을 짓습니다. 자기 기준의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 육신의 삶이 세상과 삶의 본질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자기의 생각대로 되면 하나님의 은혜고, 자기 생각대로 되지 않으면 하나님의 뜻대로 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합니다. 하지만 세상이 힘든 것은 오직 하나의 이유, 곧 자기 맘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만 알아도 사람이 자기 기준으로 선과 악, 본질과 허상을 나누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선을 이루는 것은 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하나님의 선하심, 곧 하나님의 의는 세상의 모든 피조물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품이 표현되는 것에 있는데, 그런 하나님의 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 수고스럽고, 힘든 일이 생기는 것을 바라지 않는 사람들, 곧 현재의 고난을 감당하지 않는 사람들이 볼 때 세상에 악한 일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악은 제외하고 하나님의 선을 이루자는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모름지기 하나님께서 자신을 만드신 분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사람이라면 세상에 악한 것은 없습니다. 세상이 악한 것은 사람이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을 선한 것과 악한 것으로 나누고 서로 선한 것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전쟁이 일어나는 것은 서로가 이루어야겠다고 생각하는 선함이 달라서 그렇습니다. 그러다 보니 모든 것이 협력하여 하나님의 선을 이룰 수 없어서 서로 죽이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께서 인생을 만드셨다는 것, 그 하나가 인정이 되지 않아서 세상이 시끄럽다고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의 말씀은 이것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다 선한 것이고, 세상의 모든 피조물은 다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는 선함을 위하여 창조된 피조물이기에 그 하나님의 의도하심이 나타나는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는 것을 위하여 세상의 모든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도 그 피조물이므로 사람에게 주신 모든 것을 다 동원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것에 소비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고난이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하나님께서 입히신 육신을 십자가에 드리심으로 하나님 아들이라는 정체성이 드러났듯, 육신을 가진 모든 인생은 육신의 수고로움으로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것이 그 존재의 목적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을 위하여 가진 모든 것, 육신의 모든 것은 선과 악으로 나누지 말고 다 합하여 하나님의 선을 나타내는 것에 소비하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산제이고,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성전이 되는 삶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육신이 불편해지는 것은 곧 하나님의 축복에서 멀어진 것이라고 여깁니다. 그래서 육신이 병원에 가는 수고를 하지 않고 병이 낫는 것을 은혜라 여기고, 몸이 아픈 것은 하나님께 잘못한 것이 있어서 그렇다고 여깁니다. 아프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을 때도 육신의 수고 없이 기적적으로 나을 때 하나님의 은혜라고 여긴다는 것입니다. 고난이 없어야 은혜라는 것입니다.


그런 안목과 가치관은 모든 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는 법을 알 수 없습니다. 그들에게 모든 것은 하나님이 동원하실 수 있는 기적과 같은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기적과 능력을 동원해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낸다고 여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수고하는 것이 없으면 없을수록 하나님이 하시고 하나님의 은혜라고 여기는 것입니다. 그것은 이미 그 마음 안에서 선을 이루는 것은 모든 것이 아니라 자기 기준으로 판단한 선으로만 선이 이루어진다고 믿는 신앙과 안목일 뿐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8:28) All things God works for the good



And we know that in all things God works for the good of those who love him, who have been called according to his purpose.(Romans 8:28).


Jesus said in the conversation with the rich youth (Matthew 19, Mark 10, Luke 18) that only God is good. Therefore, goodness is only good that conforms to God's righteousness. It is a bit different from what people usually think of doing good things that do not cause social, moral, and praiseworthy things about good things. There is no problem if the differences are universal, but the difference is different from the absolute standard. If the line that God speaks is different from the line that man thinks, it is not the line that man thinks is good.


This is what the apostle Paul says: "Good" in the words of Romans 8:28, which is recited by a person who is famous and well-known, and the good that all things work together, That is what you are talking about. This i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whole passage of Romans 8. All the creatures hope that the appearance of the Son of God - the creation of all Gods - i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being an expression of God's purpose. So 'goodness' is also the manifestation of God's intent.



Here, in a general sense, it is not noticeable but there is something to be surprised about. It is about the process of being good.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good things come together to do good, and good things come from when we seek good things. But the apostle Paul says that all things work together to make good. "Everything" does not mean that there are exception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even the evil is to cooperate in the work of good.


Then, in terms of universal values, it is unacceptable for evil to cooperate with good work. As you can see from the words 'I can not steal the candle because I read the Bible', this is not possible. But this is about what is evil? The apostle Paul tells us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all creation, is not evil because God made it for his intended purpose.


This is what Jesus said in 1 Timothy, but above all, Romans 8 tells us that Paul is saying that all creatures in the world are anticipating the Son who expresses God's purpose. God has an intention of God, and God has an eye for good in expressing it.


For everything God created is good, and nothing is to be rejected if it is received with thanksgiving, (1 Tim. 4: 4)


Therefore, to make good, to fulfill God's righteousness is to say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cooperate. However, the idea that people have the idea of ​​'being good is good' is about people's value standards. The value standard of the person is about a value standard that is ashamed of those who say that God was very good to see. In other words, what is evil in the world is that there is only one standard for the good and evil of a man who defines what God has made evil.


This is the will of God, which is well integrated in the conversation that Jesus had with the rich youth. When Jesus saw Himself as the Son of God, He rebuked a young man who was called a "Good Teacher." The reason is not different. He judged Jesus as the standard of good and evil he had, and judged him as a good teacher. So this young man is the one who ate the standard of judgment on good and evil in his heart, the good and the bad.


Jesus answered, "Only one God is good." The standard for good and evil is God. If you are worthy of God's righteousness, you are good, otherwise you are evil. Then did God make a failure or an evil thing when he created this world? Is the God of all-powerful love doing this? Where is the evil in the world? How could you be able to rest after the creation of something evil in the world?


Evil is nothing else. It is because of the discernment of what God has done as evil. People associate with evil if it is disadvantageous to them. It is because I have an idea of ​​my own standards. It is because the life of the flesh is the essence of the world and life. It is the grace of God according to his own thoughts, and it is because he does not do the will of God if he does not do what he thinks. But knowing that the world is hard is for one reason only, it is not what you want, but you can see that people are sharing good and evil, nature and illusion on their own standards.


It is the goodness of God, the righteousness of God, which is expressed in the character of God through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which is a laborious and hard work in the process of the righteousness of God There are evil things in the world when those who do not want to happen, those who do not suffer the present sufferings, see. And to think that we should do God's good except for such evil.


There is nothing evil in the world if you admit that God is the Creator of Himself. The wickedness of the world is that man divides what God has made into good and evil, and pursues what is good for one another. The reason for the war is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goodness of thinking that each other should be accomplished. So we can not cooperate and achieve God's good, so we kill each other. That is to say, God made life, one can not be recognized and the world is noisy.


The apostle Paul's words are about this. Everything in the world is good, and all creatures in the world are creatures created for the good of manifest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God, so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exist for the coming forth of the Son of God to manifest His intention.


And that man is the creature, so it is reasonable to mobilize all that he has given to man and spend it in expressing God's character. That is a hardship. Just as Jesus revealed the identity of the Son of God by giving the body of God on the cross, all life with the flesh is the purpose of that being to express God's righteousness through the hard work of the flesh. All that we have for it, all things in the flesh, do not divide into good and evil, but consume them to represent God's good. It is a sacrifice, a life in which God is a temple.


But people think that discomfort in the body is a departure from the blessings of God. Therefore, it is grace that the body does not go to the hospital, but the sickness is healed, and the body is sick because it is wrong with God. You should not be sick. And when we are good and we are miraculous without physical labor, we are considered to be God's grace. It is grace to have no trouble.


Such discernment and values ​​do not know how everything works together to form good. To them everything is like a miracle that God can mobilize. It is believed that God uses miracles and power to represent the glory of God. So, the more people do not have to labor, the more God thinks that he is God's grace. It is a faith and an obsession that believes that what is already in the mind is not everything, but that good is done by the line that is judged on its own standard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