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로마서 9:19-29) 사람과 하나님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10. 18:01 Writer : 김홍덕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은 일반적인 세상의 논리와 맞지 않는 하나님의 섭리를 멀리합니다. 예를 들면 하나님을 믿으면 복을 주고 그렇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이것은 사실 다른 종교와는 좀 다른 것입니다. 다른 종교, 특히 동양적 종교들은 범용적인 선행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신앙을 가졌느냐와 상관없이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 것이나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과 같은 것은 다 복을 받을 수 있다는 여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을 믿는 신앙은 그렇지 않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런데 사실 그것은 느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사실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다는 그 세계에 속하지 않는다면 어떤 선행도 의미가 없다는 것은 틀리지 않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종교적인 특성이나, 기독교의 고집이나 배타적 성격 같지만 실제로는 신앙에 있어 아주 중요한 관점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행위로 의롭게 되느냐 아니냐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사실 곤란해집니다. 일반적인 사회 윤리인 부모를 공경하는 것이나 도적적인 삶이 아무런 가치가 없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실제로 상당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일반적 사회 윤리를 어겨도 예수만 믿으면 천국에 가는 것인가?’라는 아주 큰 반감을 가진 반문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제 이것에 대하여 교회들은 명확한 답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겨우 가진 것은 일반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이 좀 더 도덕적이라는 정도의 해명뿐입니다. 그러나 그 마저도 기독교인들이 가끔 사회적 물의를 일으킬 때는 그 논리가 화염에 기름을 붓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래저래 곤고한 상황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실한 신앙관은 ‘하나님이 사람에게 그러실 수 있는가?’로 이어집니다. 그래서 보편적 윤리와 무관하게 단지 예수만 믿으면 천국에 가고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는 하나님의 법에 대하여 하나님을 믿지 않는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을 비난합니다. ‘그게 말이 돼?’라고. 그리고 그런 사회적 저항에 항변하지 못하는 기독교인들도 내면적으로 그런 반문에 당황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많은 교회들 역시 행함이 하나님 앞에 의로움이라는 신앙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입으로는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라고 하지만 정작 설교나 신앙은 십일조를 하면(do) 하나님께서 부자가 되게 축복(have)해 주신다고 가르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어떤 관점에서 보면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그저 하나님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하는 항변이니 하나님을 알면 해결될 것이라고 하거나 사탄의 저항이라고 치부하고 넘어가기 일쑤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이것은 아주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울 사도가 이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섭리에 사람들이 저항하는 것은 불의한 것이라고. 토기가 자신을 빗은 토기장이에게 항변할 수 없는 것이 아니냐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라도 사람이 하나님의 섭리에 대하여 불만이나 의문을 가졌다면 하나님과 같은 안목을 가진 것은 아닙니다. 이것은 비단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가 아니라도 같은 이치입니다. 사람사이도 이견이 있고 불만이나 의문이 있다면 같은 안목을 가진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바울 사도의 말씀이 ‘하나님이 자기 맘대로 하시는데 사람이 왜 잔말이냐?’는 느낌을 주는 것도 그렇고, 하나님을 믿기만 하면 보편적 사회 윤리와 무관하게 구원을 주시는 것은 부당하게 여겨지는 것도 하나님과 사람이 안목이 달라서 그렇습니다.


바울 사도가 말씀고자 하는 것은 ‘하나님은 고집쟁이라 자기 맘대로 하신다. 창조주가 맘대로 하는데 피조물이 왜 잔소리냐?’가 아닙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사람의 의와 다르다는 것을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창조주로서 사람을 대하는 것에 사람이 항변할 수 없다는 것은 ‘피조물은 닥치고 있어라!’가 아닙니다. 이것은 피조물은 창조주의 뜻을 알라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은 맘대로 하니 그냥 닥치고서 가만히 있으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바울 사도가 이런 말씀을 하게 된 이유를 생각해 보면, 이 로마서를 기록하게 된 동기를 생각해 보면 됩니다. 이방인들이 모여서 교회를 이룬 로마 교회. 그 교회에 유대인들이 유입이 되면서 혈통에 대하여 또 율법의 행위를 신앙의 중요한 요소로 주장하는 것으로 인하여 믿음만 있으면 되는 하나님의 구원이 변색되는 것에 대하여 경계하기 위함이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은 창조주니 맘대로 한다는 것과 무슨 관계가 있느냐 싶겠지만, 하나님이 사람에게 맘대로 하면 되느냐?, 세상의 일반적인 윤리는 뒷전이고 단지 하나님만 믿으면 구원을 받느냐?, 예수 믿는다면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아도 되느냐? 같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기독교 신앙 안에서 상주한 이런 항변들은 모두 사람의 행위가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단서라는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하나님의 행사가 하나님 맘대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면 그것은 사람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의 행사가 자기가 생각하는 것과 같다고 여기는 사람은 하나님께서 맘대로 하신다고 생각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허물이 있다고 하거나, 성경에 기록된 대로 예수님을 믿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에는 선한 행위가 필요치 않다는 것에 의문이 든다거나 가감하여 전하는 것과 같은 생각을 가졌다면 그것은 하나님과 다른 생각을 가진 것입니다.


즉 하나님은 믿음만 있으면 의롭다고 여기시는데, 사람은 행위나 사람의 외모와 가진 것과 성품이 어떤지도 의로움의 중요한 요소라고 여기기에 하나님께서 믿음만 있으면 된다고 하시는 것이나 예수님만 믿으면 행위와 무관하게 의로워진다는 것에 의심을 가지고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니 예수 믿는 사람이 기왕이면 도덕적이면 하나님이 더 기뻐하신다고 가감하는 것은 모두 하나님을 의심하고 하나님의 행사가 하나님 맘대로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의 안목으로 인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정말로 사람은 믿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 하나님만 믿으면 극단적으로 사람을 죽이거나 도적질을 해도 된다는 것일까요? 문제는 사람들이 이런 의문을 가지는 것은 믿음이 어떤 것인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방금 앞서서 말한 의문을 가지고 있다면 그 사람은 단 적으로 하나님을 모르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질문에 답하지 못하는 것 역시 같은 사람입니다.


이러한 비밀을 알려면 다시 한 번 하나님은 생명의 주님이심을 이야기해야 합니다. 생명이란 언제나 안에서 밖으로 그 본성이 표현되고 자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기왕이면 다홍치마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 즉 도덕적이고 윤리적이며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것을 몸으로 지켜내는 것과 같은 것은 믿음만 있으면 없어도 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이 생명처럼 있다면 그런 것은 생명의 본성이 표현되듯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믿음만 있으면 된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은 정말로 중요한 하나님의 법인데 사람들이 이것을 알지 못하기에 성경을 읽고서 성경을 문자대로 행하면 의롭게 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런 생각은 생명이 안에서 밖으로 표현되는 세계가 아니라 행위가 있어야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신다는 생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면 하나님의 행사를 오해합니다. 믿음만 있으면 세상의 어떤 행동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여기기에 믿음만 있으면 된다, 예수만 믿으면 행위는 상관없다는 말씀을 오해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이 이 육신으로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시기 위함인데, 어떻게 하나님께서 행위나 세상 사람들이 하나님 아들을 보고 감동할 수 있는 삶을 살아내지 않겠습니까? 즉 행위를 나타내시려고 만든 사람에게 행위를 불필요한 것으로 여기실 리가 없는 것입니다. 다만 하나님은 행위 자체만으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행위는 본성만 있으면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은 바로 그것입니다. 생명의 본성이 있어 표현되는 하나님의 의를 바라시는 것입니다. 그래서 믿음만 있으면 된다는 것입니다. 믿음만 있으면 그 믿음이 하나님께서 의도한 삶을 행동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셨는데, 사람들은 그 하나님의 의를 자기 안에 두려는 생각은 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행동으로 지켜서 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입니다. 아니 자신들이 그런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온전한 믿음만 있다면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든 행함이 나올 수밖에 없고, 성경을 어기려 해도 어길 수 없으며,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믿음이 있는 이를 하나님이 긍휼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있기에 세상의 모든 일들, 하나님의 모든 행사, 하나님이 만들고 다스리시는 세상의 모든 일이 만족(에덴)스럽고, 또한 자기 삶이 하나님의 의로 살기에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를 사는 것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죽어서든 언제라도 하나님 나라에 속한 백성이 되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9:19-29)  Man and God


Those who do not believe in God are far from the providence of God,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logic of the general world. For example, if you believe in God, you bless and you go to hell. This is in fact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Other religions, especially oriental religions, can be described as general good works. For example, regardless of what faith you have, you can be blessed with everything you do not forget to pay for your grace, such as paying back to your parents. However, faith in God is not strong.


In fact, it is not a matter of feeling. That is true. It is not wrong to believe that believing in God is meaningless if it does not belong to the world of believing in God. It is a simple religious feature, a stubborn or exclusive character of Christianity, but it is in fact a very important aspect of faith. Because it is a matter of whether it is justified by action or not.


However, if this is true, it becomes difficult actually. Honoring parents as a general social ethic, or a robbery, is of no value. This is actually receiving considerable resistance. This is because, if you break the general social ethics, you will have a great dislike of "Are you going to heaven if you believe in Jesus?" And the churches are not able to give a clear answer about this. The only thing you have is that you are generally more moral than those who go to church. However, even when it is occasionally socially controversial by Christians, the logic is like pouring a flame. This is a difficult situation.


And this poor faith leads to 'can God do to man?' So, regardless of universal ethics, many people who do not believe in God about God's law that they only go to heaven if they believe in Jesus and go to hell if they do not believe. 'That makes sense?' And it is true that Christians who are not able to protest against such social resistance are embarrassed by such a question. Because many churches also teach that faith is righteousness before God. Of course, it is said that you receive salvation by faith in your mouth, but preaching and faith teach you that God will have you to be rich when you pay tithing.


This may not be a very important issue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This is because it is a plea because you do not know God well. But if you know it, it has a very serious problem. That's why the Apostle Paul mentions this. It is unrighteous for people to resist the providence of God. It is said that the pottery can not protest to the potter who combines himself.


In any case, if a person has a complaint or question about the providence of God, it is not the same as God. This is not a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f there are disagreements among people, and there are complaints or questions, it is not the same. Paul's apostle said, "God does not do what he wants, but why does man drink?" And God and man know that it is unjust to give salvation regardless of universal social ethics if we believe in God This is different.


The Apostle Paul wants to say, 'God is a stubborn man, and he does his own thing. It is not the creator's choice, why is the creature nagging? ' God has the righteousness of God. It is saying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righteousness of man. It is not 'the creature is shut up' that God can not protest against the person as the Creator. This means that the creation knows the Creator's will. God does not mean to shut up and stand still.


Consider the reason why the Apostle Paul spoke these words, and think about the motivation for writing this book. The Roman church where the Gentiles gathered and built the church. It is important to think of the fact that as the Jews were introduced into the church, they were to be wary of the blood of God, and of the salvation of God's salvation by faith, by claiming that the act of the law was an important element of faith.


I do not know what it is that I do not want to do, but I do not know what it is that I do not know. It is because these rebellions, both in the same East and West, and in the Christian faith, are all based on the idea that human action is a clue to God.


If a person seems to be doing what God does, God does not mean it. There is no reason to think that anyone who thinks that the event of God is the same as he thinks he does. Therefore, if you think that God has a transgression, or that you believe in Jesus as recorded in the Bible and do not need good deeds before God, is.


In other words, God believes that justice is righteous, because man believes that the act, man's appearance, character, and character are important elements of righteousness, that God has only faith, but that if he believes in Jesus, If it is the same value with doubt and doubt, the person who believes in Jesus is moral, and if it is moral, it is because of God's pleasure.


Is it really just a matter of believing? Do you think that if you believe in God, you can extirpate or kill people? The problem is that people have these questions because they do not know what faith is, or who God is. So, if you have a question just ahead of you, then you do not know God in a simple way. And it is the same person who can not answer that question.


To know these secrets, we must once again say that God is Lord of life. Life is always expressing and growing out of its natur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people to think in the form of a doctrine, that is, moral, ethical, and to protect what the Bible is saying by the body, but if faith is like life, You are saying that you can only have faith because it appears as if you are.


This is a really important law of God, because people do not know about it, so reading the Bible and thinking about the Bible literally justifies it. Such a thought is not the world in which life is expressed outwardly, but an act that requires God to be righteous. That is why if you have such values, you misunderstand God's events. It is only necessary to believe that if you have faith, you do not have to do any action in the world. If you believe in Jesus, it does not matter.


God's purpose in making man is to express God's righteousness in this flesh. How will God not live a life in which actions and world people can see and impress the Son of God?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for a person who made it to express an act to regard an act as unnecessary. But God is not just being done by the act itself. Act is naturally coming out only with nature.


That is what God wants. It is the nature of life that desires the expressed righteousness of God. That is why we need only faith. By faith, that faith made God's intended life an inevitable manifestation of action. People do not think of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ir own right, but mistake God's Word for action. No, they claim to be such.


Therefore, if there is a perfect faith, all the works of God will come out, and if the Bible is wrong, it can not be broken.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whom God has mercy, is in him. All things in the world that God creates and governs are contentment (Eden), and the life of God is the righteousness of God. So, of course, any time we die, we become a people belonging to the kingdom of Go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9:1-18) 하나님의 선택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9. 13:07 Writer : 김홍덕

로마서 1장에서부터 8장까지 율법과 복음에 대하여 말씀하신 바울 사도는 9장을 시작하면서 이스라엘에 대하여 말씀하십니다. 이는 율법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이스라엘 곧 유대인들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들에게 바울 사도가 앞서 전한 말씀은 ‘율법이나 이스라엘이 먼저 선택된 것은 아무 의미 없다.’는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하나님의 선택에 대하여 말씀을 하십니다.


이것은 유대인이라는 것, 하나님 나라라고 이스라엘이라는 하나님의 선택은 하나님의 자유에 의한 것이지 이스라엘이 별스러운 존재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은 오늘날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표적으로 모태신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나면서부터 기독교 집안인 사람을 일컫는 말인데 마치 신앙에 있어 어떤 선택을 받은 사람과 같이 여겨집니다.


바울 사도가 이스라엘을 선택하신 하나님의 의를 설명함에 있어 아브라함과 이삭의 말씀을 하십니다. 아브라함의 후손이라고 다 하나님께서 선택한 백성이 아니라 이삭에게서 난 자라야 하나님의 선택을 입은 것이라는 것과 이삭의 아내 리브가가 잉태하였을 때에 복중에 있는 쌍둥이가 아직 나지도 않은 시점 즉 아무런 공로나 모양도 알 수 없는 시점에 이미 하나님께서 에서가 아닌 야곱을 선택하심을 언급합니다.


바울 사도가 이러한 언급을 하는 것은 하나님의 선택은 사람이 뭐라고 할 것이 아니라는 것과 무엇보다 하나님의 선택은 사람의 어떠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하심에 의한 것, 한 마디로 하나님 마음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선택을 하는 사람들의 가치기준으로 볼 때 불의한 것 같지만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시는 것은 전혀 불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런즉 하나님께서 하고자 하시는 자를 긍휼히 여기시고 하고자 하시는 자를 강퍅케 하시느니라(롬 9:18)


이것은 한 마디로 ‘엿장수 맘대로’라는 것인데, 하나님의 입장에서 사람을 두고 누구는 택하고 누구는 버리는 것이 자기 마음이라고 하시겠지만 사람에게는 자기의 운명이 달린 문제이기에 ‘그럴 수 있지’라고 간과하기에는 너무 심각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물론 하나님을 믿지 않으면 그런 심각함조차 없겠지만)


여기에 두 가지 생각할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결국 하나의 관점일 수 있습니다. 먼저는 사람은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것입니다. 사람도 자기가 만들지도 않았지만 자기가 점유하거나 구매하기만 해도 자신의 것이라고 법적인 권리를 주장하고 그 소유를 자기 맘대로 하는 것을 당연히 여깁니다. 그런 사람이 자신을 만드신 하나님께서 누구를 선택하고 누구를 버리는 것에 대하여 맘대로 하셨다는 것이 불의할 수 없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이런 것이 참 불의한 것이라 여기는 것은 사람이 사람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가치 기준은 사람의 존재 목적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사람의 생긴 모양과 능력과 사회적 지위와 역할에 관한 것이 기준입니다. 또한 사람들이 말하는 인간 존엄성 역시 존재 이후의 문제입니다. 존재하지 않는다면 존엄성 같은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존재한다면 당연히 존재의 목적이 있습니다. 사람이 존귀한 것은 존재의 목적 때문이지 존재 자체 때문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자기 힘으로 존재하게 된 것도 아니면서 존재한다는 그 자체에 존엄성이나 가치를 부어하거나 존재하고 난 다음에 가진 자신의 조건으로 사람의 가치와 격을 논하고 대우가 달라지는 것은 다 사람의 기준에 의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모든 가지와 존엄성은 그 존재의 목적이 우선된 문제입니다. 이것은 세상의 모든 존재가 그렇습니다. 특히 사람이 만들고 사용하고 거래하는 모든 물건 역시 그렇습니다. 존재하는 목적과 이유에 대한 의미가 없다면 어떤 가치도 부여하지 않는 것이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셨는데 그 존재의 목적은 배제하고서 서로의 생긴 모양이나 사회적인 능력이나 역할 또 재물이나 권력에 따라 가치를 부여하고 목적을 배제한 상태에서 존엄성을 운운하면서 정작 하나님께서 자신의 피조물인 사람의 선택에 대하여 하나님의 의지로 선택하는 것을 엿장수 맘대로 하는 것이라며 불의하다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의 말씀도 이것입니다.


특히 사람들은 사람을 볼 때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으로 서로를 대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한 이후에 인식한 자아가 세상에서 가진 역할, 또는 존재한 이후에 가지게 된 소유나 능력이나 권력이나 지위로 서로의 가치를 인식하고 또 무엄하게도 그것이 자기에게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하는 죄 가운에 빠집니다.


남자로 태어난 것에 관하여 남자로 난 자가 어떤 기여도 한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성별에 따른 삶의 극심한 차이를 두고 ‘나는 남자니까?’라고 여기는 것이나, 또는 남자들끼리 모여서 사회에서 남자에 대한 처우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과 같은 것이 그 대표적인 것입니다. 우리가 아는 바에 의하면 어떤 종교에서는 이런 차이가 너무 극심하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의 가치관이 바로 선악과에 의한 것입니다. 자기가 기준을 만들기 때문에 생긴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하나님의 행사에 대하여 불의하다 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사람들이 하나님 앞에서 존재의 목적도 모르고 자기 선악의 기준으로 심판하고 판단하는 죄 가운데 있으니 자격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창조주이시니 사람은 그럴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안다면 스스로 선악의 기준을 가지고 죄를 범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스스로 죄 가운데 있다 보니 하나님의 행사를 두고서 불의하다고 하거나, 그러면 안 되는 것 아니냐는 반문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지난 글에서 이야기 해 본 예정론과 상관이 있습니다. 바로 앞의 내용과 같이 하나님께서 자기 맘대로 하신다면 그 구원이 정해진 사람이 마음대로 있다는 것이 되지 않느냐는 반문이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앞선 예정론 대한 글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신앙은 고백적인 것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입는 것은 은혜를 입은 사람들의 고백에 관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하나님께서 긍휼을 베푸는 사람을 선택하시는 것은 하나님의 마음이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은 기준이 없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보실 때 의롭다고 여기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 맘대로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한결 같은 분인데 이랬다가 저랬다가 하시는 분이 아닙니다. 즉 하나님께서 맘대로 하신다는 것은 기준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가 그 마음이고 기준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앞에서 말한 사람들의 기준, 외모나 존재하고 난 다음에 자기가 가지게 된 것으로 심판과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사람이 가진 선악의 기준이 아니라 하나님이 가지신 그 의에 따라 하나님의 긍휼이 베풀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예정은 특정 개인에 대한 선택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사람을 향한 섭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예정이고, 하나님의 긍휼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이 가진 자기들의 기준으로 보면 엿장수 마음 같아 분명한 하나님의 의에 의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되는 것이라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 하나님의 기준과 의는 사람의 외모에 있는 것도 아니고,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이나 혈통에 관한 것도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 의는 오직 하나님께 있고, 그 하나님의 의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보이신 것 그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자신이 존재하고 난 다음에 인식한 자신의 어떠함이나, 또는 살아가면서 습득하거나 얻은 어떠함으로 하나님의 긍휼을 얻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것은 절대적으로 유리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것과 무관하게 그 혈통만으로 긍휼하심을 입거나 선택받은 민족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가지신 그 의로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을 선택하심과 같이 하나님께서 보이신 그 의를 자기 존재의 이유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이야 말로 하나님의 뜻대로 부름을 받은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것을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9:1-18)  God's choice


Paul, who spoke of the Law and the Gospel from Romans 1 to 8, speaks about Israel at the beginning of chapter 9. This is because most of the people who claim the law are Israelites, or Jews. The words that the apostle Paul spoke to them would give them the impression that "law or Israel is not chosen first." So the apostle Paul speaks of God's choice.


This is Jewish, God's kingdom is Israel's choice of God, because it is God's freedom, and Israel is a distinct person. This is the same today. Typically, there is a mother faith. It is a word that refers to a person who is a Christian family from the outset, as if he were some choice of faith.


The Apostle Paul speaks of Abraham and Isaac in explaining the righteousness of God who has chosen Israel. Abraham's descendants are not of God's chosen people, but of Isaac's choice of God's choice, and that when Rebekah's wife Rebekah conceived, there was no time for twins in the womb to be born, That God already chose Jacob, not from.


The Apostle Paul mentions that God's choice is not to say what man is, and above all, God's choice is not in man, but in God's mercy, in one word, the mind of God. And it seems unrighteous in terms of the value of those who make choices as long as they satisfy certain conditions, but it is clear that God is not unrighteous in doing so.


Therefore God has mercy on whom he wants to have mercy, and he hardens whom he wants to harden. (Romans 9:18)


In other words, it is a very serious problem to be overlooked as 'it can be' because it is a problem that man has his own destiny. (Of course, if you do not believe in God, you will not even have that seriousness.)


Here are two things to think about. This can eventually be a single point of view. First, man is a creature of God. People do not even make up their own, but they claim to have legal rights as their own, even if they occupy or buy themselves, and take it for granted that they own it. It is unbelievable that such a man has made his own choice about whom God has chosen and who forsakes.


People think that this is unrighteous because people value humanity. And the value standard is not about the purpose of existence of a person, but about the shape and power of a person, their social status and role. Also, human dignity that people say is a problem after existence. If it does not exist, there is no such thing as dignity.


If so, then there is of course the purpose of existence. The honor of man is because of the purpose of being, not of being itself. Therefore, it is not the person who is not made to exist by his own power, but pays dignity or value to itself, and discusses the value and the value of the person with his own condition after he has existed. I will.


Therefore, all the branches and dignity of a person are matters whose existence is a priority. This is all that exists in the world. This is especially true of all things people make, use and trade. It is the person who does not give any value without meaning to the purpose and reason that exists. Such people have created human beings by God, who have excluded the purpose of their being, and have dignified their dignity in the form of their own appearance, social power, role, wealth, or power, It is unrighteous that we can choose whatever we choose to do with the will of God. This is also the word of Paul.


In particular, people do not treat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God's creation when they see Him, but rather the role of the self, recognized after being, in the world, or the possessions, powers, It falls into the guilt of perceiving value and majestly thinking that it comes from self.


Regarding the birth of a man, the man who made a contribution does not make any contribution, but the extreme difference in life according to sex is that he thinks that I am a man, or that men are gathered together to form a different treatment for men The same thing is typical. We know that in some religions, this difference is too extreme. The value of these people is due to the good and evil. This is what happened because you made the standard.


Therefore, people can not be unrighteous about God's work. This is because people are in the guilt of judging and judging by the standard of their good and evil, not knowing the purpose of existence before God. It is not that they are not qualified, but God is the Creator and man can not. If you know it, you will not sin by your own standards of good and evil. In other words, when we are in ourselves in sin, we are told that we are unrighteous about God's actions, or that we should not.


And thi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predicament we discussed in the last article. If God is willing to do what he wants, there may be a ques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person whose salvation is decided is at his disposal. However, as I mentioned in the previous Preliminary Prologue, faith is a confession. To wear the grace of God is to confess those who are gracious.


Paul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standard for which the apostle says that God chooses the one who gives mercy to God. That is what God considers righteous. That is what God does. God is the same person. It is not that there is no standard that God is willing, but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heart and the standard.


This is not the standard of good and evil which is the standard of judgment and judgment of those who have come to appear before and after their existence, but that God's mercy is granted according to God's righteousness is. Therefore, God's plan is not a choice for a particular individual, but that God has providence to man, and that he is compassionate of God, by the standards of man, It is said that it is the meaning of.


The standard and righteousness of God is not in the appearance of a person, nor about the nation or lineage of Israel. His righteousness is only in God, and the righteousness of his God is what he has seen through Jesus Christ. Therefore, it is said that man does not gain God's mercy in what he himself recognized after he existed, or what he gained or learned by living.


Therefore, although the Israelites are absolutely favorable, they do not become a nation of choice or a race of merit, regardless of the justification of God, but of Abraham, Isaac, and Jacob as God's righteousness The apostle Paul tells us that the one who lives with God as the cause of his being, that is, the people who are called by God's will.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미완성 사도신경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7. 1. 8. 12:34 Writer : 김홍덕

기독교 신앙 고백으로 ‘사도신경’이 있습니다.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니를 내가 믿사오며…’로 시작하는. 그리고 이 신앙고백은 많은 경우 이단과 정통 신앙을 구분하는 기준점에 있기도 합니다. 사도신경의 일부 혹은 전부를 부인하면 이단이라는 논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 사도신경은 온전한 것일까요?


사도신경은 내용은 하나님의 성경과 복음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그 어느 것 하나 틀리거나 오류가 없는 완전무결한 내용입니다. 문제는 사도신경의 모든 내용, 너무 온전한 그 내용은 결론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신앙고백인 사도신경은 고백이라는 말 그대로 어떤 여정을 거쳐낸 사람의 고백 곧 신앙의 여정을 거쳐낸 결론에 관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도신경은 사도신경을 외우고 또 예배시간에 암송하고 세례문답에서 공부하여 신앙이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신앙의 여정을 거치고 나면 하지 말라고 해도 할 수밖에 없는 고백 곧 결론에 관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왜냐하면 어떤 것이든 적절한 시점이 있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잠언에서도 ‘상황에 맞는 말은 은쟁반 위를 구르는 금사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정도로 하나님 앞에서나 또 사람 앞에서 어떤 말은 다 때가 있는 것입니다. 유치원생이 “인생은 원래 힘든거야!”라고 말하면 눈에 띄기는 하겠지만 맞는 말은 아닌 것과 같습니다. 그와 같이 이 사도신경 역시 사도신경을 자신의 신앙 고백으로 내어 놓을 어떤 여정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 없이 그냥 외워서 신앙이 생기는 것처럼 사용하면 그것은 주문은 될 수 있지만 고백은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사도신경은 어떤 고백인지 살펴보아야겠지만 오늘은 사도신경의 강해가 아니므로 핵심적인 것만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니 처음 부분 일부만 가지고 사도신경을 외우는 사람이 사도신경을 주문으로 하용사고 있는지 고백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가이드를 한 번 제시해볼까 합니다.


사도신경은 다 아시는 바와 같이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사오며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내가 믿사오니>라고 시작합니다. 그러면 하나님을 전능하사 처지를 만드신 하나님으로 믿는다면 이 세상을 보는 관점이 어떠해야할까요? 그것은 당연히 이 세상은 참 온전한 곳이라는 것도 함께 믿어야 하는 것입니다. 세상을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는 온전하신데 그분이 만든 세상은 온통 문제라서 하나님께 기도해서 그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신앙을 가지고 있다면 이것은 모순입니다.


오늘 같은 주일이면 교회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예배를 드립니다. 그리고 그 예배 중간에는 대표기도라는 것이 있고 그 기도에는 마치 약속이나 있는 것 같이 공식처럼 나라를 위한 기도를 합니다. 세상을 위해서도. 그런데 그 내용들은 하나 같이 세상이 잘못되어가고 있으니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바로 잡아 달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아주 웃기는 이야깁니다.


하나님께서 전능하시다면 이런 문제가 없도록 세상을 만들었어야 정상입니다. 잘못된 세상을 바로 잡아주실 전능한 능력이 있으신 하나님께서 만드실 때는 왜 이런 문제가 없도록 하지 못했을까요? 이 모순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과연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사오며’라는 고백이 제대로 된 것일까요? 세상이 잘못되었다고 하나님께 바로 잡아 달라고 한다면 적어도 세상을 만드신 하나님은 전능하지 않다는 것인데, 그런 상태에서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는다는 고백이 진정한 고백일수 있을까요?


앞서서 말한 것과 같이 이 사도신경은 신앙고백입니다. 고백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는 것은 그 고백이 있을 수밖에 없는 여정을 거쳐야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전능하신 하나님을 고백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모든 것이 그 전정하시고 온전하심에서 나온 것이라는 것을 체휼했다는 것입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이 만든 세상이 잘못되었다고 아이러니하게 다시 하나님을 찾아가서 ‘당신은 전능하시니 이 잘못된 세상을 바꾸어 달라.’고 기도한다는 것을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을 수밖에 없는 신앙의 여정을 거친 고백이라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전능하다는 것은 완전무결하다는 의미입니다. 굳이 그런 의미를 전능하다는 말에서 찾지 않아도 하나님은 그런 분입니다. 또한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모든 성품을 믿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셨다면 그 세상도 온전하다는 것까지 믿을 때 하나님을 바로 믿는 것입니다. 주일이면, 또 기도할 때면 세상이 잘못되었다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은 하나님의 전능하심과 온전하심에 세상을 맡기는 것 같지만 내용은 ‘당신이 만든 세상이 잘못되었으니 바로 잡으시죠?’라고 겁박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하나님께서 전능하시고 그 전능하신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이 온전한 것은 아담이 타락하기 전 동안의 한시적인 상황이 아닙니다. 오늘도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세상을 다스립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힘이 부족해서 마귀를 물리칠 때를 엿보면서 기다리는 식의 논리도 웃기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십니다. 아담의 타락전이나 지금이나 하나님은 온전하시고 전능하시며 또한 그 전능하심과 온전하심으로 세상을 다스리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사도신경을 자신의 신앙고백으로 삼기에 자신의 신앙이 이단이 아니라 정통신앙이라는 자부심과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세상의 온전함을 인정하든지 아니면 세상은 온전치 못하니 전능하신 하나님(과연 이것을 믿는지 모르지만)께 계속 끊임없이 이 세상을 구원해 달라고 기도하는 모순 속에서 자신은 정통 신앙 안에서 사도신경이라는 훌륭한 신앙고백을 가진 사람이라고 착각하면서 살던지 해야 할 것입니다.


이 글을 시작할 때에 사도신경은 고백적인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사도신경은 말 그대로 신앙고백입니다. 고백이라는 것은 하나의 명제가 아닙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는다는 명제나 믿음이나 신념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전능하신 창조주요 온전함으로 세상을 다스리는 주님으로 믿는 믿음이 있어 그것이 고백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적어도 세상을 볼 때 이 세상은 온전한 것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 있는 신앙의 여정은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다만 세상이 혼란스러운 것은 온전하게 만드신 하나님의 세상을 사람들이 자기의 기준으로 불완전하다며 손대기 시작하고 자신들이 가진 기준으로 고치고 바꾸려하니 생긴 문제일 뿐이라는 것이 자기 안에서 발견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세상의 모든 문제는 세상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세상을 보는 자신의 안목의 문제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는 길고 긴, 그리고 야곱의 여정과 같은 신앙의 여정이 자기 안에 있어서 세상을 바꾸려고 기도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안목을 바꾸고 세상이 어떤 모양으로 경영이 되더라도 억울하지만 십자가를 순순히 지신 예수님과 같이 순종할 수 있는 마음이 갖추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는 고백일 때 이 사도신경이 미완이 아니라 온전하게 완성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Unfinished  Apostles' Creed


There is an 'apostle nerve' in Christian confession. 'I believe in Abner, God Almighty, who made heaven and earth ... Starting with '. And this confession is often a reference point that distinguishes heresy from orthodox faith. If you deny some or all of the apostolic nerves, there is the logic of heresy. Then is this Apostles' Creed complete?


The Apostle 's Nerve is an absolutely perfect cont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and the Gospel of God, which is either false or error - free. The problem is that all the contents of the apostle's nerve, and the content that is so thorough, is the conclusion. In other words, the confession of the Apostleship, which is a confession, is literally a conclusion about the confession of a person who has gone through a certain journey, the conclusion of a journey of faith. Therefore, the apostle's nervous system is to memorize the apostolic nervousness, to recite it in the worship hour, to study in the baptismal dialogue, not to be faith, but to make a confession, a conclusion,


This is an important point. Because there is an appropriate time for anything. In Proverbs, he said, "The right word for the situation is an apology for rolling over silver trays." That is to say, there is a time in front of me and in front of God. Kindergarten students may notice if they say, "Life is hard at first!" Likewise, this apostle's nerve should also have a certain journey to put the apostolic nerve into his confession of faith. If you use it just as you memorize it without faith, it can be a spell, but it can not be confessed.


Then I will have to look at the confession of the Apostleship, but today is not the strength of the Apostleship. No, I would like to give you a guide to gauge whether the person who memorizes the apostolic nervousness with only a part of the first episode is confessing whether or not he /


As the apostle says, "I believe in God our Father who made heaven and earth heaven and earth, and I believe in the only son, our Lord Jesus Christ." Then, if we believe in God as the omnipotent God, how should we view this world? It is, of course, that we must also believe that this world is a perfect place. It is a contradiction if the Heavenly Father who made the world is perfect and he has faith that the world he has made is a problem and that he should pray to God and correct it.


Many people gather and worship in the church this Sunday. There is a representative prayer in the middle of the worship, and the prayer for the country is like a formula like a promise. For the world. But the contents are going wrong together, and the Almighty God wants us to correct it. This is a very funny story.


If God is omnipotent, it is normal that we have made the world free from such problems. Why did not God have the power to correct the wrong world when God created it? If this contradiction can not be resolved, is it true that the confession that "I believe in God Almighty and Heavenly Father made me believe?" If you ask God to correct the world is wrong, at least the God who made the world is not omnipotent, and can the confession of believing in the Almighty God be such a true confession?


As I said earlier, this Apostles' Creed is a profession of faith. It is a confession. That's the way it must go through a journey that has to be confessed. To confess God to Almighty God is to comprehend that everything in God comes from its principled and perfect. It is ironic that the world created by the Almighty God is wrong, and that it is a confession after a journey of faith that can come to believe in the Almighty God that he will go to God again and pray, 'You are omnipotent, It is not.


Almighty means perfect. God is such a person even if we do not find such meaning in the word of almighty. To believe in God is to believe in all the attributes of God. Then, if God made the world, when we believe that the world is also perfect, we believe in God right away. It is only a matter of praying to God that we are praying to God that the world is wrong when we pray on Sundays and when we pray for God's omnipotence and completeness, but the content is nothing more than a cowardice, 'Do you correct it because you made a wrong world?' .


It is not a temporary situation before the fall of Adam that God is almighty and the world created by the Almighty God is complete. Even today Almighty God rules the world. And the logic of waiting for God to lack of strength and repelling the devil is funny. God is the same yesterday, today and forever. God is perfect and omnipotent before Adam's Fall, and now he is ruling the world by His omnipotence and perfection.


Therefore, if the faith of the apostle is to be confessed to his own faith, and if his faith is not a heresy but a pride and belief in orthodox faith, then he must acknowledge the integrity of the world, or the world can not be preached. Almighty God In the contradiction of constantly praying for the saving of this world, he must live in the orthodox faith, mistakenly believing that he has a good confession of faith called the Apostleship.


At the beginning of this article, the apostle was said to be a confession. And the Apostleship is literally a confession of faith. Confession is not a proposition. It is not about the proposition, faith or belief in the Almighty God. It is a belief that God is the Lord who rules the world with the integrity of creation and almighty creation.


If so, then at least in the world there must be a journey of faith to acknowledge that the world is perfect. However, the confusion of the world is that it must be discovered in itself that the world of God made perfect, that people are beginning to understand that they are incomplete on their own standards, and that they are correcting and replacing them with their own standards.


And the journey of faith like the long, long and Jacob's journey that can realize that all the problems of this world are not the problems of the world but the problems of the eyes of the world that see the world, And that the world will be governed in some way, but the mind must be able to obey, just like Jesus, who has been faithful to the cross. And when it is confessed, this apostle's nerve is not complete but can be completed to perfection.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러면 무엇을 하여야 하리이까?  (0) 2017.02.01
예수를 믿는다는 것  (0) 2017.01.25
성탄 인사  (0) 2016.12.24
무엇이 샤머니즘(Shamanism)인가?  (1) 2016.11.13
영성훈련, 신앙훈련  (0) 2016.11.02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