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로마서 8:18-25) 모든 피조물이 바라는 것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6. 12. 29. 18:56 Writer : 김홍덕

세상의 모든 피조물, 존재하는 모든 것은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세계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만든 것들, 작은 소품에서 우주선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이 만든 모든 것 역시 형식입니다. 그리고 그 형식들은 하나의 예외 없이 사람들에 의하여 그 존재의 목적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작은 막대 두 개라고 해도 무방한 젓가락은 밥 먹을 때 사용하기 위하여 만들어졌고, 우주선은 우주여행과 탐사를 위하여 만들어졌습니다.


그렇듯 모든 피조물은 자기 존재의 목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자신을 만든 이가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피조물의 존재 목적은 창조자, 제조자가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모든 피조물이 가진 형식은 창조자의 의가 형식이 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동을 해야겠다는 사람들의 생각이 자동차를 만들었고, 멀리 있는 사람과 대화해야겠다는 사람들의 생각이 전화라는 형식으로 나타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볼 때 모든 피조물이 가진 형식은 창조자의 생각이 형상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먼저 있었던 창조자의 생각은 형식이 없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었는데 그것이 창조자에 의하여 형식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아들’이라는 존재도 이 법과 궤를 같이 합니다. 아버지가 가진 의가 아버지와 동일한 생명 정체성을 가진 형식으로 나타난 존재가 아들이라는 것입니다.


아들이라는 존재의 정체성이 또한 그렇습니다. 아들이란 정체성은 아버지가 가진 유전적인 것과 또 아버지가 후세에게 기대하는 의가 자신과 동일한 생명의 종으로 형상화된 존재입니다. 그렇게 보면 모든 피조물, 존재하는 모든 것이 가진 간절함은 다른 것이 아니라 아들 곧 자신을 조성하신 이의 의를 나타내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결정체가 바로 사람입니다. 세상의 모든 피조물들이 다 하나님의 의를 표현한 것이기는 하지만 세상의 피조물들은 하나님과 같은 생명이 아닙니다. 사람이 핸드폰을 만들었다고 핸드폰과 사람이 같은 정체성을 가진 것이 아닌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와 아들은 아버지가 사람이면 아들도 사람인 것과 같이, 사람에게서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면 그 사람을 아들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사람이 같은 정체성을 가졌다고 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실 때에 말씀하신 ‘우리의 형상’이라는 것이 그것입니다.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을 가졌다는 것입니다. 세상의 자연이 가진 그 위대함은 하나님의 위대함과 풍성함을 표현하지만, 그것을 보고 하나님의 위대함이 아닌 성품을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면 하나님의 위대함이나 능력을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은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실 때에 첫째 날에서부터 여섯째 날까지 계속 창조하시다 마지막에 사람을 만드시고는 안식하셨다고 하셨습니다. 안식하셨다는 것은 쉰다는 것이고 그것은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목적이 다 이루어졌다는 의미입니다. 그것은 다시 말하면 사람이 하나님 창조의 궁극의 목적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만드신 궁극의 목적은 하나님의 능력이 아니라 성품을 표현하시는 것이었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시고 세상의 모든 것을 사람이 다스리게 하셨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세상의 모든 것을 사람들의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신 때가 언제인데 아직도 그 말씀이 이루어지지 않았을까요? 물론 선악과의 타락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해도 예수님께서 오셔서 구원받은 사람들은 회복된 아담이니 만물을 다루어야 할 것이지만 그렇지도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모든 것을 다스리라고 하신 것은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신 목적 아래 있는 것입니다. 세상의 모든 것을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신 목적에 수렴하도록 하라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신 목적의 핵심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사람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 이전에 만드신 모든 것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사람, 곧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는 것에 수렴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세상의 모든 피조물들은 다스린다는 것은 모든 피조물을 존재 목적 아래 두는 것입니다. 사람이 자기 맘대로 세상을 주무르는 것을 말씀하심이 아닙니다. 그것이라면 예수님도 끝까지 기적을 일으키셨어야 하겠지만 그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고백 그것 하나 얻자고 그 모든 기적을 일으키는 능력을 버리신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는 것 그것이 예수님의 모든 기적의 목적이었기 때문입니다.


그와 같이 세상의 모든 피조물들의 존재 목적은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실 때 궁극적으로 두신 목적인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는 것을 위하여 있는 것입니다. 즉 모든 피조물을 다스린다는 것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존재,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아들이 되었을 때 모든 피조물의 존재 목적이 온전하여 지는 것입니다. 그것이 세상의 모든 피조물을 다스리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세상의 모든 피조물이 바라는 것은 사람에게서 하나님의 아들의 모습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모든 피조물이 고대하는 바는 아들들이 나오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모든 피조물의 바라는 바요, 하나님이 만드신 것을 다스리라고 하신 하나님의 말씀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것은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 하나님의 의가 그 육신의 삶으로 표현되는 것, 그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8: 18-25) What all creation wants


Every creature in the world, everything that exists, has a form. Everything that people have made, from small things to spacecraft, is also a form of what people can create in another world. And the forms are given the purpose of their existence by people without exception. Even two small rods are made for use when eating rice, and spaceships are made for space travel and exploration.


As such, all creatures have the purpose of self-existence. And it has its own creator. The purpose of existence of all creatures is that they have creators and manufacturers. In other words, the form that all creatures have is a form of righteousness of the Creator. The idea is that people who think that they have to make a move have built a car, and people who think that they should talk to someone who is far away are in the form of a phone.


In this way, the form of all creatures is that the creator's idea has become shaped. The creator's idea that was in the first place was that it was invisible with no form, and it was formulated by the Creator. The Son, who speaks in the Bible, also shares this law with the law. The righteousness of the Father is that the Son is the Son who appears in the form with the same life identity as the Father.


It is also the identity of the being of a son. The identity of a son is a genetic thing of the father, and the thing that the father expects of the future is the same as the one of life that is the same as his own. In this way, all the creatures, the eagerness of all that is, is not different, but a sign of the Son, who created himself.


The most crystal of them is the person. Though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express God's righteousness, the creatures of the world are not the same life as God. It is as if a person made a cell phone and the cell phone and person do not have the same identity. But the Father and the Son are just as if the Father is the Son, and the Son is the Son.


That God and man have the same identity is what God called 'our image' when He made man. Man has the image of God. The greatness of the nature of the world expresses God's greatness and abundance, but we can not see it and know the nature of God's greatness. But if a person expresses God's righteousness, he does not know God's greatness or power but knows God's character. So man can be the Son of God.


He also created the world from the first day to the sixth day when he created the world. He made man and rested at the end. Having rest is resting, which means that God's purpose was fulfilled. It is, in other words, that man is the ultimate goal of God's creation. God's ultimate goal of making this world was not to be God's power but to express character.


God also made the world and ruled all things in the world. But in fact, people can not do everything in the world at will. When did God make the world, and yet the word was not fulfilled? Of course, there was a fall of good and evil, but even so, Jesus is the resurrected Adam who will come to the rescue.


God told Adam to rule over everything under the purpose God created for the world.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should converge on the purpose God has made of the world. At the heart of God's purpose for the world is the coming of a man made in the image of God. All that you have made before that is to converge on the appearance of a man who resembles God's image, the Son of God.


Therefore, the rule of all creatures in the world is to place all creatures under the object of existence. It is not to say that a person is rubbing the world at his will. If it were, Jesus would have raised miracles to the end, but that's not the confession of the Son of God. Because the coming of the Son of God was the purpose of all the miracles of Jesus.


So, the purpose of all creatures in the world is for the coming of the Son of God, which is ultimately the purpose of God when He created the world. In other words, the rule of all creatures is that when a person becomes a son who resembles the image of God, and is a son expressing God's righteousness, the purpose of existence of all creatures is perfected. That is to rule over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Therefore,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desire the appearance of the Son of God in man. That is what all the creatures that Paul says are expected of sons. That is the hope of all creation, and the word of God that God's rule is to be done. It is that man is the Son of God,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s expressed in the fleshly lif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하나님을 믿는 많은 신앙인들은 ‘고난’이라고 하면 예수를 믿기 때문에 당하게 되는 손해나 어려움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그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앞선 글에서 고난, 바울사도가 아들이면 고난도 함께 받아야 한다고 한 고난은 하나님의 의를 육신으로 표현한 아들은 그 육신이 하나님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어지는 수고를 총칭한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우리가 흔히들 말하는 고난과 영광은 예수 믿기 때문에 받는 불이익과 어려움과 같은 것이 고난이고 장차 우리에게 나타날 영광이란 그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라고 여깁니다. 하지만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영광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의미 있게 봐야 합니다. 일요일에 돈 벌지 않고 교회에 가는 어려움을 감수하면 하나님께서 복을 주셔서 부자로 만든다와 같은 것에 ‘현재의 고난은 장차 나타날 영광과 비교할 수 없다’는 말씀을 쓸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와 같이 육신의 일, 세상의 일로 인한 영광에 관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영광(doxa)’이란 ‘나타난다.’는 말입니다.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는 것이 영광이라는 말씀입니다.


이러한 것을 알고서 로마서 8장 18절을 다시 본다면 이 말씀은 다음과 같은 말씀이 될 것입니다.

사람이 육신으로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므로 나타나는 하나님 아들의 정체성은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육신을 주신 것은 하나님은 가지지 않으신 육신으로 하나님을 그 안에 담아 그 육신으로 하나님을 표현하시기 위함입니다. 그렇게 육신이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해내는 존재가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나타나심, 곧 영광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고난은 우리가 육신으로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수고를 말함이고, 영광은 우리를 통하여 하나님이 표현되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자신의 말씀이 되려면 영광이라는 것에 대하여 개념이 바뀌어야 합니다. 하나님과 같아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상에서 성공해서 트로피 들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고 말하는 그 영광이 아닙니다. 이 영광은 하나님의 나타나심입니다. 아들을 통하여 아버지가 어떤 사람인지 나타나는 것과 같이 사람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게 사랑이 나타난다는 것은 육신으로 수고하는 수고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주신 육신으로 수고하는 것이 고난이란 것입니다.


예수님의 고난이 바로 그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것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고난인데, 그 고난이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나타내시기 위하여 육신을 드리심입니다. 즉 육신으로 수고하고, 육신을 드려 하나님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랬기에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보고서 ‘과연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사람들의 고백이 나온 것입니다. 아들이라고 알아챘다면 아버지가 누군지 알았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를 지시기 전에 영광에 대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기 전에 기도하실 때에 영광을 나타내신다고 하시고 제자들도 영광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내게 주신 영광을 내가 그들에게 주었사오니 이는 우리가 하나가 된 것 같이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이니이다(요 17:22)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영광이 세상의 경쟁에서 이겨서(설사 하나님의 이름으로 이겼다고 해도) 우승하여 트로피를 들고 하나님께 돌리는 영광이 아닙니다. 예수님의 말씀과 같이 예수님께서 나타내신 영광을 예수님과 하나가 된 사람, 바울 사도의 표현으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에게 주셨다고 하심은 예수님과 같은 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예수님께서 육신을 십자가에 드리심으로 하나님을 나타내는 수고, 곧 고난을 받으심으로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셨듯이, 예수님의 십자가를 보고 그것이 자기 정체성이라는 것을 고백한 사람들 역시 예수님과 같이 육신으로 수고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영광이란 그런 것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가 받는 고난이라는 것은 현재 곧 오늘 하루하루를 살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육신으로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는 삶을 살아내는 수고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 수고, 그 고난은 하나님을 나타내는 영광을 얻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수고에 비해 영광은 너무나 커서 비교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울 사도는 그 영광이 왜 큰 것인지를 설명해가고 있습니다. 그 영광은 세상의 모든 피조물이 바라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존재하는 모든 것에 있어 하나님을 표현하는 영광보다 나은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세상을 바꿀 발명이나, 올림픽 우승이나, 또 전 세계 최고의 부자나 권력을 가지는 것과 같은 어떤 것도 하나님을 나타내는 영광과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을 말씀해 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나타내는 것은 모든 피조물의 간절한 바람, 모든 존재의 존재 이유와 의미와 갈망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계속)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8: 18-25) Present suffering and glory to appear


Many believers in God believe that suffering is like loss or hardship because they believe in Jesus. Of course it is natural, but that's not all. The suffering in the preceding article and the Paul's apostle as the son were to be accompanied by the sufferings, and the suffering was a collective of the labor that the flesh uses to express God.


The hardships and glories that we often talk about are the sufferings and difficulties that come from believing in Jesus, and the glory that will come to us in the future will overcome such difficulties and succeed in the world. But the glory of the apostle Paul speaks clearly that the sons of God are manifest.


We must see this word meaningfully. If you take the trouble of going to church without making money on Sunday, you are not going to write the words 'The present sufferings can not be compared with the glory that will appear' in the same way that God blesses you and makes you rich. This is because it is not about the work of the flesh, the glory of the work of the world. The word 'doxa' means 'to appear'. It is the glory that the sons of God appear.


If you know these things and look at Romans 8:18 again, this will be:

The identity of the Son of God, manifested in man's manifestation of God's righteousness in the flesh, is not comparable.

God gave man a body in order to express God in his flesh by putting God into him with the flesh that God did not have. So that the flesh expresses the character of God is the Son of God. It is God's manifestation, glory. Hence, suffering refers to the labor of expressing the character of God in the flesh, and the glory is the expression of God through us.


To be his word, the concept must be changed to be glory. It must be like God. It is not the glory that says to succeed in the world, to give trophy and glory to God. This glory is the manifestation of God. It is through the Son that the love of God is manifested through man, as the Father is revealed. That love is manifested in that there was labor in the flesh. In other words, suffering is the suffering that God gives to the flesh.


That is the suffering of Jesus. The crucifixion of Jesus on the cross is an unbelievable affliction, but the suffering is not the other, but the body is being given to show God. In other words, laboring in the flesh, and giving the flesh to express God. So, when Jesus saw Jesus crucified on the cross, it was a confession of those who were "the Son of God." If you notice that you are a son, you know who your father is.


Jesus also spoke of glory before he showed the cross. He said that when he prayed before Jesus showed the cross, he showed glory and said his disciples would also be glorified.

 I have given them the glory that you gave me, that they may be one as we are one  (John 17:22).


The glory that Jesus spoke of is not the glory of winning in the world's competition (even if he has won in the name of God), winning the trophy and turning to God. As Jesus said, Jesus gave the glory to one who is in unity with Jesus Christ, the one who became one with Jesus, and the person who is in Christ in the expression of Paul. The person with the same identity as Jesus said that Jesus gave the body to the cross, As he showed the character of God in suffering and suffering, he said that those who confessed that he was his identity by seeing the cross of Jesus will also work with the flesh like Jesus and will express God's character is. That is what glory is.


Therefore, the suffering we receive today is to say that we are living a day in which we live a day and live a life that shows the character of God like Jesus in the body God gave us. In such a trouble, the suffering will have the glory to represent God. And it is said that glory is too big compared to the effort and it is incomparable.


And the apostle Paul explains why the glory is great. The glory is that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want it. In other words, there is nothing better than glory that expresses God in all that exists. I'm telling you that nothing like changing the world, winning the Olympics, or having the world's richest people or powers can be compared to the glory of God.


Because, to represent God is the desire of all creatures, the reason, meaning and desire of all beings.

(To be continu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하심을 받고, 성령께서 증거하시는 하나님의 아들은 마냥 호사만 누리는 자리가 아닙니다. 가장 먼저 하나님 아들의 모습을 보이신 예수님의 모습과 같이 그 육신으로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므로, 다시 많은 사람들이 그 모습을 보고서 하나님을 알고 또한 자신 역시 예수님과 같이, 또 자기가 하나님을 알 수 있도록 살아낸 사람의 모습과 같이 살아 내는 사람이 된다는 것입니다.


다시 한 번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생각해 본다면, 하나님께서 인도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은 우리가 가야할 자리를 알고 계신 반면 하나님께 인도함을 받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디로 가야하는지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은 그것을 인정하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을 믿노라하기에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합니다. 그리고 자신들이 그렇게 하나님께 인도하심을 바라기에 자신들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여기에는 생각해 볼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갈 자리를 누가 알고 있느냐의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자신은 갈 자리를 모르나 하나님이 아시니 가겠다는 것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하나님을 위한 것이든, 하나님을 믿는 사람으로서 자기가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든 갈 자리를 자신이 알고 있고 그 가는 길을 하나님께서 도우시고 인도하여 주시기를 바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 둘은 전혀 다른 것입니다. 그 차이를 무시하고 모두가 다 하나님의 아들이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이라고 주장한다고 될 일은 아닙니다. 하나님의 일이니 하나님께서 ‘그렇다’ 하실 수 있는 일의 모양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하나님이 인도하신다는 것의 정의를 분명히 하여야 합니다. 갈 자리를 내가 알고 있고 정하고 그 길을 인도하시는 이를 하나님으로 여긴다면 하나님의 인도함이 간절한 것은 아닙니다. 어디로 갈지 알면 아는 대로 가면 될 뿐이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할지라도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시니라(잠 16:9)

사람이 자기가 갈 길을 정한다고 해도 인도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인도하심의 주권은 하나님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자기가 갈 자리를 정하고 하나님께서 그것을 도와주시기를 바라는 것은 한 마디로 하나님을 타고 가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이용하겠다는 것입니다. ‘내가 당신을 위하여 어디로 가야하니 와서 차비를 내시오’라고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그렇게 알고 있으면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아니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그것이라고 여기는 사람, 자기가 갈 길을 하나님께서 도우시기를 바라는 사람의 속마음은 자기가 가는 길을 수월하게 또 때로는 기적적으로 하나님께서 도우시는 것을 하나님의 도우심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 정도가 아니더라도, 적어도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보다는 행운에 가까운 도우심의 일들이 있기를 바라는 것이 그 마음에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갈 길을 정했으니(그것이 설사 하나님의 이름으로 무엇을 하는 것이라고 해도 자신이 정한 것) 하나님께서 수고하셔도 나를 도와 달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나님께서 자신을 도우는 것을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도우심이라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다른 각도에서 보면 고난도 피하고 수고도 피하여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기를 바란다는 것입니다. 세상 사람들이 볼 때 ‘어떻게 저런 일이 저렇게 수월하게 되지?’라는 궁금증을 가지게 되는 것이 하나님의 도우심이고,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하나님의 도우심을 크게 외친 이들이 있었습니다. 바로 십자가 밑에 있었던 군중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향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그곳에서 내려오라!”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육신을 가진 인생이 할 수 없는 기적과 도우심이 있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인도하심, 기적이 있을 때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입니다.


그와 같이 지금도 사람들이 하나님께 바라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사람의 능력 그 이상의 일을 바랍니다. ‘같은 시간 공부를 해도 믿지 않는 사람보다 더 많이 알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라는 기도와 같은 것입니다. 그런 사소한 기적에서 불치병을 낫게 해달라는 것도 궤를 같이 합니다. 예수 믿는 사람은 건강한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는 갈 자리를 정해놓고 내가 그곳으로 가야하니 하나님께서 인도해 달라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도와달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내가 정한 자리로 가야하니 하나님 당신이 수고 좀 하셔야 갰소이다.’ 라는 것입니다.


그런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바라는 신앙관,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그것이라고 바라고 믿는 사람들의 믿음은 고난을 이기고 멀리하는 것이 하나님의 영광과 뜻과 인도하심이고, 육신으로 수고하는 것이 남다르게 편하면 그것이 하나님의 영광과 뜻과 인도하심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을 것 같지만 대형교회의 목사들에게 좋은 대우를 하는 것도 바로 이 생각에서 난 것이라는 것을 알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바울 사도는 다르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아들, 하나님 아들이라는 후사라면 하나님 아들의 첫 열매이신 예수님과 같이 고난도 함께 받아야 한다고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이 고난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이 고난은 육신으로 수고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자리로 인도하실 때 나의 육신이 그 인도하심을 따라 가는 것에 소비하고 수고하는 것을 순종하겠다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이 하나님이 지시할 땅으로 가는 여정이 얼마나 수고스러웠습니까? 아브라함이 어디로 가겠다고 나선 여정이 아니었습니다. 이삭도 야곱도 마찬가지입니다. 바울 사도의 전도 여행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무엇보다 예수님의 십자가가 그랬습니다. 오죽하면 예수님께서 ‘할 수 있다면 이 잔의 나에게서 물리시옵소서!’기도하셨겠습니까? 하나님께서 인도하시고 정한 자리로 가는 것이라면 육신의 수고는 내가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는 아들의 정체성이고, 그렇기에 그 아들은 고난을 받는 것입니다. 육신이 수고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고난을 받아야 한다고 하면 흔히 생각하는 것이 공산당이 총을 대고 “예수를 부인하면 살려주고 그렇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하는 협박 앞에서 “나는 예수를 믿을 것이다!”고 외치고 죽는 것과 같은 것을 생각합니다. 하지만 고난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보이신 것입니다. 그렇다고 예수님과 같이 십자가에 못 박히라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말씀이 육신이 된 삶이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실 때 가지셨던 목적을 육신으로 표현해내는 삶을 사는 것이 십자가입니다. 육신으로 무엇을 감당하는 것이 바로 수고고 고난입니다. 육신이 하지 않아도, 초인적인 기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것이 하나님의 인도하심이나 도우심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인도하시는 자리로 가기 위하여 이 육신을 수고하는 것이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고, 그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신으로 그것을 보이시느라 수고하시고 고난 받으신 것과 같이 우리도 육신으로 하나님을 표현하는 하나님 아들의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아들로서 후사로서 고난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도우심과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일을 육신의 능력을 벗어나는 일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으로 알면 안 됩니다. 더욱이 자기가 갈 자리를 정하고 그곳에 가는 여정을 하나님께서 시적으로 도우시기를 바라는 것을 하나님께 의지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아들들은 고난을 피하게 된다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라 여기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의 인도하심도, 하나님 아들의 삶도 아닙니다. 그냥 자기 하나님을 믿는 것이고, 자기의 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님을 이용하는 것일 뿐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8: 12-17) The sufferings must be received together.



The Son of God, who is led by the Son of God, the Spirit of God, and the Holy Spirit witnesses, is not the only place for enjoyment. Many people look at it again, knowing God, and knowing that they are like Jesus and knowing God, because they express the character of God in the flesh, It is to be a person who lives like a person who is born.


Once again, if you think about God's guidance, God leads you. God knows where we should go, but those who are led by God do not know where they should go. Therefore, the Son of God is the one who acknowledges it.


Many people seek God's guidance because they believe in God. And because they want to be led to God, they think they are the Son of God, but here is something to think about. It is the question of who knows where to go, as I said before. If you know where you are going, you may know that God is going to go, and on the contrary, whether you believe in God or what you think you should do as a person who believes in God, I hope you will help and guide me.


The two are completely different. It is not a matter of ignoring the difference and claiming that everyone is the Son of God and God's leading. It is God's work, and it should be the shape of what God can do. Above all, we must clarify the definition of God leading us. If I take God as the one who knows the place I am going to set, and guides the way, God's guidance is not sincere. If you know where to go, you just go as you know.


The Bible says:

Though a man plans his way in his heart, the LORD is the one who guides his steps (Pro 16: 9).

If a man chooses the way to go, he is the one who leads. In other words, the sovereignty of guiding is to God. But the fact is that people will decide where they will go and hope that God will help them. I will use God. 'I have to go to you for you, so come and give me your money'.


There is one problem if you know God's guidance. No, the person who thinks that God's guidance is what it is, and the inner heart of the person who wants God to help the way to go, thinks that God's help is easy and sometimes miraculously helping the way that he is going. Even if it is not so, it is in his heart to hope that there will be at least some lucky helpings rather than those who do not believe in God.


I have set my way (even if it is what I do in the name of God), that God is willing to help me. It is because God considers helping Himself as God's guidance and help. If you look at it from a different angle, you are hoping to escape the hardships and escape the labors to show the glory of God. It is God's help and the glory of God that we see when we see the world that people are asking, "How can things become so easy?"


There were those who greatly cried out to God's help. It was the crowd that was right under the cross. They said to Jesus, who was crucified: "If you are the Son of God, come down from there!" God's guidance is that miracles and help that life can not have. And when it is such a miracle, it is the Son of God.


Likewise, God's guidance for people still wants God to do more than man's ability. It is like praying that you can learn more than you do not believe even if you study the same time. In such a small miracle, it is also necessary to treat the incurable disease. He who believes in Jesus has set a place for health to be glorious in God, and I have to go there, that God will lead me. God is asking for help. It is to say, 'I have to go to the place I have set, and I need you to do some work.'


The faith of those who believe in God's guidance, the faith of those who believe that it is God's guidance, are the glory, the will and the guidance of God to overcome and distress the sufferings; It is to think that it is guidance and guidance. I do not think so, but it would be understandable to know that it is this idea to have a good treatment for ministers of large churches.


But the Apostle Paul speaks differently. If the heir of the Son of God, the Son of God, is saying that we should receive the same affliction as Jesus, the firstfruits of the Son of God. This suffering is no different. This suffering is the work of the flesh to speak of the glory of God. When I lead to God's appointed position, my flesh will consume what I will follow in his guidance and obey what I do.


How hard was Abraham's journey to the land that God would direct? Abraham was not on his way to where he was going. Neither Isaac nor Jacob. The same was true of Paul's apostleship. Above all, it was Jesus' cross. If not, would Jesus pray, 'If this is possible, defeat this cup from me!' If God is to lead and go to a fixed position, I will do the work of the flesh. That is the identity of the Son who is guided by God, and therefore the Son is suffering. It is the work of the body to show the glory of God.


When people say that they should suffer, what they often think is that the Communist Party shouted, "I will believe in Jesus" and threaten to die in front of the threat that "if you deny Jesus you will live or you will kill." But suffering is not another. Jesus was seen on the cross. It does not mean that you are crucified like Jesus.


The cross of Jesus is that the life in which the Word became flesh is the Son of God. It is the cross that lives the glory of God, the life that God expresses in the flesh the purpose which He had when He made man. It is the suffering and the suffering to bear what is in the flesh. It is not God 's guidance or help to show the glory of God in a superhuman miracle without the physical body, but the Son of God to labor this body to go to the place where God leads, That we should live the life of the Son of God, who expresses God in the flesh, just as he has suffered and suffered to show it. That is to participate in suffering as a son as a son.


Therefore, you should not know that God's help and glory to God is what you want to happen that is beyond the power of the flesh. Furthermore, you should not think that God is dependent on God for his position to go and for his journey to go there. It is the glory of God that the sons of God avoid suffering. But it is neither the guidance of God nor the life of the Son of God. It is just to believe in God and to use God to express His righteousnes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