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로마서 1-8장) 로마서 전반부 정리 Ⅱ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7. 16:30 Writer : 김홍덕

이어서 바울 사도는 사람의 행위는 하나님 앞에서 사람을 의롭게 하지 못하며,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한다는 것을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율법을 행하는 이 육신과 죄에 대하여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한다.’는 말씀과 ‘죄 많은 곳에 은혜가 많다.’는 말씀도 하십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이야기를 합니다. 마음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좇는 자신을 한탄합니다.


하지만 바울 사도는 그런 자신의 한탄스런 모습 그것이 바로 예수 안에 있는 것이라는 것을 고백하고 그로 인하여 이제 더 이상 자신은 정죄를 받을 것이 없는 존재라는 것을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이러한 바울 사도의 전개는 그 시작이 율법을 지켜야 온전한 신앙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은 그런 행함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러한 모든 말씀들의 뿌리를 찾아가면 결국 그것은 이 육신을 가진 삶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 출발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사람들이 율법을 지키려고 하는 이유는 다른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 앞에서 의롭지 않다고 여기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사람이 물건을 하나 사도 그 자체로 만족하면 달리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은 성경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창세기에서 하나님께서 만든 사람이 타락을 하고서 육신을 보니 부끄러워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아담은 그 부끄러움을 감추려고 무화과로 가리고 또 하나님을 얼굴을 피하여 숨었다고 했습니다. 하나님을 피했다는 것은 그 몸으로는 하나님 앞에 나설 수 없다고 여겼다는 것이고, 무화과로 몸을 가렸다는 것은 율법으로 육신의 부끄러움을 감추려 했다는 것입니다.(무화과는 율법의 나라 이스라엘의 나라 나무입니다.)


성경에서 때로 율법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율법 자체의 문제가 아닙니다. 율법도 하나님께서 주신 것인데 문제가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다만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것은 율법을 행위로 지키라고 주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된 사람의 삶이 보이는 행동 양식이 어떤지를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된 사람은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을 섬길 이유도 없고, 하나님께서 가지신 살아 있는 것과 죽은 것의 기준으로 볼 때 살인 하지 않으며, 그 마음에 자기 존재의 목적 이외에 자기 삶을 살지 않으니 자기 짝이 아닌 것과 간음하지도 않으며, 자기 삶에 만족이 있으니 도적질 하지 않는 것이며, 하나님이 사람 만드신 목적을 다른 사람이 알도록 살아내는 삶을 사느라 수고하고 종 되었기에 다른 사람을 향해 자기 의를 주장하는 화를 내지 않는 것임을 보이신 것이 율법입니다.


그러므로 율법은 지켜내는 것이 아니라 지켜지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 있어 그것이 자기 생명의 본성이 되면 그 본성대로 살게 되는데 그 살아가는 모양과 습성이 율법에 정한 것과 다를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 안에 있는 사람을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다고 하신 것입니다. 생명이 그 본성이 바뀌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생명의 본성을 가지고 살아가다 보면 마음에 있는 생명의 성령의 법은 늘 하나님의 의를 좇아 사는데, 그렇게 살다보면 육신은 어느새 죄인이 되더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울 사도에게도 힘든 일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 자신을 누가 구할 수 있을까 봤는데, 정작 예수 그리스도가 바로 그런 모습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다고 한 것입니다. 자신의 모습이나 예수님의 모습이나 같더라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자신과 예수님이 같아서 자신이 예수 안에 있다고 한 것은 예수님과 피가 섞여서나 아니면 도플갱어처럼 자신과 닮은 사람이어서가 아닙니다.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전하고 보이신 하나님의 의와 뜻이 바로 자기가 처한 운명과 같더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예수님께서 그 하나님의 말씀을 육신으로 전하고 표현했더니 세상의 법이 예수님을 죄인으로 심판하여 십자가에 못 박더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 모습이나, 자기 안에 하나님의 의가 있어서 그것을 표현하고 살았더니 육신이 죄 가운데 처하게 되는 자신이나 같은 운명이더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알고 보니 그것이 육신을 가진 모든 인생이 가진 존재의 정체성이더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그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이고, 사람이 그렇게 하나님을 표현하고 보니 그것은 하나님의 성품인 사랑이 표현되는 것이더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스스로 가진 기준으로 연약하고 부정하게 여긴 그 육신이 바로 하나님의 사랑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존재라는 것입니다. 세상은 그런 사람의 모습은 부정해서 그 상태로는 하나님의 의에 이를 수 없기에 자신을 단련해서 하나님께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율법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도 그렇게 행동으로 율법을 지키는 것이 있는 것이 더 좋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보시는 것과는 다른 안목입니다. 안목이 다르다는 것은 가치관과 무엇보다 생명의 정체성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이 육신은 세상의 기준으로는 연약합니다. 그래서 그 연약함을 인정하면 세상에서 죄인이 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의를 자기 삶의 본질로 삼고 그리스도와 같은 생명을 가진다는 것은 이 연약한 육신 가진 삶이 바로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삶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할 수밖에 없는 생명의 본성이 사람 안에 있으면 그 본성은 하나님을 섬기고 육신은 세상에서 죄인이 되는 삶을 살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보니 자신의 삶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는 바울 사도와 같지 않다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 안에서 끊어지지 않는 것은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생명의 본성으로 거듭나게 되면 그 생명의 본성이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사람을 개나 고양이로 바꿀 수 없는 것과 같이 다른 생명이 될 수 없는 것입니다. 그것이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런 사람이 되는 것, 그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인 것입니다. 그것이 구원이고, 그것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며, 그것이 세상의 모든 피조물의 존재 목적이고 간절한 바람이며, 사람이 그런 존재가 되기를 바라고 도우시는 분이 바로 성령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예수님을 믿고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은 예수님께서 보이신 삶의 모습, 하나님의 말씀(계획과 뜻)이 육신이 되어 하나님의 생명대로 살았더니 세상의 가치로 죄인이 되어 십자가를 지신 그 모습이 바로 자신의 정체성이고 운명이라는 것을 깨달음으로 자신도 그런 사람으로 거듭나서 살게 되는 것을 말씀하심입니다.


그것은 모든 피조물의 간절한 바람이며, 하나님의 계획이며 뜻이며 의이며, 하나님의 아들이 이 땅에 오셔서 보이신 것이며, 성령께서 도우시며 간절히 바라시는 일입니다. 그것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며, 그것은 세상에서는 죄인이 되는 삶이나, 그 연약함이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것은 율법을 몸으로 지켜내는 것이 아니라 거듭난 생명의 본성대로 살고 보니 율법과 같은 것임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예수 안에 거하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의 성도들에게 이것을 신령한 은사로 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오늘 우리가 이것을 읽고 묵상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로마서 1-8장까지 전반부에 대한 대체적인 요약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8) The first half of Romans 



Then the apostle Paul tells us that man's works do not justify men before God, and that the law makes them aware of sin. And he speaks of this flesh and sin that are doing the law. He also says, 'The law makes sin understand,' and 'There are many graces in sinful places.' And then he tells his story. We lament ourselves to follow the law of God in the heart, and the law of sin in the flesh.


However, the apostle Paul confesses that his lamentation is in Jesus, and thanks to him that he is no longer condemned. The development of this Apostle Paul is to say that beginning with God is not due to doing things before God in respect of claiming that the law must be kept in full faith.


When I find the roots of all these words, I have finally said that it starts from how to live a life with this flesh. The reason people try to keep the law is not in others, but because they do not think that they are not righteous before God. It is natural. If a person satisfies himself by buying one, it is like not upgrading otherwise.


This is also the beginning of the Bible. In the book of Genesis it was said that God made man fallen and was ashamed to see the body. So Adam shrouded in figs to hide his shame and hid God from his face. The fact that he had avoided God meant that he could not go before God in his body, and that he had concealed himself with figs, tried to hide the shame of the flesh with the law (fig tree is the tree of the kingdom of Israel).


It is not the law itself that sometimes the law has a negative meaning in the Bible. The law is given by God, and there is no problem. However, God gave the law not to keep the law as an act, but to show how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life style of life.


The righteousness of God is not life to serve other gods other than God, and does not murder by the standard of living and dead that God has, and does not live his own life in his heart other than the purpose of self existence. God does not steal, because he is a servant of living a life that enables others to know that he is the one who made the purpose of man. It is the law that has shown it to be.


Therefore, the law is not guarded, but guarded. Whe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man and it is the nature of his life, he will live according to his nature, and the way in which he lives can not be different from the law. That is why you can not break the person who is in Jesus from the love of God. It is because life does not change its nature.


However, if you live with the nature of life, the law of the Spirit of life in your heart always lives according to the righteousness of God. If you live like that, the flesh will soon become a sinner. It was a hard work for Paul. So I saw who could save such a thing, but Jesus Christ was just that. That is why we are in Christ Jesus. It is the same as the appearance of oneself or Jesus.


It is not because the apostle Paul is like Jesus himself, and that he is in Jesus, because he is a person who resembles himself, like a doppelganger, or a blend of Jesus and blood. It is the righteousness and will of God that Jesus came and preached to this earth, and it is like the destiny of his own life. Jesus, the Word of God, became the flesh and proclaimed and expressed the Word of God in the flesh, and the law of the world judged Jesus as a sinner and crucified him.


Jesus was crucified, and God had righteousness in him, and he lived and expressed it, and the flesh was the same destiny as his own being in sin. And it turns out that it is the identity of the existence of all the flesh that has the flesh. And furthermore, it is God's purpose for man's creation, so that man manifests God so that it expresses God's character, love.


It is that the flesh, which is weak and unclean in its own standards, is suitable for expressing God's love. The world claims to deny the appearance of such a person so that he can not reach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s state, so he must train himself and come to God. So I insist that I keep the law. It is better for belief in Jesus Christ to act in such a way to keep the law. However, it is a different view from God's view of man.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 is that the identity of life is different from that of value.


This body we have is weak in the standards of the world. So if you acknowledge its weakness, you become a sinner in the world. However, having the righteousness of God as the essence of one's life and having the same life as Christ is the life with this fragile body is God's righteous life. If the nature of life is in a person who can express God's righteousness, then the nature will serve God, and the body will have to live a life of being a sinner in the world. Paul's apostle said that his life is so. If it is not the same as Paul, it can not be said to be in Jesus Christ.


It is because we are life that we are not cut off in Jesus. If we are born again with the nature of life like Jesus Christ, the nature of the life will have the identity of Christ, which can not be another life, as it can not turn a person into a dog or a cat. It is because it is life. That is to be such a person, that is, God's purpose for man. It is the salvation, that it is in Jesus Christ, that it is the purpose of all creatures of the world, it is a breeze, and it is the Holy Spirit that helps man to be such a being.


Therefore, when we believe in Jesus and become the Son of God, the image of Jesus' life, the Word of God (plan and will), became flesh and lived according to the life of God. By realizing that it is his own identity and destiny, he says that he will be born again as such.


It is the eager wind of all creatures, the plan of God, the will and the righteousness, the Son of God coming to this earth, and the Holy Spirit is helping and eagerly desiring. It is in Jesus Christ, that it is a life of sinners in the world, or that the weakness represents God's love, and that it does not protect the law by the body, but that by living the nature of the regenerated life it is like the law .


This is what dwells in Jesus. The apostle Paul communicates this to the saints of Rome as spiritual gifts. And this is also the word that we say to us today. So today we read and meditate on this. This is a general summary of the first half of Romans 1-8.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8장) 로마서 전반부 정리Ⅰ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7. 06:22 Writer : 김홍덕

지금까지 로마서 8장까지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잠깐 1장에서 8장까지를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의도된 것인지, 저만의 느낌인지 모르겠지만 로마서는 8장까지와 9장부터는 적어도 잠깐 쉬긴 한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전반부라고 할 수 있는 8장까지의 내용은 의미가 크기 때문에 잠깐 정리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로마서는 바울 사도가 로마에 있는 성도들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로마에 있는 교회는 바울 사도가 설립한 교회가 아닙니다. 그러나 바울 사도는 로마에 있는 교회를 보기 위한 간절함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주로 이방인들이 많은 로마에 있는 성도들이 다른 교회들과 마찬가지로 먼저 예수님을 영접한 유대인들로부터 할례와 율법 준수와 같은 것을 요구받는 상황에서 신령한 은사 곧 복음을 바로 전하기 위하여 쓴 편지입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서를 통해서 복음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라는 것임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모든 사람이라는 것은 혈통은 물론이고, 행위와 능력과 소유에 무관하다는 것을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이런 시작은 8장에 와서 모든 피조물의 고대하는 바가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는 것이라는 말씀으로 확증됩니다. 모은 인생 더 나아가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의 모든 피조물은 지으신 하나님의 의와 성품을 표현하기 위한 존재이기에 복음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임을 전하겠다는 그의 의도를 확증합니다.


그리고서 바울 사도는 먼저 복음의 본질에 대하여 말씀을 합니다. 복음의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말씀하시고 그것을 전하는 것에 대한 빚을 진 자로서 바울 사도의 마음을 고백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바울 사도의 고백, 하나님을 나타내고 전하는 것이 사람으로서 자기가 가진 존재의 목적이라는 것을 아우르면서 그것이 예수님께서 보여주신 인생의 정체성이며, 그 정체성을 가진 자라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임을 말씀합니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 하나님을 믿는, 그래서 하나님의 아들인 사람이란 어떤 사람인지를 말씀하시면서부터 율법과 할례와 같은 것은 복음 곧 하나님의 의와 목적이 생명이 된 사람들이 표현해낸 것이지 그것이 있어야 복음을 아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바울 사도는 그 당시 로마 교회에 있었던 요구들, 하나님을 믿으려면,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려면 율법을 지키고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일축합니다. 의인 곧 하나님의 의를 삶의 본질로 알고 사는 사람들은 행위로 말미암음이 아니라 먼저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 있어서 그 의가  생명의 본성과 같이 삶으로 표현되는 행위의 모양이 율법이라는 것, 그리고 할례를 받은 아브라함보다 하나님의 약속이 먼저 있었다는 것을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율법이라는 것을 아주 분명하게 합니다. 행위 규범인 율법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하게 합니다. 하나님과 사람은 사람이 어떤 행위를 보이므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셨기에 그 만드신 목적 안에서 분명한 관계가 형성되면 그 관계에 맞는, 관계로 인한 행위가 나타나는데 그것을 정리하면 율법이 된다는 것을 말씀하십니다.


따라서 율법을 몸으로 지켜내고 할례를 받아야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주장은 합당하지 않다는 것을 아주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 우리가 로마서를 읽고 묵상하는 이유이기도 한 것입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성경을 읽어야, 기도를 많이 해야, 교회에 봉사를 많이 해야, 선한 말을 많이 하고 경건한 행동을 해야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고 여깁니다. 하지만 그런 모든 일련의 행동들은 하나님이 기뻐하실 의가 심령에 생명으로 자리한 사람이 보이는 삶의 모습인 것이지, 그런 행동을 할 때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오늘 우리가 로마서를 읽고 묵상하도록 하신 하나님의 경영입니다. 그러므로 이 로마서를 신학적인 노른자 취급하는 것은 그저 성경을 밥벌이로 여기는 사람들의 술수일 뿐 로마서의 또 성경의 의도하심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을 성경 문장의 의도는 학문적인 것이나 머리로 얼마나 이해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성경을 대하는 본질적인 태도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바울 사도는 그렇다고 율법이라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 율법은 복음에 반하는 것도 아니고, 율법이 온전치 못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합니다. 그것은 오늘 날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경우 율법은 어딘가 모르게 부정적인 의미로 쓰입니다. 복음의 대립각으로서 율법이 인식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율법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율법이 행위 규범이기에 행위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율법을 지키면, 성경을 문장 그대로 행위로 지켜내면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시고 기뻐하신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신앙의 본질로 여기는 것을 경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경우, 그렇게 율법을 지켜서, 성경을 행위로 지켜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진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율법주의자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 당시의 유대인들과 같이.


이는 예수님께서도 이 땅에 오셔서 “율법을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 완성하러 왔노라.”고 하신 것에도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이 오셔서 율법을 지키려는 바리새인과 유대인들을 늘 책망하셨기 때문에 예수님은 율법을 반대하고 폐하러 오신 것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안식일의 주인이라고 말씀하신 말씀과 같이 예수님의 정체성이 율법의 본질입니다.


이는 예수님은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었다는 것은 하나님의 계획이 육신을 가진 삶으로 나타났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은 율법과 행위의 관계와도 같습니다. 율법이라는 것이 보기에는 행위 규범과 같아서 그 규범을 몸으로 지켜내면 되는 것이 율법의 목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본질은 그것이 아니라 율법을 주신 하나님의 의도하심이 사람 안에 생명이 되면 그 생명이 가진 본성이 행위로 나타나고 보니 율법이 정한 모양과 같다는 것입니다.


(계속)




(Translation By Google)(Romans 1-8) 




The first half of Romans Ⅰ


We have seen Romans 8 until now. And here I want to summarize chapters 1 through 8 for a moment. I do not know if it's intended or what I feel, but it is because I feel like I have at least a short break from the 8th and 9th chapters, but the first 8 chapters are meaningful, Seems to.


Romans is a letter from the apostle Paul to the saints in Rome. The church in Rome is not a church founded by the Apostle Paul. However, the apostle Paul had a desire to see the church in Rome. And it is a letter that the saints in Rome, who are mostly Gentiles, like the other churches, firstly convey the spiritual gift, the gospel, in the situation where they are first asked by the Jews who accepted Jesus, such as circumcision and observance of the law.


The apostle Paul tells us through the Romans that the gospel is for everyone. Everyone here tells us that it is irrelevant to conduct, power, and possessions, as well as pedigree. And this beginning is confirmed in verse 8 that the antiquity of all creation is the manifestation of the Son of God. It confirms his intention to say that the gospel is for all people, because all the creatures of the world that God created are expressions of the righteousness and character of God who made them.


Then the apostle Paul speaks first about the nature of the gospel. The nature of the gospel is Jesus Christ, and he confesses the heart of the Apostle as an ode to the preaching of it. And that Paul's confession, the manifestation of God, and the manifestation of God are the objects of his being as a person, and it is the identity of life that Jesus showed, and that he is the one who has that identity in 'Jesus Christ.'


And from the time that you are in Jesus Christ, who is the Son of God, who is the Son of God, such things as the law and circumcision are expressed by those who are the gospel, the righteousness and purpose of God, I do not know.


The apostle Paul dismisses the demands of those who claim to be in the Roman Church at that time, that they should obey the law and be circumcised in order to believe in God, to believe in Jesus Christ. Those who know the righteousness of God as the essence of life are not by the act but by the fact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man,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law, He tells us that God's promise was ahead of Abraham.


And it is very clear that it is a law. It is clear that the law, which is the code of conduct, does not bring about God before God. God and man are not made to be before God because of man's actions, but when a clear relationship is formed in God's purpose for which he made man, It is said.


Therefore, it is very clear that the claim of keeping the law with the body and being circumcised can be the Son of God. And that is why today we read and meditate on the Romans. Many people still read the Bible, have to pray a lot, have a lot of service in the church, think that God is pleased to do a lot of good words and to act godly. But all of such a series of behaviors is a manifestation of life in which the person who lives in the heart of God is delighted to be pleased, not that God is pleased in doing so.


This is God's administration today that we read and meditate on the Romans. Therefore, treating this Romance as a theological yellow is not only a trick of those who consider the Bible to be a Bob, but that it is neither the Romans nor the Bible's intent. So, God is not a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intent of the Bible in academic terms or in the head, but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people or not. This is also an intrinsic attitude toward the Bible.


And the apostle Paul makes it clear that the law is not wrong. It is clear that the law is not against the gospel, nor is the law perfect. It is the same today. In many cases the law is used somewhat negatively. The law is also perceived as the gospel's ambivalence.


But if those who believe that the law is not wrong, but who believe that the law is justified by action and are justified in the act by God, keep the Bible as a sentence and act if God keeps the law and thinks that God is righteous and pleased, It is to be alert. And in that case, you can say that those who hold the law and keep the Bible as an act and have the right to be prosperous before God are legalists. Like the Jews of Jesus' day.


It is also possible that Jesus came to this earth and said, "I came not to come to abolish the law, but to do it." Because Jesus always came and rebuked the Pharisee and the Jews who came to keep the law, Jesus is considered to have come against the law and abolished. However, just as Jesus said that he is the Lord of the Sabbath, Jesus' identity is the essence of the law.


This is because Jesus is the body of God's Word. The fact that God's Word became a body means that God's plan appeared to be a life of flesh. Th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action. The law is like the code of conduct, and it is the purpose of the law to preserve the norm by the body, but the essence is not that. But if God's purpose in giving the law is life in man, It is like the appearance of the law.


(continu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많은 신앙인들은 예수님을 믿는다면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어지지 않는다고 믿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절대로 예수 믿는 사람들을 버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것에는 분명히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절대로’, ‘반드시’와 같은 말씀들은 의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그것은 하나님이나 예수님의 의지에 관한 말씀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물론 하나님과 예수님은 우리와 달리 그 의지하고 의도하심이 작심삼일이 되는 일은 없겠지만 성경에서는 하나님께서도 이런 저런 이유로 그 마음을 바꾸시는 장면에 많이 나옵니다. 또 그렇게 본다면 하나님도 마음이 바뀌시는 분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성경에 나오는 ‘절대로’, ‘반드시’와 같은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생명의 본성과 생명의 정체성에 관한 것입니다.


생명이란 일단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나면 변함이 없습니다. 개로 나서 고양이가 된다거나 하는 일이 없다는 것입니다. 간혹 살면서 그 성(sex)을 바꾸는 생명체들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다른 생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는 것은 생명은 그 본성이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고양이를 배에 태워 바다 한 가운데 간다고 고등어가 되지 않으며, 개를 가르쳐 ‘야용’ 이라며 울게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생명의 본성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일컬어 “생명의 주님”, “생명의 아버지”라고 말씀합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바로 생명이라는 단어의 정의를 가지고 계신, 그 단어의 의미 속에 있는 모든 품성을 만든 분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변치 않는다고 하시는 것입니다. 우리가 먹는 생명의 열매인 사과는 어제도 사과였고, 100년 전에도, 1,000년 전에도 사과였듯, 생명의 주제이신 하나님은 변하지 않으신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영원하심에 대하여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보통 성경의 모든 말씀을 사람들은 그냥 <생명의 말씀>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사실입니다. 성경은 실로 생명의 말씀입니다. 성경이 생명의 말씀인 것은 성경이 사람을 살게 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성경이 가진 법이 생명의 법이기 때문입니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것은 다 생명의 법과 같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의 핵심적인 말씀은 다 생명과 관련된 단어입니다. 거듭남이 그렇고 죄와 사망이 그러하며 부활이 그렇고 열매가 그렇습니다. 어느 것 하나 예외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이 말씀하시는 ‘절대로’, ‘반드시’와 같은 말씀들도 생명에 관련된 말씀입니다. 즉 생명의 본성은 반드시 나타나고 변하지 않는 것과 같이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약속, 하나님의 의와 법 안에 있는 생명은 반드시 성경대로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하기에 이 블로그에서는 ‘성경은 지키는 것이 아니라 지킬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씀을 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개는 반드시 ‘야옹’이 아니라 ‘멍멍’이라는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앞서 로마서 8장 시작에서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 결코 정죄함이 없다.’고 말씀하신 것이나 지금 8장 후반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 안에서 끊을 것이 없다는 것도 그것입니다. 예수 안에 있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거듭난 사람입니다. 거듭 났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생명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라는 생명 정체성이 자기 생명의 정체성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과로 치면 사과의 유전자를 가진 열매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과의 유전자를 가진 열매가 복숭아가 될 수 없듯이,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거듭난 사람은 그 생명의 정체성이 예수님과 같습니다. 그리스도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습니까? 그것이 변할 수 있습니까? 그럴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 바울 사도의 이 말씀은 대단히 비장한 말씀인 것 같지만 사실 너무나 당연한 말씀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과 같이 그리스도로 거듭났다면 죽일 수는 있어도 그 생명의 정체성을 변하게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을 죽인다고 그 성이 ‘김’씨가 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신앙생활을 하면서 ‘혹시 하나님께서 나를 버리시면 어쩌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면 부질없는 것입니다. 우선은 그 걱정으로 상황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핵심적인 것은 그리스도로 났다면 자신도 어쩔 수 없이 그리스도로 살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아침마다 또 신년이라서 새로 맞이한 한 해를 그리스도를 닮는 삶을 살기 위행 노력하려 마음을 먹었다면 미안하지만 그리스도와 무관한 사람이라고 보면 됩니다. 사람으로 난 사람이 사람이 되려고 마음 먹는 일이 없고, 또 자신이 사람이 아닐까 염려하는 일이 없으니 말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8: 31-39) Can not be broken in the love of God

Many believers believe that if they believe in Jesus, they will not be cut off from God's love. I think Jesus will never forsake those who believe in Jesus. But there is something to be sure about this. The words "absolutely" and "necessarily" that the Bible says are not about will. So it is not about God or the will of Jesus.


Of course, God and Jesus, unlike ours, will not be the third day of their dependence and intention, but in the Bible many appear in the scene where God changes his mind for some reason or another. If you look at it again, you might say that God is also the one who changes his mind. What does it mean to be "absolutely" or "necessarily" in the Bible? It is not about anything but about the nature of life and the identity of life.


Life does not change once you have an identity. I do not have to be a dog and become a cat. Sometimes there are creatures that live and change their sex, but that does not mean another life. That is to say, life does not change its nature at all. It means that you do not become a mackerel when you ride a cat in the middle of the sea, and you can not teach a dog to cry, "Meow." This is the nature of life.


The Bible calls God the "Lord of life" and "Father of life." It is that God created all the personalities in the meaning of the word that have the definition of the word life. That is why God does not change. The grape, the fruit of life we ​​eat, is yesterday's grape, and God, the subject of life, does not change, as it was in grapes 100 years ago and 1,000 years ago. It is about God's eternity.


Usually, every word of the Bible is called the Word of Life. It is true. The Bible is indeed the Word of life. The Bible is the word of life, because it is the law of life, even though the Bible makes people live. All that the Bible says is like the law of life. So the key words of the Bible are all life related words. It is the birth, the sin, the death, the resurrection, and the fruit. There is no one exception.


Therefore, words such as 'absolutely' or 'necessarily' that the Bible says are life related words. In other words, the nature of life does not necessarily appear and change, but the promise of God in the Bible,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the life in the law must be according to Scripture. So, on this blog, we are saying that 'the Bible is not something to keep but to keep'. A dog is not necessarily a meow, but a dog.


This is what Jesus said in Romans 8, "There is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Jesus," but there is nothing to be broken in the love of Jesus Christ now in the second half of verse 8. Being in Jesus is the person born again to the life of Christ. Being born again has the same life as Jesus Christ. In other words, the life identity of Christ is the identity of life itself. This means that the apples have become the fruit with the genes of the apples.


Therefore, just as the fruit with the gene of apology can not become a peach, the person who is reborn as the life of Christ has the identity of life as Jesus. It is Christ. How about that? Can it change? It is not possible. So this apostle's word seems to be a tremendously spoken word, but in fact it can be said that it is so natural. If you are born again as Christ, as Jesus, you can kill, but you can not change the identity of that life. It is like killing a person with a 'Lee' surname and not being a 'Kim'.


Therefore, if you are living your faith and are worried about what God would have forsaken me? First of all, it does not change the situation.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if you are a Christ, you will inevitably live as Christ. So if you are new to the morning and are willing to try to live a life that resembles Christ for a new year, I am sorry but I do not think it is Christ. I do not have to worry that someone who is a person is not going to be a person, or that he or she is a person.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