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기독교 신앙 안에는 적지 않은 모순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 블로그에서 한 번 이야기한 것과 같이 삼겹살과 안식일과 십일조에 대하여 각각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지만, 정작 왜 그것들을 다른 기준을 적용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어떤 성경 말씀은 문자 그대로 지키고, 어떤 것은 시대에 맞추어 지키고, 어떤 것은 의미만 따르고 있는데 무엇을 기준으로 그렇게 나누는지 신학자나 목사들은 말을 하지 못합니다. 사실 그것은 기득권의 이익과 관련되었다는 간단한 이유지만 그것을 어떻게 성경적으로 그럴싸하게 포장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제별 성경 보기/율법과 복음] - 1. 삼겹살, 안식일, 십일조


하지만 정작 기독교 신앙이 가장 큰 모순은 그리스도의 정체성에 관한 것입니다. 모두가 그리스도를 닮아가고 제자가 되어야 하며 또 하나님의 아들이 되어야 한다면서 교회에 다니지만 정작 누군가가 ‘내가 그리스도의 성품을 가진 사람’이라고 말하면 아연질색을 합니다. 그 이유는 ‘사람이 어떻게 그리스도가 될 수 있느냐?’는 언뜻 고상해 보이는 논리 때문인데, 그러면 도무지 왜 예수를 믿는 것일까요? 그리스도가 될 것이 아니라면. 사람이 그리스도가 될 수 없다는데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믿는 이유가 도무지 뭘까요? 이것이 바로 <어이없는 한계>입니다.


바울 사도는 유대인들을 보고 열심은 있는데 지식이 없다고 했습니다. 무엇을 왜 열심히 하는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정작 알아야 할 것은 모른다는 것입니다. 율법을 열심히 지키고 있지만 정작 율법을 주신 뜻은 모르고 율법의 마침이 되는 예수님은 십자가에 못 박아 버렸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많은 신앙인들이 예수님을 믿지만 자신이 예수님과 같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믿는 것과 같습니다. 예수님과 같은 생명이 되지 않을 값이면 왜 교회에 다니고 예수를 믿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그것도 그 나름의 이유는 있습니다. 정말로 답답한 일이기도 하고 또 이것을 어떻게 깔끔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애닮도 있는 것인데, 그것은 바로 산다는 것 그 자체를 본질로 보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존재 목적을 ‘사는 것’ 그 자체에 두기 때문입니다. 존재하고 사는 것은 목적이 있는데 그 목적을 보는 것이 아니라 삶과 살아가는 인생의 일과 육신의 목숨을 본질로 보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인데 그것을 본질로 보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본질로 보기 때문에 그들이 본질로 여기는 일이 자기들의 원하는 대로 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도우시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바람이 이루어지려면 하나님이 원하시는 행동을 해야 한다고 여깁니다. 행위가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여긴다는 것입니다. 물론 하나님은 사람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존재하시는 신이 아닙니다. 그런데도 그렇게들 삽니다. 그것은 사람의 능력 너머의 도움입니다. 인생에서 만나는 어려움을 돕는 것은 사람 이상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생사화복이 다 하나님께 속했고 예수님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사람이 그리스도와 같아진다는 것을 용납할 없는 것입니다. 


사람으로서 해결할 수 없기에 사람 이상의 존재인 예수님께 인생의 Do와 Have의 문제를 의탁하는 중인데 사람이 그 예수님과 같아진다고 여길 수 없는 것입니다. 그것은 사람이 사람 이상의 존재가 된다는 것이기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자신은 사람이라서 불가능한 것 많아서 사람 이상의 존재에게 의지하는데, 자신과 같은 사람이 자신이 의탁하는 것과 같은 사람 이상의 존재와 같아진다고 하는 것을 용납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는 이같이 말하되 네 마음에 누가 하늘에 올라가겠느냐 하지 말라 하니 올라가겠느냐 함은 그리스도를 모셔 내리려는 것이요 혹 누가 음부에 내려가겠느냐 하지 말라 하니 내려가겠느냐 함은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모셔 올리려는 것이라(롬 10:6-7)

라고 말씀하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 말씀을 어렵게 여깁니다만 이 말씀은 신명기 30장 11-14절 말씀을 인용한 것입니다. 그 말씀을 바울 사도의 버전으로 옮긴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오늘날 네게 명한 이 명령은 네게 어려운 것도 아니요 먼 것도 아니라 하늘에 있는 것이 아니니 네가 이르기를 누가 우리를 위하여 하늘에 올라가서 그 명령을 우리에게로 가지고 와서 우리에게 들려 행하게 할꼬 할 것이 아니요 이것이 바다 밖에 있는 것이 아니니 네가 이르기를 누가 우리를 위하여 바다를 건너가서 그 명령을 우리에게로 가지고 와서 우리에게 들려 행하게 할꼬 할 것도 아니라 오직 그 말씀이 네게 심히 가까워서 네 입에 있으며 네 마음에 있은즉 네가 이를 행할 수 있느니라(신 30:11-14)

특히 신명기 30:14절의 말씀과 로마서 10:8절은 그 의미가 거의 동일합니다.

그러면 무엇을 말하느뇨 말씀이 네게 가까워 네 입에 있으며 네 마음에 있다 하였으니 곧 우리가 전파하는 믿음의 말씀이라(롬 10:8)

오직 그 말씀이 네게 심히 가까워서 네 입에 있으며 네 마음에 있은즉 네가 이를 행할 수 있느니라(신 30:14)


이것이 어떤 의미인가 하면 하나님의 율법과 말씀과 복음은 사람에게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사람을 만드시고 그 사람을 위하여 사람의 존재 목적과 존재 이유와 의미를 말씀하신 것이 율법이요 복음이요 성경인데 그것이 사람에게 어려울 리가 없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사람이 그리스도와 같아지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앙생활이 어렵다고 여긴다면, 또 사람이 그리스도와 같아질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의를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어려운 것은 왼나사를 오른쪽으로 돌리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마음에 있으면 율법의 행위는 자연적으로 나오는 것인데 반대로 행동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지켜내려 하니 힘들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성경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마 22:37)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신 6:5)

이것은 바울 사도가 말씀하시는 바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르느니라(롬 10:10)


이 모든 말씀이 뜻하는 것은 단순합니다. 사람의 마음 곧 그 내용이요 속사람인 심령이 하나님의 의를 따르면 율법의 마침이 되신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의를 온전히 이루는 사람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이 그런 존재라는 것을 알리려고 예수님이 우리와 같은 육신으로 이 땅에 오셨는데 예수님께서 그렇게 일부러 우리 육신으로 오셔서까지 말씀하셨음에도 이 육신으로는 하나님의 의를 이룰 수 없다면서 육신의 행위를 갈고 닦아 하나님의 의에 이르려는 열심을 가진 신앙은 참으로 안타까운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를 믿는 이유는 단 한가지입니다. 그것은 예수님과 같아지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예수님과 같은 개체가 되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이 가졌던 정체성, 예수님께서 보이셨던 생명의 본성, 그것이 바로 나의 정체성이 되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늘에서나 땅 밑에 가서 가져와야 하는 것과 같이 절대로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사람을 위한 사람 전용 하나님의 뜻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사람에게 어렵겠습니까? 그리고 사람이 그것을 이루지 못하겠습니까? 그렇게 생각했다면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성경이 말씀하시는 것이 바로 그 생각을 바꾸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0: 1-15) God's righteousness is too easy.


There is a small contradiction in the Christian faith. For example, as we once said on this blog, we apply different criteria for pork belly, Sabbath day, and tithing, but it is like nobody knows why they apply different criteria. Some theologians or pastors can not talk about what some of the Bible literally keeps, some keep to the age, some follow meaning, and what they share on a basis. In fact, it is a simple reason that it relates to the interests of the vested interests, but I can not find a way to wrap it biblically plausible.


But the greatest contradiction of Christian faith is the identity of Christ. Everyone has to be like Christ and become a disciple, and if he is to become the Son of God, he goes to church, but when someone says, 'I am a person of Christ,' he is stunned. The reason is because of the logic that is at first glance, "How can a man become a Christ?" Then why not believe in Jesus? If it is not to be Christ. What is the reason people believe in Christ that man can not be Christ? This is the limit.


The Apostle Paul said that he was zealous when he saw the Jews. You do not know why you are working hard. What you need to know is that you do not know. I keep the law very hard, but I do not know the meaning of the law, and Jesus, who is the end of the law, is crucified. This is like many believers believe in Jesus today, but believe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become like Jesus. If it is not worth living like Jesus, why can not we go to church and believe in Jesus?


But if you know it, there are reasons for it. It is really frustrating, and there is also an unfamiliarity that can not express it neatly, because it seems to be the very essence of living itself. It is because the purpose of a person is to 'live' itself. The purpose of living and living is not to see the purpose but to see life and the work of life and the life of the body as essence. This is the pride of the lust of the flesh, the lust of the eyes, and this life, because it is in essence.


Because they see it in essence, they want God to help them do what they consider to be their very essence. And I think that if the wind is to be done, God should do what he wants. It is to think that righteousness can be recognized before God. Of course, God is not a god that exists to help enrich people's lives. But still, it lives. It is beyond human ability. I think it is more than a person to help the difficulties in life. Because we believe that all life and death are belonging to God and belong to Jesus. Therefore, it is unacceptable that one becomes like Christ.


We can not solve it as a person, so we are asking Jesus, who is a person who is more than a person, to take care of the problems of Do and Have in life, and can not assume that a person is like Jesus. It is impossible because man is more than man. Because you are a person, there are so many things you can not do, and you depend on a person who is more than a person, and you can not tolerate a person like yourself to be more like a person than you are entrusted to.


The Apostle Paul

But the righteousness that is by faith says: “Do not say in your heart, ‘Who will ascend into heaven?’” or ‘Who will descend into the deep?’ (Romans 10: 6-7)

Many people find this difficult to say, but this is a quotation from Deuteronomy 30: 11-14. I can say that I have translated the word into a version of Paul's Apostle.

Now what I am commanding you today is not too difficult for you or beyond your reach. It is not up in heaven, so that you have to ask, “Who will ascend into heaven to get it and proclaim it to us so we may obey it?” Nor is it beyond the sea, so that you have to ask, “Who will cross the sea to get it and proclaim it to us so we may obey it?” No, the word is very near you; it is in your mouth and in your heart so you may obey it. (Deuteronomy 30: 11-14)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Deuteronomy 30:14 and Romans 10: 8 is almost identical.

But what does it say? “The word is near you; it is in your mouth and in your heart,”* that is, the message concerning faith that we proclaim: (Romans 10: 8)

No, the word is very near you; it is in your mouth and in your heart so you may obey it. (Deuteronomy 30:14)


What this means is that the law, the Word, and the gospel of God are not difficult for man. It is natural. It is the law, the gospel, and the Bible that make man, and for man, the purpose of existence, the reason for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it. In other words, there is no reason why people can not be like Christ.


Therefore, if you think that living your faith is difficult, and you think that man can not be like Christ, then you do not know the righteousness of God. God's righteousness is like turning left-handed to the right. I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the mind, the act of the law comes out naturally, but it is forced to keep the word of God in action.


The Bible says:

Jesus said,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Matthew 22:37)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mind and with all your strength (Deuteronomy 6: 5)

This is what the apostle Paul says

For it is with your heart that you believe and are justified, and it is with your mouth that you profess your faith and are saved. (Romans 10:10)


All these words are simple. The heart of man, the content, and the inner heart, according to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o become a man of God's righteousness as Jesus, who is the end of the law. And, most of all, Jesus came to this earth in the same flesh as ours in order to announce that he is such a person. Even though Jesus came so intentionally to our flesh, he could not fulfill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is body. Faith with zeal to grind and wipe to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ruly unfortunate.


There is only one reason we believe in Jesus. It is to be like Jesus. This is not to be an object like Jesus. The identity of Jesus, the nature of life that Jesus showed, that is my identity. It is not as difficult as it is to go and bring it under heaven or under the earth. This is the will of God dedicated to man. But is it difficult for a person? And can not man do it? If you thought so, you need to change your mind. Because what the Bible says is to change the idea.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바울 사도는 유대인으로서 자기 민족 이스라엘이 진정으로 하나님의 구원에 속하기 원했습니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의가 아니라 자기들의 의를 좇는 것이라 아쉬워했습니다. 이것은 로마서 후반 전반에 자주 나타난 바울 사도의 심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정작 중요한 것은 이 말씀이 오늘날도 해당이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꼭 그것에 일치한다고 할 수 없을지는 모르지만 오늘 날 비교한다면 기독교인들을 유대인을 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기독교인들이 이스라엘과 같이 선민이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기독교인들이 자기들의 의로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 비교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데 하나님의 의로서 하나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생각하는바 ‘하나님은 이렇게 믿는 것’이라는 생각을 좇아서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오늘 날 기독교인들이 바울 사도가 로마서를 기록할 때 언급한 이스라엘 민족과 비슷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울 사도는 이런 모습, ‘하나님은 이렇게 믿는 것’이라며 하나님의 의와 다른 의로서 하나님을 믿는 모습은 오히려 모세의 율법을 모르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말씀하는 것은 유대인들이 스스로가 하나님께서 모세를 통한 율법을 맡은 민족으로서 율법을 잘 알고 잘 지킨다고 자부했지만 오히려 그 율법의 마침인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을 정도로 율법을 몰랐다는 것입니다.


모세의 율법이 가진 의, 곧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목적을 바로 안다면 분명히 그 율법으로 인하여 산다고 했습니다. 율법으로 인하여 산다는 것은 율법을 주신 목적이 삶을 이끌고, 삶의 목적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목적인 그리스도의 본성을 가지기를 바라시는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서 삶을 이끈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본성으로 인하여 산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본성이 삶의 유전자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는 모든 믿는 자에게 의를 이루기 위하여 율법의 마침이 되시니라 모세가 기록하되 율법으로 말미암는 의를 행하는 사람은 그 의로 살리라 하였거니와(롬 10:4-5)


그렇다면 바울 사도가 말씀하신대로 사는 것은 어떤 것이고, 또 그렇지 않고 열심은 있지만 지식(성경을 지식으로 안다는 것이 아니라, 율법을 주신 하나님의 의는 모른다는 뜻)은 없는 삶은 또 어떤 것일까요? 그 중에서 이번 글에서는 열심은 있으나 하나님의 의를 알지 못하는 모습을 살짝 보도록 하겠습니다. 긍정적인 모습, 하나님의 의가 삶의 본성인 모습은 이 블로그 전반에 많이 언급되었기 때문입니다.


교회 안에 있는 유머 중에 어떤 사람이 하나님께 기도하러 가서 이것저것 기도하고 일어서서 가려고 하니 하나님께서 그 뒤에다 대고 “야! 나도 말 좀 하자!”라고 하신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한 제가 가끔 언급하는 말 “인생에서 곤고한 일을 당하는 것은 몰라서가 아니라 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라는 마크 트웨인이라는 사람의 말도 열심은 있지만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교회에 다니고 하나님을 아노라 하지만, 정작 하나님을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가장 모르는 것은 하나님의 정체성입니다. 하나님의 정체성을 모르면 하나님께서 무엇을 의롭게 여기시는지를 알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존재의 신이십니다. 이것은 정말로 핵심(core)입니다. 하나님이 존재의 신이라는 것은 하나님은 존재만 하신다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관계든 정체성만 분명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말이나 생각이나 행동이나 또 다른 개체와의 모든 관계 역시 자기 존재 정체성만 분명하게 알면 자연스럽게 정리되고 나타나며 행동하고 다스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정체성입니다.


하나님께서 존재의 신이라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사람은 자기의 존재가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만 분명하게 되면 모든 것이 다 정해진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람들 사이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상의 반은 남자고 또 반은 여자지만 그 많은 상대 남자 혹은 여자 중에서 나에게 의미 있는 남자 혹은 여자와 혼인을 하게 되면 부부라는 관계가 정해집니다. 그 관계가 정해지면 나의 배우자뿐 아니라 세상의 모든 이성에게 어떤 태도를 보여야 하는지 자연스럽게 정해지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하나님을 믿을 때에 ‘내가 이렇게 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인가?’, ‘아닌가?’, ‘그럼, 목사님께 가서 물어볼까?’와 같은 생각을 하는데, 그것은 자기 안에 답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예수님께서 수가성 여인에게 말씀하신 것으로 보면 예수님이 주신 물을 마신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자신과의 관계가 정리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자신의 관계가 정리되었다면 무엇을 해야 할지 궁금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부모와 자식이라는 관계가 성립되고 나면 서로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몰라서 못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르는 경우는 있어도.


또한 하나님께 뭔가를 해야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것 같거나, 또 왠지 이런 일을 하면 좋지 않은 결과가 있을 것 같은 망설임과 같은 것은 그 생각의 기승전결이 모두 관계에 관한 것이 아니라 행위에 관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의 행위에 반응하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가 이러면 상주고, 저러면 하나님이 벌하신다는 것은 행위 기반의 신앙입니다. 


즉 하나님의 의를 존재에 두지 않고 행위에 두고 있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의 정체성을 존재의 하나님이 아니라 행위를 의롭게 여기시는 하나님, 행위를 기준으로 상과 벌을 주시는 하나님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울 사도가 말씀하시는 열심은 있으나 지식은 없는 신앙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늘 보는 기독교인들의 모습니다.


그런 신앙은 자기의 의를 가진 신앙입니다. 하나님은 존재의 하나님이신데, 사람이 하나님은 사람의 행위에 대하여 살피시고 그 행위를 기준으로 그 사람을 대하신다고 여기는 의를 가지고 있으니 그것이 바로 자기의 의로 하나님을 믿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의 행위를 감찰하시는 것은 그 행위가 나오는 그 사람의 중심을 보시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중심을 보신다고도 하시고, 행위를 감찰하신다고도 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에 대하여 오늘 본문에서 바울 사도는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르느니라(롬 10:10)

사람이 하는 말은 그 마음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때로 신뢰할 수 없는 말을 일컬어 <마음에도 없는 말>이라고 합니다. 마음에 없으면 말도 없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사람은 그 마음에, 그 중심에 있는 본성이 말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그렇게 속에 있는 것이 밖으로 표현되는 본성을 가진 것은 사람이라는 존재 자체가 하나님을 표현하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즉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사람이 표현하는 것이 정체성이다 보니 사람의 본성 역시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과 의가 말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하나님을 믿는 일에는 이것을 망각합니다. 행동을 바꾸면 사람의 정체성이 바뀐다고 여깁니다. 선한 말을 하고, 성경 보고, 기도하고, 전도하고, 봉사하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진다는 것입니다. 아닙니다. 하나님의 의가 자기 본성이 된 사람이 선한 말을 하고, 성경 보고, 기도하고, 전도하고, 봉사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온전한 것입니다. 존재의 정체성과 행위가 같은 것이 온전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들도 정체성과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것을 정죄하고 법으로 금합니다. 아내가 아닌 여자와 잠자리를 하게 되면 불륜이 되고 간음이 되는 것이며, 물건의 소유자가 아닌데 취하면 도적질이 되며, 자기가 선택한 생명이 아닌데 상해하면 범죄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믿는 것에 대하여는 이상하리만큼 행위가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면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신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행위를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신다는 증거조차 행위와 소유에 관한 것입니다. 하나님께 온전한 행동(새벽기도회를 가거나 십일조를 하는 것이나 또 예배를 드리는 것과 같은)을 잘 했더니 위험한 일도 벗어나고 사업도 잘 되고 만사형통하더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이 주신 복이라는 것입니다. 행위로 의로워지려는 자는 결국 행위와 같이 나타난 것, 소유와 행위가 자기 의도한 대로 되는 것이 하나님이 의롭게 여기신 결과라고 여기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 아니 누구를 믿는다는 것은 그 믿는 대상이 어떤 것을 하든 수용하겠다는 것이지 그 대상이 나의 기대대로 행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부모가 자식을 믿는다는 것은 자식이 뭘 하든 돕고 잘 될 것이라고 기다린다는 것이어야지 부모가 기대하는 것을 잘 수행할 것이라고 여기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과 같습니다. 그것은 기대와 집착이지 믿음이 아닙니다. 그와 같이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의가, 하나님의 맘대로 나에게 이루어지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믿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자기가 기대하는 바, 육신으로 살며 육신의 풍요를 하나님을 믿어 그 기대하는 바가 이루어지는 것이 하나님을 잘 믿는 것이라고 여기는 것은 다 자기의 의로 하나님을 믿는 것입니다. 그것은 존재의 신이신 하나님을 행위와 소유의 신으로 인식하고 규정하고 믿는 것이니 하나님을 우상으로 만드는 것일 뿐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진다는 것은 하나님과 자신의 관계가 정립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나를 만드셨다는 것,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시기 위하여 만드셨다는 것, 인생이 가진 이 연약한 육신(세상 가치관으로 보면 연약한)이 하나님의 성품인 사랑을 표현하기 위하여 수고할 수 있는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존재로 만드셨다는 그 의가 자기 삶의 본질과 목적이 되는 것, 그래서 그 본성으로 인하여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삶의 모습이 어느 날 보니 성경과 같더라는 고백을 하게 되는 것, 그것이 바로 하나님을 믿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0: 1-15) Faith in establishing righteousness of oneself


The Apostle Paul wanted to be a Jew, his nation Israel, truly to be saved by God. But the Jews were sorry that they were following the righteousness of God, not their righteousness. This is also the heart of Paul's Apostle, often seen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the Romans. But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is word is also true today.


I do not know if you can match it, but if you compare today, you will be able to compare Christians to Jews. It is not a story that Christians are just like the Israelites, but that Christians serve God in their righteousness. It is not believing God as the righteousness of God, but believing in God in accordance with the idea that "God believes in it" as he thinks. That is exactly what Christians today are like the Israelites that the apostle Paul wrote when he wrote the book of Romans.


The apostle Paul tells us that "God believes in this," and that when we believe in God as righteousness and other righteousness, we do not know the law of Moses. That is to say, the Jews themselves were proud to know and obey the law as a nation of God through Moses, but did not know the law enough to crucify Christ, the end of the law.


If Moses knew the right of the law, that is, the purpose God gave the law, he would surely live by that law. To live because of the law is that the purpose of the law is to lead life and to be the purpose of life. It i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who wants to have the nature of Christ, the purpose God has given the law, leads to life in him. Living by the nature of Christ means that the nature of Christ is the gene of life.


Christ is the culmination of the law so that there may be righteousness for everyone who believes. Moses writes this about the righteousness that is by the law: “The person who does these things will live by them.(Romans 10: 4-5)


What then is life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Bible (which means not knowing the Bible as knowledge, but God's righteousness that gives the law), what it is and what it is like to live as the apostle Paul said? In this article, let's take a look at how we are eager to know God's righteousness. The positive aspect,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the nature of life are many mentioned throughout this blog.


Some humor in the church went to pray to God, praying and praying, and going to stand up. Then God said, "Hey! Let me talk to you! " Also, I sometimes say, "I am convinced that I know, not because I do not know what I am doing in my life, but because I am sure I know what I am doing. I am eager to learn what it is that I do not know God.


Many people go to church and know God, but most of them do not know God. What we do not know is God's identity. If we do not know God's identity, we can not know what God is justifying. God is the God of being. This is really the core. God is the God of being that does not mean that God exists. In any case, the identity must be clear. All relationships with words, thoughts, actions, and other objects are also naturally organized, manifested, acted, and governed if we know only our identity. This is God's identity.


God is the god of being that when God is certain of what his identity is in front of God, all things are settled. This is also true among people. Half of the world is a man and half is a woman, but when I marry a man or woman who is meaningful to me among those many opponent men or women, the relationship is determined. Once that relationship is established, it is naturally determined not only my spouse, but also all attitudes of the world to show what kind of attitude to show.


Therefore, when people believe in God, they think, 'Is it my will that I should do this?', 'Do not you?', And 'Well, do you want to go to the pastor and ask?' It means that Jesus did not drink the water Jesus gave when he said to the woma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erself is not clear. There is no reason to wonder what to do if your relationship with God is clear. O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s been established, there is no reason not to know what to do to each other. I do not know what to do.


It is also about the act, not the relationship, that the god of the thought is like the hesitation that God might be pleased to do something to God, or that somehow it would have a bad result. God has an idea that he is responsive to man's actions. It is an act-based faith that I will be rewarded for this and that God will punish me.


In other words, we do not put God's righteousness into existence, but put it into action. In other words, God's identity is perceived not as the God of being, but as a God who rewards justice as a reward and punishment on the basis of his actions. You do not know God. This is the image of faith in which the Apostle Paul speaks with zeal, but without knowledge. And this is the picture of Christians we see today.


Such faith is self-righteous faith. God is the God of being, man has righteousness that God sees about man's actions and treats him on the basis of his actions, that is, to believe in God in his righteousness. What God observes man's behavior is to see the center of the man from which the act comes. That is why God regards the center of man and observes his actions.


In this regard, the apostle Paul speaks in the text today.

For it is with your heart that you believe and are justified, and it is with your mouth that you profess your faith and are saved. (Romans 10:10)

Man speaks from his heart. So people sometimes call unreliable words <sayings not in the heart>. If you do not mind, you are speechless. In other words, a person is a person whose mind, the nature at its center, is manifested in words and actions.


It is because the existence of man is a manifestation of God. In other words, it is identity that man expresses invisible God, and man's nature is also manifested in invisible thoughts and righteous words and actions.


But people forget this when they believe in God. I think that changing the behavior changes the person's identity. If you say good words, see the Bible, pray, evangelize, and serve, you will be righteous before God. no.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person whose personality is to speak good, to see the Bible, to pray, to preach, to serve. This is the whole thing. The identity of existence and the act are the same thing.


So, people condemn and act against the identity of the act. When you go to bed with a woman who is not your wife, you become an adultery and become an adultery. If you are not the owner of an object, you become a thief. If you are injured, it becomes a crime. Nevertheless, I think God is righteous if it is strange to believe in God, if the act is right before God.


The problem is that even the evidence that God acts righteous is about deeds and possessions. We have done good things to God (such as going to a prayer meeting at dawn, paying tithing, or worshiping), so that we can escape dangerous things, do business well, and be prosperous. That is blessing from God. Those who are willing to be righteous by the act end up believing that what appeared to be an act, that the possession and deed are as they intended, is the result God justified.


Believing in God, not believing in someone, means accepting whatever the believer does, not that it does what I expect. Parents' belief in a child means that they should be able to help the child do whatever they can and be good. It should not be supposed to be what parents expect to do well. It is expectation and obsession, not faith. Likewise, to believe in God is to believe in God's righteousness, that God's righteousness is fulfilled in me.


Therefore, every man believes in God in his righteousness that he believes that the expectation of what he expects of God to live in the flesh and live in the flesh is to believe in God. It is the god of being who recognizes, prescribes, and believes God as the deity of action and possession, not just faith in God, making God an idol.


Believing in God, being righteous before God means establishing your relationship with God. God created me to express the character of God, that this weak body of life (soft in view of world values) can be expressed in a form that can work to express love, the character of God It is the nature and purpose of one's life that makes him a being, and so he lives by that nature. However, the way of life is that one day I confess that it is like the Bible, that is to believe in Go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오늘 날도 주일이라는 일요일이면 많은 사람들이 교회에 가서 예배를 드립니다. 예전에 그 모습을 보면 이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 많은데 왜 세상은 바뀌지 않을까?’라는 생각. 지금 와서 생각하면 저도 세상이 참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했던 모양입니다. 하여간 많은 신앙인들이 세상을 바꾸는 것은 분명히 다른 문제지만, 다른 관점에서 볼 때 그렇게 <교회에 다니면 진정한 신앙인인가?> 하는 것은 생각해 볼 여지가 있습니다.


좀 뜬금없이 교회에 다니면 다 신앙인인지, 누가 진정한 신앙인인지를 이야기해 보고자 하는 것은 로마서를 쓴 바울 사도 역시 그것을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인 바울 사도는 자신의 본심은 자기가 하나님에게서 끊어질지라도 자기 민족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구원을 받는 것을 원하지만, 그렇다고 이스라엘 곧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것이 혈통으로 된 것이 아니라는 것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바울 사도는 이스라엘이 혈통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를 바로 아는 민족으로서 하나님의 나라와 백성이 되기를 진정으로 바랐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울 사도가 진정으로 원한 것은 혈통으로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라 하나님의 의가 자기 삶의 의가 되는 사람이어야 하나님 나라에 속한 사람이라는 말씀을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지금 이 시대의 말로 바꾼다면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 교회를 이루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신앙이라는 것은 결단코 외형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몸의 행실을 어떻게 하면 좋은 신앙이 된다거나, 어떤 습관을 가진다거나, 교회 생황을 어떻게 하면 된다거나 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더 나아가서 교회에 다닌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 교회 역시 건물이나 단지 사람이 모여서 성경이야기를 하고 찬송을 부른다고 교회가 아닌 것입니다.


신앙이나 교회나 모두 방향이 있습니다.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기 위하여 어떤 행동을 하고 십일조를 하고 경건해지며 깨어 있는 삶을 사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진 사람이 삶의 십일조를 드리고 경건한 삶을 살며 깨어 있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아니 살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생명의 법은 그것 외에 다른 모습이 없습니다. 짖어서 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개가 짖는 것입니다.


교회도 마찬가집니다. 십자가를 세우고 세상적인 방식에 의하여 목사가 된 사람이 예배를 집례하고 그래서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모여서 예배와 찬송과 봉사를 한다고 교회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것은 모두 회 칠한 무덤과 같은 것입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의가 자기 삶의 본질과 본성과 목적과 이유가 된 사람들이 그 의로 본성을 좇아 모이고 보니 교회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방향이 반대인 두 개의 경우입니다.


바울 사도가 의를 얻은 이방인과 의의 법을 좇았지만 이르지 못한 유대인이라는 대상으로 비교하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교회에 다니니까 교인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된 사람들이 모여서 교회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 교회는 본성을 좇은 것입니다. 사람은 홀로 있지 않고 사람이 있는 곳으로 가서 공동체를 이루고 사는 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치 그와 같이 하나님이 보실 때 살아 있고 생명이 있는 사람은 그 본성 때문에 모이게 되는 것입니다. 바로 그렇게 모였을 때 그 모인 공동체가 바로 교회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앙이라는 것,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행위나 삶의 모양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행위나 삶의 모양은 그 본성이 표현된 것입니다. 많은 신앙인들이 실수하지 않으려고 자신을 경계하며 사는 것은 본성에 의하여 사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자기의 본성은 세상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알고,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라 여기는 본성인데 생명의 법인 하나님의 법을 지키려고 하니 잘 되지 않는 것입니다.


사람이라는 생명체에 비하여 곤충은 보잘 것 없을 수 있지만 그래도 사람이 곤충처럼 살지 못하는 것은 본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렇게 하려면 너무 힘들 것이고, 또 모든 것을 곤충과 같이 할 수 없습니다. 생명이란 그런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것도 같습니다. 스스로를 돌아보아 혹시라도 성경대로 살지 못할까 염려하고 노력하고 허벅지 꼬집으면서 깨려고 하는 신앙은 전혀 생명이 없는 것입니다. 그렇게 까지 해야 하는 이유는 신앙과 자기 생명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생명이 같으면 노력할 이유가 없습니다. 어떤 사람이 사람의 유전자를 가지려고 노력합니까?


그러므로 신앙은 본성에 의하여 표현되는 것입니다. 하나님 나라의 백성, 진정한 유대인, 진정한 이스라엘인, 진정한 신앙인은 자기 안에 있는 본성을 어떻게 할 수 없는 사람들입니다. 먼저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있어서 하나님이 의롭다고 하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존재론적 신앙입니다. 그렇게 존재가 되면 성경이 말씀하시는 모든 것,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없으면서 노력해서 하나님 앞에 의로워지려는 사람들이 그렇게 노력하는 모든 것이 자연스럽게 되는 것입니다. 아니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생명의 본성은 그런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신앙인, 진정한 유대인, 진정한 할례를 받은 사람, 하나님 나라의 진정한 백성은 행위로 의롭게 되는 사람이 아닙니다. 하나님 나라의 백성은 하나님의 의가 자기 삶을 주관하는 사람입니다.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은 대한민국 헌법을 자유롭게 누리며 사는 사람인 것과 같습니다. 하나님의 의가 자기 본성이 되어 그 본성이 속에서 밖으로 표현되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진정한 신앙인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9: 19-33) Who will be called believers?



Many people go to church and worship today if Sunday is also Sunday. I've been thinking about this before. "I think there are so many people who believe in God, why the world will not change?" When I think about it now, I thought the world was wrong. It is certainly a different matter that many believers change the world, but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ere is room for contemplation, "Are you a true believer in church?"


I would like to talk about whether a person is a believer and who is a true believer in a church without any hesitation because Paul, who wrote Romans, is also telling it. Paul, the Jewish apostle, clearly states that though his own heart is cut off from God, his nation Israel must be saved as a people of God, but that Israel, the people of God, is not of blood.


So the apostle Paul really wanted Israel to be a nation and a people of God as a people who know the righteousness of God, not the bloodline. What the apostle Paul really wanted was to say that Israel is not the kingdom of God, but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righteousness of his life. If you change this to the words of this age, you can say that a person who goes to church is not a person who believes in God but a person who believes in God is a church.


Faith is not about appearance. It is not something to do in front of God, such as doing good deeds, having some habits, or doing what is good for the church. It does not mean that you are going to church any further. The church is also not a church, where buildings or just people come together to tell Bible stories and sing praises.


There is a direction of faith or church. It is not something to behave, to pay tithing, to be godly, and to live a waking life in order to be before God. A righteous person before God is offering a tithing of life, living a godly life, and living a waking life. No, I can not but live. The law of life has no other form than that. It is not the dog barking, but the dog barking.


The church is the same. It is not to be a church where people who have established a cross and become ministers in a worldly manner are gathered together to worship, praise, and serve as people who regard worship as a place of worship and thus success in the world. All such things are like buried graves. The church i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nature, nature, purpose, and reason of his life, and the churches are gathered from his righteousness. This is two cases with opposite directions.


Paul's apostle followed the law of righteousness with the Gentile, but that is what he compares to the object of the Jews who were not yet. I am not a member because I attend church.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gathering of people who became their own life and become a church. Such a church is following nature. Man has the nature of going to a place where people are not alone, and living a community. It is as if a person who is alive and has life when he sees God is gathered because of his nature. That is when the church is assembled, it becomes a church.


Therefore, to believe in God, to believe in God, is not in the form of action or life. The act or the shape of life is the expression of its nature. It is because many believers do not live by their nature to live by themselves to avoid making mistakes. Rather, his nature is the nature of what he sees in the world as an essence, and his success in the world is a glory to God, which is not good because he is trying to keep the law of God, the corporation of life.


Compared to human beings, insects may be insignificant, but people do not live like insects because their nature is different. If it does, it will be too hard, and not everything can be done with insects. Life is like that. It is also true of believing in God. The faith that tries to awaken while trying to worry that it will not live according to the Bible by looking at oneself even if it is, and it is twisted to the thigh, has no life at all. The reason to do so is that faith and self-life are different. If life is the same, there is no reason to try. Who is trying to have a human gene?


Therefore, faith is expressed by nature.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true Jews, true Israelis, true believers are those who can not do the nature in themselves. First, God's righteousness is in him, and God is righteous. This is ontological faith. When it comes to being, everything that the Bible says is natural, everything that God does is not in him, but that he endeavored and tried to be righteous before God. No, I can not help it. The nature of life is that.


Therefore, a true believer, a true Jew, a true circumcised person, a tru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is not justified by action.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are the ones who govern the life of God. A person living in Korea is like a person who lives and enjoys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freely. The person whose righteousness is God's righteousness, and whose nature is expressed outwardly, is the true believer.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