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 있어 가장 궁금한 것은 어쩌면 <하나님의 뜻>일지 모릅니다. 모든 일을 함에 있어 어떻게, 무엇을 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인지를 늘 궁금해 합니다. 사람들이 그렇게 하나님의 뜻을 궁금해 하는 것은 사실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결과에 대한 부담감 때문입니다. 뭔가 잘못되었을 때 위험을 줄이고 싶은 것입니다.


물론 사람들의 그런 마음 자체는 잘못된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의 형태 그리고 그 부담감의 종류가 무엇이냐는 좀 다른 문제입니다. 그 결과가 육신의 삶에 고통과 피해를 말하는 것이라면 이건 좀 심각한 문제가 됩니다. 역설적으로 그것은 <육신의 문제가 잘 풀리는 것=하나님의 뜻대로 한 것>이라는 공식이 성립됩니다.


이렇게 말하면 너무 간 것이라 할지 모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곤고한 일을 겪는 주변인에 대하여 이렇게 말합니다. “저 사람 교회에 나가야 하는데…”라고 말입니다. 다시 말해서 곤고한 일을 겪지 않고 편안하게 살려면 예수님을 믿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작 그런 육신의 평안을 기대하려고 믿는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고통 중에 돌아가셨는데. 그러다보니 예수님의 고통이 바로 나의 행복이라는 공식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예수님을 믿는 것의 수혜자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자기 형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만드셨는데 말입니다. 즉 수혜자는 하나님이 되어야 하는데 사람이 될 때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고 축복받고 좋은 신앙을 가진 것이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이 인생의 평안과 삶의 축복을 이끌어내는 선택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아는 것은 정말로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입니다. 존재의 신을 소유와 공로의 신으로 치부하니, 남자에게 비키니 수영복을 선물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하나님을 뜻을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고착화 되었습니다. 대학 입시 때 학과 선택을 두고 ‘하나님의 뜻이 무엇이지?’라고 말하는 것은 ‘어떤 학과가 돈을 잘 벌 수 있는지?’를 대신하는 말이 된 것과 같이 말입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분별하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란 어떤 것일까요? 앞에서 말하듯 하나님을 믿는 사람의 육신의 삶이 꽃길이 되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육신이 십자가를 지는 것과 같은 고통을 당하는 것 역시 아닙니다. 

나 ㅏ여호와가 말하노라 너희를 향한 나의 생각은 내가 아나니 재앙이 아니라 곧 평안이요 너희 장래에 소망을 주려하는 생각이라(렘 29:11)


하나님의 선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선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선은 하나님이 옳다고 여기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선입니다. 하나님께서 선하다고 여기시는 일이 일어나면 하나님이 기뻐하실 것입니다. 그리고 당연히 하나님이 선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하나님이 온전하게 여기는 것입니다. 선한 일이 생겼다면 그 일을 보수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온전함입니다.


그러면 누가 어떤 것을 선하게 여기느냐는 결국 그 누군가가 무엇을 의로 여기는 정체성을 가졌는가의 문제입니다. 같은 것이라도 어떤 의를 가졌는가에 따라 선한 것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한 나라의 법도 검사가 보면 죄를 만드는 것에 사용하고 변호사가 보면 죄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사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니 세상의 어떤 존재도 존재한다는 그 자체로 선하고 악한 것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의를 만나느냐에 따라 선하게도 되고 악하게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세상의 일은 잘 되는 것이 선한 것이라는 것은 세상의 가치관입니다. 눈에 보이는 육신이 세상에서의 평안과 안녕과 부요의 상태가 되면 좋은 것이라고 여기고 그것을 한 없이 추구하는 세상의 안목으로 볼 때 선한 것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하나님이 보실 때 악한 일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세상에서 잘 되는 일이 하나님께서 세상과 사람을 만드신 뜻이 나타나는데 사용되었는지의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뜻은 세상에서 사람이 평안하고 부유하게 되는 것을 선으로 여기시는 것에 있지 않습니다. 그렇게 되는 것이 신의 뜻이라고 여기는 것은 바알과 아세라의 신앙입니다. 아무리 하나님을 믿노라 해도 하나님을 믿어 얻고자 하는 것이 그것이라면 그것은 바알과 아세라를 믿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소유나 공로나 눈에 보이는 세계의 풍요를 선한 것으로 여기시는 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정체성이 소유와 공로의 신이 아니라 존재의 신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뜻은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계획하신 일이 이루어지면 선한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세상에서 평안하게 되는 것, 도덕적인 삶을 사는 것, 남을 위해 희생하고 봉사하는 것과 같은 그 어떤 것이라도 하나님 앞에서는 선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울 사도가 고린도전서 13장에서 말씀하신 사랑의 개념이 그렇고 예수님과 부자 청년의 대화에서도 충분히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은 세상에서 선하게 여기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사람을 향하여 창세전부터 가지셨던 창조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구별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세상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도덕적으로 선한 사람이 되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선하게 부자가 되는 것인지, 또 어떤 선택을 해야 다소간의 희생을 가지더라도 정의롭고 도덕적인 선택이 되는지 그리고 어떤 것이 성경을 행위로 지켜낸 것이 되는지를 분별하라는 것이 아니라, 그런 모든 하나님의 의도와 다른 갈등을 하는 것이 아닌 하나님께서 자신을 만드신 목적이 무엇인지를 알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하나님의 뜻을 알려고 하는 것은 세상에는 있는데 성경에는 언급이 되지 않은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세상에는 노래방이 있고 노래방에 가는 문화가 있는데 성경에는 어떻게 하라는 것이 없습니다. 세상에는 PC방이 있고 게임이 있는데 성경에는 그런 것을 어떻게 하라는 것이 없습니다. 사람들은 대학과 직장을 선택하고 자기 일을 찾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성경에는 대학을 어떻게 하라는 말도 직장을 어떻게 하라는 말이 없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런 일들 앞에서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려고 합니다.


어디 그 뿐입니까? 교회는 더 웃깁니다. 교회 예산을 기획할 때 모여서 기도하기를 ‘어떤 것이 하나님의 뜻인지 잘 기획할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 기도합니다. 수련회를 앞두고는 ‘어디로 가야하는지, 가서 어떤 행사를 해야 하는지, 어떤 강사를 청빙해야하는지’를 위해 기도합니다. 그런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는 것입니다.


이 얼마나 웃기는 일입니까? 그런 교회들은 단언컨대 하나님을 믿는 곳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면 하나님의 온전하심을 믿을 것이고, 성경이란 빠진 것이 없다는 것도 믿을 것인데 성경에 없다고 하나님의 뜻을 구한다는 것은 하나님을 부족한 신으로 믿는 것이니 그것은 하나님을 믿지 않는 것입니다. 


정말로 하나님을 믿는다면 성경은 사람이 알아야 할 하나님의 모든 뜻이 이미 다 말씀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그것은 성경에 없다면 하나님의 관심 사항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성경에 없는 것이 자기 인생의 중요한 문제기에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은 하나님과 자신이 인생을 보는 안목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과 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런 신앙을 가졌다는 것은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은 전혀 모르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는 것은 삶 속에서 직면한 문제들 앞에서 어떤 선택이 하나님의 뜻인지를 알려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은 이 세상에 자신을 살게 하신 하나님의 의도를 아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인생을 창조하신 목적을 아는 것입니다. 그것을 알고 그 뜻 안에서 자신을 만드신 하나님의 의가 자기 삶의 본질과 내용과 생명의 본성이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이고 우리의 몸과 삶을 하나님께 산 제사로 드리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2: 1-2) God is good and pleasing and perfect


For those who believe in God, the most curious thing is perhaps God's will. I always wonder how God does what and how to do all things. There is a real reason why people are so curious about God's will. It's because of the pressure on the results. You want to reduce the risk when something goes wrong.


Of course, those hearts themselves may not be wrong. But the form of the result and the type of burden are different. This is a serious problem if the result is to speak of pain and harm in the life of the flesh. Paradoxically, it is a formula that says, "The problem of the flesh is solved well,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If you say this, you may have gone too far. But people say about the surrounding people who are having a hard time. "I have to go to church ... "He says. In other words, to live comfortably without experiencing hard work, you must believe in Jesus. Jesus, who believed in expecting the peace of the body, died on the cross in pain. So, the pain of Jesus is the formula of my happiness. In other words, the beneficiary of believing in Jesus is being a person. God made man to express his image. In other words, the beneficiary must be God, and when he becomes a man, God's will is accomplished, blessed, and have good faith.


God's will is not about choices that lead to the peace of life and the blessings of life, as people generally think. To know it as the will of God is indeed blasphemy. It is because it is no different than presenting a bikini bathing suit to a man, as he divides the god of being as the god of ownership and merit. Nevertheless, it is fixed that people think of God as their will. Just as in college admissions, saying "What is the will of God" in choosing a department is like saying "Which department can make good money?"



The apostle Paul asked us to discern "God's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 What is the will of God that is good and pleasing and perfect? Does the physical life of a person who believes in God become a blossoming road, as I said before? It is not. Of course, it does not mean that the body is suffering as a cross.

For I know the plans I have for you,” declares the Lord, “plans to prosper you and not to harm you, plans to give you hope and a future.  (Jeremiah 29:11)


God's good is not the line that people think. God's good is what God considers right. That is God's good. God will rejoice when things happen that God is good. And of course, what God thinks good is that God is perfect. If good things do happen, they will not do it. That's perfect.


Then, who wants to be good at the end is the question of what identity someone sees as justification. Even if it is the same, it depends on what kind of righteousness it has. A lawyer's test in a country is like using it to make a sin, and a lawyer is like using it to prove that there is no sin. Therefore, the existence of any existence in the world is not itself defined as good or evil, but is good and evil depending on what kind of righteousness you meet.


Therefore, it is the value of the world that good things in the world are good. When the visible body becomes a state of peace, well-being, and wealth in the world, it is good, and in the eyes of the pursuit of the world it is good. But it may be evil when God sees it. What is happening in the world is because there is a question of whether God was used to bring forth the world and the will of man.


God's will is not in the goodness of being a man's peace and richness in the world. It is the faith of Baal and Asherah that it is the will of God to be so. No matter how you believe in God, if you believe in God, then it is to believe in Baal and Asherah. God is not one who regards possession, merit, or abundance of the visible world as good. It is because God's identity is not a god of possession and merit but a god of being.


Therefore, the will of God is good if the work that God has planned for man is fulfilled; otherwise, anything like resting in the world, living a moral life, sacrificing and serving for others, It is not. This is not only the concept of love Paul said in 1 Corinthians 13, but also in the conversation between Jesus and the rich youth.


Therefore, what the apostle Paul speaks is not to be good in the world, but to distinguish what purpose God created for man from creation before creation. So what choice in the world will make a morally good person, or what choice will make a rich person wealthy, and what choice will be a just and moral choice, even with some sacrifice, Not to discern if it is what has been guarded, but to try to know what purpose God made for himself, not to conflict with all other God's intentions. That is to discern God's will.


It is in the world that people are willing to know God's will, because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not mentioned in the Bible. There is a karaoke room in the world and a culture to go to karaoke. There is a PC room in the world and there is a game. People choose to go to college and work and find a lot of work to do, but there is no word in the Bible about how to work in college. So people try to discern what God's will is in front of such things.


Where is it? The church is getting smarter. Pray in the planning of the church budget. Pray that we can plan what is God's will. Before the retreat, I pray for "where to go, what kind of event to go to, what kind of instructor should I call". That is the will of God.


How funny is this? Such churches are not a place to believe in God. If you believe in God, you will believe in God's integrity, and you will believe that there is nothing missing. To seek God's will without the Bible is to believe God as a deficient god.


If you truly believe in God, then the Bible knows that all the will of God that man must know is already told. If it is not in the Bible, it is not God's concern. Therefore, praying to God that there is nothing in the Bible is an important problem in your life. In other words, it is different from God. Therefore, having such a faith means that God does not know the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 of God.


To discern the will of God is not to know what choice is God's will before the problems facing in life. To know God's will is to know God's intention to live in this world. Knowing the purpose God created for life. The righteousness of God, who made it in the knowing of it, is the essence and content of life and the nature of life. That is knowing the will of God and offering our body and life as a sacrifice to Go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2:1-2)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22. 12:22 Writer : 김홍덕

바울 사도가 우리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는 영적 예배를 드리라고 하신 것은 예수 믿는 사람의 몸은 항상 성경적인 행동을 하고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이 되라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게 제사를 드린다는 것은 희생(구약 성경 곳곳에서도 제사를 희생이라고 말씀하고 있음)을 드린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몸을 산 제사로 드린다는 것은 하나님께 우리의 희생을 드린다는 것입니다.


희생을 드린다. 희생한다고 하니 사람이 자기 원하는 것을 희생하고 성경이 말하고 있는 것, 사회가 원하는 선을 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바울 사도가 말씀하는 이 세대를 본받는 사람입니다. 하나님께 희생을 드린다는 것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희생한다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자기 몸을 희생하신 것과 같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이 육신을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데 소비하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성경에서 우리의 몸이 하나님이 거하시는 거룩한 성전이라고 하신 것은 우리의 몸은 영이신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형식을 가진 존재라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의 몸은 원래 하나님이 거하시고, 하나님의 생기가 거하고, 하나님의 의와 이미지를 표현하는 본성을 가진 생명이 거하는 그릇이고 전이고 형식인 것입니다. 그러니 이 유한한 육신을 하나님께서 그 목적하신 바를 이루실 수 있도록 하나님이 거하시게 순종하여 이 몸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삶을 사는 것에 소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로 하나님께 드리는 희생인 것입니다.

너희는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계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고전 3:16)


그러므로 하나님께 희생을 드린다는 것, 제사를 드린다는 것, 우리 몸이 하나님의 성전이라는 것은 이 육신이라는 존재, 유한해서 가만히 있어도 계속 소비되는 이 소비성 존재를 하나님께서 뜻하신 목적 안에서 소비되도록 하는 것이 희생이고 제사고 하나님이 거하시는 것이며 하나님께서 우리를 지은 목적 안에 사는 것, 곧 그리스도 예수 안에 사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 거하시기만 하면 그 육신의 삶은 행여 하나님을 표현하지 않으려 자기가 아무리 노력해도 그럴 수 없는 존재가 되는 것입니다. 콜라가 담긴 병은 자기가 어떤 짓을 해도 콜라병이고, 그 병에 참기름을 담으면 병 표면에 아무리 무슨 콜라라고 정신없을 정도로 써 놓아도 참기름 병이 되듯, 사람 안에 하나님이 거하시면 자기가 아무리 하나님을 떠나 살려고 해도 안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시편 기자는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내가 하늘에 올라갈지라도 거기 계시며 스올에 내 자리를 펼지라도 거기 계시니이다(시 139:8)


그런데 사람들은 하나님께 희생을 드린다고 하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금하고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작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우리의 모습은 우리가 하고 싶은 일 자체가 하나님을 표현하는 것이 되는 존재가 되기를 원하시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의 모든 삶과 육신의 힘과 능력과 소유를 하나님을 표현하는 것에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께 희생을 드리는 것, 하나님께 우리 몸을 산 제사로 드리는 것입니다.


그러면 바울 사도가 본받지 말라고 한 <이 세대>는 언제를 말하는 것일까요? 바울이 살던 그 시대였을까요? 또 우리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는 것과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는 것은 또 어떤 관계를 말하는 것일까요?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이 세대>는 당연히 바울의 시대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성경의 모든 말씀이 ,오늘 나에게 하시는 말씀>이라는 것을 안다면 너무 쉬운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는 것은 <이 세대>는 항상 현재이고, 그 현재는 늘 하나님께 자신의 몸을 제사로 드리지 않는 세대라는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하나님께 희생을 드린다는 것을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참고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이 세대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그것을 희생하고 자신의 몸을 하나님의 일이라 여기는 것을 하도록 신념을 가지고 매진하는 것은 거룩한 것이 아닙니다. 물론 그 행동은 성경을 지키는 것 같아 보이나 실상은 성경의 모든 것을 어기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성경의 모든 말씀은 사람의 심령 안에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의 본성이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는 말씀을 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도 ‘마음을 새롭게 하여’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음만 새롭게 되면 모든 것이 다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마음이라는 것이 자기가 마음먹는다고 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문제입니다. 사람이 아무리 자기 자신의 마음을 다 잡고 어떤 것을 하려고 해도 잘 되지 않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왜 바울 사도는 그런 사람의 특성은 고력하지 않고, 율법주의자들이 마음을 신념으로 통제하려 하는 것과 같아 보이는 말씀을 하셨을까요? 이것은 이 한 두 구절의 말씀에 대한 말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로마서를 여기까지 써 온 바울 사도의 모든 말씀이 함축된 것입니다. 


즉 마음을 새롭게 한다는 것은 율법을 행동으로 지키려는 마음이나, 행동이 의로워야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언제나 있는 <이 세대>의 가치관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은 믿음이라는 것, 육신의 어떠함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과는 무관하다는 것, 그리고 더 나아가서 사람이라는 존재는 하나님께서 그 긍휼을 베푸시기 위하여 예비된 존재라는 것,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생의 정체성은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것을 위함이라는 것이 자기 안에서 생명이 되어 그것이 자기 육신의 모든 것을 하나님을 위하여 소비(희생)할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되는 것이 바로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즉 로마서 전체를 통하여 인생이 하나님의 말씀 곧 하나님의 의를 자기 심령에 생명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임을 이야기 한 것입니다. 그 마음, 그렇게 하나님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된 그 마음은 변화를 일으킬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거듭남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거듭나는 것보다 더 확실한 변화는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계속)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2: 1-2) Do not follow this generation


Paul's apostle told us to give spiritual worship to offer our bodies as holy living sacrifices, not that the body of a believer should always be a biblical and moral actor. To give sacrifice to God is to offer sacrifice (sacrifice is also said to be sacrificed throughout the Old Testament). Therefore, offering our body as a living sacrifice means giving our sacrifice to God.


Sacrifice. Sacrifice is a person who imitates this generation of Paul's apostles when he thinks that sacrificing what he wants is what the Bible is saying and doing what society wants. Sacrificing God does not mean sacrificing what I want to do, but just as Jesus sacrificed himself on the cross to consume God's righteousness to represent God's righteousness.


In the Bible, our body is the holy temple in which God dwells, which means that our bodies are of the form in which the spirit God dwells. In other words, our bodies were originally vessels, pre-forms, and forms, in which God originally resides, the life of God dwells, and the nature of nature that expresses God's righteousness and image. Therefore, it is God's sacrifice to obey God's dwelling and consume this body to live a life that expresses God's righteousness so that God can fulfill His purpose in this finite body.

Don’t you know that you yourselves are God’s temple and that God’s Spirit dwells in your midst? (1 Corinthians 3:16)


Therefore, it is sacrifice to sacrifice to God, to sacrifice, to the body of God to be the temple of this flesh, to sacrifice to consume this consumptive being which is consumed constantly, And my thought is that God dwells and that God lives in the purpose that He created us, that is, to live in Christ Jesus.


If God so dwells in us, then the life of the flesh becomes an impossible being, no matter how hard he tried to express God. A bottle containing a cola is a cola bottle, no matter what you do, and if you put sesame oil on the bottle, no matter what kind of cola you write on the surface of the bottle, it will become a sesame oil. You should not try to live. This is what the psalmist says:

If I go up to the heavens, you are there; if I make my bed in the depths, you are there. (Psalm 139: 8)


However, people think that sacrificing to God means doing what they want to do and doing God's work. But what we want from God is that we want to be a being that expresses God. Then we will have to use all our lives and the strength, power, and possessions of the flesh to express God. That is sacrifice to God, sacrificing our body to God.


Then, when does this generation say that the Apostle Paul should not be imitated? Was it Paul's time?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does it mean to sacrifice our bodies as holy living sacrifices and discern the will of God?


This generation, which the apostle speaks, is not, of course, talking about Paul's time. This is an easy story to know that all the words of the Bible are the words to me today>. This means that this generation is always present and the present is always a generation that does not sacrifice its body to God. As I said above, it is this generation that thinks that doing sacrifices to God is what you want to do and that you do God's work.


It is not holy to believe that a person has something he wants to do, sacrificing it, and selling his body to do God's work. Of course, the act seems to protect the Bible, but in fact it is breaking all the Bible. Because every word of the Bible tells us that God's righteousness is life in man's heart and that the nature of life is expressed in action.


That is why the apostle Paul also says, 'Refresh your heart'. If everything is renewed, everything is done. But the problem is that the mind does not change itself. This is because it is the mind of a person that does not work well no matter how he or she attempts to do anything.


Why then did the apostle Paul say that the character of such a man is not as tall as the lawyers are trying to control his mind with faith? This is not about the words of these two verses. This implies all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who wrote Romans so far.


In other words, to renew the mind is not the value of the <generation> that always thinks that the law is to be kept in action, but that the action is righteous before God because it is righteous. What is not related to righteousness before God, and furthermore, that the being of man is reserved for God's mercy, and that the identity of life through Jesus Christ is to express God's righteousness Is to be a life in itself, that is to refresh the mind that it becomes a being that can not but be a consuming (sacrifice) of all of its flesh for God.


In other words, through the whole of Romans, life is the renewing of the mind that accepting God's word, the righteousness of God, as life in his own spirit. The heart, and the heart that God's righteousness has become his life, is bound to cause change. This is to say that you are born again. There will be no more certain changes than being born again.


(continu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내가 하나님의 모든 자비하심으로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라 이는 너희의 드릴 영적 예배니라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롬 12:1-2)


유명한 말씀입니다. 그리고 이 블로그에서도 자주 인용한 성경구절입니다. 하나님께 우리를 산 제사로 그린다는 것은 우리 삶이 하나님께서 주관하시는 삶이 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주관하신다는 것은 하나님의 종이나 아바타가 된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 본성이 하나님의 성품이 되므로 그 하나님의 성품이 육신으로 살아가는 우리 삶으로 나타나게 하라는 말씀인 것입니다.


사실 이 말씀은 로마서 11장 마지막 부분과 연결된 말씀입니다. 하나님의 지혜가 깊다는 말씀, 누가 하나님께 먼저 드려서 갚으심을 받겠느냐는 말씀, 만물이 주께로부터 나와서 주께로 돌아간다는 말씀에 이러서 ‘그러므로’라는 접속사와 함께 주신 말씀으로 문맥상으로도 의미상으로도 연결된 말씀입니다.


로마서 11장에서는 모든 사람은 하나님의 긍휼을 입기 위하여 불순종의 상태, 즉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예비된 존재라는 말씀을 하였습니다. 그러니 그렇게 예비된 모든 인생은 하나님께서 그 안에 거하시므로 하나님의 의와 성품이 나타나는 삶이 되라는 것은 너무 자연스러운 연결이고, 놀라운 비밀의 말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을 믿는데, ‘그렇게 하나님을 믿는 것이 누구에게 유익인가?’라는 질문을 던져보면 이야기가 심각해집니다. 많은 사람들의 신앙은 하나님께 자신을 드리면 하나님께서 인생을 살 동안 그리고 그것도 모자라서 죽고 난 다음에까지 하나님께서 복을 주셔서 심지어 천국에 가면 고래등 같은 기와집에 살 것이라고 합니다.(좌식 생활을 할 수 없는 서양 사람은 어쩌라고?)


그런데 바울 사도는 이런 말씀을 하십니다.

누가 주께 먼저 드려서 갚으심을 받겠느뇨(롬 11:35)

사람이 먼저 하나님께 무엇을 하므로 그 값으로 하나님께 무엇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말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신앙에 있어 중요한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를 사하시려고 그 아들을 이 땅에 보내셔서 우리의 죄를 사하셨으니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하나님께 자꾸 뭔가를 드리려 하고, 하나님을 위하여 뭔가를 하려 합니다. 방향이 사람에서부터 하나님을 향한 신앙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과 사람 관계의 방향성은 언제나, 태초부터 지금까지 단 한 순간도 예외 없이 <하나님에서부터 사람>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에 대하여 바울 사도는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롬 11:36)


만물이 다 하나님에게서부터 나온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존재의 이유와 존재 자체 그 모든 것이 다 하나님께로 부터 나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방향성이 분명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앙이라는 것이 사람이 하나님께 무엇을 드리므로 하나님께 그 값을 받거나 하나님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우리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는 것 역시 그렇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앞선 말씀들에 이어진 말씀입니다. 사람은 하나님께 드리므로 그 드린 것에 대한 값을 하나님으로부터 받는 것이 아니고, 사람은 하나님께로부터 나왔으니, <그러므로> 그렇게 나온 너희 몸을 하나님께 드리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어려운 것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에게서부터 사람을 향하는 방향성을 선언하고서 사람들에게 하나님께 그 몸을 살아 있는 제사로 드리라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것을 바로 알려고 하면 하나님께 우리 몸을 산 제사로 드린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면 먼저 하나님께서 우리 사람을 만드신 목적을 상기해 보아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만드실 때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드시고, 그 코에 생기를 불어 넣으셨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사람이 생령이 되었다고 하셨습니다. 여기서 핵심적인 것은 ‘살았다’는 것, 즉 생명이 있는 것의 정체입니다. 무엇을 두고 살아 있다고 하느냐, 무엇이 살아있는 영, 곧 생령이냐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하나님이 지으실 때 뜻하신 대로 하나님의 형상을 가지고 있을 때 살아있다고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형상은 물리적 형상이 아닙니다. 하나님과 사람의 생김새가 같다는 말씀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람은 하나님의 이미지, 곧 사람을 보면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알 수 있도록 하시겠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 곧 이미지와 성품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하면, 그것은 하나님께서 사람 안에 생기가 되어 들어오시므로 그 사람이 생령이 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께서 들어오시기 전의 사람은 한낱 흙덩이일 뿐인데, 그 사람 안에 하나님께서 살아 있다고 하는 영이 들어오므로 그 사람이 하나님이 보실 때 산 사람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우리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영이 우리 안에 들어오시므로 우리가 생령, 곧 하나님께서 보실 때 살아있다고 할 수 있는 영이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보실 때 살아 있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이 그 사람에게서 이루어졌다는 것이고, 하나님의 영이 사람 안에 생령으로 있다면 그 사람의 육신은 당연히 그 영의 품성을 표현하는 대로 살 수 밖에 없는 것이니 그 몸은 사나 죽으나 하나님의 영을,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며 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이 하나님께 거룩한 산 제사로 자기 몸을 드린 것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같이, 육신으로 어떤 수고를 하나님께 드리고, 직업도 종교적인 것을 가지고, 생활도 교회에 다니지 않는 사람과는 가급적 역이지 않고 교인들과 많이 어울리면서 사는 것과 같은 것을 하나님께 자기 삶을, 육신을 산 제사로 드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곤란한 것입니다. 그것은 오히려 이단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교인들만 모여서 자기들끼리 “어이샤! 어이샤!” 하면 서 서로 칭송하고 살아가는 것만이 신앙이라고 한다면, 하나님의 성품이 새롭게 어디서 나타나겠습니까? ‘아 저것이 하나님의 성품이구나!’라고 고백하는 사람이 나타나서 하나님의 성품이 드러나는 것은 믿는 사람에게서만 있는 일이 아닙니다. 물론 믿는 이들이 삶을 공유하면서 순간순간 그 삶 속에서 비쳐지는 하나님의 성품을 함께 나누는 것이 교회고 공동체입니다만, 그렇다고 세상이란 곳이 배척할 곳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널린 세상은, 새롭게 하나님의 성품을 발견할 사람들이 널린 곳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바울 사도의 말씀과 같이 하나님의 긍휼하심을 얻기 위하여 불순종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있는 사람들인데, 그런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면서 사는 삶을 공개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옳은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복음을 전하는 것에 관한 말씀인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교인, 세상사람 가릴 것 없이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면서 사는 것이 하나님께 자기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린 것이고, 그 삶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하심 그대로 그의 삶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성품이 드러나는 것이 되는 것이며, 그것이 전도고 복음을 전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몸을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 거하시므로 우리의 몸이 그 하나님의 성품에 메이게 되어, 그 하나님의 성품이 우리 육신을 통하여 표현되고, 그 표현된 하나님의 성품을 보고 사람들과 또 신앙을 함께 한 성도들이 하나님을 발견해가는 것이 우리의 삶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보고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는 고백이 나왔던 것 같이. (그러므로 우리 몸을 산 제사로 드리는 것이나 우리가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 가는 것은 같은 것이기도 합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2: 1-2) To offer your bodies as a living sacrifice



Therefore, I urge you, brothers and sisters, in view of God’s mercy, to offer your bodies as a living sacrifice, holy and pleasing to God - this is your true and proper worship. Do not conform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en you will be able to test and approve what God’s will is - his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 (Romans 12: 1-2)


It is famous. And this is a frequently quoted verse in the blog. Drawing us a living sacrifice to God means that our life is God-controlled. It is not to be God's servant or avatar, but to make our nature manifest in the life of the flesh because the nature of God is the character of God.


In fact, this is the word connected with the last part of Romans 11. God's wisdom is deep, who says to God that he will pay it first, and all things come out of the Lord and return to the Lord. In this context, It is connected word.


In Romans 11, everyone said that in order to receive God's mercy, he was prepared to fulfill the purpose of disobedience, God's purpose. Therefore, it is a natural connection and a remarkable secret that all life so prepared to be a life in which the righteousness and character of God are revealed because God dwells in it.


Many people believe in God, and asking, 'Whose benefit is it to believe in God?' Many people believe that if God gives Himself to God, God will bless them even after He died and died because of their inability to live, even when they go to Heaven to live in tile-like houses. What about?


But the apostle Paul says this.

 “Who has ever given to God, that God should repay them?” (Romans 11:35)

It is said that a person can not receive anything from God for what he does to God first. This is important to faith. Many people have sent their sons to this earth for the sake of our sins and have forgiven our sins. They are trying to give something to God and to do something for God to repay the grace. The direction is from man to faith in God.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lways has the direction of "from God to man",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In this regard, the Apostle Paul says:

For from him and through him and for him are all things. To him be the glory forever! Amen.(Romans 11:36)


All things come from God. This means that the reason for existence and the existence itself are all from God. This is a clear direction. Therefore, faith is not a thing that a man gives to God or receives God's price or changes God.


How about that? It is also true that we are giving our bodies to God as sacred mountain sacrifices. This is the word that precedes the foregoing. It is not that you receive from God the value of what you give because you give it to God, and man comes out of God, so that you will give your bodies to God.


This may be difficult. Do you declare the direction from God to man and give it to the people as a living sacrifice to God? It can be difficult. If we know this rightly, we will have to see what it means to give God our sacrifice.


Then we must first recall the purpose God has made for us. God made man in the image of God when he was making man, and he breathed life into his nose. He said that man became a living being. The key here is the 'living', the identity of the one with life. What is left alive, what is the living spirit, the living spirit?


It is not that different, but that God is alive when he has the image of God as he intended. However, this is not a physical form. This is not to say that God and man look the same. This means that a person will know the image of God, that is, who he is.


So how does one express God's image, image and character, that God is born in man, so that man becomes a living being. In other words, the man before God came in is only a clay, in which the spirit comes in which God is alive, so that he became a living man when God saw him.


This is our offering of the holy mountain sacrifice. The Spirit of God comes into us, so that we become a spirit that can be said to be living in the presence of God, the living God. When God sees that he is alive, God means that the purpose of man was made by the man, and if the Spirit of God is a living being in man, the flesh of the man must live as he expresses the character of the spirit. Is to die in death or death but to express God's spirit and God's character. So it is that we gave ourselves to God as sacred mountain sacrifices.


Therefore, in general, as people think, the same things as living in harmony with the church members as much as possible are not as ineffective as those who give some work to God in the flesh, It is difficult to think of self-life as offering sacrifices to the flesh. It is rather a heresy.


Because only the church members gathered together and said, "Hey! If you say that faith is the only thing that praises and liveth each other, is there a new character of God's character? It is not only in the believer that a person who confesses, "Oh, that is the character of God!" Appears and reveals God's character. Of course, it is church and community that believers share life and share the character of God reflected in the moment, but this is not the place to be rejected by the world. The world of those who do not know God is the place where the people who will discover the character of God are new.


And they are those who are in a state of disobedience in order to obtain God's mercy, as Paul's apostle says, and it is not right if they do not reveal the life that expresses the character of God to such people. This is the Word about preaching the gospel. In other words, living in expressing the character of God without being a member of the people, the world, gave his body to God as a holy living sacrifice, and his life is the manifestation of God's character because of his life as God created man. And that is to preach and preach the gospel.


Therefore, offering our bodies as holy living sacrifices is because God dwells in us, so that our bodies are brought to the character of God, that God's character is expressed through our flesh, And the saints who share the faith should be our lives to discover God. Just as Jesus came to the cross and said, "You were the Son of God!" (Therefore, it is the same to give our body as a living sacrifice, or to follow Jesus as we take the cros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