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성경은 많은 부분에서 성도들에게 “~~하라” 혹은 “~~하지 마라”라는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사람들은 성경을 읽고서 자기 행동을 그것에 맞추면 성경을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경은 그 말씀들을 지켜서 하나님이 의롭게 여기시는 자리에 갈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성경을 의미만 새기고 실질적인 행위는 준수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씀은 또 아닙니다. 그러면 어떤 것인가 하면 이는 “~~하는(하지 않는) 존재가 되라”는 말씀인 것입니다.


찬양을 예로 들어보면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교회 음악’이라는 장르가 생겨났고, 때로 교회에서 찬양을 담당하던 찬양대 혹은 성가대가 그 실력을 인정 받아서 대외적으로 활동을 하기도 합니다. 찬양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겠다면서 연습도 많이 해서 참 듣기 좋은 찬양도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이 좋은 찬양은 아닙니다.


찬양이란 좋은 노래, 좋은 화성과 악기로 노래하고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찬양이 자기 마음에 있는 사람이 그 마음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찬양하는 사람이 찬양을 하면 음치라도 아름답지만, 좋은 찬양이 자기 밥벌이인 사람이 하는 찬양은 최상의 음악성이 있다고 해도 거짓입니다. ‘찬양하는 사람 = 찬양’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찬양하는 사람 = 다른 목적’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모든 성경은 우리가 눈으로 보기에 ‘~~하라’는 말씀 같지만 본질이 그것이 아닙니다. “죽도록 사랑한다.”는 말이 죽자는 이야기가 아니고, 심청전이 바다에 몸을 바쳐야 효도라는 이야기가 아니듯, 성경도 기록된 말씀을 몸으로 삶으로 지켜낸다고 성경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불연 듯 살지만 자기도 모르게 성경을 지키게 되는 그런 본성을 가진 사람이 되는 것이 성경을 지키는 것이고 성경대로 사는 것입니다.


나를 핍박하는 사람을 축복하려면 핍박 받고 있는 자신이 축복 중에 있다는 것을 알 때나 가능한 것입니다. 핍박을 핍박으로 아는데 어떻게 상대를 축복할 수 있겠습니까? 예수 그리스도의 심령이 자기 안에 있어서 그렇게 살다보니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세상의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자신도 핍박하는 일이 자기에 일어났다고 여기면 그 상황이 축복된 상황이라는 것을 알기에 ‘저들의 죄를 용서하여 주옵소서!’ 기도하신 예수님과 같이 축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자기를 핍박하는 사람의 핍박이 핍박으로 느끼면 이는 이미 동일한 것을 핍박으로 여기는 사람이므로 같은 의를 가진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이 성경에 그러라고 되었으니 상대를 축복하려는 것은 기만이고 거짓이며 선지자 노릇일 뿐입니다.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즐거워하려면 즐거워하는 이가 즐거워하는 즐거움과 즐거움이 이유가 자기 안에도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은데 즐거워한다는 것은 속과 겉이 다른 것입니다. 이것이 기만입니다. 하나님께서 중심을 보시니 이런 사람들의 즐거움을 보시면 ‘회 칠한 무덤’이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우는 자들과 함께 우는 것도 같습니다. 우는 자가 우는 이유가 자기 안에 있어야 함께 우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은데 울 수는 없는 것입니다. 스포츠 경기에서 맞붙은 선수들을 응원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응원하는 사람이 이겨야 즐거운 것입니다. 하지만 상대를 응원하던 사람은 함께 즐거울 수 없습니다. 마음 안에 서로 다른 즐거움의 기준이 있기 때문입니다.


마음을 같이하여 낮은데 두라는 말씀은 앞서 믿음의 분량대로라는 말씀과 같습니다. 지혜란 의도를 아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그 자리의 분량을 지혜로 순종하라는 것입니다. 각자의 믿음의 분량이 다르니 서로가 그 분량을 감사함으로 받을 때 은혜로운 것입니다. 한 사람은 믿음의 분량대로 순종하지만 어떤 사람은 높은 곳에 마음을 두고 불평하므로 자신의 삶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을 원망하면 마음을 같이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물론 그런 차이가 생기면 한 사람이 십자가를 져야하는 상황이 생기므로 어떤 이는 은혜를 더 입을 것입니다. 같이 맷돌을 갈다가 들림을 받은 사람과 같이.


또 악은 무엇일까요? 성경이 말씀하시는 악은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의와 뜻이 다른 것이 악함입니다. 병자를 고치실 때 “네 죄가 사하여졌노라” 말씀하신 예수님을 보고 마음으로 ‘참담한 일’이라고 비난한 바리새인들을 향해서 예수님은 <악한 생각>이라고 하셨습니다. 즉 사람이 사람의 죄를 사하는 것이 하나님의 의로움인데, 사람이 가진 의의 기준은 사람이 사람의 죄를 사할 수 없다고 믿었고 예수님은 그 생각이 하나님의 생각과 다르므로 악한 생각이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사실 이것은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부인하면 이단이라고 말하는 교회들이 그렇게 우리와 같은 사람으로 오신 예수님을 보고서 죄 사함을 받았다고 믿으면서, 정작 사람이 사람의 죄를 사한다고 하면 아연 질색하는 것은 아직도 있습니다. 문제는 성경이 말씀하시는 <악>이 그것 하나뿐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계획과 다른 의로움을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 그래서 그 의로움으로 사람이 사람과 세상을 선하고 악한 것을 심판하여 나누는 것 그 하나만이 악한 것입니다.


그 악을 악으로 갚지 말라는 것은 사람이 가진 의로움으로 선과 악을 판단하는 것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대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는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실 때의 일과도 같습니다. 베드로가 검을 뽑았을 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그렇게 하면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신 것이 그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은 사람들이 스스로 선과 악의 기준으로 살아가는 죄에서 건져내시고자 예수님을 보내셨는데 베드로가 자신이 가진 의의 기준으로 예수님을 보호하려고 검을 들고 온 자들과 동일한 법으로 맞선 것이 바로 악으로 악을 갚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믿는 믿음 안에서 십자가의 도를 알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가는 사람은 악으로 악을 갚을 수 없는 사람입니다. 십자가의 도가 다른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악으로 여기시는 것은 사람이 자기의의 기준으로 선과 악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그 사람들의 악함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습니다. 그때 예수님께서 그 악에 맞서서 하늘의 천군천사를 부른 것이 아니라 선한 일, 곧 하나님께서 선하게 여기시는 일을 하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선하게 여기시는 것은 하나님께서 육신을 가진 인생에게 기대하시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시기 위하여 자기 인생을 소비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또한 고난이고 환난입니다. 그러니 사람이 하나님께서 악으로 여기시는 악한 대접을 받는다는 것이 환난이고 고난이나, 십자가를 지고 가는 사람은 그 악함 앞에 자신을 내어 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 때에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것을 위하여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셨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창조 목적이고 의도이시므로 그것이 바로 선한 것입니다. 선으로 악을 갚으라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e)



(Romans 12: 14-21) Love your enemies and do not repay evil with evil


The Bible tells the Saints in many ways, "Do not do it" or "Do not do it." So I think people read the Bible and stick to it to keep the Bible. But the Bible can not go to the place where God is righteous by keeping those words.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e Bible is meaningless and does not have to comply with actual practice. Then, what is to say, "Be a (do not) be."


For example, many people praise God. Then, a genre called "church music" was born, and sometimes a praise band or a choir who was in charge of praise in the church was acknowledged for their ability and acted abroad. I will give glory to God with praise. But unfortunately it is not a good praise.


Praise is not singing and playing with a good song, good harmony and musical instruments, but a person who has praise to God expresses his heart. In other words, if the praising person praises, the sound is beautiful, but the praise of a person whose good praise is self-service is false even if it has the best musicality. It is not 'praising person = praise'. It is because of 'praising person = other purpose'.


As such, all the Bible's word seems like to keep the Bible literally, but that is not the essence. It is not a story that says "I love you to die." It do not mean I will die for you. It means The Bible does not live according to the Bible but protects the written word through life. Being a person with such a nature to keep the Bible is to keep the Bible and to live according to the Bible.


To bless those who persecute me is possible when they know that the persecuted ones are in blessing. How can we bless our opponents when we know persecution as persecution? As the spirit of Jesus Christ lives in it, when a person with a worldly crucifixion of Jesus crucified that his persecution had happened to him, he knew that the situation was blessed. Please forgive us! 'You can bless Jesus as you prayed.


Otherwise, if the persecution of a persecutor feels persecution, it is a person who has the same righteousness because he considers the same thing as persecution. Such a man is said to be in the Bible, and to bless the other is deceitful, false, and prophetic.


To rejoice with those who rejoice, the joy and joy of rejoicing is that they must be in themselves. It is a different thing from the inside to be happy when it is not. This is deception. When God sees the center and sees the joy of these people, it is called 'the grave of grace.'


It is like crying with the crying ones. The reason for the crying person to cry is to be in himself and to cry together. I can not cry without it. People who cheer on players who are playing in a sport are happy to be won by the person they support. However, the person who cheered his opponent can not have fun together. It is because there are different standards of pleasure in the mind.


It is like the word of faith that we should keep our hearts low together. Because wisdom is knowing intent. To obey by wisdom the amount of the place that God has given us. It is gracious when each one receives the amount of gratitude thanks to the amount of their faith. One person obeys the amount of faith, but some people complain about their hearts in high places, so that they can not share their heart if they grumble against God who controls their lives. Of course, if there is such a difference, there will be a situation in which one should take the cross, and some will wear more grace. Just like a man who was grinded and lifted.


What is evil? The evil that the Bible says is not different, but evil is the difference between God and righteousness. When he healed the sick, Jesus said to the Pharisees, who said, "Your sin has been forgiven," and that he has condemned Jesus as "a terrible thing" in his heart. In other words, it is God's righteousness for man to forgive man's sins, and the standard of righteousness of man is that he believed that man can not forgive man's sins, and Jesus said that his thoughts were evil thoughts.


In fact, this is still the case today. When Jesus denies coming to the flesh, it is still stunned if the churches that call heresy believe that they have been forgiven of sin by seeing Jesus who came to us as a man like this, The problem is that the Bible speaks of only one thing. It is evil that man possesses God's plan and other righteousness, and that by righteousness man judges man and the world good and evil, and shares it with judgment.


Do not repay the evil with evil, do not treat it in the same way as judging good and evil by man's righteousness. This is also the day when Jesus was crucified. When Peter pulled the sword, Jesus said, "If it does, God's will is not fulfilled." God's will sent Jesus to rescue people from the sins of living by the standards of good and evil. It is evident that evil is the repayment of evil by Peter for the same law as those who have come with swords to protect Jesus on the basis of his righteousness I will.


A man who knows the way of the cross and takes his cross in faith in Jesus is a man who can not repay evil for evil. The cross is not different. What God sees as evil is that man divides good and evil by his own standards. Their wickedness crucified Jesus. At that time, Jesus did not invoke the angel of heaven against the evil, but rather the good work, the work which God did good.


What God is good is what God expects of a fleshly life. That is to consume his life to show God's righteousness. It is also hardship and tribulation. Therefore, it is a tribulation that man is to receive the wickedness which God regards as evil, and the one who takes the crucifixion, or the cross, gives himself before the wickedness. In doing so, the righteousness of God appears. To do that, God made man. It is God's creation purpose and intent, so that is good. That is to pay back evil with goo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2장은 그리스도인이 어떤 모습의 생활을 할 것인지에 대하여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생활을 그렇게 하라는 것이 아니라, 그런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생명을 가진 사람이 되라는 말씀입니다. 그것이 아니면 이 말씀대로 살려고 하지만 그렇게 살지 못한 자기 모습에 실망하고 좌절하며 회개하는 삶의 반복이 무한루프처럼 되풀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마 많은 성도들이 그런 삶을 살고 있을 것입니다.


예수님을 믿는다는 것은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 가는 것입니다. 따라 간다는 것은 이미 예수님께서 가셨다는 것입니다. 즉 어떤 것이 십자가를 지는 것인지 답이 있고, 표본이 있고, 기준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예수님과 같이 육신으로 십자가를 지는 것을 말씀하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어이없게도 육신으로 십자가를 지고 못 박히는 것이 예수님을 따라 십자가를 지는 것이라고 여긴다면 그런 사람은 로마서에서 바울 사도가 책망하고 있는 행위로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되려는 사람일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지신 십자가를 우리도 지고 간다는 것은 의인이 죄인을 위하여 죄인이 되는 세계에 관한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생활, 그것은 이전에는 그렇게 살지 않은 삶을 산다는 것입니다. 즉 이전에는 십자가를 지는 것과 같이 살지 않았는데, 그리스도로 인하여 십자가를 지는 삶을 산다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자신이 옳다고 여기는 것을 관철시키면서 살았는데, 이제는 자신이 옳지만 옳지 않은 자의 주장에 의하여 죄인이 되어 끌려가고 종이 되는 삶을 산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입니다.


흔히 사람은 이기적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다른 의미가 아닙니다. 사람은 자기가 옳다고 주장하는 것을 위하여 사는 것입니다.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것의 큰 부류가 무엇인가 하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이 선한 것’, ‘자기 꿈을 이루는 것이 선한 것’, 그리고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이익을 우선한다는 것에 대한 암묵적 공감’ 등이 차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것들, 형제를 사랑하고, 우애하며, 먼저 존경하고, 부지런하고, 소망 중에 즐거워하고, 환난 중에 참으며, 성도의 쓸 것을 공급하고, 손 대접하기를 힘쓰라고 하는 것들 그 어느 하나도 자신이 생각하는 것이 선하다고 여기면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가끔씩 바울 사도가 말씀하시는 것과 같이 성경에 말씀하시는 것을 행하는 것이 선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자기 안에서 이것을 선으로 여기는 사람은 절대로 주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지 그렇게 살 뿐.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는 모든 곤고함의 이유는 단 한 가지 이유입니다. 그것은 자기 뜻대로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얼마 되지 않는 인생이지만 자기 맘대로 되는 것처럼 여기는 사람은 인생이 곤고하지 않습니다. 물론 하나님 앞에서 심판은 다른 것입니다. 오늘 하루 세상을 살아가면서 짜증나고 힘들고 원망스럽고 화나는 일이 있었다면 그 이유는 내 뜻대로 되지 않아서입니다. 물론 그 중에는 하나님의 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내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의가 화나게 하는 일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화가 나고 짜증난 다음이 모습은 다를 것입니다.


사람들은 자기보다 힘 쎈 사람에게는 자동적으로 굽힙니다. 세상이 흔히 말하는 영광에 이르기 위하여 자기 자신보다 더한 능력을 보인 사람에 대한 존경을 먼저 합니다. 돈을 많이 벌고 싶은 사람에게 재벌 회장은 존경의 대상이고, 특별한 성실함이나 아이디어로 부자가 된 사람을 존경합니다. 다시 말해서 세상의 가치관에서 이긴 자를 섬기고 대접하고 존경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존경한다는 것은 자신이 그 의에 대하여 낮은 자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사람이 어떤 이에게 짜증을 내고 화를 내고 무시한다면 자기가 속한 그 가치관의 세계 안에서 자신이 이긴 자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물론 그 생각은 사실일수도 착각일수도 있지만 적어도 그런 생각 없이 사람에게 무례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즉 자기의 의가 옳다는 것을 주장하고 관철시키는 것이 성공하였다는 위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예수님께서 지신 십자가와는 상반된 것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시고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된 하나님의 본체이신데, 그 예수님보다 더 온전한 하나님의 아들이 없고, 하나님을 잘 아는 분이 없는데, 자기 기준으로 하나님을 모른다고,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라고, 하나님을 모독했다고 주장하는 그 어이없는 주장 앞에서 죄인이 되신 사건이 바로 십자가의 사건입니다. 그러니 사람이 자기가 속한 세계에서 그 의로움으로 이긴 것을 자랑하거나, 주장한다면 그것은 십자가를 지고 가는 삶과는 상반된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생활이란 있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 삶이 설사 몸을 불사르게 내어준다고 해도 말입니다.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그리스도인의 삶, 그 새로운 삶은 그리스도로 인하여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는데 새롭게 살게 된 삶을 말합니다. 이전에는 자기 가치관 안에서 의로운 것을 주장하고 관철시키는 것이 도리며 선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살았지만, 예수님의 십자가가 자기 안에서 생명이 되고 나면, 의인으로서 죄인들에 의하여 죄인이 되신 예수님의 본성과 같이 자신의 의로움을 주장하여 선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의롭지 않은 주장 앞에서 섬기고 먼저 존경하므로 그 모습을 보는 사람의 마음 안에서 그리스도의 생명이 잉태되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마치 자신이 예수님을 보고서 그 모습이 자신의 본성이 되어 자기 의를 주장하지 않게 된 것과 같이.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의 본질입니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을 사는 것은 의지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훈련으로도 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삶입니다. 삶이란 생명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이 자기 안에 없는데 어떻게 그리스도로 인한 삶을 살 수 있겠습니까? 그런 법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훈련이나 신념으로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지고 새로운 삶을 산다고 하는 것은 다 거짓입니다.


사람 마음의 본성이 바뀌면 가치와 의가 달라집니다. 자기가 가진 의로움을 주장하여 의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과 같이 자기 의를 주장하는 사람의 주장을 수용하므로 의가 드러나는 것이 그리스도의 본성입니다. 다른 사람의 주장을 수용하면 죄인이 되고 섬기게 되며 먼저 존경하게 되고 대접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보이신 대로 사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입니다. 삶이 새롭다는 것은 거듭난 것입니다. 이전에 사람의 가치관이 본성이든 삶이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거듭나서 그리스도의 본성이 자기 본성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으로서 새로운 삶을 산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생명이 자기 본성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자기 의를 주장하는 사람이었지만 이제는 의로우시나 의롭지 못한 자의 주장에 의하여 죄인이 되어 십자가에 죽으시니 오히려 그 모습을 보고 죽인 자들이 예수님의 의로움을 깨닫게 되는 그 본성이 자신의 본성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본성은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과 같이 남을 섬깁니다. 그리고 세상의 일로 인하여 짜증내거나 화내거나 원망하지 않습니다.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본질인지가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그 변화는 거듭난 것입니다. 생명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썩은 고기가 양식인 늑대가 풀을 먹는 양이 된 것과 같이 거듭난 것입니다. 그 거듭남으로 인하여 바뀐 생명의 본성, 그것이 자기 안에서 본성이 되어 그 본성이 삶으로 나타날 때 비로소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이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말씀하시는 것은 그 삶의 모습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2: 3-13) Christian New Life


Romans 12 speaks of how a Christian will live. This is not to do with life, but to be a person with a life that can not do that. If it is not so, I will live like this, but the repetition of a frustrated, frustrated and repenting repetition will be repeated like an infinite loop. Perhaps many Saints will live such a life.


To believe in Jesus is to take the cross and follow Jesus. To follow is that Jesus has already gone. That is, there is an answer, a sample, and a criterion. But it is not to say that the cross of the flesh like Jesus. If one were to regard the crucifixion as crucifixion in the flesh as being crucified along with Jesus, it would be a person who would be righteous before God in the act of rebuking Paul in Romans.


It is about the world where the righteous become sinners for the sinner, that we also take Jesus' cross. A new life of Christians, that is to live a life that did not live so before. In other words, we did not live in the same way as a cross, but we live a life of crucifixion due to Christ. In the past, I lived in pursuit of what I considered to be right, but now I am living a life of becoming a sinner and being dragged and servant by the claim of the one who is right, but not right. It is a new life of Christians.


People are often selfish. It does not mean anything else. Man is living for what he claims is right. If there is a big class of what you think is right, there is a tacit sympathy for "doing what you want to do is good", "fulfilling your dream is good", and " 'And so on.


What the apostle Paul is saying, loving, loving, first respecting, diligent, rejoicing in hope, enduring tribulation, feeding the needs of the saints, If one thinks that what he thinks is good, it can not be done. There are also people who claim that it is good to do what the Bible says occasionally as the Apostle Paul says. It is because people who regard this as good in their own minds never claim it. Just buy it.


There is only one reason for all the hardships that people experience in their lives. It is not self-will. Life is not hard for a person who thinks that life is at least as long as he likes. Of course, Judgment before God is another. If there was something annoying, hard, resentful, and angry about living the world today, the reason is not my will. Of course, the righteousness of God may not be fulfilled,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me may become angry. But after that, after anger and irritation, this will be different.


People automatically bend to those who are stronger than themselves. In order to reach the glory that the world often says, I begin to show respect for the person who shows more power than himself. For those who want to earn a lot of money, the chaebol is respected and respects those who are rich with extraordinary integrity and ideas. In other words, we serve, entertain, and respect those who have won the world's values. To be honorable is to acknowledge that he is a lowly man of his.


On the other hand, if a person is annoyed, angry, and ignored by someone, it is because he thinks he is the winner in the world of that value. Of course, the idea may be true or illusion, but at least it is not rude to people without that thought.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success of claiming and being right is right.


But all of this is contrary to the cross of Jesus. Jesus is the Son of God and the Body of God, the Word of God, which is the body of God. There is no perfect Son of God than Jesus, no one knows God, but He does not know God on His own standards, Is an event of the cross that has become a sinner in front of the ridiculous claims that claim to blaspheme. So if a person boasts or argues that he has won that right in his world, it is contrary to the life of taking the cross. In other words, there can be no new Christian life. Even if that life gives the body its fire.


The Christian life that the apostle speaks of, the new life, is Christ's life, which was not so before, but a new life. In the past, when the cross of Jesus became life in him, it was as though the nature of Jesus, who became a sinner by sinners as a righteous man, It is not to make a claim to be good, but to look before the righteous claim and to see the life of Christ conceived in the mind of the person who observes it in the first respect. Just as he saw Jesus and his image became his own nature and did not claim his righteousness. This is the essence of a Christian new life.


It is not the will of man to live the life of Christ, to live the new life of Christians. Not even training. It is life. Life is the life must be. How can you live a life of Christ without the life of Jesus Christ in you? There is no such law. Therefore, it is a lie to have a cross of Christ and to live a new life with training or belief.


When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changes, the value and righteousness change. It is the nature of Christ that reveals righteousness by accepting the claim of the one who asserts his righteousness, just as Jesus, who has the cross, not claiming righteousness in his own righteousness. If you accept someone else's claim, you will become a sinner and serve, and you will have to respect and entertain first. It is Christ's new life that Jesus lives on the cross. The new life is born again. Whether the human values ​​are natures before, life is born of Christ, and the nature of Christ becomes self-nature.


Therefore, living a new life as a Christian means that the life of Christ has become its own nature. In the past it was a person who claimed to be self-righteous, but now he is a sinner by the righteousness of the unrighteous, and died on the cross, but the nature that made those who saw it and realized the righteousness of Jesus became his own nature .


Its nature serves men like Jesus who has a cross. And because of the work of the world, I do not get irritated, angry, or grumbled. This is because the values ​​are different. What changed was the nature. The change is born again. Life is different. Previously, the wolf, a rotten meat, was born as a sheep eating grass. It is a new life of Christians only when the nature of life changed because of its regeneration, when it becomes natures in itself and its nature appears as life. What the apostle Paul says is the image of his lif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2:3-13) 사랑에 거짓이 없나니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26. 09:56 Writer : 김홍덕

사랑엔 거짓이 없나니 악을 미워하고 선에 속하라(롬 12:9)

성경은 사랑을 많이 언급합니다. 하지만 그 모든 사랑에 대한 말씀은 결국 하나님께서 사람을 사랑하신 것에 관한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사랑이라고 말씀을 하십니다.(요일 4:8) 그리고 유명한 사랑장 고린도전서 13장도 있습니다. 특별히 ‘사랑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사랑이라고 여기는 것을 사랑이 없으면 그런 것이 소용이 없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남을 위하여 몸을 불사르게 내어주는 것은 정말로 대단한 사랑인데 바울 사도는 고린도전서 13장에서 그것도 사랑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볼 때 지극한 사랑의 모습을 오히려 사랑이 없으면 소용이 없다고 말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사랑은 무엇일까?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사랑은 어떤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사랑에 대하여 요한 사도는 우리가 먼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먼저 사랑하신 것이라고 했습니다. 사랑에 순서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앞서 바울 사도가 은혜에 대하여 말씀하신 것과 같은 것입니다. 모든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인생은 스스로 알지 못하는 자기 정체성을 우리에게 부여하신 것이듯, 하나님께서 사랑하신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의미를 부여했다는 말씀입니다.


사랑은 진정 <의미>입니다. 세상에 아무리 많은 이성이 있어도 자기에게 의미 있는 여자 혹은 남자가 아내나 남편이 되고 사랑하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즉 그것은 ‘나에게 의미 있는 당신’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사랑입니다. 이는 사람이 일이나 물건을 사랑하는 것 역시 같습니다. 그와 같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에 의미를 부여하신 것이 사랑입니다. 은혜가 우리로선 할 수 없는 것이 주어진 것이듯, 하나님과 사람 관계의 의미 역시 하나님께서 먼저 부여하신 것이기에 우리가 하나님을 먼저 사랑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를 먼저 사랑하신 것이라는 것입니다.


사랑이 의미라는 것은 고린도전서 13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몸을 불사르게 내어 준다고 해도 의미가 없다면 그것은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하나님께서 사람이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형식을 가진 존재라는 의미를 부여하신 것이 사랑입니다. 또한 그것이 은혜입니다. 우리로선 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천지의 주재이신 하나님께서 우리와 <너와 나>의 관계와 의미를 부여하셨다는 것은 그야말로 대단한 은혜를 입은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사랑에 거짓이 없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 사랑을 말씀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너와 나의 관계로 부르시고 의미를 부여하신 것을 두고 하신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그 존재의 의미를 부여하신 것은 거짓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먼저는 하나님은 거짓이 없으신 분이시니 그 분의 사랑에 거짓이 없는 것이고, 다음으로는 사람이란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표현하시기 위하여 만드시고 하나님의 성품이 표현될 때 하나님과 사람이 ‘너와 나’의 의미 있는 관계가 되는 것이니 거짓이 없는 것입니다. 목적과 존재가 같으니 거짓이 아닌 것입니다.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거짓은 우리가 흔히 거짓말이라고 하는 것에서 연상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된 것이 아닙니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거짓은 존재의 목적과는 다른 삶을 사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을 성경은 또한 간음이라고도 합니다. 만들어진 목적과 다른 모습, 속에 있는 것과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 그것이 거짓이고 간음인 것입니다. 간음이란 자기 짝이 아닌 것과 상관하는 것이기 떄문에 그렇습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 우리를 만드시고 우리에게 존재의 의미를 두신 것은 은혜고 사랑입니다. 그것은 거짓이 있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형상과 성품을 표현하기 위하여 우리를 만드신 것은 우리로서는 스스로 가질 수 없는 것이고, 하나님께서 먼저 의미를 부여하신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 사랑에는 거짓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사랑 안에 있는 것이 선이라는 것입니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선한 것은 하나님의 의도대로 된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악한 것은 당연히 하나님의 의도하시는 대로 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습니까? 거짓 없는 하나님의 사랑이라는 것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사람이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의미와 관계와 정체성에 거하는 것인데 그것이 선한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그러니 사랑에는 거짓이 없고 선에 속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만약 사람이 하나님께서 자신을 만든 목적과 의미에 있지 않고 육신의 삶, 눈에 보이는 삶과 세상이 본질이라 여기면 그것이 악한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하나님께 기도하기를 ‘시험에 관해서, 사업에 관해서, 건강에 대해서’ 기도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자신의 기대와 같이 되면 하나님의 선하심이라 여기고 그렇지 않으면 자신을 돌아보고 무슨 악한 짓(Doing)을 했기에 돌아봅니다. 그것이 악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외모로 보시지 않습니다. 세상의 본질은 세상으로 표현된 하나님의 마음이지 세상 그 자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로마서를 통해서 말씀하시는 율법과 복음, 행함과 믿음의 맥락 안에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성경의 말씀은 그 말씀대로 될 수밖에 없는 의가 자신의 생명이 되라는 것입니다. 사랑에 거짓이 없나니 선에 속하라는 것은 결국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존재의 의미, 하나님께서 의미를 부여하신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가 자신의 본성이 되라는 것이지, 착한 행동을 하라는 말씀이 아닌 것입니다. 이것은 이어지는 권고들 역시 같은 맥락에서 하시는 말씀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2: 3-13) Love must be sincere.


Love must be sincere. Hate what is evil; cling to what is good.(Rm 12:9)


The Bible speaks a lot of love. But all that love is about God's love of man. And God says that it is love (1 John 4: 8). There is also the famous love chapter 1 Corinthians 13. Especially in the 'love chapter', it is generally said that it is useless if people do not love what they see as love.


It is indeed a great love to give up the body for others, and the apostle Paul tells us in 1 Corinthians 13 that it is useless without love. When people look at it, they say that it is no use without love. So what is that love? What is the love God speaks?


The apostle John of love told us that we did not love God first, but God loved him first. There is an order in love. This is the same as Paul said earlier about grace. All things begin with God. As the grace of God has given us a self-identity that life does not know for ourselves, the fact that God loves means that God has given us meaning.


Love is truly <meaning>. No matter how much reason you have in the world, a woman or man who is meaningful to you becomes your wife or husband and your loved one. That is, it means 'you are meaningful to me'. That is love. It is the same for people to love things or things. As such, it is love that God has given us meaning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As grace is given to us that we can not do, the meaning of relationship with God is also given by God first, so we do not love God first, but God loves us first.


The meaning of love is the same in 1 Corinthians 13. It is because it is useless if it does not make sense to give away the body. It is love that God has given the meaning that man has the form of expressing the character of God. It is also grace. It is because we can not do it. Moreover, it is a great grace that God, the presiding authority of heaven and earth, has given us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between us and you.


It is because the Apostle Paul speaks of this love that there is no lie in love. This is what God said about us calling and giving me meaning in relation to you. It is not a lie that God has given us the meaning of that being. First, God is not a lie, and there is no lie in his love. Next, man is made for God to express his character and when God's character is expressed, God and man are the meaning of 'you and me' It is a relationship that has no lies. It is not a lie, because it has the same purpose and existence.


The folly you speak in the Bible is not limited to what we can often associate with being a lie. The falsehood that the Bible says is to live a lif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being. This is also called the adultery. It is a lie and an adultery that is different from what it was created, and what is different from what it is in it. Because adultery has something to do with not being a partner.


Therefore, it is grace and love that God made us and gave us the meaning of being. It can not be a lie. What God has made us to express His image and character is that we can not have ourselves and that God has given us meaning first. This love has no lies. What is in this love is good.


What the Bible says is good is what God has done. So, evil is, of course, not what God intended. How about that? The love of God without falsehood is based on the meaning, relationship, and identity of God created by God, and what is it not good? So love has no lies and it belongs to good.


If man is not in the purpose and meaning of which God created himself, but in the flesh, in the visible life, and in the world, it is evil. Such a person prayed to God "about test, about business, about health". And when it comes to his own expectations, he sees it as the goodness of God, otherwise he turns to himself and looks back at what he did to doing it. That is evil. God does not look at a person in appearance. The essence of the world is God's heart expressed in the world, not the world itself.


This is in the context of the law, gospel, action, and faith that speaks through Romans. Therefore, all the words of the Bible are to be the righteousness that can not be fulfilled according to the Word. There is no lie in love. To belong to the good is no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that God end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that God gave meaning to be his nature, not to do good act. This is what the following suggestions do in the same context.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