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2017년 첫 모임을 서울에서 가집니다.

Category : 알리는 말씀 Date : 2017. 1. 31. 17:07 Writer : 김홍덕

2017년 첫 말씀모임을 서울에서 가집니다.


일시 : 2017년 2월 4일 토요일 12:30 - 16:00

장소 : 김광현 형제의 집 

주소 :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로16 대림1,2차 아파트 402동 

        402동 앞에서 전화 부탁합니다.





연락처 : 김광현 010-7771-4976 / 김홍덕 010-3396-5555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3:8-14) 율법의 완성(2)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30. 10:19 Writer : 김홍덕

마태복음 21장 28-32절에는 한 사람이 첫째 아들에게 포도원에 가서 일을 하라고 하니 알겠다고 하고 가지 않았고, 둘째 아들에게도 포도원에 가서 일을 하라고 하니 가지 않겠다고 했으나 가서 일을 했으면 누가 아버지의 뜻을 행한 사람인지에 대한 비유가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제사장과 서기관들에게 이것을 물으셨는데 그들이 답하기를 “둘째”가 아버지의 뜻을 행한 것이라고 답을 하였습니다.


조금 더 이야기 해 보면 이 예수님의 비유는 예수님께서 시장하셔서 잎이 풍성한 무화과나무에서 열매를 먹고자 하였으나 아직 무화과의 때가 아니라 열매가 없음에도 예수님은 열매가 없다고 그 나무를 저주하여 말라 죽게 하신 일에 이어져 있고, 제사장과 서기관들의 대답에 예수님은 “창녀와 세리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갈 것”이라고 답을 하셨습니다.


이 비유가 율법과 무슨 상관이냐 하면, 우선은 무화과는 이스라엘의 나라나무입니다. 따라서 무화과가 잎이 무성하다는 것은 율법을 지키는 것이 풍성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열매가 없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배가 고픈데 무화과나무가 열매가 없어서 화가 나서 저주하신 것이 아닙니다.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키기는 하는데,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신 의는 버렸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이것을 회칠한 무덤이라도 하시기도 했습니다. 


예수님과 당시의 종교지도자들과의 논쟁과 예수님의 책망을 어리석은 사람들은 민중신학으로 또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항쟁으로 보기도 합니다. 그들은 단언컨대 예수님 당시의 제사장, 바리새인 그리고 서기관들보다 더 책망을 받을 것입니다. 예수님 당시의 사람들이 율법을 주신 의도는 외면하고 모양만 지켜 책망을 받았던 것처럼 예수님의 행적을 모양만 보는 것이니 피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첫째와 둘째 아들이 아버지가 포도원에 가서 일을 하라는 명을 듣고 첫째는 가겠다고 하고 가지 않았고, 둘째는 가지 않겠다고 했으나 갔다고 했습니다. 아버지의 의는 대답을 듣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포도원에 가서 일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율법도 그와 같다는 것입니다. 율법은 그 행위를 지키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행위가 나올 수밖에 없는 마음을 가지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무화과나무에게 기대하는 것은 열매지 풍성한 가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십계명의 6,7,8,10 계명과 다른 계명이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것 안에 다 들어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나무의 잎과, 줄기와 가지와 열매가 모두 그 씨 안에 들어있다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씨가 심겨서 싹이 나고 나무가 되면 줄기가 되고 가지가 되고 잎이 나며 열매가 열리듯이 하나님의 사랑이 사람 안에 있으면 모든 계명은 자연스럽게 표현되고 나타나면 지켜진다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앞선 로마서 12장에서 ‘사랑엔 거짓이 없나니’로 시작하는 말씀들, 그 말씀들이나 십계명과 또한 다른 모든 계명이 같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안에 있어 그 사랑으로 사람을 대하면 모든 계명을 지키는 자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 안에 있으면 생명이기에 그 생명의 본성이 밖으로 표현될 수밖에 없고, 그렇게 표현된 생명의 본성이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랑의 모습이고, 성경이라는 것입니다.


사랑이 무엇인지에 대하여는 앞선 글들에서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는 것과 같이, 성경이 말씀하시는 사랑이라는 것은 존재의 의미를 알게 하고, 존재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관계가 되는 것입니다. 연인도 친구도 다 많은 사람들 중에 돈이나 명예나 서로의 이익을 돌봐주는 조건과 무관하게 그냥 의미 있는 관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와 같이 모든 인생에게 있어 가장 근원적이고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는 삶의 의미와 목적은 스스로 삶을 선택한 것이 아닌 사람으로서는 알 수 없는 것인데,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그 의미를 알려주시는 것이 사랑이고, 그 하나님께서 사랑하심이 사람으로서는 할 수 없는 것이기에 은혜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는 사람들에게 친구나 연인이 서로의 이익을 담보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듯,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도 사람이 무엇을 하므로 하나님께서 사람이 먹고 사는 것을 돌봐 주시는 관계가 아닌 것입니다. 즉 사람이 행위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질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사랑이 무엇인지 안다는 것은 행위나 조건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질 수 없다는 것을 아는 것이고, 그것을 아는 사람이 사람을 볼 때 외모로 사람을 볼 수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사랑을 아는 사람은 또한 자기 안에 하나님이 주신 생명의 본성이 있으니 그 생명의 본성으로 사람으로 대하므로 대접을 받는 사람이 또한 그것을 보고 인생으로서 자신의 존재 목적과 의미를 알게 되니 이것이 사랑입니다. 그리고 그 사랑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우리에게 우리의 존재 의미를 알게 하심과 같은 것이기에 그 삶을 사는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이고 그리스도의 성품을 가진 사람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사람은 예수님께서 율법의 완성이셨던 것과 같이 성경과 모든 율법을 다 이룬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하기에 이렇게 될 것이 아니라면 예수를 믿을 이유도 없고 이것이 아닌 신앙은 힘들고 어려기도 하거니와 결국은 그렇게 “주여! 주여!” 라고 불렀으나 하나님은 알지 못한다 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런 신앙은 하나님의 의와 뜻 그리고 정체성과 다른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모든 성경의 말씀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왜 만드셨는지, 그것 하나를 알면 다 완성되고 다 이루는 것이고 다 지키는 것이고 일점일획의 누락 없이 성경을 지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존재의 목적을 알게 하신 사랑이 그리스도로 나타났고, 그 사랑을 입은 자들 안에서 또한 그 사랑이 나와서 사람을 대하는 것, 그리고 세상을 대하는 것, 그것이 바로 율법과 성경의 완성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3: 8-14) Completion of the Law (2)


In Matthew 21: 28-32, a man told his first son to go to the vineyard and do his work. He told him not to go and told his second son to go to the vineyard to work. There is a parable of whether or not we have done it. Jesus answered this to the priests and scribes, and they replied that "the second" did the will of the Father.

A little more, the parable of Jesus is that Jesus tried to eat fruit from the fig tree that was rich in leaves, but not yet the fig, but the fruit, but Jesus led the curse of the tree to dry and die In the answers of the priests and scribes, Jesus replied, "Prostitutes and tax collectors will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before you."

What does this parable have to do with the law? First, figs are the tree of Israel. Therefore, the fact that figs are leafless means that it is abundant to keep the law. But there is no fruit. Jesus is hungry, but figs are not angry and cursed because they have no fruit. The Jews keep the law, but God has said that the righteousness which God gave the law is abandoned. It was a whitewashed grave.

The folly of the disputes with Jesus and the religious leaders of the time and the rebuke of Jesus is seen as a folk theology and a struggle for social justice. They will be more reproved than the priests, Pharisees, and scribes of Jesus' day. It is because the people of the time of Jesus did not turn away the intentions of the law and look at the behavior of Jesus just as they were reproved and reproved.

When Jesus heard that his first and second son had been told by his father to go to the vineyard to work, the first said he would go and the second said he would not go, but went. The Father's righteousness was not in hearing the answer, but in going to the vineyard. The law is like that. The law is not about keeping the act, but because it has a heart that can not but come out of it. What we expect from a fig tree is not a fruitful branch.

The apostle Paul said that the commandments 6,7,8,10 and the other commandments of the Ten Commandments are all contained in "love thy neighbor as thyself". It is like the leaf of a tree, the stem, the branch, and the fruit all in its seed. When God's love is in man, all the commandments are expressed naturally, and they are preserved if they appear, as the seed sprouts, and the tree becomes the stem, the branch, the leaf, and the fruit open.

The apostle Paul preached in Romans 12 that the words that begin with "There is no lie in love," the words, or the Ten Commandments, and all other commandments are the same. Therefore, we are to be the one who keeps all the commandments if God's love is in us and we treat him with love. And the love of God is life in us, so the nature of life must be expressed out, and the nature of life expressed is the shape of love that people know, and it is the Bible.

As to what love is, as we continue to speak in the preceding writings, the love the Bible speaks means that we know the meaning of being and that it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in its own right. Lovers and friends are all just meaningful relationships,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taking care of money, honor, or mutual benefit among many.

As such,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and serious problem for all life, can not be understood by people who do not choose their own life. It is the love that God, who created us, And the love of God is grace because it can not be done by man. So, just as a friend or a lover does not have a guarantee for the interests of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s not a relationship that God cares for what people eat and live. That is, a person can not be made righteous before God.

Therefore, knowing what a person is love is knowing that it can not be done before God in terms of an act or condition, and a person who knows it can not see a person in appearance. And the person who knows the love also has the nature of life that God has given to him. He who is treated as a man by the nature of life, also seeing it, he knows his purpose and meaning as a life. And that love is like Jesus coming to earth and making us know the meaning of our existence, so the person who lives it is the Son of God and the person with the character of Christ.

Then he is the one who has fulfilled the Bible and all the law as Jesus was the perfection of the law. If it is not so, then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in Jesus, and faith, not this, is hard and hard, and in the end, "Lord! Lord! "But God does not know that He has no choice but to do. Because such faith is different from God's righteousness, will, and identity.

So all these Bible words are why God made Himself, that knowing one is complete, it is done, it is to keep it, and it is to keep the Bible without omission of one point. It is the fulfillment of the law and the Bible, that the love God has revealed to us in the purpose of existence has appeared in Christ, and that those who love him also have come out and treated man, and that the world has been treate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3:8-14) 율법의 완성(1)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29. 23:35 Writer : 김홍덕

바울 사도가 로마서를 기록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로마에 있는 교회에 대한 소망을 전하고자 함이고, 그 안에서 로마 교회가 당면한 문제이자 이방인에게 전도하고 있는 바울 사도에게 있어 정말로 끊임없는 문제, 곧 복음이 은혜로 된 것이라는 것을 전하는 것에 있습니다. 복음이 은혜로 된 것이라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나 어떤 종교적인 삶의 모습도 모두 하나님의 은혜에서 시작된 것이지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므로 하나님께서 그 행위나 조건에 반응하시므로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시고자 한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가 이 로마서를 읽고 묵상하게 된 것은 바울 사도가 로마에 있는 성도들에게 편지하면서 전하고자 한 내용을 오늘을 사는 사람들 역시 들어야 하는 말씀이기에 하나님께서 성경으로 오늘 우리가 읽도록 경영하신 것입니다. 만약 오늘날 사람들이 신앙생활을 함에 있어서 육신의 어떤 조건으로도 하나님 앞에서 의로울 수 없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다면 장담하건데 로마서는 오늘 우리에게 성경으로 주어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정말로 중점적으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사람이 행위의 공로나 소유를 드림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것을 전하고자 함에 있어 율법이라는 것을 인용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율법이란 하나님이 주신 의도와 다르게 행위로 지키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진다고 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고 전부라고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바울이 의도한 그 율법의 자리에 오늘날은 성경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성경에 나오는 말씀을 문자 그대로 지켜야 하나님 앞에 의로워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울 사도는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정말로 간절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이것은 바울 사도만의 간절함이 아닙니다. 이것은 모든 사도들의 간절함이고, 무엇보다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간절함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바리새인들을 책망하신 것이 그것이고, 사도들이 그렇게 전하고자 한 것이 그것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성경으로 전하고 또 목숨을 드려가며 전했건만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지켜서 의로워지려고 하고 있으니 참으로 개탄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성경 곳곳에 방향성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방향이라고 하는 것은 의의 시작이 어디며 그 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방향입니다. 이 로마서 11장에서와 요한사도의 요한일서 4장에서도 그것을 볼 수 있습니다.

누가 주께 먼저 드려서 갚으심을 받겠느뇨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롬 11:35-36)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위하여 화목제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니라(요일 4:10)


특별히 사도 바울은 사람이 먼저 하나님께 드림으로 하나님께서 그것을 갚으시게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고 있습니다. 그럴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은혜라는 말도 그 의미가 사람으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것이 사람에게 일어난 것입니다. 사람이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인데 그것이 일어나도록 사람이 먼저 무엇을 할 수 있겠습니까?


그런데 지금도 사람들은 자기들의 행위가 하나님을 움직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벽기도회를 가고 성경을 많이 읽고 금식기도하고 교회에서 하는 봉사에 열심히 하면 하나님께서 그것을 보시고 복을 주신다고 여깁니다. 더 한심한 것은 그런 수고로 기대하는 복 조차 육신이 이 땅에서 살 동안 누릴 부귀영화와 안녕에 관한 것입니다. 기도를 열심히 해야 사탄의 역사(육신의 삶에 불행한 일)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헌금을 많이 하고 봉사하고 착하게 살아야 또 하나님께서 육신의 삶을 돌보아서 자신도 도움을 얻어 육신이 도모하는 일들이 잘 될 것이라고 믿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참으로 하나님을 진노케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나님을 진노하게 하는 일은 한계가 분명합니다. 사람이 행동으로 성경을 지키는 것은 몇 가지만 해 보면 바로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이런 것을 하나님이 우리에게 지키라고 했다고?’라는 의문을 가져야 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어이없게도 ‘잘 안 되는구나! 이건 내가 믿음이 없어서야, 그러니 더 열심히 해야지’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예수님 당시에도 바리새인들이 율법을 몸으로 지켜내려고 그야말로 사력을 다했습니다. 그랬기에 그들은 그런 노력을 하지 않는 창녀나 세리와 같은 자들을 하나님 앞에서 죄인이라고 심판하고 정죄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이렇게 말씀을 하신 것입니다. ‘모세는 너희에게 간음하지 말라 하였으나 여자를 보고 마음으로 음란한 생각을 한 사람은 모두 간음한 것이다.’라고 일침을 놓으신 것입니다. 


사람이 젊은 날에 이성을 보고서 성적인 상상과 기대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만약에 그렇다면 그것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사람들에게 그런 성욕을 주셨는데 하나님의 본체시자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사람들이 가진 성욕만으로 율법을 어겼다고 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예수님께서 인간이란 존재가 간음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이 아닙니다. 간음하지 않는 것은 그렇게 지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바리새인들이 창녀를 가까이 하지 않고 경건하게 살려고 노력하는 것이 율법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이런 예수님의 의도, 아니 본성은 끊임없이 유대인들 중에서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기 위하여 사력을 다하는 사람들과 끊임없이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안식일입니다. 성경을 읽으면 때로는 예수님께서 의도적으로 유대교의 종교지도자들과 마찰을 일으키고 심지어 그들을 약 올리려고 작정한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의 모습을 보이십니다. 아니 일주일이 7일인데 하필이면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시고, 그것도 모자라서 “네 죄가 사하여졌도다.”라고 말씀을 하시니 유대인들은 그야말로 돌아버릴 지경이었을 것입니다. 그리고는 끝으로 카운트 한 방을 날리셨는데 “내가 안식일의 주인이다.”, “내가 율법을 완성시키러 왔다.”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러니 이건 뭐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지경이 된 것입니다.


그러면 예수님은 왜 그러신 것일까요? 정말로 약 올리시려고, 비꼬고, 비난하기 위함이었을까요? 그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그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정말로 안식일의 주인이고, 사랑의 주님이시니 바울 사도의 말씀과 같이 율법을 완성하신 것이고, 무엇보다 그런 예수님의 본성과 정체성이 표현이 되다보니 안식일에도 병자를 고치신 것입니다. 그런데 안식일을 행위로 지켜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눈에는 방향이 반대이다 보니 예수님의 모습이 율법을 파괴하는 것으로 보인 것입니다. 오른 나사를 왼쪽으로 돌려야 한다고 우기는 사람에게 오른쪽으로 본성대로 돌리는 것은 파괴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쯤 되니 유대인들은 정말로 예수님을 살려둘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예수님을 죽이기로 했습니다. 그들이 가진 하나님을 섬기는 의로움에 세상의 권력을 입혀서 예수님을 체포하고 십자가에 못 박았습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이 과정에서 아무런 항거도 하지 않았습니다. 마치 일부러 참으며 퍼포먼스를 하는 것처럼. 그 이전까지 바다 위를 걷고 죽은 자를 살리던 능력은 어디에 두고 그야말로 털 깎는 자 앞의 어린 양과 같이 끌려가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하신 것은 퍼포먼스가 아닙니다. 십자가라는 극적 효과를 위하여 참으신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예수님 안에 있는 그리스도라는 본성, 하나님의 말씀(예수님은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 생명으로 있다 보니 그 생명의 본성에 이끌리신 것입니다. 그것은 어쩔 수가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육신으로 주신 모든 인생들이 원래 하나님께 부여 받은 존재의 본성이 그것이기 때문에 그 회복되어야 할 본성을 보이시기 위하여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은 당연히 그 본성의 본체이시니 그 본성이 예수님을 십자가로 이끄신 것입니다.


그것을 알기에 바울 사도는 예수님께서 권력에 굴복하신 것을 본 받아 성도들에게 권력자들에게 본받으라고 했고, 하나님께 원수가 되는 생각 앞에서 원수를 갚지 말라고 하셨으며, 사랑 곧 존재의 의미를 알게 하는 것만이 우리가 존재하는 목적 안에서 우리가 가진 존재의 빚이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이것이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로마서의 흐름인 것입니다.


(계속)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3: 8-14) Completion of the Law (1)


The reason why Paul wrote the book is that he basically wants to convey the hope of the church in Rome, and the problem that the Roman church faces in it, and to the apostle Paul, who is preaching to the Gentiles, And that it is what happened. To say that the gospel is made by grace means that faith in God and the appearance of any religious life all begin with the grace of God and that man is not given to man because he acts in response to God's actions or conditions It is one.


And today we read and meditate on this Romans that Paul wrote to the saints in Rome and told them what they would like to hear today, so that God would run the Bible for us to read today . If we all know that today people can not be righteous before God in any condition of the body in the practice of faith, Romans will not be given to us today as the Bible.


What the Apostle Paul really wants to emphasize is that a person does not come before God by giving the merit or possession of an act. In quoting it, I quoted it as a law. This is because the law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nd all-thinking things people think to be in front of God if they are kept in action unlike God's intentions. And today the Bible is in the place of Paul's intended law. This is because people think that if they keep the words in the Bible literally, they will be righteous before God.


But the Apostle Paul is really eager to say that it is not. Moreover, this is not Paul's sincere desire. This is the sincerity of all the apostles, above all, the eagerness of God and Jesus Christ. That's what Jesus did to reprove the Pharisees, and that's what the apostles wanted to do. But now, many people are trying to be righteous by protecting the Bible, and it is indeed deplorable.


There are clear directions all over the Bible.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where the beginning of the meaning and how it appears. This can be seen in Romans 11 and in John 4 of John the Apostle.

 “Who has ever given to God, that God should repay them?” For from him and through him and for him are all things. To him be the glory forever! Amen.  (Romans 11: 35-36)

This is love: not that we loved God, but that he loved us and sent his Son as an atoning sacrifice for our sins. (1 John 4:10)


In particular, the Apostle Paul asks whether God can give it back to man by giving it to God first. I can not do that. The word "grace", which we commonly use, has happened to man, whose meaning can not possibly be done by man. What can man do first, that it can not be done?


But now people still think that their actions will move God. If you go to the morning prayer meeting, read a lot of Bible, fast and pray, and do your best to serve in the church, God will see it and bless you. What is more pathetic is that the devotion to expect from such hard work is about the rich movie and goodbye that the flesh will enjoy while living on this earth. I think that prayer should be done hard so that there will be no Satan's work (unfortunate thing in the life of the flesh), and that there should be a lot of offering and service and good living. God also takes care of the physical life, It is believed to be. This is indeed angering God.


It is clear that there is a limit to making God so angry. One can see that if a person keeps the Bible in action, only a few things can not be guarded. Then we should ask the question, 'Did God tell us to keep these things to us?' But people are saying 'No! This is because I do not have faith, so I have to work harder. '


Even at the time of Jesus, the Pharisees had done their best to preserve the law. So they judged and condemned those who did not make such efforts as prostitutes or tax collectors before God. So Jesus said to them: 'Moses said,' Do not commit adultery on you, but every one who has seen a woman and has made an impious thought with a heart has committed adultery. '


When a person sees reason on a young day, he can not help but to have sexual imagination and expectation. If so, it is to be treated at the hospital. But Jesus said so. God has given people such libel that Jesus, the Body and Son of God, has broken the law with the lusts of men. But it does not mean that Jesus can not avoid adultery. To not commit adultery is to say that it is not so. The Pharisees said that trying to live godlessly instead of near a prostitute does not keep the law.


These intentions, or natures, of Jesus constantly clash with those who do their best to keep the commandments of God among the Jew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m is the Sabbath. Reading the Bible sometimes shows that Jesus intentionally rubs against religious leaders of Judaism and even tries to raise them. No, seven days a week, he healed the sick on the Sabbath day, and because it was too short, he said, "Your sins have been forgiven." The Jews would have turned away. Finally, he sent out a counted room, saying, "I am the owner of the Sabbath day." "I came to complete the law." So, this is something that can not be forgiven.


Then why would Jesus do that? Was it really for the sake of raising, cursing, blaming? That is not it. Jesus said that because it is true. Jesus really is the master of the Sabbath, the Lord of love. He has completed the law as the apostle Paul said, and above all, the nature and identity of Jesus is expressed, so he healed the Sabbath. However, the direction of those who think that they should keep the Sabbath by their actions is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appearance of Jesus seems to destroy the law. Turning the right screw to the left is a destructive thing to the right person to the right winger.


By that time the Jews could not really keep Jesus alive. So they decided to kill Jesus. They put Jesus on the cross and crucified Jesus with the power of the world in righteousness to serve their God. However, Jesus did not protest in this process. It's as if you are intent on doing something. Until then, the ability to walk on the sea and raise the dead has been brought along with the lamb in front of the shearer.


It is not the performance Jesus did. It is not for the dramatic effect of the cross. It is the nature of Christ in Jesus, and the Word of God (Jesus is the flesh of the Word), which, in life, is drawn to the nature of life. It can not be helped. Jesus, who came to this earth to show the nature to be restored because of the nature of all the lives God gave to the Father in the flesh, is naturally the body of that nature, of course, is.


Knowing this, the apostle Paul, following Jesus' surrender to power, told the Saints to imitate the powers and to refrain from paying the enemy before the thought of being an enemy to God, and only to know the meaning of love, It is the debt of our being in existence for the purpose. This is the flow of the Romans as Paul's apostle speaks.


(continu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