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라(롬 14:8)


유명한 말씀입니다. 이 말씀을 생각하면 우리 신앙의 결연한 의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많이 사용합니다만, 정작 이 말씀은 교회 안에서 믿음이 약한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는 말씀 가운데 있는 말씀입니다. 믿음이 없는 사람이나, 단단한 음식을 먹는 사람이나 모두 그 주인이 하나님이라는 말씀으로 이어지는 말씀입니다.


그런 측면을 안다면 이 말씀을 한 바울 사도의 의도는 다름이 아니라, 믿음이 약한 자나, 의심하는 자나, 단단한 음식을 먹을 정도로 장성한 사람이나 모두 다 주를 위하여 살고 죽는다는 말씀을 하시고자 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믿음이 약한 사람이나 장성한 사람이나 모두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뜻하신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는 사람이니 판단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믿음이 약한 자나 장성한 사람이나 다 주의 의도대로 살아가는, 그 주인이 하나님인 사람이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믿음이 약한 자를 비난하지 않는 것은 단순한 관용의 문제가 아닙니다. ‘아 저 사람 믿음이 약해서 저렇고 의심이 많구나! 내가 참아야지.’라는 마음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믿음이 약한 사람이 믿음이 약한 것은 그 믿음의 분량이 다르기 때문일 수 있고, 또 하나는 그 시절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여름 과일을 봄에 먹을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이라도 그 사람을 경영하시는 주권은 하나님께 있다는 것입니다.


주권에 관해서는 다윗 왕이 하나님께 버림받은 사울 왕과 전쟁을 하면서 사울 왕을 죽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그 경영을 하나님께 맡기고 자신이 직접 하나님께서 버린 사울 왕을 처벌하지 않은 일을 교훈 삼으면 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제자들을 전도 보내시면서 집에 들어가서 복음을 전하여 듣지 않으면 나와서 발의 먼지를 털고 다른 곳으로 가라고 하셨지 그 집을 저주하거나 불살라 버리라고 하시지 않으심도 그 때문입니다.


이러한 주권의 문제는 앞선 13장에서 바울 사도가 세상의 권세자들에게 복종하라는 말씀으로도 말씀하였습니다. 세상의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주권 아래 있다는 것을 알면 세상의 모든 경영에서 하나님께서 뜻하신 것을 볼 수 있고, 그런 안목이 있다면 교회 안에 있는 지체들 역시 그 믿음의 분량에 대하여, 그 생명의 시절에 관하여 하나님께서 주관하시니 모든 사람은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 가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교회에서는 그런 모습을 볼 수 없고, 오히려 믿음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하나님 앞에 죄인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각 분량대로 주신 믿음의 분량으로 인하여 죄인이 되는 어이없는 상황을 보게 되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에 대하여 교회가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성경에 대하여 궁금하고 또 의심하는 사람들의 궁금함과 의심을 “보지 않고 믿어라”고 하거나 “목사님 말씀이나 성경에 대하여 의심하면 안 된다(큰일 난다)”식의 답을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의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의를 알면 알려고 하지 말라고 숨길 것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등잔불을 말 아래 두지 않고 등경 위에 둔다고 하신 것과 같이 드러내어 말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러 가지 변명을 하긴 하겠지만 모르니까 의심하는 사람의 의문을 풀어주지 못하는 것이고, 하나님을 모르니 믿음의 분량이 다름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집에 있는 가재도구들을 예로 들어 본다면 집에 있는 가재도구들은 모두 그 용도와 재질과 생김새가 다릅니다. 동일하게 철로 만들어졌어도 망치와 칼은 용도가 다릅니다. 만약 누군가가 집 안에 있는 철은 모두 어떠해야 한다는 기준을 정한다면 망치나 칼 둘 중에 하나 혹은 둘 다 비판을 받을 것입니다. 사람이 자기가 사는 환경에 대하여는 그 다름을 누리면서 하나님께서 그 성품과 의를 나타내시기 위하여 만드신 사람의 다양함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예수님의 비유에 나오는 일만 달란트를 탕감 받고 돌아가는 길에 백데나리온 빚진 친구의 빚을 탕감해 주지 않은 사람의 모습과 같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정으로 하나님의 의를 아는 사람은 사람의 다양함을 또 믿음 없음을 비난하지 않습니다. 믿음 없음과 의심하는 자 그리고 단단한 음식을 먹지 못하는 사람들이라고 할지라도 그 마음에 하나님이 자신의 존재 의미와 목적이라는 믿음이 있어 생명이 같은 형제로 함께 하고 있다면 그 속에 속한 이는 누구라도 다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살고, 또 하나님의 의를 위하여 죽기도 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을 믿는 믿음을 가지고 공동체를 누리고 함께하는 것에 있어 기본입니다. 아니 이것이 될 때 공동체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공동체 안에 믿음이 약한 자가 본으로 삼을 만한 십자가를 진 삶은 없는데 믿음 없음을 비난하고 의심하는 자의 의심을 해결할 말씀과 삶이 없다면 그곳은 하나님의 의가 다스리는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가진 공동체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진정으로 하나님의 의를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건물이 교회인 조직체 교회들을 떠나는 것입니다.


믿음 약한 자를 용납하는 것, 그것은 모든 사람에게 주신 하나님의 분량이 다름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님 성품의 풍성하고 다양함을 아는 것입니다. 그것을 아는 사람은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사람의 삶이 크거나 작거나 무관하게 그 삶의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아는 것고, 또한 그 사람들은 어느 누구 하나 예외 없이 사나 죽으나 주를 위하여, 주님을 표현하는 삶을 사는 것임을 아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4: 1-12) People who live and die for the Lord


If we live, we live for the Lord; and if we die, we die for the Lord. So, whether we live or die, we belong to the Lord.(Romans 14: 8)


It is famous. If we think about these words, we often use them to express our determined will of our faith, but it is in the words of the word that we should not judge people with weak faith in the church. It is the word that leads to the word that God is the Lord, or the man who has no faith or who eats solid food.


If you know that aspect, it is not the intention of the apostle Paul who said this, but that he intended to live and die for the Lord, all who are weak in faith, doubters, and those who have grown up to eat hard food. There is. That is to say, a man of weak faith, or a man of great bread, should not judge because he is a person who lives to express the character of God that God has given to man. For the faithful and the elderly are all saying that the Lord is the one who lives according to the intent of the Lord, and whose master is God.


It is not a matter of simple tolerance to not blame the weaker. 'Ah, the faith of man is weak, and there are many doubts! It's not a problem that is solved with the mind that 'I have to endure.' The weaker the faith, the weaker the faith may be because the amount of faith is different, and one may not be the time. It is like summer fruit can not be eaten in spring. And for whatever reason, the sovereignty of man is to God.


Regarding sovereignty, King David had a chance to kill King Saul by fighting with King Saul who had been cast out by God, but if he did not punish Saul, I will. Jesus also sent his disciples to evangelize, and when he went into the house and preached the gospel, he came out and shook off the dust of his feet and told him to go elsewhere. He did not want to curse or burn the house.


This question of sovereignty was also mentioned in the preceding chapter by the apostle Paul to obey the authorities of the world. If we know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s under God's sovereignty, we can see God's will in all management of the world, and if there is such an eye, the members in the church will also know about the amount of faith, All that is required is to take his cross and follow Jesus.


But if we can not see such a thing in the church, and if it does not meet the standard of faith, we will see the strange situation of becoming a sinner because of the amount of faith God has given to us, Because the church does not know about the sovereignty of Also, to answer questions such as "Believe without seeing" the wonder and doubt of those who are curious and doubtful about the Bible, or "Do not doubt the word of the pastor or the Bible" because of.


If we know the righteousness of God, we will not hide ourselves from knowing it, but we will reveal it as Jesus said, "We will not put the lamps under the horses and put them on the hill." We will make various excuses, but we can not solve the question of the doubter, we do not know God, and we do not know that the amount of faith is different.


For example, household items in the home have different uses, materials and appearance. The hammer and knife have different uses, even if they are made of iron. If someone sets the standard for what iron is in the house, one or both of the hammer and the sword will be criticized. As for the environment in which man lives, he can not acknowledge the diversity of the person God has made to manifest his character and righteousness. It is a friend who owes a hundred denarius on his way back from forgiveness of the ten talents of Jesus' It is like the figure of person who did not forgive debt of.


Therefore, those who truly know the righteousness of God do not condemn the diversity of man nor the lack of faith. If there is a belief that God is the meaning and purpose of his existence, and that life is with the same brother, even though it may be without faith and those who can not eat solid food, And to die for the righteousness of God.


This is fundamental to enjoying and enjoying community with faith in God. No, this is when you become a community. Therefore, there is no life in the community where the faith is weak, so that the weak can not be made a model. If there is no word or life to resolve the doubt of the doubter, there is no community with the image of the kingdom of God. That is why those who really wonder about God's righteousness leave the churches of the organized churches where the church is a church.


Faith To tolerate the weak, it is to acknowledge that the amount of God given to all is different. And it is to know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God's character. The person who knows it knows that the life of a person who expresses God's righteousness is big or small regardless of whether the owner of the life is God or who lives and exiles without exception, It is to know that it is to liv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전반을 통하여 하나님을 믿는 믿음과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것은 사람의 행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씀을 계속 해 오고 있습니다. 믿음도 행위가 아니요 의로움도 행의가 아닌 것입니다. 믿음은 은혜로 주신 것이고, 행위는 그 주신 믿음이 생명이 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믿음이 주신 것이라는 것은 하나님께서 보내신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달리신 것을 우리가 듣고 볼 때에 그 모습이 우리 안에 들어오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믿음인 것입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그를 볼 때에 우리 마음에 하나님께서 은혜를 주사 성령으로 그것이 우리 안에서 생명이 되게 하시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장대에 달린 놋 뱀을 보듯,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보고, 그 보이신 의도가 내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것뿐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믿음이고 은혜고 의로움인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믿음일진데, 교회 안에서 그 믿음을 가진 사람들의 행위가 서로에게 걸림이 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물론 사람이 자기 맘대로 살아가면 그로 인하여 주변 사람들이 불편하고 때로 손해를 입습니다. 차려놓은 음식을 먹기만 하고, 또 따로 누구를 위하여 잘 챙겨둔 음식을 먹어버리기도 하고, 남들 봉사하고 수고하는 시간에는 오지 않거나 놀다가 수고했다고 차려 놓은 식탁에서만 먹는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교회에서는 그런 사람들을 믿음이 없는 부류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얌체 같은 사람이 있으면 분명히 누군가는 수고를 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모여서 음식을 먹었으니 치우고 씻어야 할 것이고, 또 먹으려면 차려야 할 것입니다. 어쨌거나 사람들이 모이면 이런 저런 수고를 해야 할 일들이 쌓이기 마련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누구는 하고 누구는 하지 않는 일이 생깁니다. 그리고 언제나 일 하는 사람은 하고, 일 하지 않는 사람은 또 늘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이것이 갈등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런 것을 고치려고 훈계를 하고, 자기가 불편하고 언짢으니 비판을 합니다. 그러나 바로 여기에 십자가가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수고해야 할 일을 어떤 이는 수고하고, 어떤 이는 얌체 같이 누리기만 합니다. 그때 수고하는 이의 모습이 바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모습입니다. 육신을 드려서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신 그리스도의 모습과 같이 자기 육신으로 수고해내는 것입니다. 단 그 수고가 ‘그렇게 해야 복을 받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본성이 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자기 안에서 생명이 되었기에 그 수고를 감당할 수밖에 없는 심령을 가진 사람의 삶이 바로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 가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바울 사도가 성도의 믿음 없음을 비판하지 말라고 한 것이 어떤 의미인지 깊이 밝혀집니다. 그리스도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되어 있는 사람, 사람의 행위나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사람은 수고해야 할 일이 보이면 수고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을 수고하는 사람, 그렇게 그리스도의 생명을 가진 사람은 성도가 믿음 없음을 비판할 수가 없습니다. 자기 안에 있는 생명이 비판을 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수고하게 하는데 언제 비판을 하겠습니까?


그렇게 수고하는 사람이 보이는 삶을 본 믿음이 없는 사람은 세상의 관점에서 볼 때 오랜 시간이 걸릴지 모르지만 그 모습이 다시 자기 안에 심겨서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고, 그 돌아봄이 다시 자신이 본 사람의 모습과 같이, 또한 그 사람이 그렇게 살 수밖에 없게 한 그리스도의 영이 다시 자기의 영이 되어서 어느 순간 먹기만 하던 사람이 치우기도 하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전도고 생육하고 번성하는 것입니다.


돌아보면 그리스도의 일이 바로 그러했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를 본 제자들이 자기 안에 심겨진 그리스도의 영상과 말씀이 어느 순간 자기 생명이 되어 도무지 부인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자기 안에 부인할 수 없는 생명이 잉태되어 자기의 삶을 주관하니 자신들이 그 본성을 이길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육신을 소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자기 안에서 생명이 된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이 이끄는 삶에 자기 육신과 삶을 소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소비가 때로는 함축적으로 순간적인 순교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랬더니 그런 제자들의 모습을 본 사람들이 또한 제자들이 예수님의 모습을 보고서 그 본 모습이 자기 안에서 생명이 되어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보내신 의가 생명이 되어 살았던 것 같이, 제자들의 모습을 본 사람들은 또 그렇게 살게 되었습니다. 제자들의 모습을 본 사람들에게는 예수님의 제자들과 사도들이 자기 안에서 그리스도와 같은 존재였습니다. 자신에게 하나님의 의를 전하는 또 하나의 말씀이 된 육신이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또 그렇게 그렇게 복음이 오늘에 이르기 까지 전해졌습니다. 한 사람이 하나님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되는 그리스도의 삶을 살아내니 그것을 본 사람이 그 사람을 그리스도로 받아 자신도 그렇게 살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생명의 번성함은 언제나 육신을 소비해 가는 삶으로 이어졌습니다. 그것을 비판하지 않았습니다. 아니 그럴 수 없는 것입니다. 자기의 삶을 비판해야할 일이 스스로 뉘우쳐지도록 살아낼 수밖에 없는 본성을 가졌는데 비판할 여가가 없었던 것입니다. 오로지 그렇게 살아낼 뿐.


그렇게 수고를 감당해가는 사람들에게는 믿음이 연약하여 자기 분량으로 감당하지 못하는 일이 있는 이들이 비판의 대상이 아닙니다. 아직 믿음이 약하기에 교회에 와서 놀기만 하는 사람들의 행동이 비판할 것이 아니라, 사랑의 대상인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그리스도의 본성을 가진 사람들은 각양의 분량을 가진 이들의 다양함이 풍성함이기에 그 풍성함을 누립니다. 믿음이 약하여 아직 채소 밖에 벅을 수 없는 이들을 위해서는 자신이 수고하고, 또 그런 수고에 지친 자신은 자신보다 큰 믿음의 분량을 가지 이들에게 안식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교제고 그런 모습이 잘 어우러진 곳이 바로 진정한 교회인 것입니다.


이렇게 진정한 공동체 안에는 절대적인 용납이 있습니다. 그 사람의 믿음의 분량이 어떠하든, 그 사람이 아직 믿음이 약하여 의심이 가득하든 간에, 그 사람 안에 <예수는 그리스도>라는 고백이 단 1%만 있어도 형제라는 것이 용납된다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전하고 있는 이 말씀들은 거리에 있는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가 아니라 형제 곧 생명이 같은 이들을 대하는 것에 관한 말씀입니다.


형제라는 것은 생명이 같다는 것입니다. 이는 생명의 크고 작음으로 대우가 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동생이 되려면 나이 차이가 4살 이내여야 한다는 것과 같은 규칙은 없습니다. 따라서 믿음 안에서 같은 생명을 가지고 있다면 다 형제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사람의 분량이 아직은 그저 말로만 고백하는 수준이거나, 또 아직은 자기의 성격이나 본성대로 예수를 믿고 있을지라도 그 사람이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고백이 자기 안에 있기에 교회를 찾아 예배드리려고 와서 앉아 있다면 그 사람은 평안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믿음이 없고 의심이 있는 사람이 교회에 와서 먹기만 하고 치우지는 않고 있는데 평안하려면 그 사람이 같은 생명을 가진 형제로 대하고 수고하고 섬기는 사람이 없다면 불가능한 것입니다. 교회에 가면 믿음이 없음이 눈치 보이고 마음에 의심이 드는 것을 묻지도 못하고 답해주는 사람이 없다면 교회가 아닌 것입니다. 더욱이 비판하는 사람이 있다면, 오랫동안 자기들과 믿음을 같이 한 사람의 어떤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심판한다면 그것은 이미 타락할 대로 타락한 교회인 것입니다. 아니 그건 교회가 아닙니다. 그냥 단체나 계모임일 뿐입니다.


바울 사도는 각 사람이 하나님께 받은 믿음의 분량이 다르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생명은 그 시절과 연한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생명을 인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생명은 년차에 따라 그 기대하는 바가 다르지만, 전자제품은 처음 산 새 것이나 5년된 것이나 기대하는 기능이 동일한 것이 그것입니다. 이것을 알라고 하는 것은 태도나 행동을 그렇게 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생명이 되라는 것입니다. 자신이 생명이 아닌데, 분량와 자람이 다른 생명을 이해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자동차가 초보자와 30년된 숙련된 운전자에 따라 기능이 다르게 스스로 작동하지는 않지 않습니까?


그러므로 바울 사도는 로마서 전체를 통하여 말씀해오고 있는 바, 생명이 자기 안에 있어 그 생명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나님께서 각 사람에게 주신 분량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 말씀이 어떤 의미이겠습니까? 바로 그런 생명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예수 그리스도가 자기 생명이 된 사람이라면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단 1%의 고백만 있다면 서로를 섬기고 육신을 소비하여 수고하는 삶을 살게 될 것임을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형제의 삶의 어떠함을 보고 비판 같은 것은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4: 1-12) Only the confession that Jesus is the Christ ...


Throughout the Romans, I have continued to say that faith in God and what God justifies are not in man's actions. Faith is not act, but righteousness is not act. Faith is given by grace, and act is manifestation of the faith that is given. It is because faith is given that when we hear that the Son of God, Jesus Christ, has been crucified, he will come into us when we see him. That is faith. When we see Him who is crucified, God gives grace to our hearts and that with the Holy Spirit it is life in us. So all we can do is to see the crucified Jesus Christ, to see the bronze serpent on the pole, and to let the intentions of God come into me. It is our faith, grace, and righteousness.


It is our faith, and it is impossible for the actions of those who have faith in the church to become a hindrance to one another. Of course, when people live their own way, people around them are uncomfortable and sometimes harmed. There may be people who eat only the food that they have prepared, eat food that they have taken care of for others, eat only at the table that they have not come to during their time of service and hard work, or that they have worked hard. I think the church is a kind of unbelief.


If there is such a foolish person, surely someone should do their best. People gathered and ate the food, so it would have to be cleaned and washed, and it would have to be cooked to eat. Anyway, when people are gathered, there is a lot of things to do. In such a situation, something happens and someone does not. And there are many people who do not always work, and people who do not work often do not. This is conflict. So people admonish themselves to fix things like this and criticize them for being uncomfortable and disgruntled. But it is here that there must be a cross.


Something to do the hard work, some to labor, some to enjoy just like a fool. It is Jesus' appearance on the cross. It is like working with the flesh of Christ, like the image of Christ who revealed the character of God by offering the flesh. D The life of a man with a soul that can not bear the burden of suffering because of the crucifixion of Jesus Christ, who became the nature, is not because he is blessed to do so. It is going to follow.


Then it is deeply revealed what it means for the Apostle Paul to refuse to criticize the believer's lack of faith. The righteousness of Christ is a person who is his life, a man who does not judge a man by the act or appearance of a man, but if he finds a thing to do, he will labor. Those who labors, and those who have the life of Christ, can not criticize the believer for lack of faith. When will life be criticized in order to make it work, not to criticize it?


The person who does not have the faith who has seen the life that looks like a person who does so may take a long time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ld, but the figure looks back on himself by being sown in him again, And the Spirit of Christ, which made the man so obliged to live, becomes his spirit again, so that at any moment the man who is eaten will be cleansed. This is evangelism, growth and prosperity.


Looking back, it was Christ's work. The vision and the words of Christ planted in the disciples who saw Jesus' crucifixion became a life of their own, and they were in a state where they could not deny it. In this way, life that can not be denied in self is conceived, and it controls their life, and they could not overcome that nature. So they began to consume the body. It began to consume its flesh and life in a life led by the nature of Jesus Christ, who became a life in himself. The consumption was sometimes momentarily martyred implicitly.


And those who saw the disciples saw that the disciples saw Jesus, and the image that they saw was life in him,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sent Jesus, as they were living, . To those who saw their disciples, Jesus' disciples and apostles were Christlike in themselves. It was the body that became another word to convey the righteousness of God to himself.


And so the gospel was passed down to this day. One person was living the life of Christ, the righteousness of God, who became his life. Such a prosperity of life has always led to a life that consumes the flesh. I did not criticize it. No it is not possible. I had a nature to live with so that I could criticize my own life, but I had no leisure to criticize. I only live like that.


For those who are suffering so much, those who are weak in faith and unable to bear in their own weight are not subject to criticism. Because the faith is still weak, the actions of those who only come to the church to play are not criticized, but are objects of love. And so those who have the nature of Christ enjoy the abundance because of the abundance of diversity of people of various sizes. For those who are weak in faith and can not fall asleep outside of the vegetable, they are restless to their own efforts and those who are tired of such efforts have a greater amount of faith than themselves. It is a true church where it is a good place to meet friends and such.


In this true community there is absolute acceptance. No matter what the amount of the person's faith is, if the person is still weak and doubtful, it is acceptable to be a brother even if only 1% of the confession of "Jesus is Christ" is in him.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are not about the people on the streets, but about their brothers, those who have the same life.


A brother is that life is the same. This is not a change in treatment because of the big and small of life. To become a sibling, there is no rule that age difference should be less than 4 years old. So if you have the same life in faith, you are all brothers. Therefore, if the amount of the person is still at the level of confessing the word yet, or yet believing in Jesus according to his personality or nature, if the man comes to worship and find a church because he is confessing that Jesus is the Christ, It should be peaceful.


It is impossible for a person who does not believe and has no doubt to come to the church to eat and not to remove it. Without peace, the person who treats him as a brother who has the same life, and who serves and serves. If you go to church and you do not have faith, you can not even ask what you see and doubt in your heart. Moreover, if there are some who criticize, if they judge that they do not like the image of a person who has been faithful with them for a long time, it is a fallen church that has already fallen. No it is not a church. It's just a group or a group meeting.


The apostle Paul said that each person had a different amount of faith in God. And life depends on the times and the years. To deny this is not to acknowledge life. Life expectancy varies according to year, but electronic products are the same as new ones or five years old but have the same expected functions. To know this is not to do with attitude or action. It is to be such a life. Because you are not a life, there is no way to understand life that is different from volume and growth. Does not the car function itself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ovice and the 30 year old skilled driver?


Therefore, the apostle Paul speaks throughout the book of Romans, saying that life is in himself and that life must be a person who expresses God's righteousness so that God can understand the amount he has given to each person. So what does this mean? That is to be such a life. So if Jesus Christ was his life, then only one percent of the confession of Jesus as Christ will serve to serve each other and consume the flesh and live a laboring life. It is because such a person can not see what his brother 's life is like and criticiz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람이라는 존재는 스스로 인생에 걸어 들어온 존재가 아닙니다. 그 삶의 모양이 어떠하든 스스로 이 인생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삶의 작은 한 부분이라도 선택할 수 있다면 누구나 비슷한 것을 선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인생이 그렇다는 것은 이 인생을 조성한 주인이 계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이 아니라고 믿더라도 적어도 인생이 그렇다는 것은 어떻게 부인할 수 없습니다.


많은 교회들이 하나님을 믿는 신앙의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니 등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여깁니다. 특히나 그 수준이라는 것이 놀라울 정도로 세상의 것과 간음한 상태입니다. 아닐 것 같지만 당장 어떤 교회나 서리집사가 되는 기준이 있습니다. 또 목사나 전도사를 청빙할 때 ‘말씀이 속에서 생수와 같이 넘쳐나는 분’ 이런 것 볼 수 없습니다. 학력이 어떻고 부목사 몇 년 이상 시무 등의 조건이 있습니다. 신앙의 조건이 아니라 세상적인 조건인데 더욱이 그것을 가지고 신앙의 조건과 등급을 삼고 있습니다.


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교회나 신앙이 좋다는 교회들은 교회를 마치 태릉선수촌과 같이 만들려고 합니다. 교회에 속한 모든 사람의 신앙을 자신들이 정한 어떤 수준으로 끌러 올려야만 하는 것처럼 여깁니다. 이런 마음이 없다면 믿음이 없는 사람, 의심하는 사람, 믿음이 약한 사람을 비난하지 말라는 14장 1절의 말씀을 할 리가 없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교회 안에서 사람들의 믿음을 비난하고 판단하는 것은 기준이 있어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그 기준이 자신의 것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다양한 모습과 성품과 능력으로 만드셨는데, 교회가 세속화되어 있다 보니 세상이 사람을 가늠하듯 믿음에 대하여 사람을 판단하고,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비난하고, 행여 기준을 넘어섰다 싶으면 공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성경을 읽는다는 이유로 성경을 훔칠 수 없듯, 좋은 신앙을 전하기 위하여 세상적인 판단과 가치관을 가져오면 안 되는데 이젠 모두가 그렇게 하는 것, 교회가 행사를 많이 하고 교인들을 많이 다그치면 좋은 교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면 바울 사도는 왜 이런 말씀을 했을까요? 그것은 이러한 말씀들이 로마서 전체를 통하여 전하고자 한 말씀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사람을 판단하려면 몇 가지 필수사항이 있어야 합니다. 먼저 사람을 만드신 이가 있다는 것에 대한 망각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기가 판단하는 사람은 자신이 만든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뜻하신 바를 가지고 세상에 보낸 사람인데 사람이 마치 자기의 것인 양 판단하는 과도한 용감함이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뭐라도 판단하고 비난하려면 기준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오늘 날 교회의 모습에 대하여 앞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이 지극히 세상적인 가치 방식에 의한 판단 기준이 있어 합니다. 그 둘 중에 어느 하나라도 없다면 사람이 사람의 믿음을 판단할 방법이 없는 것입니다.


특히나 이 판단 기준은 사람의 외모에 관한 것입니다. 만약에 사람은 하나님께서 그 뜻하신 바를 나타내시려 만든 존재라는 것을 안다면, 즉 사람의 외모나 나타난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중심을 보고, 사람의 존재 목적을 보며, 하나님의 풍성함과 다양함을 안다면 오히려 하나님을 찬양하고 사람을 존중할 것입니다. 그래서 앞서 바울 사도는 피차 사랑의 빚 외에는 아무 빚도 지지 말라고 한 것입니다. 서로가 서로의 존재 의미를 알고, 또 존재의 의미를 부여하는 일 외에는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는 많은 선택지 중에 다른 것은 억지로라도 참고 그것만 하라는 것이 아니라, 그것 밖에 모르는 존재가 되라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바울 사도가 로마서 전반을 통하여 말씀하고 있는 것, 사람이 행위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이어서 사람의 지체가 다양하듯 각양의 은혜 또한 다양하고 다르다는 것을 말씀하신 것이 바로 사람을 비판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말씀을 한 바울 사도가 형제들 즉 교회 안에 있는 지체들이 서로 믿음을 가지고 비판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이 사람의 외모로 판단하는 것으로 인함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에 대하여 바울 사도는 여러 가지 상황들을 성경에서 보여 줍니다. 예를 들어 할례 논쟁에 있어 디모데와 디도에게는 다른 태도를 보입니다. ‘디모데’에게는 할례(행 16:1-5)를 받게 했으나 ‘디도’에게는 억지로 받지 않게 했고(갈 2:1-4), ‘유스도’라는 할례당(할례를 받아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속한 사람을 전도 여행에 동행하였고(골 4:11), ‘오네시모’와 같이 믿음의 형제(빌레몬)를 배신한 적이 있는 사람(빌레몬서)을 위하여 자신이 그 손해를 다 감당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고, 자기 혈육 이스라엘을 위해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저주를 받아 끊어질 수도 있다고(롬 9:3) 했습니다.


바울 사도의 이러한 모습은 로마서 14장 전반부에 말씀으로 표현되었는데, 사람마다 감당할 수 있는 믿음의 분량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앞서 12장에서 하나님께서 그 사람에게 분량대로 주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각 사람이 가진 믿음의 분량을 사람이 세상에서 가져온 경쟁과 표준화의 기준에 의하여 비판하고 억지로 강권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주인이신 사람을 비난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서가 성경의 노른자라고 말하는 교회나 신학자들이 사람의 신앙을 어떤 선을 정하고 그 이상이 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신앙이나 믿음을 떠나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난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먼저 사람을 외모로 보는 것을 인함입니다. 많은 교회나 신앙인들이 자신은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않는다고 착각하는데, 하나님 앞에서 어떤 행위를 해야 벌을 받지 않는다고 여기고 있다면 다 사람을 외모로 보는 것입니다. 행동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을 인정받는 것이라고 여기는 눈에는 사람의 행동과 외모가 가치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의 이유는 세상의 가치 판단 기준이 교회에 들어와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교회가 타락한 명백한 증거이기도 한데, 그 타락의 총화가 바로 <세상에서 성공하면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놀라운 감언이설입니다. 세상에서 성공하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여긴다는 것은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것을 가늠하는 기준을 철저히 세상에서 가져오겠다는 것입니다. 세상의 기준과 가치관으로 볼 때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여기겠다는 것입니다.


그 세상의 기준은 경쟁에서 이겨 높은 자리로 올라가야 의롭고 선한 것입니다. 그래서 교회 안에서도 믿음을 경쟁의 기준으로 보고, 선행을 경쟁의 기준으로 보고, 세상에서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는 신분이나 재력이 있으면 더 좋다는 가치관을 가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돈 많은 사람이 장로가 되고, 성경을, 신앙을 학문으로 공부한 사람을 목사라 전도사라 하면 대접하고 세상적 경쟁력으로 청빙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들의 눈에 믿음 역시 경쟁의 기준이 되고, 경쟁이라는 세상의 기준에 따라 할 수 있는 대로 위로 위로 올라가야한다고 하고, 뒤로는 커트라인을 정해 놓고 ‘적어도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믿음의 경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믿음은 수동적인 것이고 은혜이기에 하나님께서 각 사람의 분량에 따라 주신 것인데, 그것을 표준화하고 경쟁시키고 등급화 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법을 개정하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 당신의 법은 틀렸으니 좀 고칩시다.’라고 하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믿음은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표현하시고자 하시는 뜻에 따라 각 사람에게 각양의 모양으로 분량으로 표현하신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에는 귀천도, 경중도 없습니다. 오직 순종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4: 1-12) To condemn man is to blame God.


The existence of a person is not a person who has walked in life by himself. No matter what the shape of life is, it is not that you have this life for yourself. If you can choose a small part of your life, everyone will choose something similar. The fact that life is so is that there is a master who created this life. Even if you believe that it is not God, at least you can not deny that life is so.

Many churches have a standard of faith in God. I have no rating. And it should be above a certain level. It is especially surprising that the level of the world and the state of adultery. It seems like it will not, but there is a standard to be a church or a deacon right now. Also, when you call pastors or evangelists, you can not see such things as 'The Word is overflowing with living water'. There are conditions such as the degree of education, the associate pastor more than a few years. It is not the condition of faith but the condition of the world, and moreover, it is the condition and grade of faith.

Also, churches where many people gather and churches where faith is good try to make the church like Taehneung Village. We regard the faith of all who belong to the Church to be raised to some level of their own. Without this kind of mind, there is no way to say in verse 14: 1 that you should not blame the unbeliever, the doubter, and the weak. In other words, criticizing and judging people's beliefs in the church is a standard.

The problem is that the standard is yours. God created man in various forms, in character, in power, in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as if the world judged a man against faith, as if he were a man, and if he did not meet the standards, he would condemn him. . Just as you can not steal the Bible because you are reading the Bible, you should not bring worldly judgments and values ​​to convey good faith. Now everyone is doing that. If the church is doing a lot of activities and the churches are full, it is becoming a good church. .

Then why did Paul say this? It is because these words coincide with the words which I would like to pass through the whole of Romans. In order for a person to judge a person, there must be some requisite. First, there must be a forgetting that there is a man who made man. The man who judges is not the man who made it, but the one who sent it to the world with what God meant, and the man must have the courage to judge him as if it were his own. Next, there must be a criterion to judge and criticize anything, and as it has been said before about the appearance of the church today, there is a criterion based on a very worldly way of value. Without either of them, there is no way for a person to judge a person's faith.

In particular, this criterion is about human appearance. If one knows that God is the creator of his purpose, not the appearance of man, but the center of man, the purpose of man's existence, and the richness and variety of God, We will praise and respect people. So the apostle Paul told me not to owe anything but the debt of love. Do not do it except to know the meaning of each other's existence and to give the meaning of existence to each other. It is a story that many of the options are not only to refer to others forcibly, but to become unknown.

It is the reason that Paul's apostle speaks throughout the book of Romans, that man is not set before God by works, and that man's grace is also diverse and different, There was no. The Apostle Paul who said that the brothers, the members in the church, criticize each other with faith is ultimately because of man's judgment of man's appearance.

In this regard, the Apostle Paul shows various situations in the Bible. For example, in the circumcision debate, Timothy and Titus have different attitudes. "Timothy" was given circumcision (Acts 16: 1-5). On the other hand, he did not forcibly receive Titus (Galatians 2: 1-4). He also accompanied the people of the circumcision (those who claim to be circumcised) called "Youth" on evangelism (Colossians 4:11). He has promised that he will pay for the loss of his brother (Philemon), like Onesimus (Philemon), and he may be cursed in Christ for his flesh and blood (Romans 9 : 3).

This view of the Apostle Paul was expressed in the first half of Romans 14, which means that there is a certain amount of faith that every man can afford. And this is what God gave to the man in the previous chapter, Therefore, criticizing and forcing the amount of each person's faith by the standards of competition and standardization that man brought from the world is to blame God's master.

Nonetheless, it is not common sense or belief that churches or theologians who say that Romans is the yolk of the Bible claim that man's faith should be above and above any good. The reason why the unintelligible thing happened is not the difference, but the first thing is to look at the person in appearance. Many churches and believers mistakenly think that they do not look at people in their own way. Anyone who thinks that they should not be punished for what they do before God is what they are looking at as a person. It is because the actions and appearance of people are the value standards in the eyes that action is recognized as righteousness before God.

Another reason is that the world's judging standards come into the church. This is also a clear evidence that the church has fallen, and the totalization of the fall is a remarkable change of attitude: "Glory to God if it succeeds in the world." If we succeed in the world, we will glorify God. That means that we will bring the world out of the world in order to measure the glory of God. If you can say that you have succeeded in terms of the standards and values ​​of the world, you will be glorified in God.

The standard of the world is to be won from the competition and ascend to the high place is righteous and good. So, in the church, it is better to have faith or power that sees faith as a standard of competition, good deeds as a standard of competition, and value in the world. That is why people who have a lot of money become elders, those who have studied the Bible, and those who have studied faith through academic work are called pastors and evangelists. So, in their eyes, faith is also the standard of competition, that it should go up as much as it can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world of competition, and then set a cut-line and say, 'At least this should be done.'

But it is not the object of competition of faith. Faith is passive and gracious, given by Go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ach person, standardizing, competing, and grading it is to amend God's law. That is to say, 'God, your law is wrong, let's fix it.' But faith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 variety of things to each person according to God's will to express his character. So, there is no earnest road, no hard work. Only obedience is all that is require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