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정말로 하나님께 헌금 해 보셨나요?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7. 2. 11. 14:30 Writer : 김홍덕

‘헌금’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일을 위하여 바친다는 것입니다. 그것의 원조는 십일조입니다. 아브라함 때에 ‘멜기세덱’이란 거룩한 제사장에게 아브라함이 전쟁을 이긴 후에 그 취한 것 중 십분의 일을 드린 것과, 이스라엘 지파 중에 레위 지파는 제사장 지파로서 땅을 분배받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지파에서 그 소산의 십분의 일을 바쳐 레위 지파의 소득이 되게 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하나님의 일과 교회의 행사를 위하여 제공된 것을 헌금 또는 연보라고 해 왔습니다.


지금도 헌금을 합니다. 목사나 전도사와 같은 교역자가 하나님의 종이라며 그들의 생계를 책임지고 또 교회가 하는 일을 위하여 성도들이 헌금을 냅니다. 그리고 그런 일들은 하나님의 일이기에 헌금은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게 만듭니다. 헌금은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모든 사람들이 다 하나님의 일을 해야 하는데 생계에 매여 있으므로 그 일을 감당하는 교역자들을 간접적으로 도와 참여하는 것이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레위인들이 하나님께 따로 땅을 분배 받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지파에서 헌금(십일조)을 해서 그들의 생계를 책임진 것은 외형적인 모습입니다. 본질적인 것은 자신의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것이라는 고백이 공동체인 교회가 필요한 것을 감당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자신의 삶이라는 것이 하나님께서 지으신 목적대로 하나님의 형상을 표현하는 사람이 되면 그 사람의 삶이 교회에 필요한 것을 감당하고 수고하게 되는 데 그것이 바로 헌금의 본질이라는 것입니다.


초대교회의 성도들이 자기의 것을 나누었다는 것은 재물에 한정된 것이 아닙니다. 사람이 원래 자신이 가진 것은 없습니다. 자신의 발로 들어온 인생이 아닌데 그 안에서 아무리 수고한들 그것이 자신의 것이 될 수 없는 것입니다. 핸드폰에 있는 부품이 자기 활동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고 그 전원이 자신의 것이 될 수 없는 것입니다. 그 전원은 어디까지나 그 핸드폰을 사용하는 주인이 통화하고자 하는 목적 안에 있는 것일 뿐입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이 나눈 ‘자기의 것’은 바로 하나님께서 주신 은혜, 바로 그것입니다. 그 은혜를 나눔에 있어 자신이 가진 재물이나 수고가 수반된 것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사람 안에 하나님의 말씀이 생명이 되어 그 삶으로 표현되는 것이니, 그 삶의 도구인 육신의 수고나 또 가진 재물이 그 하나님의 은혜를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사람이 가진 재물로만 보니까 공산주의가 생기고, 헌금이라는 것이 단지 자기가 벌고 가지니 재물을 적선하듯이 교회에 바치면 그것이 하나님의 일에 참여한 것이라고 믿고 있을 뿐입니다. 하지만 개가 짖어도 기차가 서지 않듯, 그런다고 그것이 하나님께 드려질리 없습니다. 그것은 그냥 ‘선지자 노릇’일 뿐입니다. 모든 것이 그렇듯 속에 있는 생명이 밖으로 표현되므로 그 과정에서 드려지는 것이 헌금일 때만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그것이 아니라 헌금을 하면 하나님께 복을 받는다거나, 온전한 십일조를 하면 부자가 된다고 하는 것은 헌금이 아니라 투자일 뿐입니다. 그러니 그 간사함을 알지 못하고 투자에 참여하게 되면 그것을 세상의 말로 사기 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자기 본성이 하나님의 목적 안에 있는 것이 아닌데 헌금 아무리 해도 소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복을 받는다고 하는 것은 물질세계를 본질로 보는 것이고, 또 하나님을 수익이 나는 투자처라고 사기 치는 사람들에게 농락당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래서 지금의 교회가 ‘주 예수 그리스도’가 아니라 ‘(주)예수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 주식회사)’가 된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것은 드리는 사람이야 하나님께 헌금을 드리는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상은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아주 심각한 것인데, 우선은 헌금을 받으실 것이라고 생각하는 하나님이 여호와 하나님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은 사람이 드리는 재물이나 수고와 공로에 반응하셔서 그 사람의 육신의 삶을 풍족하게 하시는 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께 소유와 공로를 드려서 자기 육신의 삶의 어떤 부분이라도 풍요를 기대하는 것이 하나님께 헌금하고 또 기도하는 목적이라면 자신이야 하나님이라고 부르겠지만 그가 믿는 신의 정체성은 바알입니다. 그러니 하나님께 헌금 드린다고 해 봤자, 하나님의 집을 강도의 굴혈로 만드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제사나 헌금이나 공로나 수고나 업적이나 희생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입니다. 

나는 인애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며 번제보다 하나님을 아는 것을 원하노라(호 6:6)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어떤 분이신지 아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은 사람이 공로나 소유를 드려서 그 정성과 크기를 보고 다시 사람의 소유와 행사를 축복하시는 하나님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존재의 하나님이시지 <소유와 공로>의 하나님이 아니시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을 소유와 공로에 연관시켜서 믿고 그것을 바라며 헌금을 드려 투자하는 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제대로 안다면 소유와 공로를 드릴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어떤 분이신지를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 제사도 헌금도 구원도 시작이 됩니다. 하나님을 알면 하나님께서 자신을 만드신 이유를 아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모르는데 자신을 왜 만들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을 아는 법을 보이셨는데 그것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심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의와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께서 그 정체성과 성품을 사람의 육신으로 표현하시겠다는 계획과 뜻을 가지고 계심을 예수님을 통해서 보이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그 육신으로 하는 모든 것은 다 주의 것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란 사람의 DNA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하는 모든 것이 다 사람의 일이 되는 것이 그것입니다. 이것이 또한 생명의 법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그 중심에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서 자신의 육신으로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시겠다는 계획을 가지심도 알고, 자신의 삶의 목적이 그것이라는 것을 또한 알게 되면 그 사람의 삶은 다른 짓을 하려고 해도 늘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그냥 살 뿐인데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게 되고, 또한 그냥 살 뿐인데 하나님의 일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헌금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우리의 몸을 거룩한 산제사로 드리라고 했습니다. 몸을 다 드린 사람이 따로 헌금할 이유가 있겠습니까? 자기 몸을 거룩한 산제사로 드린 사람은 하나님의 일에 필요하면 자기 재물도 드릴 수 있고, 수고도 드릴 수 있고, 정성도 드릴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께 드린다며 돈을 교회에 내고, 봉사한다고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과 다른 것을 사람이 하는데 그것이 하나님의 일이 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헌금이란? 하나님의 의가 자기 삶이 된 사람이 그 의를 표현하므로 사람들이 자신을 보고 하나님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일을 위하여 살아가는 삶의 모든 소비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교회에 십일조를 드려서 육신의 삶의 재물의 축복을 기대하는 것은 헌금이 아닙니다. 그것은 다시 말씀 드리지만 투자입니다. 하나님께 헌금을 드리려면 먼저 그 생명이 하나님의 의로 거듭나야 하는 것입니다. 불연 듯, 무관심한 듯 살지만 하나님의 일을 하게 되는 사람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물과 수고, 그것만이 하나님께 드리는 헌금인 것입니다.


따라서 성경에 문자로 기록되었다고 육신의 축복을 기대하며 십일조를 내는 것과 같은 것은 온전한 헌금이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일을 위하여 필요하다면 자신의 삶으로 드리고, 자기 재물을 소비하면서 하나님의 일을 해가는 것, 그리고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된 사람들이 모여서 이룬 공동체에서 서로 하나님을 표현하기 위하여 내는 것이 헌금입니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께 드리는 헌금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Have you really donated to God?


There is something called 'donation'. It is devoted to the work of God. Its aid is tithing. In the time of Abraham, "Melchizedek" told the holy priest that Abraham gave a tenth of what he had done after he had won the war, and that the tribe of Levi was a tribal tribe of the tribe of the priests, To the Levites' tribes. And in this context, what we have been offering for the work of God and the Church has been called a donation or anniversary.


I still do offerings. The ministers, such as pastors and evangelists, are the servants of God. The saints make offerings for their livelihood and for the work of the church. And because such things are God's work, they think that offering is to God and make them think. Offering is to God. Some also say that all people are bound to a livelihood to do God's work, so that they indirectly help and assist the ministers who are doing it.


However, because the Levites were not separated from God, it is an outward appearance that the other tribes made a contribution (tithing) for their livelihood. The essence is that the confession that all of yours is God's will be what the church, the community, needs. It is the essence of offering, when one's life is a person who expresses God's image according to God's purpose.


It is not limited to riches that the saints of the early church shared their things. There is not a person who originally has one. It is not the life that came in by the foot of oneself, but it can not be what it is to oneself who worked hard in it. The parts in the mobile phone are powered for self-activation and the power can not be their own. The power is only for the purpose that the owner who uses the cellphone wants to call forever.


It is God's grace, that is, his own, which the early church members have shared. In sharing that grace, it is accompanied by the riches and labor of oneself. The grace of God is that the word of God in man is expressed in life as life, and the labor of the flesh, which is the tool of life, and the riches that have been used, ar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grace of God.


However, when we look at it only as a wealth of man, communism is created, and we believe that offering it to the church just as if it were earned, as if it were a gift to the church, was part of God's work. But as the dog barks and the train does not stand, it can not be given to God. It's just a 'prophecy'. As all life is expressed outside, what is offered in the process is meaningful only when it is a offering. It is an investment, not a offering, that says that if you give a gift, you are blessed by God, or if you make a full tithing, you become rich. So, if you do not know the secrets and participate in the investment, you can say that you are being scammed by the words of the world.


That is to say, self-nature is not in God's purpose. But to be blessed is to see the material world as an essence and to be harassed by those who cheat God as a profitable investment. Therefore, the present church is not 'Lord Jesus Christ' but 'Jesus Christ (Jesus Christ)'.


Then you may think that this is a giving, offering to God, but the fact is not to God. This is a very serious thing, first of all, God is not Jehovah God who thinks that he will receive the offering. For the Lord God is not a god who gives life to the flesh of man by reacting to the riches, labor, and merits of man.


That is why if you give God your possessions and merits and expect that any part of your physical life will be abundant for you to give to God and pray, you will call yourself God, but the identity of God he believes is Baal. So if you say that you give a donation to God, it will be to make the house of God a demolition of the robbery.


What God wants is not sacrifice, offering, merit, labor, achievement, or sacrifice. What God wants is to know God.

For I desire mercy, not sacrifice, and acknowledgment of God rather than burnt offerings. (Hos 6: 6)


Knowing God knows who God is. That is, God is not a God who manages to give merit or possession, and to see his sincerity and magnitude, and to bless his possessions and events. Because God is the God of being, not the God of possession and merit. However, it is not to know God to trust God, to believe in it, to hope for it, and to invest in offering.


Therefore, if you know God correctly, you must know not what you owe and merit but who God is. Here, sacrifices, donations, and salvation also begin. Knowing God means knowing why God created Himself. It is because there is no way to know why God created himself without knowing God. And God showed us the way to know God, that is, he sent Jesus Christ to this earth.


Jesus is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the Word of God. In other words, it is through Jesus that God has a plan and an intention to express His identity and character in human flesh. That is because everything in the flesh will be yours. A person is a person's thing because it is derived from the DNA of a person. This is also the law of life.


Therefore, if a man knows God at the center and knows that God has a plan to express God's character in his body, and also knows that the purpose of his life is that person's life, It is always doing God's work. If you do that, you just live and you show God's righteousness. That is, we will make donations.


The apostle Paul asked us to give our bodies holy Buddha. Is there any reason why the person who gave the body would offer a separate offer? He who gives his body as a holy mountain priest can give his own wealth, labor, and sincerity if he needs God's work.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God does the job of giving money to the church and offering it to God. It is because God is a person who is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man, and it can not be God's work.


So what is donatio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all the consumption of life that lives in order that people who have become their own lives can express their righteousness so that people can see and know God. Therefore, giving tithes to the church and expecting the blessings of the riches of the physical life is not a contribution. Again, it is investment. To give a gift to God, the life must be born again of God's righteousness. It is only the wealth and the labor that the person who lives as indifferent and indifferent but who does the work of God uses to express the righteousness of God, that is the offering that is given to God only.


Therefore, it is not a whole offering like paying tithing expecting the blessings of the flesh to be written in the Bible. Rather, if it is necessary for the work of God, it is the offering that God gives to his own life, consumes his wealth, and works to do the work of God, and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expressed to express God in the community . That is the offering to Go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은 하나님의 법이 다스리는 곳입니다. 비록 사람들의 눈에는 돈 가진 사람, 권력을 가진 사람이나 또 불의를 행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세상이 좌지우지 되는 것 같아 보일지 모르지만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그런 정의가 아니라, 그런 모든 것이 산재한 가운데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사람들의 삶이 있음에 만족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신 이유가 그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시고자 창조하셨지 이 세상에 속한 사람이 모두 평화롭고 만족하는 것을 위하여 만드신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세상은 사람 보기에는 시끄럽고 난리도 아닌 것 같지만 하나님께서는 그 원하시는 하나님의 성품이 드러나는 일이 원하시는 대로 되면 만족하실 것입니다.


바로 그 하나님의 의가 나타난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그렇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이신 삶과 전하신 말씀이 바로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만드신 뜻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보이신 최고의 모습은 다름이 아니라 바로 십자가의 모습입니다. 십자가의 도가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실재로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실 때 밑에 있던 백부장도 예수님을 보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였고, 성전 안에 있는 지성소와 성소를 구분하는 휘장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찢어져서 지성소 안에 있던 하나님의 의가 이제는 제사장이 아닌 모든 사람의 것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십자가의 도를 잘 알면 될 것입니다. 이 십자가의 도를 알면 우리는 세상을 살 때 불편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이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알고 그 목적이 자신의 본성이 되었는데 세상이 이해하기 힘든 세상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앞선 14장 마지막에 말씀하신 것과 같이 자책하지 않는 복을 받은 것입니다.


이 십자가의 도는 다른 것이 아닙니다. 의인이 죄인을 위하여 죄인이 되는 세계의 법입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에서 가장 의로운 것은 ‘하나님의 의’입니다. 그 ‘하나님의 의’의 본체이신 예수님, 그 ‘하나님의 의’가 육신이 되신 예수님보다 이 세상에서 의로운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의로운 예수님께서 죄인이 되어 십자가에서 처형되었더니 ‘하나님의 의’가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의로움입니다.


우리가 성경을 떠나서 봐도 어떤 분야에서든지 강하고 잘하며 능숙할 뿐 아니라 그 세계의 원리와 의를 알고 있는 사람들이 늘 있습니다. 수학이나 과학이나 또 윤리나 그 모든 것에 있어서 그런 사람은 늘 있습니다. 즉 의롭고 이긴 자가 어떤 세계든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의로움과 이김은 무엇을 위하여 있는 것일까요? 이것을 알면 그 세계가 어떤 세계라 할지라도 다툼이 없는 세계가 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바로 십자가의 도이기 때문입니다.


세상의 어떤 분야라도 그 세계 안에서 의롭고 이긴 사람이 의롭고 이긴 사람이 된 이유는 오직 하나입니다. 그것은 그 세계에서 의롭고 강하지 못한 이를 위하여 섬기고, 의롭지 못하고 약한 이가 의롭고 강한 이가 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살아내고, 또 그렇게 살려고 할 때 섬기기 위하여 먼저 강하고 이기고 의로운 자가 되는 것입니다. 만약 이것이 세상의 모든 분야에서 지켜진다면 세상은 말 그대로 천국이 될 것입니다.


수학의 이치를 먼저 깨달은 사람이 수학을 알지 못하는 학생이나 사람 앞에서 서는 이유는 단 한 가지입니다. 그것은 수학을 모르는 사람이 스스로 수학의 이치를 알 수 있도록 섬기고 수구하기 위한 것, 그 하나뿐입니다. 수학을 아는 사람이 수학을 모르는 사람 앞에서 자기가 수학 아는 것을 자랑하면 그것은 정말로 순간입니다. 그 자랑하는 순간 수학을 모르는 사람이 자신을 보고 ‘저 사람 수학 좀 아네?’ 그러고 말 것입니다. 그리고는 이내 자신으로서는 알 수 없는 수학의 세계를 등질 것입니다. 자기로선 어떻게 할 수 없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어떤 것을 더 가지고 강하고 의롭게 되면 그 자체가 이김의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세상의 법이기 때문입니다. 더 이겼으니 위로 가고 모르는 이들이 숙인 고개 앞에 서는 것이 세상의 법이기 때문입니다. 세상의 법이 그렇게 된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이 본질이라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더 이긴 자가 되었다는 것이 경쟁의 모든 것이고 현상의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보니 세상은 언제나 이긴 자가 이겼다는 그것으로 모든 의를 삼습니다. 뭐 때로는 노블리스 오블리제 라며 기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가진 것을 나누는 것이지, 상대가 가지도록 의를 나누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보니 세상은 늘 그것으로 다툽니다. 없는 자는 가진 자가 반칙했다고, 가진 자는 없는 자가 신의 저주를 받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은 다 십자가의 도 건너편에 있는 것이고, 무엇이 본질인지 알지 못하는 어리석음 그 자체입니다.


예수님께서 지신 십자가의 도는 세상에서 가장 온전한 의를 가지신 예수님께서 자기 의로움과 그 의로움에서 비롯된 선악의 기준으로 충만한 죄인들이 심판한 심판에 의하여 죄인이 되어 십자가를 지시므로 오히려 십자가에 못 박은 어리석은 인생들이 그 예수님이 가지신 의를 자기 생명으로 얻을 수 있는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이자,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만드실 때에 나타내시고자 한 하나님의 형상과 의로움입니다.


그것을 사람을 통하여 나타내시고자 하신 것은 세상의 모든 존재 중에서 종족 전체가 자신의 수고로 남이 스스로 의로움을 가질 의도와 용기를 가지는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유일한 존재라는 것에서 하나님께서 사람을 통하여 그 형상을 나타내시고자 하심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그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세상의 모든 존재들은 늘 강한 것이 약한 것을 이깁니다. 동물의 세계도 약육강식의 세계인 것이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사람도 어떤 의에 대하여 약육강식의 관계가 된다면 그것이 바로 사람의 양심을 버린 짐승과 같은 존재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인생을 하나님께서 만드시고 또 예수님을 통하여 십자가의 도로 나타내신 하나님의 의는 강한 자는 약한 자를 위하여 수고하기 위하여 강하게 된 것이고, 더 의로운 자는 의롭지 못한 이를 위항 섬기고 수고하는 것을 위하여 의롭게 되었다는 것이 깨닫고 드러나고 육신으로 표현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될 때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신앙에서도 동일한 것이기에 믿음이 강하고 더 밝고 의로운 자는 자신이 그렇게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이고 그 은혜는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수고하기 위하여 주신 것이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이것을 알면 로마서 15장의 처음 부분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알 수 있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5: 1-13) Why strong and righteous are strong and righteous


The world God created is the place where the law of God rules. Though it may seem that the world is controlled by people with money, people with power, and people who do injustice in the eyes of people, it is not just what God wants, but the people who represent God's righteousness God is the one who is satisfied with life. That is why God created the world.


God created to manifest the character of God through this world. Not everyone in this world is made for peaceful and satisfying things. Therefore, the world seems to be noisy and uncomfortable in the eyes of man, but God will be pleased with the manifestation of the nature of His willingness.


The righteousness of God is manifested in Jesus Christ. That is to say, Jesus Christ's life and the words he spoke of mean that God made this world. And the best picture Jesus showed is not the same but the image of the cross. The cross of the cross is the manifestation of the Son of God. In fact, when Jesus was crucified, the centurion who was at the bottom also saw Jesus as the Son of God, and the veil dividing the holy place from the holy place in the temple was torn from top to bottom,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holy place was no longer a priest It became a person's thing.


Therefore, we must know the way of this cross. If we know the way of this cross, we will not be uncomfortable when we live the world. It is because the purpose of God's own purpose is to know the purpose of the world made by God, and the world can not be a difficult world to understand. Then, as you said at the end of Chapter 14, you have been blessed not to blame yourself.


This cross is no different. It is the law of the world in which the righteous becomes sinners for sinners. The most righteousness of God's world is 'the righteousness of God'. Jesus, the Body of the Righteousness of God, has no righteousness in this world than Jesus, whose body was the body of God. But the righteous Jesus became a sinner and was executed on the cross,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appeared. This is God's righteousness.


There are always others who are not only strong, good, and proficient in any field, but also know the principles and the principles of the world when we leave the Bible. There is always such a person in mathematics, science, ethics and everything. That is, there is a world that is righteous and wins. So what is it for righteousness and victory? Knowing this can be a world without any dispute, no matter what the world is. Because it is the will of the cross.


In any field of the world, there is only one reason that the just and winner in the world has become a righteous and a winner. It is to be a strong, victorious, and righteous person to serve and serve the righteous and unstable in the world, to live in a way that the unrighteous and the weak are willing to be righteous and strong, and to serve when they are to live. If this is done in all areas of the world, then the world will literally become heaven.


There is only one reason why a person who realizes the truth of mathematics is in front of students or people who do not know mathematics. It is the only one to serve and to take care of the person who does not know mathematics so that he can know the theory of mathematics himself. If a person who knows mathematics boasts of knowing mathematics in front of someone who does not know mathematics, it is really a moment. At that moment, the person who does not know mathematics sees himself and says, 'Do you know that math?' And then it will be a strange world of math within itself. You can not do it yourself.


But people think that if they have something stronger and more righteous, they themselves are the nature of victory. Because it is the law of the world. It is because it is the law of the world that those who go up and stand in front of the head do not know that it won. The law of the world is so because it considers what is visible to be the essence. This is because it is all about competition and everything about the phenomenon that you are the winner.


So the world always puts all righteousness on it that the winner has won. Sometimes they donate as Noblesse Oblige, but most of them share what they have, but they do not divide what they have. So the world always comes to that. Those who do not have it, they say it is foul, and those who do not have it, they are cursed by God. But all of it is on the other side of the cross, and it is a folly that does not know what it is.


Jesus, who has the most perfect righteousness in the world of the Cross of the Cross, has sinned and sinned by judgments judged by his righteousness and the standards of good and evil derived from righteousness, It is the amazing providence of God that can receive the righteousness of Jesus as his life, and the image and righteousness of God that God intended to manifest when he made this world.


He wanted to manifest it through man, because all the races in the world are the only ones who know what it is that they have intention and courage to have their own righteousness in their own efforts. It is to reveal the ego. Anyone can do that. On the other hand, all beings of the world always win the strong, the weak. The animal world is also a world of junk food. Therefore, if a person also has a relationship with a righteousness against a righteousness, it becomes a beast like a person who has abandoned his conscience.


Therefore, the righteousness of God, which God created in our lives and manifested in the way of the cross through Jesus, is strengthened to labor for the weak, and that the more righteous are justified for the unrighteous, It is expressed as. When that happens, the righteousness of God appears. And this is the same in faith, and faith is strong, and the person who is brighter and righteous is to know that it is the grace of God, and that grace is given to labor in order to manifest the righteousness of God. Knowing this, the first part of Romans 15 is so natural.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람들은 ‘인생은 고난’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시대에 무관하게 늘 살기 힘들다고 말을 합니다. 또한 전쟁이 끊이지 않습니다. 큰 다툼인 전쟁도 끊이지 않는데 일상 속의 다툼이 없을 리도 없습니다. 다툼은 고사하고 낙심이나 짜증나거나 불의함에 화가 나는 것도 일상입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단 하나의 이유에 기인한 것입니다. 믿기 어렵겠지만 사실입니다.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사람이 자기 안에 가진 의의 기준, 그 하나로 인한 것입니다.


많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감정을 제외한 어떤 일이 자기 뜻대로 되는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 사람에게는 분명히 다른 사람보다는 세상이 살기 좋은 것이라 여겨질 것입니다. 자기 뜻대로 되는데 어려울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 뜻이 반사회적인 것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뜻이 공익적인 일이라 할지라도 하나님 앞에서는 의로운 것이 아닙니다. 세상은 하나님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세상이 하나님의 것이라는 것은 역설적으로 사람 맘대로 되는 곳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세상은 하나님의 뜻대로 되는 곳이지 사람 맘대로 되는 곳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볼 때 세상은 어떻던 하나님이 보실 때는 온전한 것입니다. 그런데 세상이 시끄럽고 다툼이 있고 불만이고 죄가 넘치는 것은 오직 사람이 자기가 가진 의가 옳다고 주장하는 것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세상이 시끄러운 것은 하나님의 의를 버리고 자기의 의를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바로 그것을 두고 성경은 ‘세상에 죄가 관영하다.’고 하시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께서는 그런 세상을 방관하시듯 하는가 싶을 수 있지만 하나님은 절대로 방관하지 않으십니다. 그 무엇보다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셨습니다. 세상의 모든 갈등의 원인을 해결할 표준과 대안으로 보내셨습니다. 그런데 자기의 에 충만한 사람들이 그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예수님을 보내신 하나님께서 그런 불의한 일을 저지른 인생들을 벌하셔야 할 텐데 그다지 별 일 없이 세상은 돌아가고, 오히려 반사회적이라 해도 자기 의를 잘 관철시키는 사람들이 세상에서 떵떵거리고 살고 있습니다. 이것에 대하여 하나님을 믿노라 하는 사람들은 늘 불만입니다. 뭐 겉으로는 세상을 위하여 기도하는 거룩한 모습이지만 속으로는 불만입니다. 그게 불만이 아니라면 하나님께 가서 기도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하나님은 이 세상을 그냥 두시는 것일까요? 하나님께서 그냥 두신다는 것은 괜찮다고 여기시기 때문일 것입니다. 온전하신 하나님이 보실 때 온전하지 않다면 고치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능력이 없으신 것도 아닌데.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그냥 두시는 것은 하나님께서 세상을 지은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이 세상과 사람을 지으신 이유는 그 성품을 나타내시기 위함입니다. 그의 존재하심과 성품을 나타내시기 위함이라는 것입니다. 즉 이 세상은 사람이 보기에는 어느 것 하나 온전한 것이 없어 보일지라도 하나님이 보실 때는 하나님께서 의도하신대로 하나님의 성품이 잘 나타나고 있다고 여기신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보실 때 엘리야의 때에 7,000명과 같이 하나님께서 뜻하신 대로 하나님의 의와 성품을 표현하는 사람들이 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들의 자기 의를 주장하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드러나게 한다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이 자기들이 가진 하나님에 대한 의를 주장하였기 때문에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셨고, 그로 인하여 하나님의 의가 온 천하에 드러난 것입니다.


사람들이 볼 때 세상은 언제나 문제 덩어리입니다. 하지만 그 모든 문제의 원인은 단 하나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을 사람들이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대로 살기 때문입니다. 마치 청소하라고 돌리고 있는 로봇 청소기가 모든 것을 쓰러뜨리고 다니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 사람들의 생각이 하나님의 의를 나타나게 합니다. 선악과를 먹고서 자기의 의로움을 주장하는 사람이 없다면 십자가를 질 일도 없고, 질 수도 없으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갈 수도 없는 것입니다. 


그러면 사람들이 십자가를 지고 의인이 죄인 앞에서 죄인이 되도록 하려고 하나님께서 세상을 방치하시는가 싶겠지만 이는 하나님의 본성에 관한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능력이 없어서 군병들에게 잡혀가신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라는 본성은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치 연어가 본성에 이끌려 죽는 자리로 가는 것과 같이 그것은 본성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하나님께서 드러내시고자 하는 성품이 바로 그런 것인데, 사람들은 거꾸로 살다보니 사람들의 악함이 하나님의 본성을 드러내도록 하나님께서 작정하고 유도하신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자신의 본성을 나타내시려 하나님이 먼저입니까? 아니면 사람의 의가 먼저이겠습니까? 사람의 눈에 하나님께서 사람들의 악함을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기 위하여 이용하시는 것 같지만, 하나님의 의가 먼저인데 사람들이 그것을 버렸기에 예수 그리스도가 오셔서 그것을 회복하신 것입니다.


세상이 살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 세상이 잘못되었으니 바로 잡아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사람은 하나님과 의가 같은 사람이 아닙니다. 그래서 만족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사람입니다. 에덴이란 ‘만족’이란 의미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런 사람은 감사할 수 없습니다. 간혹 자기 육신의 일이 잘 풀려서 감사할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세상의 근본적 의에 대하여 감사하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은 하나님의 나라에 속한 사람이 아닙니다.


이 모든 것이 결국 하나님이 만드신 하나님의 세상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의와 사람이 가진 의의 문제입니다. 사람이 하나님이나 다른 신을 찾는 것은 세상이 살기 어렵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는 것은 하나님과 자신의 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모르면 장담컨대 인생을 헛살게 될 뿐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하나님을 믿어야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결국 하나님의 의와 나의 의가 같아지겠다는 것입니다.


오늘 어떻게 보면 로마서의 내용과 무관한 듯 보이는 말을 길게 한 것 같으나 실상은 로마서에서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자 한 것을 길게 설명한 것입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바로 이 말씀에 관한 것입니다. 자신을 책하지 않는다는 것, 그것은 바로 하나님의 의와 자신의 의가 같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삶이 만족스러운 사람, 그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네게 있는 믿음을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가지고 있으라 자기의 옳다 하는 바로 자기를 책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롬 14:22)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4: 13-23) Those who do not self-defeat


People say 'life is hardship'. And it says that it is hard to live all the time regardless of the age. Also, the war never ends. The war, which is a big battle, is not endless. It is also common everyday to get angry, irritable, or unjust about the fighting. But all of this is due to one single reason. It's hard to believe, but it's true. The reason is not the difference, but the one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person's in him.

There will not be many, but at least there will be people whose emotions are not what they want to do. To such a person, the world will certainly be considered better than others. It is because there is no difficulty in doing what you want. Of course, that may be antisocial. But even if it means public works, it is not righteous before God. Because the world is God's.

Paradoxically, the fact that the world is God's is not a place for people to do. So the world is the place where God's will is done, not the place where people do it. When people look at the world, whatever God sees is perfect. But the world is noisy, contentious, dissatisfied, and full of sin, because only man claims that his righteousness is right. In other words, the world is noisy because it rejects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asserts its righteousness.

That is what the Bible says is 'sin is in the world.' If so, why would God want to look at the world like that, but God never does. Above all, Jesus Christ was sent to this earth. He sent us as a standard and an alternative to solve the causes of all conflicts in the world. But those who are full of his own have crucified the Jesus.

Then, of course, God, who sent Jesus, should punish those who have committed such an unrighteous affair, but the world will return with little or no consequence. Those who believe in God are always displeased with this. It is holy on the surface, praying for the world, but it is a complaint. If it is not a complaint, it will not go to God and pray.

But why does God just leave the world? Maybe because God thinks it is okay to be alone. When the perfect God sees, he will heal it if it is not perfect. You do not have that ability.

God has left this world because God has purpose for the world. God created the world and man to show His character. Is to show his presence and character. In other words, the world does not seem to have anything perfect for man, but when God looks, he feels that God's character is showing up as God intended.

The reason is not that differently, but in God's sight, there are always 7,000 people in Elijah's day who express God's righteousness and character as God intended. And most of all, claiming people's self-righteousness reveals God's righteousness. Jesus was crucified because the Jews claimed the righteousness of their God, and because of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was revealed to the whole world.

When people see, the world is always a chunk of trouble. But all of the problems are caused by a single God created world that people think they are right. It is as if a robot vacuum cleaner that is turning to clean up is carrying everything down. The thought of such people makes God's righteousness manifest. If there is no one who claims to have his righteousness by eating from the tree of good and evil, he can neither crucify nor die, nor can he follow the cross with Jesus.

Then it is about God's nature that people will take the cross and leave the world to the righteous to be sinners before sinners. This is because Jesus is not possessed by power and is not taken by soldiers, but is the nature of Christ. This is because it is nature, just as the salmon goes to the place where it is led by nature.

The problem is the character God wants to reveal, and when people live upside down, it seems that the wickedness of the people has induced and directed God to reveal the nature of God. Is God first to reveal His nature? Or would it be the first person's right? It seems that God uses the wickedness of people in the eyes of men to express God's righteousness, bu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first, and because they have forsaken it, Jesus Christ has come and restored it.

He who thinks that the world is difficult to live, the world is wrong. He who prays to God for righteousness is not like God and righteousness. So it is not satisfied. I can not be satisfied is a person who has been kicked out of the Garden of Eden. Eden is 'satisfaction' because it means. I also can not thank such people. Sometimes he may be grateful because his work is well done, but he is not grateful for the fundamental righteousness of the world. Such a person is not a person belonging to the kingdom of God.

All of this is a matter of God's righteousness and man's righteousness that govern the world of God made by God. It is because people think that the world is hard to find when they seek God or other gods. That is because God and his righteousness are different. If you do not know that, you will only live your life in vain. That is why we must believe in God. Believing in God means that God's righteousness and my righteousness will end up in the end.

It seems to have made the words seem to be irrelevant to the content of the Romans in some way, but the fact is that the long description of what the apostle Paul wanted to say in Romans. It is not that different, it is about this word. It is because he is the same person of God's righteousness and self-righteousness. So the person who is satisfied with life, is to say that person.

So whatever you believe about these things keep between yourself and God. Blessed is the one who does not condemn himself by what he approves. (Romans 14:22)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