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로마서 16:1-27) 바울 문안 인사의 본질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2. 14. 22:36 Writer : 김홍덕

로마서의 마지막 장인 16장에는 바울 사도의 동역자들 37명의 이름이 나옵니다. 그 중에는 ‘마리아’와 같이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누구인지 가리기 힘든 사람도 있고, ‘디모데’, ‘브리스가’, ‘아굴라’와 같이 성경을 좀 대하여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예수님의 십자가를 대신 진 ‘구레네 시몬’의 아들 ‘루포’와 같이 사연 있는 사람도 있고, 아시아에서 바울 사도가 얻은 첫 열매인 ‘에배네도’(유럽에서의 첫 열매는 루디아)와 같은 사람도 있습니다. 또한 이들 중에는 당시의 노예들이 주로 쓰던 이름을 가진 사람들도 많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노예였던 사람들도 많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 나름의 공통점이 있다면 대부분이 로마와 상관성이 있는 사람들로 보입니다. 


만약에 성경을 지식으로 또 학문으로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본다면 여기에 나오는 각 사람이 누구인지 그 사실관계를 이해하는 것에 주목할지 모르겠습니다. 반면에 이 로마서를 기록한 바울 사도의 의도와 함께 이 로마서 16장을 본다면 이것은 분명히 인사지만 그 인사 안에 바울 사도가 로마서 전체를 통하여 말씀하고자 한 복음의 진수가 복선처럼 깔려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울 사도가 복음을 전하는 일에 함께한 동역자라는 것은 그들 역시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울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복음을 전하는 일은 단순히 말로서 복음을 설명하는 수준의 것이 아닙니다. 적어도 바울 사도가 ‘복음을 전하는 사람’이라고 일컬을 정도라면 그 사람은 그 심령 안에 하나님의 의가 있어 그 사람의 삶을 보고서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여기에 나오는 모든 사람들은 복음을 알지 못하고 그리스도를 알지 못한 사람이 그들의 삶으로 전하는 복음을 받아들이게 되는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금 종교의 자유가 있는 대부분의 국가와는 달리 바울 사도가 복음을 전하는 당시에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이 된다는 것은 목숨을 건 일임에도 이들의 삶이 사람들을 그렇게 이끌 수 있는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는 바로 그런 사람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사람들의 면면이 너무 다양합니다. 유대인에서부터 헤롯왕의 친척이라 할 수 있는 ‘헤로디온’이라는 사람, ‘우르바노’와 같이 노예였을 것이 거의 확실한 사람까지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즉 이 로마서 16장의 인사는 바울 사도가 로마서에서 말씀한 복음이란 행위나 혈통이나 외모와 무관하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안부의 인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다양한 사람들에게 문안하라고 했다는 것은, 그렇게 다양한 사람에게 문안하는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즉 로마서 전반을 통하여 말씀한 것과 같이 사람의 혈통이나 행위나 육신의 어떤 조건도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을 얻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런 사람만이 이 다양한 사람들에게 문안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로마서 16장에 나오는 ‘문안’의 원어는 ‘아스파사스데’라는 말로 ‘환영하다’, ‘환호하다’, ‘존경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성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문안 인사는 ‘샬롬’인데 이는 ‘평안하라’는 의미이고, 요 14:27에서 예수님께서 주신 평안은 ‘에이레네’라는 말도 있는 이는 ‘같은 곳으로 부른다.’, ‘평안과 하나가 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즉 이렇듯 다양한 사람, 이렇듯 다양한 배경과 신분의 사람들을 온전한 믿음을 가진 사람들로서 문안한다는 것은 그런 사람들을 문안할 수 있는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사람이 되라는 것, 그렇게 문안할 수 있도록 하라는 것은 결국 이 로마서를 수신하는 모든 사람들이 바울이 전한 말씀들이 자기의 본성이 되기를 바란다는 말씀인 것입니다.


이렇게 많고 다양한 사람들이 기록되어 있으면 이것을 지식적인 탐구하기도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나름 유익한 것입니다만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성경에 나오는 문장과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이 본질이 아니라, 그렇게 기록한 목적을 아는 것이 본질입니다. 따라서 이 로마서 16장을 단순히 바울 사도가 로마로 보내는 서신서의 마지막에 자신과 함께 수고한 사람들을 수상 소감 때 일일이 호명하듯 기록한 것이 아닙니다. 


이 문안 인사는 이 포스트에서 말씀 드리는 것과 같이 이렇게 다양한 사람을 문안(환호하고 존경하는)할 수 있는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즉 로마서를 기록한 목적이 이 편지를 수신하는 모든 사람의 본성과 믿음이 되기를 바란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다는 것은 그 시대가 언제이든 이 로마서를 읽고 그 안에서 하나님의 의를 알기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바울 사도가 문안 인사를 하는 본질이 자신의 본성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6: 1-27) The essence of Paul's greeting


The last chapter of Romans chapter 16 contains the names of 37 co-workers of Paul's apostles. Some of them have a lot of people who use the same name, such as 'Maria', so hard to keep track of who they are, and anyone who has seen the Bible, like Timothy, Verizon, or Aquila, .


There are also people who have a story like Rufus, the son of Kuren Simon, who replaced Jesus' cross, and the first fruit of the Apostle Paul in Asia, the Eve Nod (the first fruit in Europe is Lydia) There are people. There are also many of them whose names have been used mainly by slaves of the time. So there are many people who were slaves. If so many people have something in common, most of them seem to be related to Rome.


If we look at the Bible as a knowledge and study of scholarship, we may focus on understanding the facts of each person who appears here.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Romans 16 with this intention of the Apostle Paul, you will know that this is clearly a greeting, but in the greeting the apostle Paul spoke through the whole of Romans as a double line.


The apostle Paul is a co-worker in the work of preaching the gospel. They are also people who preach the gospel of God. And the work of preaching the gospel that the Apostle Paul speaks is not merely a level of explaining the gospel in words. At least the Apostle Paul is called the "person who preaches the gospel." He is the person who has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s heart and lives to live the life of the person who wants to receive Christ.


Therefore, all those who are here are those who do not know the Gospel and who do not know Christ will accept the gospel that they preach to their lives. This is not just a story. Unlike most nations that have freedom of religion at this time, Paul's apostle to be a believer in Christ at the time of preaching the gospel is a life-giving person whose lives can lead people so.


The apostle Paul is introducing such people. But their face is so diverse. From the Jews to Herodion, a relative of Herod's king, and to Urbano, almost certain to be slaves. In other words, the greetings of Romans 16 are a kind of greeting that directly shows that the apostle Paul is not related to the gospel act, the bloodline, or the appearance as mentioned in the Romans.


To say such a variety of people is to be a person who greets such a wide variety of people. That is to say, as I have spoken throughout the whole of Romans, to know that no bloodline, act, or condition of the flesh is righteous before God. This is because only those who can greet these various people.


The source language of the 'editorial' in Romans 16 says that it has the meaning of 'welcome', 'cheer', 'respect' with the word 'aspasasde'. In addition, the most commonly used greeting used in the Bible is 'Shalom', which means 'to be at peace', and in John 14:27, the peace given to Jesus by Jesus is called 'the same place' It is said to have the meaning 'to be one with peace.'


In other words, to be able to greet such diverse people, people of various backgrounds and identities as people with full beliefs, should be able to salute such people. And to be such a person, to be able to say so in the end, is that all those who receive this Romans will want the words of Paul to be their own.


If so many people are recorded, they will explore this intellectually. And it is beneficial for us, but what we need to know is that know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s and words in the Bible is not essence, it is the essence of knowing the purpose. Therefore, this Romans 16 is not simply a record of the people who labored with him at the end of the Epistle to the apostle Paul to be called in the name of the Prime Minister.


This greeting is to be a person who can greet (cheer and respect) such a wide variety of people, as I said in this post. That the purpose of writing Romans is to be the nature and faith of all who receive this letter. And that means that anyone who wants to read the Romans and know the righteousness of God in it at any time of the day is saying that the essence of Paul's salutation must be his natur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5:14-33) 만민을 위한 복음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2. 13. 20:21 Writer : 김홍덕

바울 사도는 로마서를 마무리해 가면서 자신이 로마에 가고자 하는 마음의 간절함을 이야기합니다. 그리면서 자신이 이방인을 위하여 부름을 받은 선지자로서의 은혜와 사명에 대하여도 밝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이방인을 위하여 복음을 전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모든 열방이 구원을 받을 것이라고 하신 말씀을 응하게 하려 하심이라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복음이 모든 열방, 모든 민족을 위한 것이라고 하는 것은 지리적으로 모든 땅에 있는 사람에게 복음이 전파된다는 말이기도 하지만 그것의 본질은 결국 <복음은 사람이기만 하면 누릴 수 있는 은혜>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바울 사도가 로마서를 통하여 말씀한 것과 같이 혈통이나 육신의 어떠함이나 율법을 행동으로 지키거나 지키지 않거나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와는 무관한 것이라는 말씀을 하시는 것입니다.


이렇게 포괄적 관점에서 ‘복음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하면 동의하는 것에 무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정작 우리가 살아가면서, 또 교회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면서는 이것을 망각합니다. 바울 사도의 말씀과 같이 믿음이 약하고 의심이 있으면 배척당하기 일쑤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교회가 정한 어떤 방향에 함께 하지 않으면 구원도 못 받을 사람 같은 취급을 받기 일쑤입니다. 사람이기만 하면 된다는 복음의 정체성이 훼손되는 순간이지만, 그것이 오히려 거룩함을 세우는 것으로 둔갑한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건강한 자는 의사가 필요 없다.’고 하셨습니다. 다시 말해서 교회에 오는 사람은 그 누구나 회복이 필요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의로 살아가는 그 삶이 세상의 가치관에 의해서 죄인이 되어 곤고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교회에 와서 다시 세상과 같이 믿음과 복음마저 기준을 통과해야만 인정을 받을 수 있다면 그것이야 말로 암울한 것입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그런 교회들로 가득한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사람이기만 하면 되는 복음, 모든 열방과 민족이 다 누릴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사람이라는 그 기준 하나 만으로 모든 것이 통과된 것입니다. 민족과 나라들은 그 습성이 다르고, 생김새가 다르며, 또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에 있어 선하고 악한 것을 나누는 의의 기준이 모두 다릅니다. 어떤 나라에서는 간음이 될 수 있지만 어떤 땅에서는 그것이 자기 민족의 유전적 열성을 보완하기 위한 관습이 되기도 합니다. 그렇듯 사람의 외모에 관한 모든 것은 믿음의 기준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하나님을 믿는 믿음의 공동체인 교회는 당연히 그런 것에 대하여 차별이 없어야 합니다.


바울 사도가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했다는 것은 역사적인 관점에서 기독교가 세계화 되었다는 것이 본질적 의미가 아닙니다. 할례를 받았고, 성경을 행위와 관습으로 지켜야만 만날 수 있다고 여긴 하나님을 그저 사람이기만 하면 만날 수 있는 세계를 연 것입니다. 그런데 그 복음을 혈통으로 이방인인 우리나라에서 먼저 교회에 다닌 사람들이 다시 유대인 노릇을 하고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바울 사도는 로마서를 통하여 사람이 육신의 개성들이나 그 개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어떤 조건이나 관습과 같은 것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을 얻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율법도 지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있어 살아가는 삶의 모양이라는 것을 말씀하였습니다. 그렇게 살 때 그 모양은 세상의 가치관으로 보면 죄인 같은 삶이라고 했습니다.


그 삶은 세상의 가치관과는 반대로, 더 알고 더 가졌고, 더 밝기에 죄인이 되고 섬기는 자가 되는 십자가의 도가 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세상의 모든 열방들과 민족들이 가진 그 어떤 개성도 그것이 의의 기준이 되면 통과하지 못하는 사람이 생길 수 있지만 세상의 어떤 민족, 어떤 사람이라도 낮아지는 것에 있어 기준은 없기에 복음은 사람이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세상이 점점 각박해지고 경쟁이 심화되며 살기 어려워지는 것은 세상에서 생겨난 각종 가치관과 의의 기준 위로 가려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반대로 간다면 세상은 언제나 화평합니다. 바울 사도가 교회에 대하여 말씀한 것과 같이 서로에게 걸림이 되지 않는 본성을 가졌고,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보여 주신 것과 같이 더 의로운 이가 더 의로운 유일한 목적이 의롭지 않은 자가 스스로 그 의를 깨달을 수 있도록 육신으로 섬기는 그 본성으로 살면 세상은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우리가 운전하고 보행할 때 얼마나 많은 신호등을 보는지 모릅니다. 그래서 심지어 교통 혹은 도시 공학과 같은 학문이 생기고 어떻게 하면 교통을 원활하게 잘 통시킬 것인지를 연구하지만 아마 그 연구는 영원할 것입니다. 그 연구가 영원하다는 것은 그 문제가 영원히 풀리지 않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교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보다 늦게 가도 괜찮은 마음을 가지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서로 남보다 빨리 갈 이유나 욕심이 없다면 신호등이 필요 없을 것입니다. 신호들은 서로 빨리 가려는 마음을 신호로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와 같이 성경에서 모든 열방들로 표현되는 것은 모든 세상의 가치관입니다. 그 모든 가치관은 항상 서로 다투어 이겨서 의롭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세상, 그 모든 열방들에게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결국 모든 가치관에 있어 그 기준을 십자가로 바꾸는 것입니다. 그 십자가는 의인이 죄인을 위하여 죄인이 되는 세계이니 모든 것이 은혜가 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만민을 위한 복음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5: 14-33) Gospel for the people


The apostle Paul speaks of the heartfelt desire to go to Rome as he finishes the Romans. He also reveals his grace and mission as a prophet called to the Gentiles. And he says that he preaches the gospel for the Gentiles so that God may fulfill the word that all nations will be saved.


That the gospel is for all nations, for all nations, means that the gospel is preached to a person who is geographically all over the earth, but the essence of it is that it means grace that can only be enjoyed if the gospel is man. This is what the apostle Paul spoke through Romans, saying that it is not of God's grace to keep or obey the law or the law of the lineage or the flesh.


In this comprehensive sense, it is reasonable to agree that the Gospel is for all. But we forget this as we live and we live our faith in the church. As Paul's apostle says, if faith is weak and doubtful, it is apt to be rejected. In some cases, the church is often treated like a person who can not be saved unless it is in a certain direction. It is the moment when the identity of the gospel is destroyed that it is only a person, but it is rather to be made holy.


Jesus said, 'A healthy person does not need a doctor.' In other words, anyone who comes to church is a person who needs to be restored. And the life that lives i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a man who is sinful by the value of the world. But if you can come to church and go back to faith and gospel just like the rest of the world, if you can get recognition, it is desolate. But we are living in an era full of such churches.


All that has been passed is that the gospel, all nations and nations can be enjoyed only by the standard of human being. Nations and nations have different habits, different appearances, and different standards for the sharing of good and evil in the way of living the world. In some countries it can be adultery, but in some lands it is a custom to supplement the genetic zeal of its people. As such, everything about a person's appearance is not a standard of faith. So the church, a community of faith in God, must, of course, not discriminate against it.


The fact that the Apostle Paul preached the Gospel to the Gentiles is not an essential meaning that Christianity has been globalized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 have been circumcised, and I have met the Bible with my deeds and customs, so I opened up a world where I can meet God only if I am a man. However, it is a pity that those who have gone to church first in our country, where the Gospel is a pagan nation, are again Jewish.


The apostle Paul tells us that through Romans man is not righteous before God such as conditions or customs that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personalities of the flesh or on the personality. Not the law, but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a form of life that lives in him. When I was living like that, it was said to be a life like a sinner in terms of the world's values.


That life, contrary to the values ​​of the world, has become more and more aware, more brighter, a sinner and a servant of the cross. Any personality of the nations of the world and of the nations can become a person who does not pass by the standard of righteousness, but there is no standard for lowering any nation or any person in the world, so the gospel is only a person.


It is because the world becomes more and more intense, the competition becomes intensifi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live because it tries to go up to the various values ​​and the standards of justification that have emerged in the world. But if you go the other way, the world is always peaceful. As the Apostle Paul spoke of the Church, he had a nature unimpeded to each other, and as the Lord Jesus showed on the cross, the more righteous, the only righteous purpose of which is the righteousness of the unrighteous, If you live by nature, the world has no problems.


We do not know how many traffic lights we see when driving and walking. So even if you have a discipline like traffic or urban engineering and you want to know how to get traffic going smoothly, that research will probably be forever. The fact that the study is eternal means that the problem will not be solved forever. But there is a way to solve all traffic problems. It is a good idea to go later than others. If everyone does not have reason or greed to go faster than others, traffic lights are not needed. Signals are signals that control each other's heart to go fast.


As such, it is the values ​​of all the world that are expressed in all nations in the Bible. All of these values ​​are always justified and justified. To preach the gospel to such a world, to all nations, is to turn the standard into a cross in all values. The cross is a world in which the righteous becomes a sinner for sinners, and everything will be grace. That is the gospel for all peopl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5::1-13) 서로 받으라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2. 12. 09:19 Writer : 김홍덕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먼저 개인으로서의 삶이 하나님께서 그 인생을 조성하신 목적을 알아 그 목적이 자신의 삶의 의미와 목적이 되므로 그 하나님의 목적이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의 본성으로 살아가게 되는 인생이 되는 것이고, 다음으로 그 생명을 가진 이들이 서로 공동체를 이루므로 하나님의 의가 다스리는 사람들이 서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 은혜를 나누는 공동체, 곧 하나님의 나라를 누리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지’에 대한 명확한 앎(know)과 자기 속사람이 그 하나님의 정체성에 공명이 되는 고백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을 아는 것과 고백이 없으면 신앙을 시작도 유지도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동체가 필요한 것입니다. 하나님을 알기 위해서는 육신을 가진 사람으로 표현되는 하나님의 성품을 봐야 하고, 또 고백할 대상 서로 고백하며 은혜를 나누는 사람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바울 사도가 기록한 이 로마서도 로마에 있는 교회에 보낸 서신서입니다. <로마에 있는 교회> 즉 하나님을 아는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 은혜를 나누는 하나님의 공동체이자 이 땅 위의 하나님 나라인 교회에 보낸 편지라는 것입니다. 즉 이 모든 로마서의 말씀은 교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정체성과 본질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사람이 되면 교회는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많은 교회, 아니 대부분의 교회는 건물을 얻고(자기 집을 교회로 꾸미는 정도라도) 꼭대기에 십자가를 세우고서 사람을 모으지만 그것은 말 그대로 형식을 먼저 갖추고 내용을 채우려는 것입니다. 즉 군복을 입어 군인이 되려는 속셈에 불과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된 사람은 반드시 그와 같은 생명을 가진 사람을 찾게 되고 그렇게 만나면 그야말로 ‘두 세 사람이 모인 것’이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온전한 교회의 모습인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오늘 날의 교회들이 그 교세가 어떻던 그 안에 있는 당회나 사람들은 자기 교회 안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나님의 법대로 세워지지 않았으니 그 안에는 늘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수십만 명이 모인다고 온전한 교회가 아닙니다. 매주 사람이 늘어난다고 부흥하는 교회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모여서 이 인생에서의 축복, 물질과 명예와 건강과 같은 것을 구원받아야 누린다는 신앙관으로 모여서 어떻게 하면 그런 축복을 얻을 것인지 설교하고, 또 그것을 바라며 기도하고 있다면 그건 뭐 굿하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하나님의 정체성과는 전혀 다른 신앙생활을 하는데 어차피 본질에서 벗어난 것이니 아주 벗어난 굿이나 뭐 크게 다를 바 없다는 것입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된 사람들이 하나둘씩 만나서 되는 것입니다. 만약 공상과학 영화처럼 지구에 큰 재앙이 닥치거나 하여 겨우 생존한 사람들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자기와 같이 생존한 사람을 찾는 것입니다. 즉 사람은 그 생명의 정체성이 같은 사람을 찾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의가 자기 본성이 되는 세계를 접하면 반드시 ‘나와 같은 사람’을 찾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 바람으로 모여서 이룬 공동체만이 하나님의 나라인 교회가 되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로마서 후반부에서 말씀하고 있는 형제와 이웃과 지체를 대하는 것에 대한 말씀들이 오늘날 교회에서 많은 노력을 함에도 불구하고 어림도 없는 이유는 교회의 시작이 성경과 다르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외형을 먼저 갖추고 사람을 모아서 다시 그 사람들을 성경대로 행동할 수 있도록 바꾸려고 하니 그야말로 어림도 없는 일이 된 것입니다. 


그런 모든 가치관이 바로 행함으로 의롭게 된다는 가치관, 물질세계와 눈에 보이는 세계를 본질로 보고서 하나님을 믿는 신앙의 초점까지도 그것에 맞춘 안목으로 교회를 보고, 교회를 경영(물질적 가치관으로 교회를 관리한다는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의 의가 본성이 되므로 그 본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행동의 어떠함을 말씀하시는 성경대로 사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이 된 것입니다.


하지만 앞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하나님의 의가 먼저 자기 삶의 본성이 되므로 그 본성이 이끄는 대로 살게 된 사람들, 어느 날 자기 삶을 보니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고 있고, 성경이 자기의 이야기와 일기와 같음을 알게 된 사람이 모이면 교회 안에 경영할 일이 없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다 하나님의 법으로 살고 있는데 교회가 고민할 것이 없는 것입니다. 있다면 오직 하나 믿음이 약하고, 의심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어떤 수고와 삶을 살아낼 것인지, 어떤 섬김과 수고와 희생을 나타낼 것인지 그것뿐입니다. 그리고 사실 그것도 고민이라기보다 늘 그런 생각을 하다 보니 그 생각을 더 잘 표현하려는 생각을 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게 하나님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된 사람들이 모여 있다면 그 사람들은 모두 십자가의 도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입니다. 그렇다면 어떻습니까? 십자가의 도는 의인이 죄인을 위하여 죄인이 되는 도리인데, 그런 사람들이 서로를 용납함이 의지로 되는 것이겠습니까? 아니면 본성에 의하여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겠습니까? 이것이 바로 바울 사도가 말씀하시는 바, ‘예수 그리스도를 본 받아 서로 뜻을 같이 하는 것’이고, ‘한 마음과 한 뜻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하나님의 의와 성품을 나타내는)것입니다. 


그렇게 된 사람들, 그것이 본성인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배반하고 알지 못한 우리를 용납함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교회 안에 형제들과 또 삶의 이웃들을 용납함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사람들이 너희가 내 제자인 것을 알리라‘고 하신 것입니다.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요 13:35)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5:1-13) Accept one another


To believe in God means that the life as an individual first sees the purpose for which God created the life. The purpose is the meaning and purpose of his life, so that the purpose of God is life, And the next, those who have a life together make a community, so that those who govern the righteousness of God share the glory of God and enjoy the community of God, that is, enjoying the kingdom of God.


And to believe in God begins with a clear knowing of 'what God is', 'who God is', and a confession that resonates with the identity of God in his inner being. That is, without knowing God and confessing, you can not start or maintain faith. That is why we need community. In order to know God, we must see the character of God expressed as a man of the flesh, and there must be someone who confesses each other and shares grace.


This Romans, written by the Apostle Paul, is also a letter to the church in Rome. It is a letter from the church in Rome, a community of God who gathered together to share the grace of God, and to the Church,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In other words, all of these Romans are explaining the identity and essence of the people who make up the Church. If you become such a person, the church will be done.


Many churches, most of them churches, build buildings and cross people on top of each other (even as they decorate their houses with churches) and collect people, but that is literally trying to fill in the form first. In other words, it is merely an attempt to become a soldier in military uniform. Whe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life, a person with such a life must find a person with such a life. It is a picture of the whole church.


In such a way, it is natural that the churches and people in today's churches are trying to solve the problem in their churches. It is not established as the law of God, and there is always a problem in it. It is not a whole church that people are gathering hundreds of thousands. It is not a revivaling church that people increase every week. It is no different than a good thing if you are gathered in the belief that the blessing, the material, the honor, and the health in the life should be gathered together so that people can gather together to enjoy the blessings in this life and enjoy it. It is a very different life from the identity of God, but it is out of essence anyway.


The church i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met by one and two people who became their own life. The first thing that people who survive, such as sci-fi movies, suffer from a great disaster on Earth, is to find a survivor like yourself. People are supposed to find people with the same identity. Therefore, when the righteousness of God touches the world where it is its nature, it will surely find a person like me. Only the community gathered by that wind is the church of the kingdom of God.


It is because the beginning of the church is different from the Bible, although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in the latter part of the Romans, which deal with the brothers, neighbors and members of the Church, It was not a big deal because I wanted to look first and collect people and then change them so that they could act according to the Bible.


I believe that all such values ​​are justified through practice, the material world and the visible world as the essence, the focus of faith in God, and the management of the church (the management of the church by material values) Because God's righteousness is His nature, it is so difficult to live according to the Bible that tells us what kind of behavior is due to its nature.


However, as mentioned above, God's righteousness is the nature of his life first, so those who live according to his nature lead one day to his own life, living according to God's Word and knowing that the Bible is like his story and diary When people are gathered, there is nothing to do in the church. Everyone lives in the law of God, and the church has nothing to worry about. If only there is one faith, weakness, and for those who doubt, what kind of labor and life will we live in, what kind of service, labor, and sacrifice we will manifest? And actually, it's not that I'm worried, but I'm always thinking about expressing my thoughts better.


So i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gathering of those who have become his life, they are all who know what the cross is. How about that? Will the righteous of the cross be a sinner for sinners, and will they be willing to tolerate one another? Or is it inevitable by nature? This is what the apostle Paul says: 'To be like one another in imitation of Jesus Christ,' and to 'glorify God in one heart and one mind' (representing God's righteousness and character).


Those who are of that nature will glorify God by accepting the brothers and the neighbors of life in the Church, just as Jesus betrayed God and accepted the unknowing of us by accepting us. This is what Jesus said: 'If you love one another, you will know that you are my disciples.'


By this everyone will know that you are my disciples, if you love one another.”(Jn 13:35)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