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로마서 13:8-10) 사랑의 빚(debt)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29. 09:32 Writer : 김홍덕

바울 사도는 사람들이 속한 사회 안에 살면서 서로에게 사랑의 빚 외에는 아무런 빚도 지지 말라고 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성경 말씀을 문자 그대로 지키려고 하는데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기독교인들은 신용카드는 고사하고 후불 교통카드도 사용하면 안 될 것입니다. 그것도 다 빚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보면 사람들이 얼마나 자기 편리한 대로 예수를 믿고, 성경을 지키려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씀은 그런 말씀이 아닙니다.


성경이 말하는 빚(debt)는 목적에 관한 빚입니다. 채무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빚지지 않아야 한다고 말씀하실 것이라면 안식년이나 희년에 빚져서 종이 된 사람들에 대한 규례를 주신 것은 모순입니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이 빚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목적에 대한 빚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 빚은 이런 것입니다. 전구가 만들어져서 등에 꽂이기를 기다리고 있다면, 아직 꽂이지 않았다면 그 전구는 빚을 지고 있는 것입니다. 빛을 밝히기 위하여 만들어진 목적이 있는데 그 목적을 아직 수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하나님께서 만드신 목적이 있는데 그 목적을 이루는 것이 사람이 가진 빚입니다. 그리고 자기 존재의 의미를 알게 하는 것이 가장 큰 사랑입니다. 


세상에는 예수님의 사랑보다 큰 사랑이 없다고 하는 것은 예수님으로 인하여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어떤 존재의 의미를 가졌는지, 우리 삶의 의미와 목적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어떤 이에게 그 존재의 목적과 삶의 의미를 알게 하고 그것으로 사는 것을 즐거워하게 하는 것 보다 큰 사랑이 없는 것입니다. 이것은 남녀 간의 사랑이나 친구 간의 사랑과 같은 것에도 동일한 의미를 가집니다. 많은 사람들 중에 세상적인 조건이나 목적 없이 서로에게 의미를 가진 사람, 그것이 사랑하는 연인이고 친구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우리 모두에게 베푸신 사랑이 바로 우리 삶의 목적과 의미를 알게 하신 것입니다. 이것이 성경이 말씀하시는 사랑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하나님께 우리가 의미가 있는 존재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먼저 우리에게 우리의 의미를 부여하셨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 존재의 정체성인데, 그것을 알게 하는 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것입니다.


이 사랑이 우리에게 빚이 되는 것은 우리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매기신 존재 목적을 알고 살면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그 모습을 보고서 하나님의 성품을 알게 되고 그것이 또한 자신의 존재 목적이고 삶의 의미라는 것을 깨닫게 되기 때문입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보고서 백부장이 또 사도와 오늘 우리가 우리 삶의 목적과 의미를 알게 된 것과 같은 것입니다.


따라서 바울 사도의 말씀과 같이 서로 사랑의 빚 이외에 다른 빚을 지지 말라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랑을 나타내면서 살라는 말씀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의 생명이 자기 본성이 된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서로 자기 안에 있는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고 그 표현된 하나님의 성품을 사랑하고 찬양하면서 살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사랑의 빚입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가 이렇게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피차 사랑의 빚 외에는 아무에게든지 아무 빚도 지지 말라 남을 사랑하는 자는 율법을 다 이루었느니라(롬 13:8)


서로가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삶의 목적과 자기 존재의 의미를 알고 살면 그것이 사랑인데, 그것은 또한 우리에게 뜻하신 하나님의 모든 것이므로 그렇게 살면 모든 율법을 다 이룬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는 율법이란 것이 행위 규범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다시 말해서 율법을 지키면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하나님께서 자신을 창조하신 그 목적을 알고 그대로 살 때 하나님의 성품이 드러나서 또 다른 사람이 그 모습을 보고 자신을 만드신 하나님의 의와 뜻을 이루게 된다는 것입니다. 율법은 사람이 하나님께서 자신을 만드신 목적을 알고 살 때 나타나고 보이는 삶의 모습일 뿐이고, 사랑은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부여하신 관계의 의미를 알고 알게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바울 사도가 하시는 말씀은 채무관계에 대한 말씀이 아닙니다. 이것은 로마서 전체에 흐르고 있는 주제, 율법은 행위 규범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아무 값없이 우리를 택하시고 창조하시어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아들이 되게 하시는 우리에게 주신 은혜를 알면 삶으로 나타나는 삶의 모습이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니 사람을 대할 때에 사랑의 빚 이외에, 할례가 있어야 한다거나, 성경을 읽어야 한다거나, 기도를 해야 한다거나, 유대인이어야 한다거나, 신학을 해야 한다거나, 사회적으로 교양이 있어야 한다거나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런 것이 있어서 하나님의 의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런 것으로 서로 빚을 지우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런 것이 있어야 하는 것처럼, 그것이 목적인 것처럼 말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러한 것이 우리가 하나님께 부여받은 존재의 빚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서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고, 사람에게 하나님과의 존재 의미를 깨닫게 하는 사랑이 있어 그것으로 사는 사람이 성경을 보고, 기도를 하며, 세상의 사람들이 그를 사랑할만한 삶을 살며, 그런 사람이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게 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생명의 유전자가 그렇게 이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생명의 본성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사랑이고, 그것이 율법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3:8-10) Debt of Love


The apostle Paul tells people to live in a society where they belong and not to owe each other any debt except love. Many people try to keep the Bible literally, but from that point of view, Christians will not be able to use credit cards and postpaid cards. That's because it's all about debt. That way, people can see how they believe in Jesus and try to keep the Bible, as well as how convenient they are. But that is not the case.


The debt that the Bible says is debt to purpose. It is not about debt. It is a contradiction to give a statute for those who are slaves of sabbaths or jubilees if they are to say that God ought not to be owed to man. This debt, which the Bible speaks, is the debt of God's purpose.


This debt is like this. If a light bulb is made and waiting to be put on the back, the light bulb is owed if it is not already in place. There is purpose that is made to light, because it does not yet carry out purpose. Man has the purpose God has made, and it is man's debt that fulfills its purpose. And it is the greatest love to know the meaning of self existence.


Because the world does not have a greater love than Jesus' love, it is because of Jesus that we have come to know what meaning of existence we have before God and what meaning and purpose of our life is. Therefore, there is no greater love than to let a person know the purpose of his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life and rejoice to live with it. It has the same meaning as love between men and women, love between friends. Among many people, it is a person who has meaning to each other without a world condition or purpose, a lover whom he loves, and a friend.


Jesus came to this earth, and the love he gave to all of us made us realize the purpose and meaning of our life. This is the Bible's love. And this is God's love for us. It means that we have become meaningful to God. God first gave us our meaning. It is the identity of our being, and it is love that makes it known.


This love is owed to us because if we live knowing the purpose God has given us, we will see others in our lives, knowing God's character and knowing that it is also our goal of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life This is because. When we see Jesus on the cross, the centurion is like the apostle and we know the purpose and meaning of our life today.


Therefore, as Paul's apostle says, not to have any debt other than the debt of love is to say to all people that the love that God has given us is living. In other words, to live as the life of Christ. In other words, the life of Christ is to become a person of his own nature. That is why they express God's character in each other and live in love and praise of the expressed character of God. This is the debt of love.


So the Apostle Paul said:

Let no debt remain outstanding, except the continuing debt to love one another, for whoever loves others has fulfilled the law. (Romans 13: 8)


It is love, when we know each other's purpose of God's life and the meaning of our being, and it is also all that God has meant to us, so that if we live, we will have fulfilled all the laws.


It is the law that the law is not the norm. In other words, not keeping the word of God by keeping the law, but when a person knows the purpose God created for himself and when he lives as it is, the character of God is revealed, and the righteousness and the will of God, It will be accomplished. The law is only a manifestation of life that appears and appears when a person knows God's purpose for his or her creation, and love is to know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God has given to man.


The words of the Apostle Paul are not about debt. This is the theme that flows throughout Romans. The law is not a code of conduct. If God knows the grace that He has given us for choosing and creating us and making us a son of God's character, You are saying that you are a figure.


So, in dealing with people, besides the debt of love, do not be circumcised, read the Bible, pray, do Jews, do theology, or be socially liberal. It is not that which leads to the righteousness of God. That is why you should not owe your debt to each other. Just as it should be, do not say it as though it was a goal. That is not the debt we owe to God.


Rather, the righteousness of God expresses the character of God in himself, and there is love that makes man realize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 God, so that those who live in it will see the Bible, pray, It is that such a person is to preach the word of God. That's why the genes of life are so. That is the nature of life that God has given us. It is love, and it is law.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로마서 13:1-7) 권세자들에게 굴복하라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로마서 Date : 2017. 1. 28. 22:30 Writer : 김홍덕

바울 사도는 세상의 권력자들에 대하여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권세를 가진 사람들에게 굴복하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참 어려운 말입니다. 하지만 그 말이 어려운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세상을 하나님께서 만드시고 통치하신다는 것을 믿지 않으면 어려운 것입니다. 세상이 잘못 돌아가고 있다고 여기는 것은 아주 정의로운 것 같지만 실상은 하나님의 통치를 비웃는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예수님은 물론이고 당시 최고의 신분이라 할 수 있는 로마 시민권을 가진 바울 사도도 세상의 권력자에 의하여 죽임을 당했고, 바울 사도 역시 자신이 그런 운명에 있다는 것을 모르지 않았는데 권세를 가진 자들에게 굴복하라고 한 것은 ‘예수 믿는 사람이니 참고 살자’는 식의 말씀이 아닙니다. 이 말씀은 세상의 모든 것은 하나님께서 통치하신다는 말씀을 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독립된 문제가 아닙니다. 하나님을 믿는 신앙인이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개별적인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끊임없이 말씀드리거니와 하나님을 믿는 신앙의 모든 행위와 삶의 모습은 그 사람 안에 있는 의가 표현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즉 바울 사도의 말씀과 같이 권력자에게 굴복하는 것은 권력자가 얼마나 정의로운지에 따라 달라진다거나,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 그럴 수 없다고 한다는 것은 그 사람 마음 안에 있는 의가 그런 생각과 삶으로 나타난 것이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교회에서는 모든 것에 순종하는데 세상에서는 순종이 되지 않는다? 그러면 순종을 모르는 사람입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집에서 새는 쪽박, 들에서도 샌다.’는 말이 있습니다.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사자성어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세상의 권력자(특히 정의롭지 못한)를 대할 때에 그들도 하나님께서 경영하시는 일부라고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을 하나님께서 경영하시는 것의 일부를 자기가 경영하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성경에서 이런 모습을 보여준 극단적인 사례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롯이 소돔과 고모라에 있을 때 찾아온 하나님의 사자들을 소돔과 고모라 성의 사람들이 상관(동성애)하겠다고 한 것이 그것입니다.(창 19장) 하나님의 일에 사람이 관여하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자를 자기 뜻대로 하겠다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의 일을 자기의 의대로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망한 곳이 소돔과 고모라입니다.


사람들이 끊임없이 세상의 정의와 하나님의 의로움을 연결시키지만 하나님의 선하심과 의로움은 세상의 정의와는 다릅니다. 이렇게 말하면 세상의 정의가 어떻든 신앙만 요구하는 하나님이냐고 반문하는 것이 거의 반사적인데, 그런 사람들은 단언컨대 하나님의 의를 단 한 번도 경험한 사람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마음 안에 있는 사람의 삶이 사회를 어지럽게, 정의롭지 않게 만들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생명의 본성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세상의 권력자들에게 굴복하라고 한 것은 세상의 경영이 하나님께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가 생각할 때 이러면 안 될 것 같은 일이 있어 동사무소에 이의를 제기한다고 해보겠습니다. 마침 그렇게 해서 해결이 되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아서 위로 위로 그 민원을 제기하여 간다면 결국은 하나님께 이를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은 자기 눈에 세상이 정의롭지 못하게 보이면 그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하나님을 원망하기 일쑤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세상은 누가 봐도 불합리한 것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세상의 불합리함과 세상의 가치기준으로 볼 때 정의롭지 못한 것, 그리고 성경을 행위 규범으로 보는 사람들의 시각으로 볼 때 선하지 않은 세상이라고 하나님의 통치 밖에 있다고 하는 것은 하나님을 거룩하게 여기는 것 같지만 하나님을 희롱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은 당신이 만든 세상의 일부가 당신의 섭리에서 벗어나 타락했습니다. 그래서 당신의 거룩함이 훼손되려 해서 내가 그 세상의 일부를 제거하였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신앙의 근간이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시고, 그 전능하시고 온전하심으로 세상을 경영하신다는 것을 믿는다는 것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눈에 불합리하고 정의롭지 못한 것 같아 보이는 이 세상이 하나님이 온전히 경영하고 계신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 세상은 그 어느 것 하나 예외 없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이미 로마서 8장에서 말씀한 바울 사도가 볼 볼 때, 세상의 권력이란 선할 때는 선함으로 악할 때는 악함으로 사람에게서 하나님의 성품이 나타나게 하는 도구로서 쓰이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세상의 권력이 없었다면 어떻게 십자가를 졌겠으며, 로마에 죄인이 되어 압송된 바울 사도 역시 세상의 권력이 없다면 어떻게 로마에 가서 절정의 복음의 설교를 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와 같이 세상의 권력이 때로는 참 악하고 정의롭지 못하지만 그 불의함이 하나님의 선함을 나타내는 것에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그런 악함으로 대한 하나님의 성품을 가진 하나님의 아들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의와 품성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성품을 가진 자, 하나님 아들의 영을 가진 사람들은 사나 죽으나 주를 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세상이 선하고 평안하면 그 평안으로 인하여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고, 세상이 정의롭지 못하고 악함으로 자신을 대하면 또한 자신의 육신을 그 악함과 원수됨 앞에 드림으로 자기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존재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와 같이 하나님 아들의 영을 가진 이는 순종으로, 또한 자기 육신을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것에 소비함으로, 또한 하나님과 원수된 자들이 주장하는 의 앞에서 죄인으로, 또한 세상의 권력 또한 그렇게 하나님께서 의를 나타내시기 위하여 사용하시는 방법과 수단이라는 것을 알기에 그 앞에서 또한 자신을 드림으로 사나 죽으나 하나님 아들의 영을,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는 존재들인 것입니다.


세상이 때로 정의롭지 못할 때, 그 세상을 고쳐야 한다고 부르짖는 사람들로 인하여, 또 위대한 영웅으로 인하여 세상이 바뀌는 것이 아닙니다. 어두움은 물러가라 외치는 자의 소리에 물러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앞에 놓인 일을 묵묵히 하면서, 정치가들이 정의롭지 못하여 힘들어진 삶을 꾸역꾸역 살아내는 사람들에 의하여 바뀌는 것입니다.


자고로 세상이 시끄러운 것은 “세상은 이래야 한다!”고 외치는 사람들로 인하여 시끄럽습니다. 그 의들이 충돌하면서 소란스럽고 다툼과 전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세상은 절대로 내 탓이라고 여기는 사람, 자기 본분에 충실한 사람으로 인하여 시끄러워지거나 정의롭지 못하게 되는 법이 없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정의일지 모릅니다. 


자기 본분, 곧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육신으로 때로 힘들어도 그 앞에서 육신의 삶을 소비해 가고, 또한 하나님의 분명한 의를 알지만 그렇지 않은 자들이 오히려 큰 소리로 ‘이것이 하나님의 의다!’라고 외치는 외침으로 자신이 죄인이 되는 자리를 피하지 않고 그 잔을 마시는 사람들이 바로 진정으로 하나님을 믿는 것이고, 그런 사람들에 의하여 세상은 온전한 것입니다. 왜나하면 그런 사람들의 삶에 하나님의 온전하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3: 1-7) Submit to the authorities


The apostle Paul speaks about the powers of the world. But to give to those who have authority. This is a difficult word. But there are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say. It is difficult if you do not believe that God makes and reigns the world. It is very right to think that the world is wrong, but the truth is to laugh at the reign of God.


I think that not only Jesus, but also the apostle Paul, who had the Roman citizenship at that time, was killed by the power of the world, and Paul also did not know that he was in such a fate, It is not the expression of 'Let's live a reference to the person who believes in Jesus'. This is to say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governed by God.


And this is not an isolated problem. It is not an individual question how the believer in God sees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I constantly say that every act of faith in God and the image of life is a representation of the righteousness in that person. In other words, as in the words of Paul's apostle, submitting to the authority depends on how rightful the power is, or that a person who believes in God can not do that the righteousness in his mind is manifested in such thought and life.


Man obeys all things in the church, but is not obedient in the world? Then you do not know obedience. There is a saying in Korean proverb, 'A bowl of water leaking from the house is also watery in the fields.' There is no need to mention the lion's word, "囊中之錐"(An awl in the pocket must pop out of the pocket.). When we treat the power of the world (especially not just), we can not admit that they are also part of God's management. That is, they will manage some of God's worldly management.


There are extreme examples of this in the Bible, one of which was that God's messengers, who came to Lot when they were in Sodom and Gomorrah, would be homosexual to Sodom and Gomorrah's people (Genesis 19). It is a person's involvement in God's work. I will do the will of the angel of God according to his will. In other words, we will make God's work our medical center. So the ruins are Sodom and Gomorrah.


While people constantly connect the justice of the world with the righteousness of God, God's goodness and righteousness are different from the justice of the world. It is almost reflexive to say that God is the only God who demands justice in whatever the justice of the world is, and they are the ones who have ever experienced God's righteousness. It is because the righteousness of God has no way to make the life of the person in his mind unsettling society. That is the nature of life.


Paul's apostle told the world's rulers to surrender because the world's administration is to God. When I think about it, I will try to appeal to the government office. I am glad that it is solved by that way, but it is not so because if it raises the complaint, it will come to God in the end. Of course, many people seem to blame God if they see the world in their eyes.


But there is something irrational in the world. But it seems to be holy to God that it is outside the reign of God that it is not a good wor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nreasonable world and the values ​​of the world, It is to mock. It says, "God has fallen from your providence as a part of the world that you have made. So I tried to destroy your holiness, and I removed part of the world. "


The foundation of faith in God is that God believes that God creates the world and manages the world through its omnipotence and integrity. It is a belief that this world, which seems unreasonable and unjust in the eyes of man, I will. This world is nothing except that the sons of God appear in everything. Paul, who already said in Romans 8, sees that the power of the world is the goodness of good and evil of evil, It is used as a tool to do.


How could Jesus, if he had been without the power of the world, to be crucified, to be a sinner in Rome, and to be sent to the house of Paul, could he go to Rome and preach the Gospel of the Gospel without the power of the world? Likewise, the power of the world is sometimes utterly evil and unjust, but its unrighteousness is used to represent God's goodness. It is to expose the righteousness and character of God in the Son of God with the character of God for such evil.


Therefore, those who have the character of God, those who have the spirit of the Son of God, can live or die, but for the Lord. If the world is good and peaceful, it expresses God's righteousness because of its peace. If the world treats Himself with justice and wickedness, it is also a manifest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m by presenting His body before His evil and enemies is.


Thus, as it is by obedience to the Spirit of the Son of God, and by consuming his flesh for the manifest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also as a sinner in the presence of God and of the enemies, And that it is the way and means to use it to express God's will, and therefore, it is also the beings who are dead or alive by presenting themselves, the beings of the Son of God and the characters of God.


When the world is sometimes not justified, it is not that the world changes because of the people who cry out to fix the world and because of the great hero. The darkness is not changed by the voice of the crying person, but by the people who keep living in front of the people, and the politicians are living in an unjustified and hard life.


The loud noise of the world is loud because of the people who cry, "The world must be this!" Their conflicts are clamorous, conflicts and wars arise. There is no way that the world will never be loud or just because of someone who blames me on my part or someone who is faithful in his own way. It may be God's justice.


In his own self-disposition, the flesh that God has given to himself, sometimes consuming his fleshly life before him, and knowing the clear righteousness of God, but those who are not, speak with a loud voice, saying, 'This is God's righteousness!' Those who drink the cup without avoiding being a sinner are truly believing in God, and by such people the world is perfect. This is because God's integrity is in the lives of such peopl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이제 로마서 12장에 대한 마지막 포스트입니다. 12장을 흔히들 ‘그리스도인의 새 생활’이라는 부제를 많이들 붙입니다. 그리스도인은 그렇게 산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살아야 그리스도인이라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우리를 먼저 사랑하셨다고 하시는 것과 같이 아주 중요한 방향성입니다. 이 방향성과 다른 말씀은 하나님의 의도와 다른 말씀입니다.


우리는 이 로마서 12장에 나오는 많은 말씀들 중에 원수에 관한 것이 가장 어렵게 느껴집니다. 우애하고 존경하고 대접하는 것과 같은 것은 사실 성경이 아니라도 많이들 이야기 합니다. 물론 도덕시간에 이야기 하는 것은 방향성이 그렇게 해서 착한 사람이 된다는 방향을 가지고 있지만 성경은 그리스도의 의가 자기 안에서 생명이 되면 그렇게 살게 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아니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생명이 그런 것입니다. 개가 고양이 짓을 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원수를 사랑하는 것은 참 어려운 말씀입니다. 차원이 다른 말씀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같은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되고, 그 생명이 육신을 가진 삶으로 나타나면 원수를 사랑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아니 이것도 사랑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기서 말씀하시는 원수는 하나님과 원수가 된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과 원수가 된 사람들은 역설적으로 예수님을 통하여 전한 복음을 수용하고 구원받아야 할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살면,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라가게 되고, 예수님을 따라간다는 것은 하나님과 원수가 된 생각을 가진 자들의 의 앞에서 죄인이 되어 수고하므로 그 원수가 된 자들이 그 모습을 보고 하나님의 성품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예수님의 십자가고 원수를 사랑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성경이 말씀하시는 원수는 하나님의 의와 뜻에 반하는 생각을 가진 존재를 말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만드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다고 하셨는데 사람이 그 육신을 가진 인생을 부족하고 연약하고 죄악된 것으로 보는 것도 하나님과 원수가 되는 생각입니다. (인생이 죄인인 것은 그렇게 하나님과 원수가 된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지 인생의 연약함이 죄가 아닙니다.)


사람이 그렇게 하나님과 의에 대한 기준과 생각이 다르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십자가입니다. 그래서 십자가가 구원인 것입니다. 하나님과 사람(예수님 당시 유대인)이 예수님을 보는 기준과 생각이 달랐고 그것이 서로 마주하게 될 때 십자가가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 유대인들에게는 하나님을 모욕하는 예수님을 처형하기 위해서 십자가가 필요했고, 하나님과 예수님께서는 원수를 사랑하시기 위하여 십자가가 필요했던 것입니다.


그것은 오늘도 같습니다. 오늘도 사람들은 사람이 그리스도가 될 수 있다고 하면 ‘안 된다’고 합니다. 아니 그럴 수 없다고 합니다. 사람은 그리스도가 되기 위하여 창조된 존재인데 그리스도가 되지 못할 것면 존재의 이유조차 없는데, 그것을 신앙이라고 가지고 있다면 그건 어떻게 해석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스도란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된 사람인데 그렇게 되지 못하면 사람의 존재 이유와 목적이 사라지는데 하나님을 믿는다는 사람들이 오히려 그럴 수 없다고 하니 그것이 유대인과 같은 것입니다.


그리스도가 되는 것은 예수님이 되는 것과는 다른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난 육신으로만 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2,000년 전에 오신 그 개체로만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예수님을 그렇게 보는 이유는 사람들의 안목이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였던 그 개체로서의 예수님만 그리스도라고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하나님의 아들은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는 존재입니다. 그것은 또한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사람은 당연히 그 목적이 자기 존재 목적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사람은 그리스도가 될 수 없다고 하고, 이 육신은 부정하니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려면 예배에 오고, 십일조 하고, 성경보고, 기도하고 전도해야 한다고 하니 이것이 하나님과 원수인 생각입니다.


바울 사도는 이 원수 갚는 일을 하나님께 맡기라고 했습니다. 예수님도 검을 뽑아 든 베드로를 저지하셨습니다. 하나님과 원수가 된 생각은 하나님의 법과 의에 의하여 처리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이 지신 십자가는 하나님의 아들을 죽이려는 자를 대하는 일반인이 가진 방식이 아닙니다. 즉 사람의 법으로 한다면,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하나님과 원수가 된 자들을 대한다면 심판하고 정죄하는 것이지만 예수님이 보이신 하나님의 법은 오히려 그들의 의 앞에서 죄인이 되어 십자가를 지신 것입니다.


이는 원래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과 원수가 된 생각 중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들이 생각하듯 하나님과 원수가 된 자들을 죽이고 심판하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예수님을 십자가에 달리게 하시므로 그들의 생각이 자신을 지으신 하나님과 다르다는 것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보게 하신 것입니다. 그 그리스도의 법으로 하나님과 원수가 되는 것에서 벗어나서 하나님과 원수가 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성도가 하나님과 원수가 된 생각을 가진 이들을 심판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의 성품을 가진 사람은 그저 예수님께서 보이신 것과 같이 하나님과 원수가 되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심판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하나님께 맡기고 자신은 예수님과 같이 십자가를 지는 삶을 사는 것에만 충실하면 됩니다. 그러면 아마 하나님과 원수가 된 생각을 가진 이들이 사로잡아서 죄인으로 만들 것입니다. 그러하더라도 그 길을 가는 것이 예수님의 십자가를 지고 따라가는 것이고, 하나님과 원수가 된 사람들을 하나님께 맡기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Romans 12: 14-21) The enemy is entrusted to the wrath of God


Now is the last post for Romans 12. The twelve chapters are a lot of subtitles, the new life of the Christian. Christians live that way. That is not to be a Christian. This is a very important direction, just as God says he loved us first. This direction and other words are different from the intention of God.


We feel that it is most difficult to talk about enemies among the many words in Romans 12. In fact, it is not the Bible that tells a lot about friendship, respect and hospitality. Of course, talking about moral time has a direction that direction is to be a good person, but the Bible tells us that the righteousness of Christ lives in that life. No, I can not help it. Life is like that. It is like a dog can not do cats.


But loving the enemy is a difficult word. The dimension is different. But this is also the same. If the righteousness of Christ is his life, and the life appears as a life of flesh, he will love his enemies. No, this is bound to love. For the enemy who speaks here is enemy with God. But those who are enemies of God are paradoxically the object to receive the Gospel and receive salvation through Jesus.


Therefore, if a person lives as the life of Christ, he takes his cross and follows Jesus, and follows Jesus. He is a sinner in the sight of God and those who have thought to be enemies. It is because we find God's character. This is Jesus' crucifixion and loving the enemy.


As I said before, the enemy that the Bible speaks is the one who has an idea that contradicts God's righteousness and will. God said that He made man and was very good at seeing, but it is also the idea that man is the enemy of God with his flesh being lacking, weak, and sinful. (Life is a sinner, because it has the thought of being enemy with God.) The weakness of life is not sin.


It is the cross that appears when one has different standards and thoughts about God and righteousness. So the cross is salvation. God and man (Jewish in Jesus) had different standards and thoughts to see Jesus, and when they faced each other, they needed a cross. The Jews needed a cross to execute Jesus, who insulted God, and God and Jesus needed a cross to love their enemies.


It is the same today. Today, people say 'no' if they say that a person can be a Christ. No, I can not. Man is a created being to be a Christ, but if he can not be Christ, he does not even have a reason for existence, and if he has faith, how can he interpret it? Christ is the person whose righteousness is God's life. If it is not so, the reason and purpose of man disappear, but people who believe in God can not do it. It is like Jewish people.


Being Christ is different from being Jesus. This is because we see Jesus Christ only in the flesh. It is because we only think of Jesus as the object that came 2,000 years ago. The reason why I see Jesus like that is because people see their eyes as an essence. That is why Jesus recognizes only Jesus as the Christ, who was in a state where people can see with eyes.


Christ is the Son of God. The Son of God is a manifestation of God's character. It is also the purpose God has made of man. So, of course, a person must be the purpose of self-existence. In other words, we must be Christ. But people say that man can not be a Christ, and that this body is unclean. To be brought before God in order to make up for it, he must come to worship, pay tithing, see the Bible, pray and preach.


The apostle Paul said to give God the task of repaying this enemy. Jesus also stopped Peter, who had sword. The thoughts that become enemies with God are to be dealt with by God's law and righteousness. The cross that Jesus has is not the way the ordinary people treat those who want to kill the Son of God. In other words, if the law of man is to judge and condemn those who are enemies of God in the way that people think, but the law of God, which Jesus had, was a sinner and a crosser before them.


This is because all of the people were in the mind of enemies with God. God did not kill and judge those who were enemies, just as people think, but rather let them see Jesus so that they could realize that their thoughts were different from the God who made them, because He let Jesus run on the cross. It is because the saints who know what is the enemy of God and the enemies of God by the law of Christ can not judge those who have thought of God and enemies.


He who has the character of Christ is not just to judge those who have thought to be enemies with God, as Jesus has seen, but to be faithful to living a life of crucifixion like Jesus, leaving their hearts to God . Then those who have thought to be enemies with God will be captured and made sinners. Even so, going on that path follows the cross of Jesus and entrusts God with those who are enemie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