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03

나오미의 두 자부 오르바와 룻은 모압 여인이다. 하나님의 일을 스스로 해결해보겠다는 신앙의 형식(여자)이라는 의미이다. 형식만 있고 내용은 없는 신앙을 대표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들을 이끄는 나오미는 자기 안에 형식뿐인 신앙의 내용을 채울 것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래서 하나님의 의를 찾으려는 자부들에게 아들을 낳을 수 있는 남편과 같은 의를 보일 수 없다고 말하고 그러니 자신들의 나라로 돌아가라고 만류하고 있는 것이다.


나오미는 솔직했다. 그리고 첫 번째 며느리 오르바는 현실적이었다. 그런데 룻은 그렇지 않았다. 룻은 그 시어머니인 나오미 안에 자신의 남편과 같은 하나님의 의가 없다는 것을 모르는 바는 아니었지만 한 가지 본 것이 있었다. 그것은 나오미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계기, 곧 이유였다. 이것은 룻이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후일 보아스와의 관계에 대하여 시어머니인 나오미의 권유에 순종하고 보아스와의 관계에 순종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룻은 지금 나오미에게 남편과 같은 의가 없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나오미가 고향 곧 하나님의 백성들이 사는 나라에 하나님의 은혜가 있다는 것에 의지하여 돌아가려는 것에 의지했다. 구름이 몰려오면 비가 오는 것을 아는 것과 같았다. 지금 나오미는 비는 아니지만 구름이 있는 곳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룻이 은혜를 입은 것은 바로 여기서 시작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은혜와 의가 없는 신앙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어디로 가야하는지를 생각했고, 불확실했지만 자기의 안목 안에서 가장 확실하다고 생각되는 길로 무작정 떠난 것이다. 이것은 두려움이 없는 신앙이다. 그것이 예수님의 족보에 이름이 오른 여인이 되는 증거이다.


사람들은 자기 신앙이 온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자리에 머무른다. 사람은 온전해질 수 없고, 그러니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논리에 매몰되어 있다. 문제는 언제까지, 또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 아무도 모르는데도 그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길을 나서지 않는다. 그러나 룻은 달랐다. 자신은 이방인 그것도 이방여인에 과부로 어디 비빌 곳도 없을 텐데 하나님의 은혜가 있다는 소식만 듣고 나서는 시어머니와 함께 가고 있는 것이다.


그에 비하면 오늘날 신앙인들은 자기 신앙에 대하여 스스로 양심적으로 생각하면 온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두려움 속에 살고 있는 겁쟁이들이다. 자기가 있는 자리가 온전한 신앙이 아니라면 어차피 그곳에 있다고 의로워지는 것이 아님은 너무 자명한 것이다. 스스로가 생각할 때 자신이 온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기와 동일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모여서 ‘이렇게 있으면 될 거야?’라며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그 자체로 위안을 삼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자기 확신이 없는 상황이니 사실 아무것도 해결된 것은 없는 것이다.


룻은 형식만 남은 신앙을 대표하는 사람이다. 적어도 나오미를 따라 나서고 보아스의 아들을 낳을 때까지는 그런 사람을 대표하는 사람이고 신앙의 모습이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은혜가 있다는 곳으로 간다는 여인인 나오미를 따라서 나섰다. 나오미도 남편 없는 과부이니 의는 없고 형식뿐인 것은 자신과 다를 바 없지만 그래도 하나님의 은혜가 있다는 곳으로 간다는 그 하나의 차이에 룻은 자신의 운명을 맡기고 순종하고 있는 것이다. 일면 비참할 수 있지만 생각해보면 룻이 모압 땅에 남아서 또 더 나아질 것도 없지 않는가? 자기 신앙이 온전하지 않다는 것을 아는 자리에 머무른다고 달라질 것이 없지 않느냐는 것이다.


어쩌면 이 룻기는 이 배경이 그 내용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나님의 일을 스스로 해결하겠다는 신앙, 그나마도 의는 없고 형식만 남은 신앙에서 남편 곧 의를 찾아서 그 의가 육신의 삶이 되는 아들과 같은 신앙으로 가는 여정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이다. 효부가 하나님의 은혜를 입는다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라. 룻이 보여준 그 모습을 보고 오늘 자신의 신앙을 반추해 보는 것이 룻기를 온전히 보는 것이라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룻기 1:6-14) 돌아가는 나오미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룻기 Date : 2019. 11. 6. 11:23 Writer : 김홍덕

남편 엘리멜렉과 두 아들이 이방인의 땅에서 후사도 없이 죽게 된 이후에 남은 나오미와 그의 두 자부 오르바와 룻, 이 세 여인에게 하나님께서 자기 땅에 은혜를 베푸시고 양식을 주셨다는 소식이 들려오게 된다. 그러자 나오미는 자기 땅으로 돌아가기고 하고 나선다. 이에 그 두 자부도 같이 나서게 되자 나오미는 이를 만류한다. 그런데 그 만류의 내용이 어떻게 보면 좀 낯 뜨거운 이야기들이다.


나오미는 며느리들을 오직 후사 곧 아들을 낳는 일에만 연관 지어 생각하고 있다. 나오미는 이제 자신이 며느리들에게 다시 남편을 낳아 줄 수 없다는 이유로 며느리들이 자신을 따라 오는 것을 허락지 않고 만류한다. 이렇듯 룻기는 오직 여인이 아들을 낳는 것 그 하나를 지양하는 것 같은 성경이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다. 그러나 그것은 형식적인 접근이 그렇고 본질은 하나님 앞에 여자와 같은 사람이 그 속심령에 하나님의 아들을 낳을 수 있느냐 아니냐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는 성경의 기본적인 관점에 기인한 것이다.


성경의 모든 말씀은 사람이 하나님께서 뜻하신 대로 그 생명의 본성이 하나님의 성품과 같아져서 그 생명의 본성대로 사는 존재가 되느냐를 말씀하시는 것이다. 하나님의 의가 육신으로 표현되는 존재가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이다. 아들은 아버지의 본성과 의가 육신으로 나타났고 또 표현하면서 사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은 육신으로 나서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사는 동안은 언제나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 아들을 낳아야 하는 여자와 같은 존재이다.


그러므로 이 나오미의 말들은 단순하게 며느리들에게 자신이 남편을 낳아 줄 수 없다는 말이 아니다. 이는 이방인, 그것도 스스로 하나님의 일을 걱정하는 족속인 모압 족속의 여자, 그러니까 하나님의 일을 스스로 걱정하는 형식과 껍데기만 있을 뿐 내용과 의가 없는 사람에게 전해줄 하나님의 의가 자신에게 없다는 것을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오늘날의 일로 설명한다면, 존재의 하나님, 그 의는 없고 오직 하나님을 섬기는 외식과 형식과 규례, 그것마저도 세상의 방법과 간음하듯 혼합된 교회나 신앙에게 온전한 하나님의 의를 전해야 하는데 나오미는 그 자신도 남편 곧 의가 없는지라 그것을 전해줄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관점을 이해한다면 오늘날 소위 말하는 교역자들, 성경을 풀어서 전한다는 사람들은 이 나오미의 고백 앞에 겸손해야 한다. 이는 오늘날의 목사는 목사가 되는 과정이 온전히 세상적인 의로움, 곧 이겨서 높은 곳에 이르는 법의 세계에서 목사가 된 존재이기 때문이다. 단지 그 경쟁의 기준의 성경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은 세상의 법이 아니라고 여기는 환상 속에 있을 뿐이다. 하나님의 의가 있다면 당연히 하나님의 법과 규례를 따를 것인데 그 경쟁의 방법과 기준이 세상과 같이 서로 경쟁하여 이기는 것이라는 것은 그 분성이 세상적이라는 것이다. 즉 나오미와 같이 의는 없고 형식만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다만 나오미와 다른 것은 나오미는 자신에게 아들을 낳을 의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솔직함이 있는 반면 지금의 목사들은 그런 고백 없이 회칠한 무덤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지금 나오미가 두 자부를 데리고 귀향하는 것은 하나님의 의를 스스로 찾겠다고 나선 사람들이 그곳에서 하나님의 아들을 낳을 수 있는 하나님의 의를 찾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다 잃고 돌아오는 회개의 길과 같다. 그것도 아직 아들을 낳을 수 있는 자리로 온전히 회복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가 있다는 소문에 의지하여 희망을 가지고 돌아가는 과정이다. 이는 단순하게 보면 먹을 것 없어서 돌아가는 현실적인 문제인 것 같지만 신앙 안에서 보면 아주 중요한 결단이다. 어쩌면 누가복음에 나오는 탕자와 같은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다니는 교회에서 영적인 만족을 얻지 못하여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어쩐 말씀을 듣게 되어 그것에 감동하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하고 주변에 말을 하면서도 그곳을 향하여 떠나지 못하는 것과는 아주 격이 다른 모습이다. 아직 아들을 얻을 지경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나오미는 그 길을 떠났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자기 교회 설교나 경영에 대하여 불만을 가지고 주일 예배 후 귀가하면서 투덜거리면서도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사람에 비하면 아주 나은 신앙의 모습인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바라바를 선택한 것은 유대인들만이 아니다
오늘도 대부분의 신앙인들은 바라바를 선택한다.
스스로 하늘에 닿으려 했던 바벨탑과 같이...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