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16

남자와 여자 (2)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내용과 형식 Date : 2015. 9. 12. 15:55 Writer : 김홍덕

사람이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



하나님께서 아담을 만드시고 아담을 보시면서 하신 말씀이다.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니…(창 2:18)


여기서 말하는 사람은 그냥 사람이 아니다. 그렇다고 뭐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도 아니다. 이 사람은 아담이다. 아담이라는 이름의 뜻이 ‘붉다’는 의미이다. 이는 흙이 붉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래서 성경에서 붉은 색은 사람을 나타내는 색이기도 하다. 하여튼 하나님께서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하신 대상은 아담인데, 이 아담은 하나님이 창조하시고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신 그 모습을 가진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즉 하나님께서 뜻하신 대로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사람은 남자다.


여기서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남자가 혼자 사는 것이 좋지 못하다거나, 아니면 반대로 여자가 혼자 사는 것이 좋지 못하다는 말씀을 하시고자 하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서 남자를 보고 사람이라고 한 것은 역설적으로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은 모습을 가진 사람이 바로 남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이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는 것이다. 즉 이는 하나님의 의를 가진 존재를 남자라고 하는 것이다. 즉 내용을 가진 이가 바로 남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이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하신 것은 내용만 있어서는 좋지 못하니 그 내용을 표현할 형식이 있어야 한다는 말씀을 하시는 것이다.


성경에서 남자와 여자를 말씀하시는 것이 육신으로 남자냐 여자냐를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육신이 여자라도 남자의 격을 가진 사람이 되는 것이고, 육신이 남자고 힘이 좋고 세상을 좌지우지 할 능력이 있다고 해도 하나님의 의가 그 안에 없으면 그는 하나님 앞에서 여자의 격을 가진 존재일 뿐인 것이다. 그래서 성경에서 사람의 수를 셀 때 남자의 수만 센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의를 가진 사람만을 사람으로 보시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하나님의 의가 자기 본성인 사람만 살아 있다고 보신다는 것이다. 그런 하나님 마음을 가지신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셨기 때문에 율법의 조문으로만 보면 여자를 수에 세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사람의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는 것은 하나님의 의가 표현되지 않고 그 의 자체로만 있는 것이 좋지 못하다는 말씀인 것이다. 즉 내용이 내용으로만 있고 표현되지 못한다면 좋지 못하다는 것이다. 즉 내용은 형식으로 표현될 때 보기에 좋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의 육신을 만들고 보시기에 좋았던 것은 영이신 하나님의 마음이 형태를 가진 존재로 표현되었기 때문에 좋았던 것 같이, 하나님께서 사람이라 인정하는 내용을 가진 사람이 내용만 가진 상태로 있는 것은 좋지 못하므로, 그것을 표현할 배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형식이고, 그 하나님의 의가 육신으로 여자인 사람으로 나타난 것이다.


실재로 남자와 여자는 전혀 다른 사람인데, 그 가운데서 가장 특징적인 정체성은 남자는 명분을 중요하게 여기고, 여자는 표현된 것과 방법과 형식을 아주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이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다. 영이신 하나님께서 내용인 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람을 만드시는 성품이자 법을 가지고 계시고, 그 성품과 법으로 내용에 대응하는 사람을 남자로, 또 형식을 표현하는 사람으로 여자를 만드셨기 때문에 남자와 여자가 그런 본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육신으로 남자와 여자의 행동 양식도 이런 것을 설명하는데, 여자는 화장을 하고 겉을 꾸미며, 옷과 같이 표현되는 것에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남자는 겉으로 표현되는 것 보다 자기 안에 능력을 갖추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래서 남자의 본성은 평소에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내재된 것이 어떤 상황과 필요할 때 나타나고, 여자는 보통 평소의 모습마저 늘 꾸미고 단정하게 하는 본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 남자와 여자의 육신의 삶의 모습에서 우리는 내용과 형식이라는 것이 어떤 관계인지를 배울 수 있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그렇게 표현하셨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의를 가진 사람이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하신 것은 잘 생각해보면 하나님께서 왜 천지를 창조하셨는지, 천지창조의 이유와 목적을 알 수 있는 말씀이라는 것이다. 명분을 중요하게 여기는 남자가 형식을 아는 여자와 함께 하지 못하고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생각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은, 영이신 하나님께서 영원한 의요 내용이신 하나님 자신이 혼자 있는 것 좋지 못하므로 이를 표현할 존재, 하나님의 마음을 담아내어 그것을 표현할 형식이 필요하다고 여기시는 분이심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 하나님의 본성이 천지와 사람을 창조하신 것이다. 의의 본체고 영이신 하나님을 표현할 형식을 창조하신 것이라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것은 의의 본체이신 하나님을 표현할 형식을 만드신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본성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은 하나님의 본성으로 말미암아 비롯된 것이며, 의의 본체이시고 영이신 하나님이 표현된 형식이 바로 세상과 사람인 것이다.


하나님은 영이시기에 형체가 없으시다. 그러니까 하나님은 온전한 내용이고, 의이시며, 목적이신 분이시다. 바로 그 하나님께서 가지신 본성이 그 의를 표현할 형식을 창조하신 것이다. 그것을 성경에서 나타나신바 된 것이라고도 하고, 말미암은 것이라고도 한 것이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 끌리고 서로를 그렇게 간절하게 필요로 하고 짝을 찾는 이유가 그런 하나님의 창조물이기 때문에 그 본성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영이신 하나님께서 그것을 표현하고 거하실 형체가 필요했다는 것은 내용과 형식은 언제나 서로를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떤 면에서 보면 하나님의 의지라기보다 하나님의 본성이라 할 수 있다.


남자와 여자는 그래서 서로가 필요한 것이다. 남자와 여자가 결혼을 통하여 한 몸을 이룬다는 것은 육신을 어떻게 하나로 만든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남자가 가진 의가 여자로 표현되는 것이나 여자가 가진 표현의 본성을 채울 의를 찾는 것이다. 그렇게 남자와 여자가 하나가 되는 것은 <내용과 형식>이 하나가 되는 것을 표현하는 하나님의 창조섭리인 것이다. 


하나님께서 아담을 잠들게 하시고 하와를 또한 창조하실 때에 아담의 갈비뼈를 취하여 하와를 만들었다고 하셨다. 이것을 두고 사람들은 ‘남자의 갈비뼈가 여자보다 하나 작은가?’ 생각하기도 하는데, 이 말씀은 그런 의미가 아니다. 성경에서 뼈는 <의(義)>를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래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께서 다른 죄수와는 다르게 뼈가 꺾이지 않으신 것이다. 예수님의 의는 꺾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담의 갈비뼈로 하와를 만들었다는 것은 아담의 의가 하와로 나타났다, 즉 남자의 의가 여자로 표현되었다, 그러니까 내용이 형식으로 표현되었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아담의 갈비뼈로 하와를 만드셨다는 것은, 창세기 1장 1절의 말씀과 같은 의미를 가진 것이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 1:)

즉, <“영이신 하나님께서 천지로 표현되셨다.”>라는 말씀과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세상은 하나님이라는 내용이 표현된 형식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것은 남자와 여자라는 같은 사람이지만 전혀 다른 사람을 통하여 표현하신 것이다. 그것이 남자와 여자를 만드신 하나님의 본성인 것이다.


(계속)


'주제별 성경 보기 > 내용과 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와 여자 (4)  (0) 2015.09.14
남자와 여자 (3)  (0) 2015.09.13
남자와 여자 (1)  (0) 2015.09.11
하나님의 형상인 사람  (0) 2015.09.10
<내용과 형식>이라는 주제에 들어가며…  (0) 2015.09.08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남자와 여자 (1)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내용과 형식 Date : 2015. 9. 11. 16:18 Writer : 김홍덕

성경이 말하는 남자와 여자는 육신으로 남자와 여자에 대한 말씀이 아니다.



남자와 여자에 관한 것은 철학적, 사회적 관점이나 유머에 이르기까지 너무나 많은 말들이 있고, 견해가 있다. 그리고 그것이 그렇다는 것은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라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런 남자와 여자를 성경적인 관점으로 보면, 그 안에도 여러 가지 다른 견해, 그리고 논쟁과 의문들이 있다. 예를 들면 ‘하나님은 왜 아버지인가?’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런 의문을 가지는 것 까지는 좋은데, ‘그렇다면 어미니 하나님도 있지 않겠느냐?’며 어머니 하나님을 신앙한다거나 하는 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또한 성경 안에서나 역사적인 관점에서 남녀평등이라는 과제 아닌 과제 역시 논쟁일 뿐 아니라, 사람은 누구나 남자 아니면 여자이기 때문에 누구나에게 자신의 문제이기도 하다. ‘남녀가 평등한가? 아닌가?’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고 쳐도. ‘어떻게 하는 것이 평등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 안에서 남자를 더 높이는 성향을 가진 사람은 보수적인 사람으로, 반대로 여권의 신장을 이야기하면 진보적인 사람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사실 성경은 엄격한 <남존여비>적인 관점에서 기록되었다. 신약성경이 기록되던 시절까지도 여자는 사람 수에도 들지 않았다. 성경에 나오는 인원수는 대부분 장성한 남자의 수를 말하는 것이고, 여자와 아이는 수에도 포함하지 않는다. 군바리는 사람에 치지 않는다는 농담 같은 일이 실제로 그때는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지금도 이슬람이나 유대교에서는 일부 이런 관점이 그대로 있어서, 서구 사회에서 볼 때 여자들을 대하는 그들의 신앙이나 관점이 언뜻 이해되지 않기도 한다.


하지만 성경을 <남존여비>적인 가치관에 의하여 쓰여 진 것이라고 보는 것은 아주 잘못된 견해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내용은 보지 못하고 형식만 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는 것은 <어머니 하나님>과 같은 관점 역시 그렇다. 성경을 문자 그대로 보는 것이 그래서 위험한 것이다. 이것은 마치 심청전을 보면서 심청전이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면 딸을 바다에 수장 시켜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심청전을 읽고서 딸을 수장 시키는 사람이 없는 것은, 그것이 소설이라는 것을 알아서가 아니라, 심청전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효(孝)>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알고서 보기 때문이다.


심청전을 읽고서 그 내용이 효라고 생각하는 것을 문학적인 표현으로 <행간>을 읽는다고 한다. 그러니까 작품의 문자를 본질로 보지 않고 작가가 전하고자 한 내용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다. 이 시대적인 것으로 보면, TV나 영화를 보면서 감독이나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라 화면 속의 장면이 본질이라고 생각해서 장면을 따라하는 것과 같은 것을 누구나 어리석은 짓이라 여기는 것은 TV나 영화의 본질은 화면 자체가 아니라 작가나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성경도 그와 같은 관점으로 보아야 한다. 그것이 아니면 아주 이상하게 된다. 성경을 볼 때 말씀하시고자 하는 내용을 행간을 읽듯이 보지 않으면, 십자가를 지라고 하면 십자가를 만들어서 지고 다녀야 하고, 생리하는 여자는 부정하니 부정하게 여겨야하니, 이게 뭐 정상적이라 할 수 없는 꼴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말하면 ‘그렇네!’ 싶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읽고 지키는 것에 있어서 행간을 읽듯 하지 않고 문자 그대로 보는지 말로하기도 힘들 정도라는 것을 알면 아마 놀랄 것이다.(하지만 그것에 놀라는 사람은 성경 말씀의 본질을 알게 될 가능성이 아주 높은 사람이다.)


이제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성경에서 남자를 우대하고 여자는 숫자로도 세지 않았던 것은 육신의 남자는 귀하고 육신으로 여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말씀하시고자 하심이 절대로 아니다. 이것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면 성경을 절대로 알 수 없다. 성경을 알 수 없다는 것은 당연히 지킬 수 없다. 그리고 그 결과는 말하지 않아도 분명한 것이다. 그러니까 성경에 나오는 남자와 여자에 대한 말씀이 육신으로 남자, 여자에 대한 말씀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성경을 문자 그대로 보지 않는 관점을 가진 사람이다. 그렇다는 것은 육신으로 남자와 여자는 어떤 것을 표현한 형식이라는 것을 안다는 것이다.


(계속)


'주제별 성경 보기 > 내용과 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와 여자 (4)  (0) 2015.09.14
남자와 여자 (3)  (0) 2015.09.13
남자와 여자 (2)  (0) 2015.09.12
하나님의 형상인 사람  (0) 2015.09.10
<내용과 형식>이라는 주제에 들어가며…  (0) 2015.09.08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하나님의 형상인 사람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내용과 형식 Date : 2015. 9. 10. 15:38 Writer : 김홍덕

하나님의 형상



창세기 1장 27절에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시되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드셨다고 말씀하고 계신다.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창 1:27)

사람들은 흔히 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것에 대하여 생각하기를, 사람의 모습을 보고 하나님의 모습도 사람과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성경에서는 하나님이 어떤 일을 하실 때 <의로운 오른 손으로>와 같은 표현도 하시고, <얼굴을 드사>와 같은 표현도 하시기 때문에 하나님의 모습이 사람의 모습과 같지 않을까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하나님은 분명히 성경에 말씀하시기를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분이라고 하셨다.

각양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서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약 1:17)

무엇보다 하나님은 영이시라고 수도 없이 밝히고 있다. 하나님이 영이시라는 것은 어떤 형체가 있으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 할 찌니라(요 4:24)


그렇다는 것은 하나님은 어떤 형상이 있으신 분이 아니라는 것이다. 영이시니 형상이 없으시고, 형상이 없으시니 그림자가 없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왜 하나님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다고 하셨는가? 그것에 대하여 알기 위하여 잠깐 영어 성경의 표현을 빌려볼 필요가 있는데, 영어 성경에서는 이 <하나님의 형상>을 image라고 말하고 있다. 즉 하나님의 이미지로 사람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것은 사람을 보면 하나님의 이미지가 떠오르게 하셨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셨다는 것은 사람이 하나님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존재로 창조하셨다는 것이다. 사람이 하나님의 이미지를 나타내게 하셨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드셨다는 것은 사람이라는 존재가 하나님의 이미지를 떠 올리게 하는 형식을 가진, 정확히는 육신을 가진 존재라는 의미이다. 그러니까 사람의 생김새가 하나님과 닮았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정체성은 사람을 볼 때 하나님을 연상시키고, 하나님을 알 수 있고, 하나님을 느끼고 감동할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마치 십자가가 기독교의 대표이미지로서 십자가를 보면 교회가 있다, 혹은 기독교와 연관된 것임을 알듯이, 사람을 보면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알 수 있게 하시기 위하여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드신 것이다.


이것은 성경 처음인 창세기에 나오는 말씀인데 그렇다는 것은 성경 말씀 전체의 전제가 그것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은 하나님을 표현해내는 존재라는 것이다. 즉 사람의 이 육신은 삶을 살아감으로 그 삶을 볼 때 다른 사람이 하나님을 알 수 있는, 느낄 수 있는, 또한 ‘보았다’ 할 수 있는 그런 존재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의 의와 뜻인 로고스가 육신이 되신 예수님께서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다.”고 하신 것이다. 즉 육신을 가진 인생은 하나님을 표현해 내는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육신은 하나님을 표현하는 <형식>이라는 것이다.




사람의 내용인 생기, 그리고 생령



그런 목적으로 창조하신 사람에게 하나님께서 생기를 넣으심으로 그 사람이 생령(生靈)이 되었다고 하셨다.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된지라(창 2:7)

그러니까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이미지를 표현할 사람을 육신으로 만드시고, 그 안에 생기를 불어넣었다는 것이다. 즉 사람이라는 형식에 내용이 들어갔다는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것은 흙으로 만든 사람이 그 자체로는 생령, 곧 살아 있는 영이 될 수 없고, 그 안에 생기를 불어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생기나 생령이나 ‘살아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즉 육신이 어떨 때 살아 있는 존재인지를 말씀하시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냥 사람이 의학적으로 살아 있는 것을 살아 있다고 생각하지만 하나님의 생각은 다르다. 하나님이 보실 때 살아 있는 영이 있는 사람은 하나님의 살아 있는 생기가 그 안에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 안에 불어 넣으신 것이 생기라는 것은 그것이 있어야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살아 있다고 하는 것은 하나님이 보실 때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는 생기라고 할 수 있는 그 무언가가 사람 안에 있을 때 비로소 하나님 앞에서 살아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생령인 것이다.


이것을 정리해 보면, 사람은 하나님께서 그 모양을 만드시고, 그 안에 살아 있는 생기를 불어 넣으심으로 생령이 되었다는 것이다. 사람은 육신을 가지고 있는데 생기를 넣어 생령이 되었다는 것은, 

  • 첫째, 이 생기가 육신에 대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이 살았는지 죽었는지는 육신에 관한 것이 아니라, 영에 관한 것이라는 것이다. 

  • 둘째, 그 영은 사람의 육신 안에 있어 사람이 죽었는지 살았는지를 결정하는 핵심이라는 것이다. 즉 그것이 사람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 셋째, 사람은 육신이라는 형식 안에 하나님께서 본질로 여기는 내용이 있다는 것이다. 

  • 넷째, 사람이 하나님께서 살아 있다고 하는 하나님의 생기가 그 육신 안에 거할 때 하나님의 형상, 곧 하나님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하나님은 내용, 사람은 형식



그러므로 사람은 하나님의 ‘생기(生氣)’라는 내용과 흙으로 만들어진 육신이라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존재라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형상이 없으신 영이신 하나님이 사람 안에 계시므로 사람이 하나님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존재라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것은 바로 그 목적 때문인 것이다. 즉 사람이라는 존재 안에 하나님의 의와 말씀이 그 사람의 생기, 곧 생명이 되므로 그 생명이 삶으로 표현되므로 인하여 그 사람을 볼 때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알게 되도록 사람을 지으셨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몸이 성전이고, 예수님께서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고, 예수님을 본 사람은 하나님을 본 사람이고, 우리가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존재가 되는 것이고, 우리 속에 있는 그 하나님의 생기인 생명이 우리 삶을 주관하므로 인하여 우리의 모든 행동과 삶이 성경에 표현된 대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모였을 때 바로 하나님 나라라고 할 수 있는 교회가 되는 것이다. 즉 서로가 서로를 볼 때 하나님을 느끼고 찬양하게 되는 감동이 있는 관계로 이루어진 공동체가 바로 교회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셨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영이신 하나님께서 거하실 형식,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존재가 있어야 되기에 만드신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하나님의 의를 가졌을 때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이다. 아들이 있다는 것은 아버지가 있다는 것이고, 아들은 아버지가 가진 의가 표현된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말씀 곧 하나님의 의가 육신이 되신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 되신 것이고, 그 예수님을 보고서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알게 된 예수님과 같은 육신을 가진 모든 사람이 또한 예수님을 통하여 하나님을 알고 그 안에서 자신의 생명의 본성을 찾으므로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셨다는 것은 하나님이라는 내용이 사람이라는 형식으로 표현된 것이다. 하나님께서 가지신 의와 뜻이 사람으로 표현되었다는 것이고, 표현하시겠다는 것이다. 그것이 사람을 지으신 목적이고,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이유이며, 법이고, 메커니즘인 것이다. 그 하나님의 의와 뜻대로 사람이 살 때 비로소 그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곧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여 하나님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주제별 성경 보기 > 내용과 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와 여자 (4)  (0) 2015.09.14
남자와 여자 (3)  (0) 2015.09.13
남자와 여자 (2)  (0) 2015.09.12
남자와 여자 (1)  (0) 2015.09.11
<내용과 형식>이라는 주제에 들어가며…  (0) 2015.09.08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