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6

안식일에 손 마른 사람을 고치자 바리새인들은 분노했다. 예수님의 말씀이 자신들의 이야기란 걸 알아들었기 때문에 분노했다. 예수님께서 무엇을 말씀하시는지 알았고, 예수님의 말씀이 자기 이익에 반한다는 걸 알았기에 분노했다.

 

그리고 사람들(백성들)도 예수님을 찾았다. 예수님을 만지기라도 하면 병이 나을까 하는 마음 때문이었다. 이런 일로 인해 예수님은 피하고 싶을 정도로 피곤했다. 또 한 부류, 귀신들이 예수님을 알아봤다. 이렇게 바리새인들이나 백성들은 물론 귀신까지 예수님을 알았다. 하지만 다들 목적은 달랐고, 목적이 다른 만큼 대응도 달랐다.

 

이렇듯 많은 부류가 다른 모양으로 예수님을 인식했지만 정작 어느 것도 예수님이 원하시는 인식은 아니었다. 예수님께서 이들을 피하시고, 자신에 관하여 이야기하지 말라고 경계하신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러 오신 예수님의 정체성을 사람이 바로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승천하실 때는 땅끝까지 전하라고 하셨다. 그 사이에 성령강림이 있다.

 

사실 예수님의 정체성, 정확히는 그리스도의 정체성은 부활하신 이후까지 사람들에게 정립되지 않았다. 심지어 제자들도 마찬가지였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이 자기 몸에 손대는 것을 금하시면서 아직 때가 되지 않았다라고 말씀하심도 같은 이유다. 성경을 자세히 보면 요한복음 21장의 장면 속의 제자들도 그리스도의 정체성이 바로 정립되어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그리스도를 전하기 위해 오셨지 사람이 기대하는 그리스도가 되려고 오신 게 아니다.

 

사람은 그리스도를 인생이 가진 문제를 크고 높고 강한 능력으로 해결하는 존재로 믿는다. 사람은 낮은 위치에서 사람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진정한 그리스도인 예수님은 십자가를 진 그리스도다. 사람이 생각하는 그리스도와 전혀 다른 그리스도일 뿐 아니라 세상에 없는 그리스도, 구원자, 메시아, 영웅이다. 바리새인과 병 낫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그리스도가 바로 이 그리스도다.

 

예수님은 이런 그리스도를 전하러 오신 분이 아니다. 낮아지는 그리스도며, 네가 옳다고 말하고 육신의 수고를 내어주는 그리스도다. 예수님이 전하시려 한 이 하나님의 그리스도는 성령이 오시므로 사람이 알게 된다. 이건 제자들이 분명하게 보여준다.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을 때도 그리스도의 정체성이 올바르게 정립되지 않았던 제자들은 오순절 성령강림 이후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가 그리스도라고 전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에서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런즉 이스라엘 온 집이 정녕 알찌니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하니라(행 2:36)

 

그런나 예수님이 있으실 때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대부분 사람에게 그리스도는 높은 존재고, 사람 이상의 능력으로 사람을 강권하면서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분으로 생각한다. 문제는 이런 사람의 생각이 하나님의 그리스도와 반대고, 하나님의 그리스도로 오신 예수님께 적용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정체성이라는 점이다.

 

예수님이 있으실 때 바리새인, 백성들은 물론 귀신들이 알았던 예수님은 하나님의 그리스도가 아니었다. 사람이 가진 이 그릇된 그리스도에 대한 정의와 믿음을 바꾸기 위해선 말씀이 된 육신이 깨어지므로 그 속에 있던 하나님의 말씀과 생명을 보여주실 수밖에 없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셔야만 했다.

 

오늘도 최소한의 문명이 전달된 사람이라면 예수라는 이름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안다고 구원받을 순 없다. 사람들이 기독교를 개독교라하고 신앙을 배척하는 반응의 뿌리에는 모든 사람의 생각 속 그리스도는 초인적인 존재로 각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런 예수를 믿는다는 사람들이 일반인과 다른 없는 모습을 보일 때 심한 비난을 한다. 기독교인들조차 그리스도를 바로 알지 못하기에 벌어진 일이다. 예수님은 사람의 주장에 끌려 십자가를 지신, 초인과는 전혀 다른 존재로서의 그리스도임을 안다면 욕할 일도 없고, 욕먹을 일도 없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마가복음 3:1-6) 안식일, 손 마른 자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마가복음 Date : 2022. 4. 16. 07:32 Writer : 김홍덕

안식일은 특정한 날이 아니며, 안식일을 지킨다는 건 특정된 날 어떤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안식일은 하나님이 안식하는 사람의 모든 날이다. 사람이 안식일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있다는 예수님의 말씀이 바로 이것이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말씀을 그대로 믿는다면 우리 자신이 안식일의 주인이어야 한다.

 

안식일에 관한 논쟁은 3장에서 2탄으로 이어진다. 이번엔 안식일에 병자를 고친 일로 예수님을 송사한다. 예수님께선 안식일에 병자를 고친 일을 송사하는 자들의 마음은 완악하다고 말씀하셨다. 앞서 지붕에서 내린 중풍 병자를 고칠 때 죄사함 받았다는 말에 참담하다고 말하는 이들의 마음을 악하다고 하신 것과 궤를 같이한다.

 

먼저 살펴볼 게 있다. 안식일에 고친 병자는 손 마른 사람이었다는 점이다.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서는 한 손 마른 사람이라고 되어 있지만 누가복음에선 마른 손이 오른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성경 속 하나님의 손은 항상 오른손이다. 즉 성경 속 오른손, 오른쪽은 의롭고 바른 손이다. 그리고 손은 모든 행위의 상징이다. 따라서 오른손이 말랐다는 건 의로운 행위가 없다는 뜻이다.

 

그리고 행위가 없다는 건 행위를 이끄는 본성, 곧 생명이 없다는 의미다. 야옹이라는 소리를 낼 수 없다는 건 고양이가 아니란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의로운 행위가 없다면 하나님의 의로 거듭난 사람이 아니라는 의미다. 따라서 오른손 마른 사람은 바로 거듭나지 못하여 안식하지 못하는 모든 사람의 모습이다.

 

그리고 안식이란 관점에서 봐도 오른손이 제구실을 못 하니 육신이 안식할 수 없고, 의로운 행위를 이끄는 생명으로 거듭나지 못했으니 하나님께서 안식하는 사람이 아니다. 당연히 자신도 안식이 없다. 생명 본성에 의지하지 않고 의로워지려고 성경을 지키는 모든 사람이 여기 해당한다.

 

행위 규범을 지켜 주일을 지킨다 생각하는 모든 사람이 오른손 마른 자

 

따라서 손 마른 사람을 고치신 일은 손 마른 사람으로 대표되는 사람인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행위를 이끄는 생명이 없는 사람을 치유하신 사건이자 예수님은 손 마른 사람 같은 모든 사람에게 의로운 생명을 주시는 분임을 보이신 사건이다. 예수님은 그게 직임이고, 안식일에 모여서 간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절실한 일이 바로 이 치유다. 안식일에 생명을 구하는 게 먼저라고 말씀하신 이유다.

 

이 안식일 논쟁을 통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안식일의 규례나, 율법이나, 절기의 규례는 모두 그리스도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율법을 지켜 의에 이르는 게 아니라, 하나님의 의로 거듭나면 그 삶이 모든 계명을 지키는 삶이 된다. 더 정확히는 지킬 수밖에 없는 사람이 된다. 오른손이 회복된다는 건 이런 사람이 되는 것을 말한다.

 

성경은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말씀하는 책이기에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은 성경대로 살 수밖에 없다. 규례를 지켜 안식일을 지키는 게 아니라 안식하는 사람의 삶은 모든 날, 모든 순간 안식의 계명을 지킨다. 이게 안식일의 주인이고, 안식일을 주신 목적이 자기 안에 있는 사람의 삶이다. 즉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의 삶이다.

 

하지만 이와 반대 방향에서 성경에 접근하는 건 죄다. 거듭난 생명의 본성대로 사는 모습을 기록한 책이 성경인데 행위로 지키려는 건 방향이 반대고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죄며 악이다. 무엇을 하라는 성경 말씀은 그 행위를 하라는 말씀이 아니라 그런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생명으로 거듭나라는 말씀이다. 이게 행간을 보는 것이고 하나님의 의와 뜻을 아는 거다.

 

안식일에 병을 고치는 예수님께 시비를 건 사람을 악하다고 하신 건 그들이 안식일을 정한 하나님의 의와 뜻은 모르는데 안식일을 누리는 삶의 모습인 안식일의 규례만 지키려 했고 그런 자기 생각을 주장하며 자기 생각을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유대인들의 모습은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교회에서 의외로 가장 많이 싫은 소리를 듣는 게 바로 주일 성수에 대한 규례다. 또 교회에서 어떤 행동은 안 된다는 거다. 이는 주일을 성수하지 않았을 때, 교회에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했을 때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하나님의 벌을 두려워하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그 두려움은 자신이 안식하는 존재라면 절대로 할 수 없는 걱정이다. 안식일의 주인,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 오른손(의로운 행위)이 회복된 사람은 그런 걱정 따윈 하지 않는다. 모든 날이 안식일인 이들의 관심사는 오직 사람을 살리는 것뿐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마가복음 2:23-28) 안식일의 주인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마가복음 Date : 2022. 4. 9. 20:49 Writer : 김홍덕

안식일에 예수님과 제자들 일행이 밀밭을 지나다 이삭을 자른 일을 두고 바리새인들이 또 시비를 걸어왔다. 안식일에 하면 안 되는 일을 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예수님의 최종적인 답변은 인자는 안식일의 주인이라는 말씀이었다.

 

얼핏 성경 말씀은 행위 규범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성경을 경전으로 삼은 모든 종교가 성경을 행위 규범으로 여긴다. 물론 말로는 행함이 아닌 오직 믿음이라고 말하지만, 믿음도 행위로 가늠한다. 새벽기도회 참석과 같은 행위를 좋은 믿음으로 판단한다는 자체가 행함으로 의로워지는 것인데 눈 감고 아웅 하듯 믿고 있다.

 

안식일 논쟁은 이같이 행함을 의로 여기는 사람들, 성경을 행위 규범으로 보는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 성경의 의가 본성이 된 예수님 간의 논쟁이다. 형식이 의로워지면 내용이 의로워진다는 사람과 의로운 내용이 의로운 형식으로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갈등이다.

 

안식일 논쟁은 성경을 행위 규범으로 보는 사람의 관점에 대한 말씀

 

유대인은 일하면 안 되는 안식일에 이삭을 자른 제자들의 행위 자체가 율법을 어긴 일로 보지만, 예수님은 안식일의 본질적 의미를 말씀하신다. 안식일은 달력의 날짜가 아니라 안식하는 존재인 그리스도로서 사는 사람의 모든 날이라고 답하고 계신 장면이다. 유대인들의 말은 오늘날 예수 믿는 사람이 그러면 되나?‘라는 말로 바뀌어있다. 안식일과 제자들의 행동이 이 갈등의 촉매가 된 것이다. 무엇보다 이 유대인들은 성경대로 행하면 의로워진다는 모든 시대, 모든 가치관의 상징이다.

 

오늘날도 사람들은 주일(안식일) 성수한답시고 7일마다 돌아오는 달력의 일요일에 정해진 행동을 준수하려고 노력한다. 이 모습은 어떤 행동은 주일을 지키는 것이고, 어떤 행동은 주일을 범하는 게 된다는 종교인들의 생각이 녹아 있다. 바로 행위로 안식일을 지키는 신앙이다. 형식이 목적과 의, 곧 내용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 어리석음이지만 어떻게 된 것인지 정통 신앙이 되어 있다. 이것이 성경을 행위 규범으로 보는 것이다.

 

성경은 행위 규범이 아니라 존재 규범

 

하지만 성경은 행위 규범이 아니라 존재 규범이고, 그리스도의 정체성에 대한 말씀이다. 안식일은 일하지 않으므로 지키는 게 아니라 자신이 안식하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자신을 창조한 목적이 이루어져 하나님께서 그에게 안식하고 만족해야 안식이다. 그런 존재가 되는 게 안식일을 지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달력의 어느 날이라도 그에겐 안식일이다. 즉 그 사람으로 인하여 안식일이 형성되므로 안식일의 주인이다. 즉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은 어느 날이나 그로 인해 안식일이 되므로 그리스도가 안식일의 주인이다.

 

안식하는 존재, 그리스도의 모든 날이 안식일이 되므로 그리스도는 안식일의 주인

 

결론적으로 안식일은 특정한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는 특정한 날이 아니다. 안식하는 사람에겐 모든 날이 안식일이다. 날이 기준이 아니라 그날을 사는 사람이 기준이다. 그래서 인자가 주인이다. 그리고 피조물인 사람은 혼자 안식할 수는 없다. 주인이 쉬지 않는데 쉬는 종이 없는 것과 같다. 하나님께서 그 사람에게 안식할 때 비로소 사람도 안식한다.

 

그리고 하나님은 사람이 창조의 목적에 부합한 존재로 거듭났을 때, 하나님의 의에 합당한 생명이 되었을 때 그 사람에게 안식하신다. 창세기에서 사람을 창조하시고 안식하셨다는 말씀이 바로 이것이다. 결국 한 사람이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한 목적대로의 사람으로 거듭났을 때 그 사람과 하나님이 안식한다. 그리고 하나님의 창조 목적대로 거듭난 사람, 그가 바로 그리스도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