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01

사람들은 역사가 거듭되면서 과학적으로 또 많은 학문 분야에서 큰 발전들을 이루어왔다. 하지만 정작 사람이 무엇인지? 인생이 무엇인지? 라는 자기 정체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어둡다. 그것은 또한 하나님에 대한 어두움이기도 하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셨으니, 하나님이나 사람이나 그 하나만 알아도 그 관계는 분명해질지 모른다. 사람들이 하나님을 부인하고 “신은 죽었다”라고 말하는 것은 사람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인 것이다.


이러한 어두움에서 벗어나는 것, 이것이 바로 광명이다. 이것은 첫째 날의 빛과는 다른 의미이다. 빛은 모든 것의 시작이고 인식이다. ‘무엇이 밝은지? 또 무엇이 어두운지?’ 라는 개념이 생기기 전에 있는 모든 암흑에서 어떤 인식이 시작되는 것이 첫째 날의 빛이라면, 넷째 날의 광명들은 그것을 어떻게 비추어내는 것인가 하는 개념이다. 태양도 빛을 내는 것이지 빛 자체는 아니고, 달과 별은 태양에서 나는 빛을 반사시키는 것일 뿐이듯 말이다.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 9장에서 자신이 있는 동안은 세상이 낮이라고 하셨다. 이것은 예수님께서 빛이 되시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왜 빛이라고 하신 것은 예수님이 물리적인 어떤 광원이라는 뜻이 아니다. 예수님께서 빛이 되신 것은 인생의 목적을 알지 못하는 인생에게 있어 인생의 목적을 인식하게 해 주시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천지창조의 과정이다. 공허와 혼돈 가운데 있는 인생이 인생의 목적인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으로 사는 자리에 이르는 것이 바로 천지창조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육신을 가지고 이 땅에 오셨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가지신 말씀이 육신이 된 것이라고 하셨다.(요 1:14) 다시 말해서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육신을 가지고 비춰내셨다는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빛이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에게 태양에 비유할 수 있다. 태양은 빛을 비추어 낸다. 말씀이 육신이 되듯 빛이 태양이 된 것이다. 태양이 비취면 우리가 낮이 된다. 창세기의 넷째 날과 같이.


그리고 밤을 주관하는 달이 태양의 빛을 비추어 내듯, 하나님에 대하여 어두운 세계에서도 철학이나 과학이나 세상 각양의 이론들도 하나님의 세계를 비추어내고 설명하기도 한다. 이것이 넷째 날의 어두움을 비추는 빛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리고 넷째 날의 광명들은 어떻게 보면 광명 자체가 주체가 아니라 창조의 결과는 낮과 밤, 혹은 밝음과 어두움이다. 하나님께서 넷째 날에 만드신 것은 빛과 어두움인 것이다.(창 1:18)


그런데 하나님께서 빛과 어둠을 만드시고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셨다. 빛은 그렇다 칠 수 있는데, 어두움을 만들어 놓고 좋다고 하셨다는 것은 간과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사실 이것은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을 믿는 신앙에 대하여 깨달아 가는 과정에서 어쩌면 절대적인 문제일 수 있다. 이후에 나오는 선악과를 만들어 놓으셨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에덴 동산에 악이 포함된 열매를 맺는 나무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노아의 방주에는 아예 부정한 짐승을 태우라고 하셨다.


또한 바울 사도는 로마서에서 자기 안에 악을 행하려는 마음이 있다고 했고, 사도행전에서는 베드로에게 부정한 것들이 하늘에서 내려와서 그것을 먹으라고 하시는 것에 이르기까지 성경 전반에 이렇게 낮과 밤, 선과 악,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을 같이 두려는 것이 늘 흐르고 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이것을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셨다. 왜 그럴까?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지금 이 천지창조의 말씀은 세상이 창조되는 것에 관한 말씀이 아니라고 했다. 실제로 세상을 하나님께서 창조하셨지만 창세기를 통하여 그것을 기록하신 것은 이 물리적인 세상이 어떻게 창조되었는지 말씀하시기 위함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은 한 사람이 어떻게 하나님의 형상이 되어가는가에 대한 말씀이다. 성경의 모든 말씀이 다 그것에 관한 말씀이기 때문이다.


셋째 날에는 물을 한곳으로 모으고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고 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바다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같은 것을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땅은 사람이다. 사람이 흙으로 만들어졌고, 또한 하나님은 하늘이고 사람은 땅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땅이 궁창 아래의 물들 중에서 드러났다는 것은, 어떤 땅은 물속에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즉 생명이 머무는 땅, 생명이신 하나님이 그 호흡을 불어넣을 인간이 머물 땅은 세상의 학문과 지식으로 정체성의 갈증을 채우는 것이 아니기에 물 위로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이 “나는 하나님 앞에서 인간입니다. 나는 흙으로 만들어졌습니다”라고 고백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고백이 있고 나면 빛이 구분이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넷째 날의 창조의 과정이다. 어떤 것은 어둡고 어떤 것은 밝은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천지창조 첫째 날에 이미 “빛”을 만드셨다. 그런데 지금 다시 넷째 날이 되어서 낮을 주관하는 광명과 밤을 주관하는 광명 그리고 별을 만드셨다고 하셨다. 사람들은 이것에 대하여 흔히 일월성신을 만드셨다고 한다. 해와 달과 별을 만들었다는 의미다.


다시 한번 말하고 또 이 천지창조에 대하여 마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겠지만,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는 물리적인 세상을 만드신 것을 설명하시고자 한 것이 아니다. 지금 이것은 낮과 밤, 밝음과 어두움에 관한 것이다. 즉 사람이 어떤 세계에 대하여 밝은 것이 있다. “이치에 밝다”라는 표현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수에 밝은 사람”이라는 것 또한 같은 이야기이다. 즉 어떤 세계에 대하여 잘 아는 것을 밝다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어둡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지금 넷째 날의 창조과정은 사람이 바다와 같은 세상에서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물이 하나로 모이고 땅이 드러났을 때)가 되면 무엇이 밝은 것인지 또한 무엇이 어두운 것인지 알게 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 바로 이 넷째 날의 창조이고 그것을 설명하시는 말씀인 것이다. 그리고 이 밝음은 하나님에 대한 밝음이요, 그것은 또한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밝음인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어떤 것이 하나님을 모르는 것이며, 또한 어떤 것이 사람에 대하여 어두운 것인지를 말씀하시는 것이다.


즉 공허한고 혼돈하던 땅과 같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이 되어 가는 과정에는 빛이 있어 사물을 인식함과 같이 하나님의 세계에 대한 인식이 있게 되고, 다음으로는 사람 안에 있는 공허함의 갈증을 채우는 것에는 두 가지 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다음으로 세상의 지식인 궁창 아래의 물에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땅이 물에서 드러남과 같이 고백하게 되고(이것은 사람이 흙으로 만들어진 인생임을 알게 된다는 것), 그리고 나면 무엇이 하나님 앞에서 밝은 것이며 또한 어느 것이 어두운 것인지를 알게 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 하나 하나가 바로 창세기에서 말씀하시는 하루 하루인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천지창조 셋째 날에는 하나님께서 땅이 드러나게 하신다. 천하의 물, 곧 하늘 아래의 모든 물, 즉 궁창 아래의 모든 물을 한곳으로 모이게 하셔서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빌리면 해수면 위에 있는 모든 땅의 체적보다 해수면 아래의 체적이 더 크다고 한다. 즉 지구는 바다 위의 모든 땅을 다 바다 안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물을 다 한곳으로 모아서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이다.


지금 이 창세기의 말씀 곧 천지가 창조되는 과정은 단순히 물리적인 세상의 기원을 밝히는 이야기가 아니라고 누차 이야기해 가고 있다. 지금 이 천지창조는 세상의 창조과정을 통하여 흙으로 지으신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그 내용이다. 하늘이나 바다나 땅과 같은 세계는 형식이라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이렇게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다는 것은 태어났기 때문이다. 이런 태어남이 없었다면 세상 아니라 그 어떤 것이라도 우리에게 의미가 있을 수 없다.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금 물이 어디로 모이고 땅이 드러나고 하는 모든 것이 어디를 지향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천지창조 과정이 한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둘째 날에 하나님께서는 물을 궁창 아래의 물과 위의 물로 나누셨다. 이는 혼돈하는 땅과 같은 사람(사람은 흙으로 만들어졌으니 땅은 사람을 말함)의 공허함에 대한 갈증, 즉 자기 정체성의 갈증을 해갈하기 위하여 물을 마셔야 하는데, 물은 상수가 있고 하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일상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람이 하수도의 물을 마시고 살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정체성을 해갈하는 것에 대하여 하늘 아래, 즉 세상의 온갖 지식으로는 사람의 정체성이 해갈되지 않는다는 것을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을 나누심으로 말씀하셨다. 그리고 셋째 날에는 이 궁창 아래의 모든 물을 한 곳으로 모으셨다고 했다. 즉 사람이 그 정체성을 해갈하기 위하여 마셔서는 안 되는 세상의 세상의 모든 지식들을 한 곳으로 모으셨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나님께서 물을 하나로 모으신 것에는 목적이 있었다. 그것은 물을 모아서 무엇을 하시겠다는 것 보다는 땅이 드러나게 하시기 위한 것이었다. 땅이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즉 이 말씀은 세상의 모든 이론과 지식 가운데서 사람이 드러나게 하신다는 말씀인 것이다. 이것을 종교적인 예식으로 가져온다면 그것은 세례가 될 것이다.


지금 이 셋째 날의 창조는 물을 모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땅이 드러나게 하시는 것이 목적이다. 즉 사람이 궁창 아래의 물, 곧 사람들이 자기 정체성의 갈증을 해갈하기 위하여 취하는 모든 세상의 지식들인 궁창 아래의 물에 매몰되지 않고 물 위로 드러나게 하시기 위하여 하늘 아래의 물을 모으시고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이다. 즉 이것은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하여 사람들이 허무함을 느끼고 또한 그것으로는 자신의 정체성이 안식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하셨다는 것이다.


이것은 세례와 같다. 세례는 밥티스마(Baptisma)라고 하는데 이는 ‘물에 잠기다’는 의미이다. 왜 사람을 물에 잠그는가 하면, 사람이 물 속에서는 살수 없다는 것을 알게 하기 위하여 그렇게 하시는 것이다. 즉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사람이 세상이 추구하는 각종 위대함을 좇는 지식과 종교와 규례 안에서는 살수 없다는 것을 고백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늘 인생은 허무하다고 한다. 많은 경우 세상에서 높은 정신적 세계를 이룬 사람들도 그렇게 말한다. 그것은 그들이 추구한 모든 것이 다 하늘 아래의 물이기 때문이다. 즉, 사람들이 돈을 벌어 자신을 만족시켜 보려 하고, 또 공부를 많이 하면 자신의 갈증이 해갈될 것 같아서 그렇게 하고, 또 때로는 종교적인 규범을 행동으로 지켜 행하면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해서 평생을 그렇게 살다가 보면 그 모든 것이 허무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그렇게 말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하늘 아래의 모든 물을 다 한 곳으로 모으고 땅이 드러나게 하셨기 때문이다. 땅이 드러났다는 것은 사람이 궁창 아래의 물 속에서는 살수 없다는 것을 하나님께서 말씀하셨기 때문인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궁창 아래의 물과 같은 철학과 종교와 황금을 하염없이 마시려 하고 또 마신다.


그러나 그 결국은 다 물에서 땅이 드러나듯, 궁창 아래의 물을 마시던 사람들은 결국 그것으로 안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즉 땅이 물 위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사람은 세상의 물, 궁창 아래의 물을 먹고는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아니 사람은 그런 존재라는 것이다.


지금 이 천지창조의 과정은 세상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실상은 자신의 정체성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아 그리스도와 같이 하나님의 아들로 사는 존재가 되어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안식할 수 있는 관계가 되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 한 사람이 자기 정체성을 알지 못해서, 다시 말해서 왜 살아야 하는지를 알지 못해서 혼돈과 어둠 가운데 있을 때, 하나님께서 빛을 비추심으로 어두운 방에 들어가서 사물을 구분하듯 자신의 정체성과 하나님에 대한 인식이 있게 된다는 것이 첫째 날의 창조 과정이고, 그렇게 자신의 정체성이 회복되기 시작하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실 물과 마셔서는 안 되는 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 그 둘째 날의 말씀이다.


그리고 그것을 알게 된 사람은 궁창 아래의 물이라 할 수 있는 세상의 모든 지식 가운데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고백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고백은 인생은 세상의 것을 취하여 살 수 없는 흙으로 만들어진 인생이라는 것을 물에서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으로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러면 이 세상의 것, 궁창 아래의 물은 무엇인가? 그것에 대하여는 넷째 날에 말씀하고 계신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