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19

육축이 사람에게 길려진다는 것은 사람이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육축의 입장에서 보면 사람이 되기 위하여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즉 자신의 존재 목적을 가진 존재에게 자신의 삶을 의탁하는 것은 주인의 삶에 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 주인이 된다는 것이다. 그 주인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주인이 복수의 개념이 될 수 있는 것이다.(이것은 우리의 형상이라는 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사람이 된다는 것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것 처럼  곰이 마늘과 쑥만 먹어서 그 몸이 사람이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돼지 삼겹살이 사람에게 먹혀서 사람이 되는 것이 돼지가 사람이 되는 것이다. 돼지를 기르는 목적이 그것에 있기 때문이다. 개가 사람의 반려동물로서 사람을 즐겁게 유익하게 하는 것이 존재 목적이다. 그러므로 개가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바로 사람이 되는 것이다. 그것은 주인의 삶에 속한 것이기 때문인 것이다.


이것에 관해서 바울 사도는 "피조물의 고대하는 바는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는 것이라"(롬 8:19)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즉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다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는 것, 즉 하나님의 성품을 가진 존재가 나타나는 것을 고대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축이 사람에게 길려진다는 것은 그 목숨의 모든 것이 사람이 가진 목적에 수렴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육축의 정체성이다.


이와 같이 육축의 존재 목적을 사람이 가지고 있어 그 정체서이 땅에 기는 것과 짐승과 다르게 분류가 되는 것은 목적 아래 자신을 의탁하기 때문이다. 즉 자신의 존재 목적이 자기에게 있지 않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사람도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에게 있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는 과정을 겪는다는 것이 바로 천지창조의 과정인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알다시피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다. 그 부모도 아니다. 자식의 삶을 부모가 선택할 수 있다면 이 세상은 다 부자고 의사고 변호사일 것이다. 그렇듯 사람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다. 그것은 누군가가 나의 존재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방증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하나님이라는 것을 알아가는 과정이 바로 천지창조의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것 같지만, 그리고 예수 믿는다면, 교회에 다닌다면 다 그런 사람 아니냐고 할지 모르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다. 앞에서 땅에 기는 뱀이라는 존재도 적어도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세상의 법을 좇아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은 아는 존재라고 했다. 땅이라는 것이 세상을 말하는 바다에서 드러난 것이기 때문이다. 즉, 땅에 기는 것이나 짐승이나 다 하나님에 대하여 알고 있고, 이 세상이 자기의 고향이 아니라는 것은 아는 존재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믿노라하고 어떤 것은 선하다, 또 다른 것은 악하다고 규정하는 마음이 자기 안에 있는 사람은 다 땅에 기는 기독교인이고, 신앙의 목적을 자신에게 두고 있다면 다 짐승과 같은 신앙인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을 보면서 나는 그렇지 않다고 할지 모르지만 미안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동물에 대한 구분의 기준은 수없이 많이 있을 것이다. 포유류, 설치류 등등 그리고 종으로 구분해도 수 많은 종이 있을 것인데 성경은 이것에 대하여 단 세가지로 구분을 하고 있다. 땅에 기는 것, 짐승, 육축 이렇게 말이다. 이러한 구분의 기준은 무엇인가? 땅에 기는 것, 그리고 짐승 그리고 육축. 이것은 어떤 기준에 의한 구분인가?


이를 다시 분류해 본다면, 땅에 기는 것을 하나의 분류로, 또 하나의 분류는 짐승과 육축이라고 볼 수 있다. 짐승과 육축은 땅에 기는 것은 확연히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크게 나누는 기준은 땅에 기는 것인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땅과 구분이 있느냐? 아니냐? 하는 구분이 있다는 것이다. 땅에 긴다는 것은 땅과 별다른 구분이 없는 생명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창조과정에서 보면 지금 이 동물들의 이야기는 구원도 받지 못한 사람들의 세계에 관한 말씀이라기 보다는 바다에서 드러난 땅, 즉 세상에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의 과정에 관한 말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생명들은 어떤 각도에서 본다면 하나님이 보실 때 죽은 것이라고 보는 존재들이라고 보기 보다는 살아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예수님께서 유대인들에게 "독사의 자식들아" 이렇게 말씀 하셨는데, 유대인이라는 것은 적어도 하나님과 떨어진 세상에 살아서는 안된다는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그렇지만 그들은 선과 악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있었다. 율법을 몸으로, 행동으로, 절기로 지켜내면 선한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악한 것이라는 분명한 기준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선악과이고, 땅에 기는 존재의 정체성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하와에게 뱀이 선악과를 권했다는 것은 그 정체성이 그렇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은 뱀이 가장 간교하다고 한 것이다. 간교하다는 것은 선과 악을 분명하게 구분하려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동물들 짐승과 육축이 있는데, 이것은 주권에 관한 구분이라고 볼 수 있다. 짐승이라는 것은 들과 숲 그리고 정글과 초원에 거하는 야생의 동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육축 곧 가축이라는 것은 사람의 손에 의해 길려지고 사육되는 동물들을 말한다. 소, 개, 돼지 등과 같은 것들을 말하는 것이다. 이 두 부류, 짐승과 육축의 차이는 주인이 있느냐 하는 것이 그 기준인 것이다.


주인이 있다는 것은 그 생명의 존재 이유가 주인에게 있는 것이다. 소나 돼지나 양이나 개와 같은 것은 기르는 목적은 다를 수 있지만 생존의 이유가 주인인 사람에게 있는 것이다. 반명에 야생에 있는 짐승들은 생존의 목적이 자기 자신에게 있어, 자신의 힘과 능력으로 살아가는 것 외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아무 의미도 없는 동물들을 말하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드디어 방언을 ......

Category : 김집사의 뜰/덕이의 신앙 이야기 Date : 2013. 8. 15. 21:58 Writer : 김홍덕

원치 않게 중등부 성경공부 성경공부에 들어가게 된 덕이는 머지 않아 새로운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것은 바로 성경이었다. 사실 그때까지 덕이는 성경을 잘 몰랐다. 초딩시절 엄마가 구약을 다 읽으면 3,500원을 신약을 다 읽으면 2,500원을 준다고 했지만 호락한 일은 아니었다. 그 당시로서는 아주 큰 돈이었지만 그래도 쉽지 않은 일이었다.


겨우 몇번 성경공부에 참석한 덕이는 어느새 자신을 성경을 많이 아는 사람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덕이는 사람들과 대화 속에서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라는 야고보서 1:15절의 말씀이 사도행전에 있다고 우기다 창피를 당하게 된다. 그 일은 덕이에게 하나의 전환점이 된다. 그리고 그해 가을 중등부 자체적으로 하는 성경퀴즈 대회에서 처음으로 입상하게 된다. 2등으로......


그것은 덕이의 생활에서 새로운 재미었다. 이전 초등학교 시절 개척교회에서 예수 잘 믿는 아이라고 인정 받는 것과는 좀 다른 차원의 성취욕이 이루어진 것이다. 아주 큰 교회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판이 커졌다는 것을 덕이는 스스로 느끼고 있었고, 그래서 그 판에서 더 잘나가보자는 욕구가 덕이 가슴 깊숙이 자리잡게 되고 그것은 어른이 되고 장년이 될때 까지 자라는 나무의 씨앗과 같이 덕이 마음에 자리 잡게 된다.


그렇게 교회 생활에 스며들기 시작한 덕이에 교회의 친구들이 하나둘씩 생기기 시작했다. 탁구를 아주 잘치는 이란성 쌍둥이 형제를 비롯하여 거지 같이 다니면서 뭐든지 다 아는 것 처럼 말하고 다니는 아이 등등 친구들이 하나씩 생기게 되고 또 교회의 고등부, 또 대학생 형들도 하나씩 알아가게 된다. 그리고 얼마되지 않아 교회에는 어른들이 수요일 저녁에 드리는 예배가 있다는 것도 알게 되고 덕이는 친구들을 따라 수요 예배도 참석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날 수요예배를 마치고 집에 가려는데 친구들이 다시 교회 1층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덕이는 친구들에게 "어디가냐?"고 물었다. 그러자 친구들은 기도회를 한다고 했다. 그래서 덕이도 따라 갔다. 그곳에는 대학부 형들, 고등부 형들 그리고 몇몇 누나들이 모여서 이른바 통성기도를 하는 곳이었다. 처음에는 빠른 찬송가를 박수치면서 열심히 부르더니 "주여~" 삼창과 함께 시작된 통성기도는 거의 한시간씩 계속 되었다. 덕이가 3년 전인 초등학교 6학년까지 보았던 부흥회 장면이었다.


덕이에게 그것은 낮 설거나 이상한 곳은 아니었다. 오히려 익숙하고 잘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래서 덕이는 금방 그 분위기에 젖어 들었고, 한시간 쯤 지나서 목이 다 쉰 상태로 기도회를 마치고 집으로 향하는데, 그 기분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좋았다. 큰 소리로, 뭐라고 기도 했는지는 하나도 모르겠지만 그냥 한시간 기도하고 앉아 있었다는 것은 나름의 성취감을 주는 일임에 분명했다.


덕이는 어릴적 부터 특별한 꿈은 없었다. 뭐 의사가 되겠다거나, 선생이 되겠다거나 하는 그런 것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이 없었다. 세상에 물들지 않은 것이 아니라 철이 없었던 것일거다. 하지만 어릴적 엄마 손을 붙잡고 부흥회를 다니기 시작했을 때 부터 덕이는 교회에서 인정 받는 것을 아주 좋아했고,, 그것이 삶의 유일한 재미요 낙이고 또한 목표였다. 그런 덕이에게 통성기회를 마치고 난 다음의 성취감은 대단한 것이었다.


그 이후 이제 겨우 중 3인 덕이는 저녁 예배 마치고 있는 통성기도회의 고정 멤버가 되었다. 아니 오히려 그 시간만을 기다리면서 학교를 다녔다. 그 뿐 아니라 토요일이나 공휴일 전날 밤에는 산을 몇개씩 넘어서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기도원까지 찾아 다니면서 기도하는 아이가 되어 있었다. 그것은 덕이 삶의 모든 것이었고, 재미였다. 세상의 다른 곳에는 관심이 전혀 없었다. 공부 조차도.....


그러던 중 3 겨울의 마지막 수요일인 12월 30일, 저녁 예배를 마치고 난 다음 예배보다 더 기다렸던 기도회 시간이 되었고 덕이는 제일 먼저 가서 방석도 깔고 기도회를 준비하고 있었다. 덕이는 그날을 아주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그 날의 기도회 멤버들도 대부분 기억한다. 왜냐하면 그날은 덕이가 그렇게도 바라던 방언을 하기 시작한 날이기 때문이다. 


덕이가 영어 같은 두 단어를 반복적으로 하기 시작하자 방언이 터지는 것을 안 형들은 덕이를 붙잡고 기도하기 시작했다. 늘 같이 기도하러 다니던 방언을 먼저 받은 친구도 합세했다. 모두가 덕이를 붙잡고 때리듯이 기도하고 있었다. 그 때 덕이는 갓난 아이 머리만한 주먹을 가진 대학교 형이 등을 사정 없이 때리고 있는데도 전혀 아프지 않았다. 


기도회를 마쳤을 때 덕이의 기쁨은 하늘을 찌를 것만 같았다. 뭔가 신분이 상승한 듯, 뭔가 이제서야 자격을 가지게 된 듯, 아니 마치 귀족이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 그렇게 많이 두들겨 맞았지만 전혀 아프지 않았다. 몇일이 지나도 하나도 아프지 않았다.(사실 그건 신비한 것이었다).그렇게 덕이는 초딩부터 바랬던 방언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