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19

한때 세계 휴대폰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던 노키아가 불과 5년도 안되는 세월에 내리막을 걷다가 지난 주에 마이크로 소프트에 매각 되었다. 세계 전자 시장에서 크게 주목 받는 뉴스이기도 했는데, 이 안에 중요한 내용이 하나 있다. 그것은 결국은 소프트웨어를 가진 기업이 하드웨어 제조사를 이긴다는 전자업계의 속설이 이번에도 통했다는 점이다.





휴대폰 점유율 세계 1위인 삼성도 이점에 매우 민감하다. 그래서 독자적인 소프트웨어(OS)를 개발하기 위하여 애를 쓰고 있다. 하지만 쉬운 일은 아니다. 여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라는 양대 축에 있어 소프트웨어가 핵심이라는 점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용이 형식보다 중요하다는 말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이와 같이 내용과 형식으로 되어 있다. (참조 : [평교인의 성경 보기/골로새서] - (골로새서) 2:16-17 몸과 그림자) 세상이 이렇게 구성된 것은 한마디로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셨기 때문이다. 세상이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비단 컴퓨터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었다는 점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다 그렇다. 자동차는 형식이고, 사람이 이동하겠다는 목적이 내용이다.


이와 같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형식은 내용의 표현이다. 하나님의 천지창조에 과정에서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 곧 이미지로 만드셨다는 말씀 안에는 하나님은 이미지 곧 내용이고, 사람은 그 표현 양식이자, 표현하는 존재라는 의미를 말씀하시는 것이다. 물론 그 뿐 아니라 세상의 모든 것이 다 이와 같이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한 표현 양식이라는 것이다.


끝도 없고 광활한 우주도 하나님의 성품이고,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도 하나님이라는 내용의 표현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의미가 있는 것, 곧 하나님의 형상 즉 하나님의 이미지는 사람으로 표현되었다는 것이다. 에베레스트 정상을 등극한 사람을 찍은 사진은 그 사람이 세계 최고봉을 정복했다는 것과 모든 등반 과정이 가진 이미지가 기록된 것이 바로 그 사진이듯이, 모든 창조과정 속에 있는 사람의 이미지가 형상화된 존재가 바로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관점이다. 이것은 사람이 하나님과 동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존재나 정체성이 같다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을 사람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같은 것이라는 것이다. 에베레스트 등정 사진 속의 사람과 등정한 사람이 같은 것과 같은 의미라는 것이다. 4"x6"인 인화지가 등정한 사람의 본 모습이 아니고, 그 사진이 가진 이미지가 등정한 사람이듯이, 사람의 생김새가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생김새가 가진 이미지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하나님이라는 것이다. 이것을 성경은 <하나님의 성품>이라고 하는 것이다.


성경에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사람을 지었다고 기록되었다고 하나님께서 사람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세상이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는 것도 모르고,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도 모르는 무식한 소리이다. 그것이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라, 사람이 표현해내는 하나님의 이미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형상이고 사람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작은 디아코니아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3. 9. 5. 11:29 Writer : 김홍덕



회사 화장실을 사용할 때는 슬리퍼를 신도록 되어 있다. 화장실의 슬리퍼는 늘 화장실에서 밖으로 나올 때 벗은 모양으로 있었다. 위의 사진과 같이 말이다. 슬리퍼가 저런 모양으로 있으면 가지런하다 해도 사용을 위해서 들어갈 때는 몸을 비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그래서 나도 늘 저런 모양으로 신을 벗고 나왔다. 가능한 가지런 하게 해 놓고서 말이다.



하지만 어느 날 부터 슬리퍼의 방향이 반대로 놓여져 있기 시작했다. 이렇게 말이다.



하지만 난 여전히 늘 해 오던대로 위의 사진과 같이 해 놓고 나왔다. 내가 사용할 때는 아래 사진과 같이 되어 있어 늘 편리하다고 생각했지만 별로 개의치 않고 습관대로 해 왔다.


그러던 어느 날, 나도 나오면서 슬리퍼를 아래 사진과 같이 해 놓고 나오기 시작했다. 내게 아무도 그렇게 하라고 한 사람이 없었을 뿐 아니라, 작은 일이지만 번거롭게 수고해야 하는 일이지만 말이다. 그것이 편리하다는 것을 느끼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렇게 하게 되었다.


=========================================================================================================


사람의 잘못이나 행동을 바꾸기 위해 말로 지적하고 교육하고 훈계하는 것은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 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말 보다 먼저 행동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마음을 바꾸게 된다는 것을 생각해 보게 된다.  



성경을 통해서 사람의 마음을 바꾸어 내는 것도 이와 같다. 먼저 살아내는 것을 보면 굳이 말로 하지 않아도 하게 된다. 이것이 성경이 말하는 디아코니아임을 생각해 본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해도 되고, 안해도 되고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3. 9. 3. 14:17 Writer : 김홍덕

퇴근해서 PC로 작업 중인데, 건너방 소리가 들려 왔다.

아이 엄마가 작은 아이에게 휴대폰 충전기를 달라고 하고 있었다.


엄마 : 성식아 엄마 충전기 가져다 줘...


아이와 아내는 같은 안드로이드 폰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기의 모양은 달라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인데, 아내는 자기 것이라야 하는 것으로 아는지 가져다 달라고 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차피 같은 것이라는 것을 아는 아이는 쉽게 응하지 않았다.


아이 : 엄마! 어차피 같은 거니까 그 방에 있는 거 쓰면 돼.


그렇지만 엄마는 아랑곳 하지 않고 몇 번 더 가져다 달라고 했다.


엄마 : 성식아 엄마 충전기 가져다 달라고......

아이 : 아 엄마도 참, 어차피 같은 거라고.....


두어번 대화가 계속되는 것을 듣다가 내가 아이에게 말했다.


나 : 성식아 어차피 같은 거니 바꿔주면 되는 거 아냐?


아이는 알았다고 하며 바꾸어주고 사태(?)는 마무리 되었다.



우리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일들 앞에서 늘 안 하는 쪽으로 선택하는 것을 우선한다. 그것은 한마디로 수고하는 것이 귀찮고 싫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해도 되는 것이기에 조금만 수고하면 즐거울 수 있는 일이 얼마든지 있다. 안 해도 된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게으름을 합리화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앙과 삶, 어느 것이 먼저인가?  (0) 2013.11.12
작은 디아코니아  (0) 2013.09.05
시끄러운 기독교인  (0) 2013.06.30
사적인 이야기 하기  (0) 2013.06.29
작고 일상적인 것들...  (0) 2013.06.13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