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02

예수 믿는 목적이 하나님께 있지 않고, 자신이 이 세상에서 부자가 되기를 구하고, 평안하게 되기를 구하고, 또한 이 땅에서 영광을 얻게 되기를 구하는 모든 기독교인들은 다 존재와 신앙의 목적이 자기 자신에게 있다. 아무리 <그것이 곧 하나님의 영광입니다.>라고 교묘하게 변론해도 다 그것은 속이는 것일 뿐, 자신이 잘 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공식을 가진 모든 이들은 다 짐승과 같은 존재들이다.


우리는 이러한 것을 기복신앙이라고 한다. 물론 기존의 교회에서도 기복신앙을 떨치려 하지만 실상은 그 중심에 있다. 교회에서 장로가 되려면 세상적인 조건이 좋아야 한다. 이것의 뿌리는 세상적으로 잘 되는 것은 하나님께서 축복하셨기 때문이라는 생각이다. 그러한 생각이 결국은 기왕이면 좋은 것일수록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생각하게 되고, 교회도 화려하게 짓고, 자신의 삶이 윤택해 질수록 하나님께서 축복하신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것은 하나님을 믿는 목적이 자신의 삶을 윤택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즉 자기 신앙의 목적이 자신에게 있는 사람이고, 자신의 정체성을 세상에 두고 있는 것이다. 마치 짐승이 초원을 자기의 집으로 삼듯이 말이다. 좋다는 모든 것이 다 세상적 기준으로 좋다는 것 아닌가? 좋은 자재로 교회를 지어야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세상에서 좋다는 자재를 말하는 것이고, 내가 세상에서 성공하면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신다고 여긴다는 것은 더 적날한 것이다.


또한 신앙을 가졌다 하면서 사람이 가진 육신의 어떠함에 대하여, 또한 육신의 행동에 대하여 어떤 것은 선한 것이고 어떤 것은 악한 것이라고 규정하는 마음을 가진 모든 신앙은 땅에 기는 뱀의 마음을 가진 것이다. 싸가지 없다고, 교회에서 인사하지 않는다고, 또 헌금 많이 하지 않는다고, 지각한다고, 또는 세상에서 실정법을 위반했다고 비난하는 모든 것은 다 육신의 행위를 보고 선하다 악하다 판단하는 것이다.


사람이 싸우고 다투는 이유는 딱 한가지라 했다. <너는 틀렸고, 나는 맞다> 이것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가 다툼 가운데, 또는 갈등 가운데 있다는 것은 다 이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선과 악에 대하여 기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바로 땅에 기는 짐승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신앙을 가진 모든 사람들은 천지 창조의 과정에서 옆길로 간 것이다. 결국 땅에 기는 것과 짐승들과 육축 중에서 다음 단계로 가는 것은 육축이기 때문이다. 이는 육축은 자기 정체성을 주인에게 맡기는 존재이고, 이것은 하나님께 사람이 자기의 정체성을 의탁하는 것에 대한 예표이기 때문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육축이 사람에게 길려진다는 것은 사람이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육축의 입장에서 보면 사람이 되기 위하여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즉 자신의 존재 목적을 가진 존재에게 자신의 삶을 의탁하는 것은 주인의 삶에 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 주인이 된다는 것이다. 그 주인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주인이 복수의 개념이 될 수 있는 것이다.(이것은 우리의 형상이라는 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사람이 된다는 것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것 처럼  곰이 마늘과 쑥만 먹어서 그 몸이 사람이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돼지 삼겹살이 사람에게 먹혀서 사람이 되는 것이 돼지가 사람이 되는 것이다. 돼지를 기르는 목적이 그것에 있기 때문이다. 개가 사람의 반려동물로서 사람을 즐겁게 유익하게 하는 것이 존재 목적이다. 그러므로 개가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바로 사람이 되는 것이다. 그것은 주인의 삶에 속한 것이기 때문인 것이다.


이것에 관해서 바울 사도는 "피조물의 고대하는 바는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나는 것이라"(롬 8:19)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즉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다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는 것, 즉 하나님의 성품을 가진 존재가 나타나는 것을 고대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축이 사람에게 길려진다는 것은 그 목숨의 모든 것이 사람이 가진 목적에 수렴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육축의 정체성이다.


이와 같이 육축의 존재 목적을 사람이 가지고 있어 그 정체서이 땅에 기는 것과 짐승과 다르게 분류가 되는 것은 목적 아래 자신을 의탁하기 때문이다. 즉 자신의 존재 목적이 자기에게 있지 않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사람도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에게 있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는 과정을 겪는다는 것이 바로 천지창조의 과정인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알다시피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다. 그 부모도 아니다. 자식의 삶을 부모가 선택할 수 있다면 이 세상은 다 부자고 의사고 변호사일 것이다. 그렇듯 사람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다. 그것은 누군가가 나의 존재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방증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하나님이라는 것을 알아가는 과정이 바로 천지창조의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것 같지만, 그리고 예수 믿는다면, 교회에 다닌다면 다 그런 사람 아니냐고 할지 모르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다. 앞에서 땅에 기는 뱀이라는 존재도 적어도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세상의 법을 좇아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은 아는 존재라고 했다. 땅이라는 것이 세상을 말하는 바다에서 드러난 것이기 때문이다. 즉, 땅에 기는 것이나 짐승이나 다 하나님에 대하여 알고 있고, 이 세상이 자기의 고향이 아니라는 것은 아는 존재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믿노라하고 어떤 것은 선하다, 또 다른 것은 악하다고 규정하는 마음이 자기 안에 있는 사람은 다 땅에 기는 기독교인이고, 신앙의 목적을 자신에게 두고 있다면 다 짐승과 같은 신앙인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을 보면서 나는 그렇지 않다고 할지 모르지만 미안하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동물에 대한 구분의 기준은 수없이 많이 있을 것이다. 포유류, 설치류 등등 그리고 종으로 구분해도 수 많은 종이 있을 것인데 성경은 이것에 대하여 단 세가지로 구분을 하고 있다. 땅에 기는 것, 짐승, 육축 이렇게 말이다. 이러한 구분의 기준은 무엇인가? 땅에 기는 것, 그리고 짐승 그리고 육축. 이것은 어떤 기준에 의한 구분인가?


이를 다시 분류해 본다면, 땅에 기는 것을 하나의 분류로, 또 하나의 분류는 짐승과 육축이라고 볼 수 있다. 짐승과 육축은 땅에 기는 것은 확연히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크게 나누는 기준은 땅에 기는 것인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땅과 구분이 있느냐? 아니냐? 하는 구분이 있다는 것이다. 땅에 긴다는 것은 땅과 별다른 구분이 없는 생명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창조과정에서 보면 지금 이 동물들의 이야기는 구원도 받지 못한 사람들의 세계에 관한 말씀이라기 보다는 바다에서 드러난 땅, 즉 세상에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의 과정에 관한 말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생명들은 어떤 각도에서 본다면 하나님이 보실 때 죽은 것이라고 보는 존재들이라고 보기 보다는 살아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예수님께서 유대인들에게 "독사의 자식들아" 이렇게 말씀 하셨는데, 유대인이라는 것은 적어도 하나님과 떨어진 세상에 살아서는 안된다는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그렇지만 그들은 선과 악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있었다. 율법을 몸으로, 행동으로, 절기로 지켜내면 선한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악한 것이라는 분명한 기준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선악과이고, 땅에 기는 존재의 정체성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하와에게 뱀이 선악과를 권했다는 것은 그 정체성이 그렇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은 뱀이 가장 간교하다고 한 것이다. 간교하다는 것은 선과 악을 분명하게 구분하려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동물들 짐승과 육축이 있는데, 이것은 주권에 관한 구분이라고 볼 수 있다. 짐승이라는 것은 들과 숲 그리고 정글과 초원에 거하는 야생의 동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육축 곧 가축이라는 것은 사람의 손에 의해 길려지고 사육되는 동물들을 말한다. 소, 개, 돼지 등과 같은 것들을 말하는 것이다. 이 두 부류, 짐승과 육축의 차이는 주인이 있느냐 하는 것이 그 기준인 것이다.


주인이 있다는 것은 그 생명의 존재 이유가 주인에게 있는 것이다. 소나 돼지나 양이나 개와 같은 것은 기르는 목적은 다를 수 있지만 생존의 이유가 주인인 사람에게 있는 것이다. 반명에 야생에 있는 짐승들은 생존의 목적이 자기 자신에게 있어, 자신의 힘과 능력으로 살아가는 것 외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아무 의미도 없는 동물들을 말하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