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0

영화 <머니 볼>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4. 4. 10. 22:18 Writer : 김홍덕




근래의 영화 중에서 가장 감명 깊었던 것을 꼽으라면 아마 <머니볼>이 아닌가 싶다. 야구를 좋아하니 야구 영화인 머니볼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머니볼은 진정한 변화에 관한 이야기다. 그리고 그 변화가 승리라는 것을 녹여 놓은 영화이기 때문이다.


<야구는 비싼 선수를 사는 것이 아니라 우승을 하는 것이다.>로 시작한 영화는 내용 내내 새로운 야구 철학을 가진 "빌리 빈"이라는 단장의 야구 철학이 펼쳐지는 이야기를 해 간다. 많은 돈이 아니라, 정확한 통계적 분석에 따른 효율적인 야구가 야구라는 세계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 그리고 그 철학으로 야구를 바꾸려 하는 한 단장의 이야기다.


빌리 빈의 철학이 여러가지 난관에 부딪히는데, 그 중에서 감독이 빌리 빈이 원하는 선수를 출전시키지 않고, 계속 이름 값 위주의 선수들을 출전 시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 트레이드 시키는 장면, 빌리 빈의 철학의 기반이 되는 피터(영화 속 인물)와의 대화 속에서 <'우리는 착각하고 있다'>라는 말을 기점으로 철학이 관철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그 대화 속에서 빌리 빈 단장은 '나는 44살의 고졸에 대학에 보내고 싶은 딸이 있다'는 말을 한다. 그것은 그 때문에 안주해서는 안된다는 말이었다. 그 이후 팀은 기적의 20연승을 하게 된다. 하지만...... 결국은 그들은 챔피언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그 공로를 눈 여겨 본 빅 마켓 구단인 보스턴이 빌리 빈 단장을 1,250만 달러라는 거금으로 보스턴 단장직을 제안하지만 그는 고민 끝에 <"여기서 이기고(우승) 싶다">며 이를 거절한다. 하지만 거절하는 그의 마음은 자신은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그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피터는 원하지 않는 빌리 빈을 데리고 한 영상을 보여준다. Jeremy Brown이라는 선수의 영상을 보여 준다. Jeremy Brown은 100킬로가 넘는 거구에 발이 느려서 2루타는 엄두도 낼 수 없는 선수인데, 그 영상 속에서는 큰 타구를 치고서 맘 먹고 2루로 달리다 1루 베이스를 조금 지나서 넘어져서 아웃 될까 싶어 엉금엉금 기어서 1루로 돌아 온다. 하지만 상대팀 야수들이 그에게 2루로 가라고 손짓하고 다른 야수는 글러브 조차 벗고서 뛰라고 독려한다. 그의 타구는 홈런이었던 것이다.


그 장면은 피터가 야구를 바꾸려 한 빌리 빈 단장의 머니 볼이 패배한 것이 아니라 승리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었고, 또한 머니 볼의 주제가 함축된 장면이었다. 그리고 영화의 엔딩에서 빌리 빈 단장의 철학을 도입한 보스턴이 2년 뒤 밥비노의 저주를 풀고 월드시리즈를 우승했다는 자막을 보여줌으로 빌리 빈이 비록 시즌 마지막 경기는 이기지 못했지만 야구를 바꾸려 한 그의 목표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즉 전투는 졌지만 전쟁은 이겼다는 것이다.


이 영화가 그리고 그 주제가 또한 그 마지막 장면으로 함축된 것이 나에게 감동이 되는 것은 삶의 목표에 대한 재고를 하게 하기 때문이다. 빌리 빈에게 야구를 바꾸는 것이 있다면, 나에게는 신앙에 대한 삶의 목적은 어떤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나, 영광을 얻는 것이나, 신앙의 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 그것이라는 것을 상기해 본다.


그리고 또 빌리 빈이 말한 착각, 대학에 딸을 보내고 싶고, 고졸이라는 절박감을 근거로 자신의 철학을 믿고 살아가는 것에 모든 것을 걸지 않았던 그 착각, 그 역시 나의 삶에서도 없어야 할 것이 아닌가 내내 생각해 보는 영화 <머니볼>이다.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승의 날 생각해 보는 복음을 전하는 삶  (0) 2014.05.16
신앙의 보편성과 순수성  (0) 2014.04.14
하면 된다.  (0) 2014.04.03
실패 예찬  (0) 2014.04.02
창조 경제타운  (2) 2014.02.19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선악과 (45) - 선악과와 교회(1)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4. 5. 16:22 Writer : 김홍덕

예수를 믿는다는 것이 힘들게 여겨지는 것은 같은 것을 반대쪽에서 보는 것과 비슷하다. 보통 신앙인들에게 있어 신앙생활은 참 어려운 것으로 인식이 된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하시고 예수님의 짐은 가볍다고 하셨다. 그런데 사람들이 어렵게 여긴다는 것이다.


이것은 계속되고 있는 선악과의 문제 그 자체 같다. 즉 같은 것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만드시고 보시기에 좋았다고 했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부끄럽게 여기는 그것이 바로 선악과의 문제인 것이다. 신앙생활이 힘든 것이 바로 그것 때문이다.


즉 사람을 사람 그대로 본다는 것이 어려운 것은, 사람을 사람 그대로 보는 일이 힘들고 어려운 일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그렇게 보는 안목을 가지기가 힘들다는 의미이다. 그것은 역설적으로 그렇게 볼 수 있다면 선악과의 문제가 해결이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사람을 사람 그대로 보는 그런 관계가 된다면 그것은 참 자유로운 공간이 될 것이다. 사람이라서 그래서 보여지는 어떤 행동이나 생각들이 사회적 관점으로 보면 부끄러운 것인데, 어떤 관계 안에서는 그것이 그렇지 않다면 그 공간, 그 관계는 그야말로 안식을 주는 관계일 것이다. 하나님의 안식도 바로 그런 것이다.


기본적으로 사람들은 <가정>이라는 기초적인 공동체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하게 되는데, 자연적으로 접하는 관계, 공동체 중에서 가장 원초적이지만 가정은 그 구성원을 사회적인 능력으로 평가하는 것이 약하다. 판검사 아들이 더 이쁘고, 노동하는 아들은 보기 싫은 그런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앙 안에서 그런 공동체와 관계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교회>가 될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는 그런 공간으로서의 자리를 점점 이탈해 가고 있다. 다른 것 볼 것 없고, 목사를 뽑을 때 학력과 경력을 보고, 잘로를 선출할 때 사회적 지위를 보고 뽑아 임직식 때 과도한 헌금을 내야하는 구조 그것으로 이미 모든 것이 끝난 것이다. 즉 사회적, 세상적 기준이 그대로 교회 안에서의 자리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교회가 이렇게 된 것은 한마디로 교회가 큰 교회가 되려 하기 때문이다. 즉 사회적인 기준을 기반으로 잘 되는 교회를 꿈꾸고 되려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현상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성공하면 성공할수록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는 그 한마디다. 수능 시간표에 맞추어 기도하는 것이 바로 그 철학 위에 있다.


교회가 선악과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교회가 점점 태릉선수촌이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즉 사람의 신앙과 삶을 판단하고 그 가운데서 선한 것을 발라내려 하고 있다. 게다가 그 선한 기준이 세상에서 온 것이라는 것은 얼마나 허망한 마음이 들게 하는지..... 


사람의 선은 발라내는 것이 아니라 우러나야 하는 것


선악과의 문제가 교회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사람이 안식 할 수 있는 공간이 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바로 사람에게 선을 발라내려 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선은 우러나야 하는 것인데 말이다. 즉 사람이 연약하기 때문에 교회에 오는 것이고, 그 연약함을 개조하기 위하여 교회에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서 가진 그 모습 그대로를 감추지 않아도 쉴 수 있어야 하는 공동체가 되기를 위하여 예수님께서 오신 것이기 때문에......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스포츠, 그 공간과 시간의 다툼

Category : 잡동사니 Date : 2014. 4. 4. 11:35 Writer : 김홍덕

제목은 스포츠라고 했지만 명확히는 야구와 축구에 대한 비교다. 월드컵이 아닌 이상 국내 시장 규모로 볼 때 이제는 비교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야구가 우세한듯 보이기도 하지만 어쨋든 구기 종목의 양대산맥인 것은 이의가 없을 듯 하다.



IMGP7115
IMGP7115 by lseeker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2013.09.06 대한민국 (Rep. of Korea) vs. 아이티 (Haiti)
2013.09.06 대한민국 (Rep. of Korea) vs. 아이티 (Haiti) by manricheon 저작자 표시



문화적으로 봐도 축구는 유럽의 문화가, 야구는 미국식 문화가 반영이 되어 있다. 무승부라는 것에 대한 개념으로 보면 그렇다. 축구는 무승부가 있다.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야구(미국)의 경우는 1박 2일 경기도 한다. 끝장을 보자는 것이다. 마치 서부 개척 시절 총잡이의 대결과 같다.


경제적으로 보면 야구가 훨씬 우세(월드컵은 논외)하다. 신문에 나오는 것을 기준으로 보면 축구 구단들은 적자가 많다.(사실 그런 적자를 안고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하는지 모르지만) 특히 미디어와의 호환성을 보면 야구는 경제성이 매우 좋다. 9회를 기준으로 광고를 최소 20회 이상 보낼 수 있다.(투수 교체 시간 등 포함) 하지만 축구는 고작 Half Time 뿐이다. 게다가 15분씩 광고만 보는 시청자는 없다. 홈쇼핑이 아닌 다음에야...


하지만 이런 차이들은 기본적으로 형식으로 인한 차이이다.(무승부에 관한 차이 빼고) 이 두 종목은 기본적으로 개념이 많이 다르다. 야구는 구기 종목 중 유일하게 공을 소유한 팀이 수비를 하는 경기이다. 그리고 모든 스포츠를 통틀어 감독과 코치가 등번호가 있는 유니폼을 입는 경기이기도 하다.(크로켓도 그런가? - 이건 잘 모름)



 축구

 시간을 정해 놓고 공간을 다투는 경기 

 특정한 공간만 점수가 됨

 야구

 공간을 정해 놓고 시간을 다투는 경기

 모든 공간이 점수와 연관(땅에 떨어지면 안타 및 인플레이) 



그러나 근본적으로 이 두 종목은 경쟁의 대상이 다르다. 축구는 시간을 정해 놓고 하는 경기다. 즉 시간은 다툼의 근본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축구는 정해진 시간 안에 공간을 어떻게 점유하고 활용하여 상대가 지키는 공간으로 자기의 공을 넣느냐의 다툼이다. 


반면에 야구는 시간 제한이 없다. 모든 아웃과 세이프는 시점을 기준으로 형성된다. 정해진 공간인 베이스를 누가 먼저 점유하느냐에 따라 경기가 운영된다. 타자가 친 공과 타자주자 중 누가 먼저 1루에 도달하느냐로 부터 시작된다. 스트라이크 존에 들어 오는 공을 때릴 수 있는 시간이 딱 정해져 있다. 타자가 그것을 차지하느냐? 아니면 투수가 차지하느냐 또한 중요한 쟁점이다.


한마디로 축구는 시간을 정해 놓고 공간을 다투는 경기고, 야구는 공간을 정해 놓고 시간을 다투는 경기다. 물론 둘 다 소위 말하는 타이밍이라는 공통적인 기술적 요소와 공간에 대한 전술적 요소가 공존하지만 다툼의 근본 개념이 그렇다는 것이다. 


구기 종목은 공을 가지고 경기를 한다. 스포츠 특히 구기 종목의 경우 예전 전쟁의 대용 특성이다. 군대가 적의 땅을 점령하는 것이 전쟁이라면, 구기 종목은 공을 자기의 의도대로 상대에게 넣거나 보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은 전쟁으로 치면 전쟁의 목적이다.


만약 나라 간에 전쟁을 한다면 한 나라가 옳다고 여기는 의를 다른 나라에 관철시키는 것이 전쟁의 목적이다. 한 나라가 옳다고 여기는 것을 다른 나라에 관철 시키겠다는 최종 행동이 전쟁인 것이다. 이것이 구기 종목에 녹아 있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한 나라가 옳다고 여기는 <의>는 시간과 공간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볼 수 있겠다. 그래서 구기 종목은 대체로 그렇게 나눌 수 있다. 공간을 정하고 시간을 다투는 종목은 대체로 네트를 사이에 두고 경기를 한다. 이들은 모든 공간이 점수가 된다. 이런 경기들의 기술적 핵심은 타이밍이다. 공간은 정해져 있으니. 반대로 네트가 없는 농구, 핸드볼, 축구 등은 다 시간이 정해져 있다. 공간을 다툰다는 것이다. 이들은 특정 공간만 점수가 된다.


그렇게 보면 사람에게 있어 시간과 공간은 절대적인 요소인 것 같다. 사람이 옳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은 시간 그리고 공간과의 함수 관계에 있는 것은 자명하다. 그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잘 새겨 본다면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카이로스 vs 크로노스, 위치 vs. 자리 이것을 차이를 안다면 더더욱.... 괴변 같을지 모르지만 스포츠, 야구와 축구 등의 스포츠에 녹아 있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정리해 본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