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19

우리 사람의 모습은 알고 보면 참 초라하다. 사람들이 치즈 케익을 먹을 때, 부스레기가 떨어질까 조심하는 모습을 본 적 있는가? 나이가 많던, 잘 살던 못살던, 그 얼마 안되는 부스레기에 조심하는 이유가 뭘까? 옷에 떨어진다고 큰일이 나는 것도 아니고, 그게 아까워서 일까? 여튼 사람은 그렇게 찌질하다. 그리고 서로가 감출 뿐 알고 보면 모두 다 똑 같다. 인간이라서, 또한 하나님께서 사람을 그렇게 만들어 놓았으므로......


잘 차려 입고 만나는 사람들은 예절이 있다. 밥 먹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한다. 뭐는 어떻다 등등. 마치 대변도 보지 않는 사람들처럼 고상하게 사람들을 대하면서 그 고상함을 깨는 것에 대하여 서로 얼마나 조심하고, 그것이 깨졌을 때, 불쾌해 하고 더 나아가서 상대를 예의 없는 사람이라고 매도하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의 뿌리는 고상하지 않으면 악한 것이라는 기준이 있어서 이다.


이러한 기준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한마디로 사람은 혼자 있거나 가족끼리 있을 때는 자유롭게 있다 상대가 바뀌면 태도가 바뀐다. 물론 그것이 나쁜 것은 아니다. 다만 그렇게 사는 기준이나 사람들이 갈등을 일으키는 그 모든 기준이 같기 때문이다. 즉 사람의 행동과 소유의 어떠함이 선한 것이 되기도 하고, 악한 것이 되기도 하는 것, 그 안에는 사람이 어떤 것은 선한 것으로, 어떤 것은 악한 것으로 간주하는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기준으로 인간이라는 존재를 심판하고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들을 감추려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것을 감추는 기준을 수립했다. 그것에는 예의라는 것에서 법이라는 법이라는 강력한 것 까지 다양한 단계지만 동일한 것은 인간의 나약함을 감출수록 선한 것이 되고, 그런 것을 잘 감추는 사람일 수록 훌륭한 사람이 되는 법 아래 있는 것이다.


예수님 역시 그랬다.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이 땅에 왔다고 하면서, 창기와 세리와 놀고, 사람의 연약함을 감추기 위하여 만든 법들을 무시하니 유대인들에게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 하나님의 아들은 정말로 화장실도 안 가는 그런 고상함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존재였다. 


그래서 일주일에 두 번씩 금식하고, 길에 서서 기도하는 고상함이 모여야 하나님의 아들이 된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로마의 군대와 맞서도 이길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왕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초라하게 인간의 실체를 드러내면서 십자가에 죽어가고 있으니 이것을 보고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었다고 인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는 일반 백성들 뿐 아니라 3년 동안 예수님을 따라 다닌 제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힐 것이라 하니, 다 도망갔고, 빌라도의 뜰 까지 따라 갔던 베드로도 여종의 질문에 "나는 그가 누구인지 모르겠고, 그가 나와 어떤 관계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던 것이다. 그것은 단순한 배신이 아니었다. 그것은 베드로와 제자들이 생각한 메시야와 전혀 다른 모습으로 죽어가는 예수님이 누군지 모르겠다는 것이고, 그 분과 자신의 관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즉 배신이 아니라 혼돈 속의 고백이었던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선악과 (19) - 구속의 법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2. 23. 13:40 Writer : 김홍덕

백부장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보고 "그는 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도다"라고 고백한 것은 참 의미가 있는 말씀이 아닐 수 없다. 이는 우리가 예수님을 구주로 또한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하는 근거가 어디에 있는 것인지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기독교의 많은 관점이 예수님께서 우리의 죄를 대속했기 대문에 구주로 고백한다는 것은 다 알고 있지만, 그 메카니즘, 그러니까 그 구속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예수님께서 우리를 대신해서 벌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여기는 것이 전부이라 할 수 있다.(특히 이런 관점은 시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그러니까 예수님 이후의 죄는 어떻게 사할 것인가? 하는 문제 말이다.)


곰곰히 생각해 보면 2,000여년 전에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보면 지구를 1/3이나 돌아가야 하는 거리에 있는 이스라엘이라는 나라에서 한 죄인이 십자가에 달려 죽었는데, 그 피가 오늘 나의 죄를 사하고 나를 구원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근거가, 예수님께서 실재로 그렇게 했다는 것 그것 하나 만으로 믿는다는 것은 깔끔한 이해는 아니다.


백부장은 정말 초라한 인간의 모습을 봤다. 사형 당하는 죄인, 벌거벗고 당시 최고 극형의 형틀에 못 박혀 죽어가는 한 사람의 모습을 봤다. 그 명패에는 유대인의 왕이라고 적혀 있고, 불과 몇 일 전,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우리를 구하소서!" 환호하던 무리들이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면 거기서 내려와 보라"는 조롱을 받고 있는 연약한 모습을 본 것이다. 바로 아담이 감추고 싶어서 가렸던 그 모습으로 죽어가는 모습을 말이다.  





그런데 그것이 바로 하나님 아들의 모습이더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십자가의 법이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예수께서 우리의 죄를 대신 지신 방법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 예수님의 모습을 보니, 하나님의 아들이 무엇인지 알게 되는 것, 또 그 모습이 바로 나의 모습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하나님 앞에 고백하게 되는 그것이 바로 구속의 법인 것이다.


이 법은 시대와 방법에 무관한 것이다. 사람이 사람에게서 듣고 보기만 하면 그것을 듣고 본 사람이 그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모습이 자기의 모습이고, 그것을 하나님께서 아들로 삼은 모습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면 사람 안에 자신도 그렇게 감추고 싶었던 인간의 연약하고 추한 모습들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하나님께서 아들로 인정할 수 있는 정체성이라는 것에 감사하고 놀라워할 수 밖에 없는 그 법이 바로 구속과 십자가의 법인 것이다.


그 예수님을 상징하는 어린 양이 선악과를 먹고 스스로 부끄럽게 여긴 아담의 부끄러움을 감추기 위하여 죽임을 당한 어린 양이었다. 다시 말해서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이유가 사람이 선악과를 먹고 스스로 선과 악을 알게 되어 규정하게 됨으로 인간이라는 자신의 정체성을 부끄러워 하고 그것을 감추려 한 것을 대신하여 죽으심으로 그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는 자격이라는 것을 보여주시려 십자가에 달리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예수님의 구속이고, 우리가 선악과를 먹은 죄를 벗는 법인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심은 하나님의 아들은 다른 사람이 할 수 없는 것을 하는 존재로 보내신 것이 아니라, 정말 보잘 것 없는 연약한 인간 본연의 모습, 즉 아담은 부끄럽게 여긴 모습을 자신의 모습으로 인정하는 사람이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 된다는 것을 말씀하시기 위하여 베들레헴 구유에 나시게 하셨고, 가난한 목수의 아들이고, 빈민촌이었던 나사렛 출신이란 신분으로 보내신 것이었다. 그건 누구나의 공통 분모가 될 수 있는 것이니까?


그러므로 우리가 오늘 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할 때, 그 분이 보여주신 기적들, 즉 우리가 할 수 없는 것들을 일으키신 사실을 믿음으로 우리가 믿는 신의 차별성에 나를 귀속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자랑으로 삼는 신앙을 가진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신 의도와는 분명히 다른 것이다.


예수님께서 기적을 일으키심은 마치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것과 같은 기적이다. 그러하기에 하나님께서 이 온 우주를 만드셨지만 결국은 사람을 만드심으로 마치시고 안식하심은 그 창조의 목적이 사람에게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듯, 예수님의 모든 기적도 결국은 십자에게 달리셔서 보여주신 사람의 모습, 하나님 아들의 모습을 보여주심이 그 오심의 목적인 것이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보여주신 모습은 정말 초라하다. 우선 십자가라는 곳은 죄인의 자리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죄인이라는 것이다. 무엇에 대하여 죄인인가 하면, 선과 악을 판단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을 선한 것과 악한 것으로 구분하고, 하나님이 주신 인간의 정체성을 부끄러운 것으로 여긴 유대인들과 로마인들의 관점에서 볼 때 죄인인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주신 것이다.


이것은 신앙에 있어 아주 중요한 관점이다. 우리가 죄인이 된 것은 우리의 생각과 행동으로 인함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지으실 때 우리의 본성으로 주신 것에서 비롯되기에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죄로 여기는 선악과의 관점에서 죄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선악을 판단하는 마음에서 사람들의 모든 범죄가 비롯된다. 서로 자기가 옳다고 주장하면서......


그것을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보여주신 것이다. 예수님께서 죄인이 되신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자신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한 것 때문이고, 또 하나는 자신을 유대인의 왕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신성 모독과 반역죄인 것이다. 사람이 가진 선악과의 관점으로 볼 때, 도무지 하나님의 아들이라 할 만한 것이 없고, 눈 닦고 봐도 왕이 될만한 건더기 하나 없는 그런 꼴과 신분으로 율법은 어기고, 성전에서 상이나 뒤집고, 창기와 죄인과 먹고 마시는 주제에 하나님의 아들이라, 유대인의 왕이라 했기에 용서할 수 없어서 십자가에 못 박히는 죄인으로 고소하고 그렇게 죽인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죽인 것은 선악을 판단하는 관점이다. 아담의 옷이 된 양의 운명과 같이 말이다. 이것이 바로 사람이 선악과를 먹고 죽게 된 것을 구하신 예수님의 구원의 역사인 것이다. 우리 대신 벌을 받으신 것이 아니라, 우리가 부인하는 우리의 정체성이 우리의 진실한 정체성이고, 그것이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심히 좋았던 모습이며, 하나님께서 어떤 존재가 하나님의 아들인지 보여주셨기 때문에 우리가 그 모습을 보고 우리의 정체성을 알게 될 그때에 구원이 나의 것이 되는 것이다. 십자가 밑의 백부장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십자가 밑에 있었던 백부장은 신비한 기적을 봤기 때문에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했던 것이 아니다. 선악을 판단하는 관점, 유대인들의 관점으로 본다면, 백부장이 못 박은 예수가 자기 힘으로 내려오는 것을 보고서 하나님의 아들이라 고백하는 것이 정상이겠지만 그게 아니라,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면 그곳에서 내려오라'는 조롱을 들으면서도 죄인으로 죽어가는 그 모습을 보니, 그것이 하나님의 아들의 모습이라는 것을 봤다는 것이다. 그것은 자신의 모습이 바로 그 모습과 같은 것이라는 것을 보았기 때문인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