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19

생명과 (3)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5. 4. 20:13 Writer : 김홍덕

하나님께서 생명과를 화염검으로 막고 계셨다는 것은 생명과를 얻는 과정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말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욥기에서 "주께서 나를 연단하신 후에는 내가 정금 같이 나오리라(욥 23:10)"한 말씀이나, 고린도전서 3장에서 바울사도가 공적에 대하여 말씀하시는 부분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면 사람들이 이러한 공적이나 연단을 육신의 어떠함, 그러니까 먹는 것과 입는 것 그리고 재물과 건강과 같은 것에 관한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하나님의 연단 이후에는 잘 먹고 잘 살게 되는, 그러니까 육신의 곤고한 문제가 해결되는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화염검으로 지키게 하신 것은 인생의 삶에 있는 육신에 관한 문제를 해결한 어떤 자리를 생명의 자리로 보시고 그것을 지키시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 필요가 있다. 하나님께서 생명나무라고 하신 것은 하나님이 보실 때 생명이라고 하실 만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한 것이다.


즉 하나님께서는 어떤 것을 생명으로 보시고 또 어떤 것은 그 상태가 생물학적으로나 의학적으로 살아 있다고 했도 죽은 것으로 보시는 관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사람들의 사회와 역사 안에서도 이미 죽은 사람이지만 어떤 정신에 대하여 아직도 살아 숨 쉬고 있다는 표현을 하는 것에서도 볼 수 있다. 그것은 어떤 세계 안에서 한 사람의 뜻이 육신의 죽음과 무관하게 살아 있는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처럼 하나님께서도 사람을 보실 때 육신의 상태가 어떠하든 간에 살아 있는 것으로, 그러니까 생명으로 보시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지금 하나님께서 에덴 동산에서 지키시고자 하는 것은 바로 그 생명인 것이다. 그러니까 하나님께서 보실 때, 아니 하나님의 기준으로 살아 있다는 어떤 것을 지키시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살아 있다고 여기는 그 생명에 이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하나님께서 두신 화염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즉 불과 같은 하나님의 기준에 만족되어야 그 생명나무의 과실을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화염검으로 생명나무를 지키신다고 하신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께서 화염검을 두시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 볼 필요가 있다. 그러니까 왜 그것을 지키려 하셨는가 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처음 에덴 동산을 만드셨을 때는 그것을 지키는 화염이 없었는데 <"어떤 계기로 그것을 화염으로 지키려 하셨는가?"> 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역설적으로 그것을 알면 생명나무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계속)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과 (5)  (3) 2014.05.06
생명과 (4)  (0) 2014.05.04
생명과 (2)  (0) 2014.04.27
생명과 (1)  (0) 2014.04.26
선악과 (48) - 선악과 정리  (0) 2014.04.16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생명과 (2)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4. 27. 15:20 Writer : 김홍덕

만족의 동산이라는 에덴 동산의 중앙에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와 생명 나무가 같이 있었듯, 예수님께서도 우리와 같은 육신을 가지신 분이지만 하나님께서 생명으로 여기시는 분이었다. 그러니까 에덴 동산의 중앙에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와 생명나무가 같이 있었다는 것과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셨다는 것은 같은 말씀인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요한 사도는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부인하는 것은 적그리스도라고 했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 점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제대로 알고 있느냐 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셨다는 것은 육신의 삶이 세상이 원하는 성공과 복을 주는 것을 예표하기 위하여 오신 것이 아닌데, 역사를 거듭할수록 기독교의 신앙은 그렇게 되어가고 있다.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셨다는 것은, 마음대로 되지 않는 육신을 가지고 사는 이 삶이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나타내시기에 적합한 존재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이 육신을 만드시고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셨고, 또 이 육신을 만드실 때에 <하나님의 형상(image)>대로 만드신 것이다. 


그러니까 이 육신이 하나님이라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것은 이 육신을 극복하여 얻는 것이 아니라, 만드셨을 때 그 상태 그대로의 상태가 가장 보시기에 좋았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기독교는 이 육신을 극복할수록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생각해 가고 있다. 이것은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오신 것을 믿는 것이 아니다.


육신은 먹어야 하는데 금식을 많이 할수록 또 잠을 자지 않고 기도를 많이 할수록, 또 평범한 인간은 할 수 없는 기적을 행할수록 신앙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연약한 육신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육신을 극복한 모습들이다. 그런 모습을 더 가치롭게 여긴다는 것은 그것이 보기에 더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이 보시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또한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성공할수록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생각한다.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모두가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누군가 사장이 되면 누군가는 직원이 되어야 하고, 누군가 우승하면 누군가는 패자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성공한 사람일수록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는 것은 적어도 인간 모두를 위한 복음은 아닌 것이다. 


인간 모두를 위한 복음이 아니라는 것은 육신을 가진 것 만으로는 되지 않고, 이것에 어떤 것을 더하거나 역량이 더해진 사람이 더 영광을 받는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그것은 육신 그 자체는 부정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만으로는 안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른 것이 있어야 온전해 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은 보시기에 좋았다고 한 것을 부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관점을 가지고 있는 모든 신앙은 예수님께서 육신으로 이 땅에 오신 것을 부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런 모든 신앙은 적그리스도의 신앙인 것이다. 그리고 그런 신앙은 선악과와 생명과가 함께 있는 신앙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육신 그 자체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것에는 이미 어떤 것은 선한 것이고 어떤 것은 악한 것이라는 관점이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선악과를 먹어버린 신앙인 것이다. 그것은 이 육신을 보고 부끄럽게 여겨서 무화과 나뭇잎으로 가린 아담과 같은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생명과를 먹을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담이 선악과를 먹었을 때 하나님께서는 생명과를 먹지 못하게 하시기 위하여 화염검으로 지키게 하신 것이다. 그것은 막는다는 것이 아니라 먹을 수 없는 존재, 먹어서는 안되는 존재라는 의미이기도 한 것이다.


(계속)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과 (4)  (0) 2014.05.04
생명과 (3)  (0) 2014.05.04
생명과 (1)  (0) 2014.04.26
선악과 (48) - 선악과 정리  (0) 2014.04.16
선악과 (47) - 선악과와 교회(3)  (0) 2014.04.16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생명과 (1)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4. 26. 09:35 Writer : 김홍덕

아담과 하와, 그리고 에덴 동산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선악과>이지만 실재로 보면 선악과 동일한 위치에 또 그와 같은 의미로 <생명나무>가 있었다. 하지만 이 생명나무에 대하여 설교를 많이 듣기는 힘들다. 성급한 표현일지 모르지만, 그것을 자주 다루지 못한다는 것은 그 만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볼수도 있다.


우선 생명과는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과 같이 에덴 동산의 중앙에 있었다. 즉 이 생명나무 역시 하나님의 만족("에덴"의 의미)의 중심에 있는 나무라는 것이다. 그리고 더불어 생각해 보면 이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는 같이 있었다. 언뜻 생각하면 죄의 단초가 되는 선악과와 생명과가 같이 있었다는 것이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


선악과와 생명과가 함께 있었다는 것은 그것이 같은 격(수준)을 가진 것이라는 의미인 것이다. 그리고 선악과라는 것이 사람들이 스스로 선하고 악한 것으로 나누는 육신을 가진 인생의 삶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그것이 바로 생명과와 같은 의미와 격을 가진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사람이 육신을 가졌다는 것은 온전한 것이지만, 그런 사람이 <하나님과 같이 되려는 마음>을 가지고 육신을 가진 삶을 보면 선한 것과 악한 것, 이긴 것과 패배한 것,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될 것으로 육신이 가진 본성을 나누게 되는 그 안목이 바로 선과 악을 알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원래 이 육신은 하나님께서 보시고 심히 좋았다고 하셨을 뿐 아니라, 만족의 동산이라는 에덴 동산의 중앙에 두셨다는 것으로 봐도 사람이 육신을 가졌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만족의 근원이라는 의미인데, 사람은 이 육신을, 그리고 육신의 본성을 선한 것과 악한 것으로 나누게 되어 문제가 되었을 뿐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람이 육신을 가졌다는 것은 그 자체가 생명이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선악과와 생명과는 만족의 동산 중앙에 두신 것이다. 이것은 예수님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실 때와 변화산에서 하나님께서 기뻐하는 자라고 하신 것에서 보면 예수님의 모습이 하나님의 기쁨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예수님께서 사람들이 육신을 선과 악으로 구분하여 보는 관점에서 선한 것만 가지신 분인가 하면 그것은 절대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람들이 가진 세상적 관점, 도덕적 관점, 율법적 관점, 정치적 관점, 윤리적 관점에서 볼 때 예수님은 선한 존재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선한 존재가 극형을 받을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지금 시대의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화장실도 가시지 않을 정도로 고상하고 선한 사람으로 보고 그렇게 추앙하고 믿지만, 예수님 당시의 상황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예수님은 지금의 관점으로 보면 늘 사창가 언저리에 있고, 매국노라 할 수 있는 세리들과 먹고 마셨고, 지금의 노숙자들의 공간과 같은 갈릴리에서 노셨던 분일 뿐 아니라, 정치적으로 스스로 왕이라 하고 종교적으로 스스로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문제아였다.


만약 그런 예수님이 지금 계신다면, 사람들이 가진 선악과의 관점으로 보면서, 이단아, 불량배, 문제아 등으로 간주할 것이다. 예수님을 그렇게 보는 관점은 당연히 고상함과 도덕적인 것과 성공하는 것과 같은 세상적 승리와 선의 기준에 미달한 악한 것으로 규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선악의 기준에서 저주 받은 모습 같은 예수님이 생명이셨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과  생명과가 함께 있는 모습이 바로 예수님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선악과와 생명과가 만족의 동산 중앙에 있었듯, 예수님의 모습이 하나님이 보실 때 기뻐하는 자인 것이다.


(계속)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과 (3)  (0) 2014.05.04
생명과 (2)  (0) 2014.04.27
선악과 (48) - 선악과 정리  (0) 2014.04.16
선악과 (47) - 선악과와 교회(3)  (0) 2014.04.16
선악과 (46) - 선악과와 교회(2)  (0) 2014.04.12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