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우리가 익히 알다시피 야고보서는 믿음의 행함을 말씀하시는 책입니다. 그렇지만 ‘다른 것 보다 행함’이라는 관점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것은 저의 말이 아니라 야고보 사도가 그렇게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야고보 사도는 ‘지혜의 온유함’으로 행함을 보이는 사람이 지혜와 총명이 있는 사람이라고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지혜는 앞선 포스트에서 말씀을 드린 것과 같이, 자기 안에 없는 것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존재의 정체성에 대하여 우리가 아는 바가 없는데 하나님의 말씀을 보고 듣고서 그 안에서 존재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 지혜라는 것입니다.


그런 지혜는 온유함이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지혜의 온유함은 행함을 이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성경에 나오는 온유함은 헬라어로 [프라우테-스]라는 말이라고 합니다. 이 단어의 의미는 “자신의 존재가 하나님께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아는 겸손”이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 마디로 성경이 말씀하시는 온유함은 ‘하나님을 바로 아는 것’에 기대고 있다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지혜의 온유함’이라는 말씀을 하신 것은 지혜가 우리가 알 수 없는 것을 수용하는 것이니 그 지혜가 가진 온유함은 하나님으로부터 내 존재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겸손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하나님의 의를 자기 존재 정체성을 받는 것이 바로 지혜고 지혜의 온유함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지혜의 온유함이 있는 사람은 지혜와 총명이 있으면 행함으로 그 지혜의 온유함을 나타낸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이 말씀은 ‘믿음의 행함’은 사람이 자기 존재의 정체성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에 순종했을 때, 하나님께서 그 사람 안에 거하시게 되고, 하나님의 의가 심령에 거하는 사람은 그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어 행동으로 나타난다는 말씀을 하시는 것입니다.


이렇게 분명한데 사람들은 자꾸 하나님께 뭔가를 해야 하나님께서 자신을 의롭게 여기신다고 믿습니다. 그렇다보니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이 속사람의 생명이 표현되는 행함임에도 문자 그대로 ‘행함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지혜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면 먼저 하나님께 구해야 하는데, 꾸짖지 않고 주시겠다는데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자기 기준으로 성경을 보고 행동합니다. 자기 안목이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보는 안목이다 보니 행동하라는 것이 본질로 보이는 것입니다. 행동은 어떤 의가 표현된 것이라는 것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많은 신앙인들은 ‘기도해야’, ‘성경 봐야’, ‘봉사해야’ 하나님께서 복을 주신다고 생각합니다. 기도는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있기를 바라고, 또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된 사람이 하나님의 의를 사모하는 것이 기도입니다. 즉 의가 있으면 하는 것이 기도지, 기도한다고 의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의가 더 생길 뿐입니다. 성경도 읽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읽게 되는 것이며, 봉사도 해야 복을 받는 것이 아니라 십자가의 도로 사는 사람이 섬기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이로 보건데 성경에 나오는 모든 행함 “~~을 행하라”고 하시는 모든 말씀은 그 행함이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되거나, 그 행함의 수고를 하나님이 보상하듯이 복을 주시는 것에 관한 말씀이 아니라, 그럴 수밖에 없는 사람이, 존재가 되라는 말씀이라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지혜의 온유함으로 행하라는 말씀이 바로 그것입니다. 자기 생각을 버리고 하나님께서 우리 존재의 정체성을 가지신 분이라는 것을 겸손히 받으면, 그 받은 하나님이 주신 지혜가 사람으로 하여금 온유하게 하나님의 의를 행함으로 표현하는 생명이 된다는 말씀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3: 13-18) Do it with the meekness of wisdom


As we know it, James is the book that tells us the works of faith. However, I have already said that it is not a viewpoint of 'doing more than others'. It is not my words, but the words of James the Apostle.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the person who has acted in the "meekness of wisdom" is a man of wisdom and understanding. Wisdom has said that it accepts what is not in it, just as it said in the preceding post. We do not know about the identity of our being, but it is wisdom to see and hear the Word of God and find the identity of the being in it.


Such wisdom says that there is meekness. The meekness of wisdom says that it leads to action. The meekness in the Bible is said to be Greek [Praetes]. The meaning of this word can be said as "humility to know that one's own being originated from God". In a word, the meekness that the Bible says is leaning on 'knowing God right away'.


James' s apostle said "meekness of wisdom" is that wisdom embraces what we can not know, and the meekness of that wisdom is the humility of accepting my identity from God. In short, it is the wisdom and the meekness of wisdom that receives God's righteousness as a self-existent identity.


And those who have the meekness of their wisdom say that when they have wisdom and understanding, they show the meekness of their wisdom by doing. Therefore, the word 'works of faith' means that when one obeys that the identity of his being is God, God dwells in him,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dwells in the spirit, You are saying that you are acting.


It is so obvious that people believe that God has to make himself worthy by doing something to God. That is to say, "act", which James the Apostle speaks, is literally an act that expresses the life of the inner man. This is no wisdom. Then you must ask God first, but you will not rebuke him. I see and act on my own standards. It is an essence to behave as it is an eye to see the nature of the eye as its essence. It is not seen that behavior is an expression of what is righteousness.


So many believers believe that God blesses them to 'pray', 'see the Bible' and 'serve'. Prayer is praying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be in Him, and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life. That is to say, if you have righteousness, prayer does not mean that you will pray. There is more of your own righteousness. The Bible is not about reading, it is about reading, it is about serving a person who lives on the road of the cross rather than being blessed to serve.


This is not to say that all the works of the Bible, "Do what is to be done," are not words about blessing as the work is justified before God or God's reward for the work, It is the word to be. That is what James says to do with the meekness of wisdom. If you are humble that you have forsaken your thoughts and that God is the identity of our being, then the wisdom that God has given you is a life that expresses humankind in the meekness of God's righteousnes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야고보서 3:1-12) 사람의 말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야고보서 Date : 2017. 3. 6. 07:45 Writer : 김홍덕

사람은 다른 생명과는 달리 말을 합니다. 이 사람의 말은 진화의 산물이나 돌연변이적인 진화가 아닙니다.(학자들의 이론) 사람이 말을 하는 것은 사람이라는 존재가 어떤 내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창조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즉 스마트폰의 기본적인 기능이 통화이듯, 사람이란 존재의 기본적인 기능은 자기 안에 있는 내용을 육신의 삶이라는 도구로 표현해내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의 말은 사람의 생각과 뜻을 표현하는 가장 편리하고도 훌륭한 형식입니다. 그렇다는 것은 말이란, 그 자체가 본질이 아닙니다. 사람들이 말로 인하여 많이 다투는 것은 그 말은 그 사람의 생각과 의도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듯 사람의 말은 그 사람 안에 있는 생각과 뜻이 표현된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무화과나무가 감람열매를 포도나무가 무화과를 맺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사람은 그 생각이 말로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말과 그 사람의 생각, 아니 그 사람 안에 있는 내용은 같은 것이라는 것입니다. 즉 <말 = 의(義)>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말을 조심하라는 것, 즉 말로서 화를 당하지 말라는 것은 단순히 말을 조심하라는 것이 아니라, 화를 당하지 않는 의를 가지라는 의미인 것입니다.


흔히들 이야기 하는 ‘말의 실수’는 생각이나 의도와 다른 말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말이 아무리 험한 말이고, 또 반대로 선한 말이라도 자기 안에 있는 것을 말했다면 그것은 실수가 아닙니다. 말의 실수는 자신의 의와 다른 말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말의 실수가 없으면 온전한 사람(완전한 사람이 아니라 온전한 사람임)이라고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형제들이 말로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또 말로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는 것이 합당치 않다고 말씀합니다. 작은 불이 큰 나무를 태우듯, 혀와 말이 비록 작은 지체이나 그 말로 인하여 자신을 태울 것이라는 경고도 합니다. 그러니 말을 조심하라고 합니다.


특히 야고보 사도는 한 입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고 또 같은 입으로 사람을 저주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결곡 그 사람 안에 하나님의 의가 없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있으면 하나님 만드신 사람의 정체성과 존귀함을 아는 것인데 그런데 사람을 심판하고 저주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의가 없다는 것입니다.


말은 그 사람 안에 있는 의가 표현된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 안에 두 가지 의가 있지 않는 이상 말은 같은 의를 표현할 것입니다. 그리고 성경은 한 마음 안에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마음을 가진 것은 간음이라고 합니다. 야고보 사도도 두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믿음이 없는 것이라고 앞선 1장에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한 사람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말과 하나님 만드신 사람을 저주하는 말, 두 가지를 다 한다는 것은 그 사람 안에 두 가지 이상의 의가 섞여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믿음이 없는 것입니다. 즉 온전하지 않은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온전하지 않은 것은 사람은 하나님 한 분만을 담고 있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의 말은 ‘하나님의 의’만을 표현할 때 온전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사람이 살면서 때로 말이 헛 나오듯이 하는 실수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사람 안에 두 마음을 품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사람이 자기 정체성과 다른 말을 하는 것입니다. 사람의 정체성은 다름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거하시므로 속에 거하시는 하나님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말과 육체가 모두 그것을 위하여 있는 것입니다. 그것이 사람의 존재 목적이자 정체성입니다.


따라서 사람의 말은 언제나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것이야 합니다. 그럴 대 온전한 것입니다. 온전하다는 것은 완전무결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 정체성대로 산다는 것입니다. 전구가 완전하다는 것은 깨어지지 않고, 무한한 수명을 가진 것이 완전함이라면, 온전함은 전구가 그 주인이 원할 때 불이 잘 오는 것입니다. 그것도 자기 가진 수명 안에서.


그러므로 사람이 자기 말에 실수가 없어 온전한 사람이 되는 것은, 살면서 사람을 자극하거나 욕하는 것과 같은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은 욕도 할 수 있고 사람을 자극하는 말도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말의 모양입니다. 내용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온전한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자주 말씀하신 ‘독사의 자식들아’라는 말은 우리나라 말로 하면 ‘개새끼’라고 하는 말과 다를 바 없는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욕을 해도 괜찮은 것인가 싶겠지만 말 그대로라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의를 가진 사람은 또한 십자가를 지고 가는 사람입니다. 십자가의 도는 의인이 죄인을 위하여 죄인 되는 법을 가진 사람입니다. 즉 바른 말로 사람에게 상처를 주고 요즘 많이 이야기하는 ‘팩트 폭행(객관적 사실로서 상태를 제압하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십자가의 도는 말로서 사람을 정죄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돌이킬 수 있는 삶을 살아내므로 보는 이가 스스로 돌이킬 수 있도록 하는 섬김의 삶을 사는 것입니다. 그 안에 말은 일부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섬김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안다면, 하나님의 의가 속에 내재된 사람의 말이 어떠한지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말에 대한 교훈은 하나님의 의를 가진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말은 당연히 그 안에 있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므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대로 하나님의 의와 뜻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말을 할 것임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하나님을 찬양하지 않고 형제(그리스도의 생명을 가진 사람)를 저주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의가 없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를 가지고 하나님의 생명을 가진 사람을 저주하는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야고보 사도의 말과 혀에 관한 말씀은 ‘말 한 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말과 같이 세상에서 선하게 여기는 말을 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욕하지 말라는 것도 아닙니다. 사람을 저주하지 말라는 것도 아닙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의 의가 너의 내용, 너의 본성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말은 내용을 표현하는 것이니 결국 하나님을 찬양하고, 하나님의 의를 가진 형제를 찬양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3: 1-12) Man's words


The man speak unlike other life. This person is not a product of evolution or a mutational evolution. (The theory of scholars.) A person speaks because a being is created to express something. In other words, as the basic function of a smart phone is a telephone conversation, the basic function of being a person is that it expresses the contents in itself with the tool of the life of the flesh.


So people's words are the most convenient and great way to express people's thoughts and meanings. Yes, words are not essence in themselves. It is because people know that the word is the thought and the intention of the person. As such, a person's words are expressed in the mind and the will of the person.


James says that an apostle says that a fig tree can not bear olives, and vines can not bear figs. In other words, the words and the thought of the person, or the content in the person, are the same. That is, the word = righteousness. Therefore, being careful of words, that is, not being angry with words means not just to be careful of words, but to have a righteousness that does not get angry.


A common mistake is to say something different from your thoughts or intentions. It is not a mistake to say that it is a harsh word and, conversely, that a good word is in itself. The mistake of a horse is to say something different from his own righteousness. That is why the apostle James says that if there is no mistake of words, he is a whole person (not a perfect person but a whole person).


The Apostle James says that it is unworthy for the brethren to praise God in words and curse those who are made in the image of God in words. As a small fire burns a large tree, the tongue and the horse warn that even though it is a small entity, it will burn itself. So tell them to be careful.


In particular, the apostle James says he can not praise God with one mouth and curse men with the same mouth. It is that there is no righteousness of God in the person who ceded it. If we have the righteousness of God, we know the identity and dignity of God's Creator. But judging and cursing a person means that God has no righteousness.


The word is expressed in the person's righteousness. And unless there are two things in man, the words will express the same righteousness. And the Bible says that adultery has two or more minds in one heart. James 1 says in the preceding chapter that the apostle James also has two minds.


Therefore, when a man pours both God's praise and God's curse, it is a mixture of two or more things in him. And it is without faith. That is, it is not perfect. This is not perfect because man must have one God. That is to say, man's words are perfect when expressing 'the righteousness of God'


Therefore, this is not a story of a man's mistake that sometimes lingers in vain. This is to say that you have two minds in a person. It is also what people say differently from their identity. The identity of a person is not different, but the expression of God dwelling in God's dwelling place. Both the horse and the flesh are there for it. It is a person's purpose and identity.


Therefore, man's words must always express God's righteousness. It is so complete. To be perfect is not to be perfect but to live according to its identity. If the light bulb is not broken and it is perfect to have an infinite life span, integrity is the light that comes when the light bulb wants its owner. It's also in its lifetime.


Therefore, it is not that people do not make the same words as to live and to stimulate or curse a person to be a perfect person because there is no mistake in his words. A person can say a word or say something that excites a person. It is the shape of a horse. If content is to express God's righteousness, it is perfect. The word "sons of serpents" that Jesus often said is no different than the word "motherfucker" in Korean.


Then, if it is to express the righteousness of God, I would say that it is okay to blame, but if it is literally OK. But those who have the righteousness of God are also those who take the cross. The way of the cross is the righteous man to be sinners for sinners. In other words, it is not doing fact assault (a word that suppresses status as an objective fact) that hurts people with the right words and talks a lot these days. The crucifixion of the cross is not to condemn a person, but to live a life of service that enables a person to turn back by himself as a person lives a life that can be turned back on his own. The horse is part of it. And if you know that all this is about service, you can clearly see what the words of the person who is in the righteousness of God are.


Therefore, the lesson of what the apostle James is saying is to be a man of God's righteousness. Then, the word is expressing what is in it, so God is saying that God will express and explain God's righteousness and wil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an's creation. On the contrary, it is a person without God's righteousness to curse a brother (a person with Christ's life) without praising God. It is impossible to curse a person who has the life of God with the righteousness of God.


The words of this James apostle's words and tongue are not to say words that are good in the world, as the words "pay a thousand bucks in words." And not to blaspheme. Nor does it mean not to curse a man. This means that God's righteousness will be your content, your nature. Then the word expresses the content, because it will eventually praise God and praise the brother of God's righteousnes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영혼 없는 몸이 죽은 것 같이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니라(약 2:26)

이로 보건대 사람이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 믿음으로만 아니니라(약 2:24)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롬 3:20)


<행함과 믿음>이라는 두 가지 명제에 있어 서로 상충되어 보이는 바울 사도의 로마서와 야고보 사도의 야고보서의 내용들입니다. 이는 얼핏 명백하게 서로 대치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서로 대치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은 행간을 읽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비유컨대 심청전을 읽고서 ‘효도하려면 바다에 몸을 던져야 하는군!’이라 하는 것과 같은 안목이라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아브라함이 100세에 하나님의 약속에 의하여 얻은 아들 ‘이삭’을 제물로 바친 일을 믿음의 행함이라고 말씀하면서 아브라함이 그렇게 행동으로 그 마음의 믿음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의롭다함을 받았다고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로마서 4장에서는 아브라함이 할례를 받아서(받는 행동) 의롭게 된 것이 아니라, 이미 그가 할례를 받지 않았을 때에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셨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 두 사도가 아브라함에 대하여 말씀하시는 것은 어찌 보면 상충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이 두 말씀은 같은 말씀입니다. 그것은 아브라함의 하나님, 바울 사도의 하나님, 야고보 사도의 하나님이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 앞에 의롭게 되기 위하여 어떤 행위도 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을 의롭게 여겨주기를 바래서 아비 집을 떠난 것이 아닙니다. 할례를 받으면 하나님께서 자신을 의롭게 여기실 것이라 생각해서 할례를 받은 것이 아닙니다. 그는 자신의 행위를 먼저 하나님께 드린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니 그 몸이 하나님의 말씀대로 하게 된 것입니다. “네 아비 본토 친척 집을 떠나 내가 지시할 땅으로 가라”고 하심에 순종하였더니 그 말씀처럼 고향을 떠났다는 것입니다. 아들 ‘이삭’을 바치면 하나님께서 자신을 의롭게 여기실 것이라고 여겨 아들 ‘이삭’을 바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아들을 바치라 하심에 순종하는 마음이 그 아들을 제물로 받치는 행함이 나온 것이라는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은 명확하게 <율법의 행위>입니다. 그 행함으로는 하나님 앞에 의롭다함을 받을 육체가 없다는 것입니다. 아브라함도 의롭게 되기 위하여 하나님께 어떤 행위를 드린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반면에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은 <믿음의 행함>입니다. 아브라함 안에 있는 믿음이 행함을 낳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그 행위를 보고 아브라함 안에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있음을 의롭게 여기셨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율법의 행함(위)>과 <믿음의 행함>은 전혀 다른 것입니다. 바울 사도가 로마서에서 말씀하시는 율법의 행함은 사람이 하나님께 자기 행위의 공로를 드리면 하나님께서 그 사람의 행함을 의롭게 여기실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행함입니다. 반면에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은 영혼이 있어야 몸이 산 것이듯, 믿음이 있으면 그 믿음으로 인한 행함이 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막상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않는다고 해서 사람의 중심을 보려 하면 볼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사람에게 행함이 없으면 그 속을 알 수 없습니다. 사람의 말을 듣지 않는다면 그 생각을 알 수 없습니다. 사람의 행동이 없으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사람을 알려면 그 행동을 보고 판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야고보 사도나 바울 사도가 외모로 사람을 취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외모나 행동이 본질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 사람의 행동은 그 행동을 자아내는 마음과 본심과 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말과 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행동을 보고서 그 행동이 본질이라 여기지 말라는 것입니다.


또한 그와 같이 행함이라는 것도, 행함 자체가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진다고 여기라는 말씀이 아닙니다. 이는 바울 사도의 말씀도 같습니다. 야고보 사도의 말씀도 다르지 않습니다. 야고보 사도께서 행함이 없으면 그 믿음은 죽은 것이라는 것은 믿음이 없기 때문에 그 믿음이 행함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행함은 믿음의 표현이고 증거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행함이 없다면 믿음은 당연히 없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이것을 오해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행함이 있어야 믿음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아닙니다. 믿음이 있으면 행함은 일부러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임을 성경은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군인이면 뭐라하지 않아도 출근할 때 군복을 입으나, 군인이 아닌 사람이 군복을 입을 때는 스스로 어떤 계획이 있어 입는 것입니다. 즉 자기 의와 의지가 있어야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그와 같이 믿음이 있는 자는 행함을 의도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그냥 행동하게 됩니다. 반면에 믿음이 없이 행함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자는 다 그 의도가 있습니다. 그래야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거나, 그렇게 해야 하나님께서 복을 주신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기에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자들은 행동과 외모와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봅니다. 그것이 본성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행함과 믿음은 같은 것입니다. 한 하나님께로부터 나온 온전히 하나인 것입니다. 개의 본성과 도둑이 오면 짖는 것은 같은 것입니다. 도둑이 올 때 짖어서 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개라서 도둑이 오면 짖는 것입니다. 도둑이 왔는데 짖지 않으면 사람들이 ‘개가 뭐 이래?’라고 합니다. 행함이 없으니 믿음이 없다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믿음과 행함은 이렇게 같은 것입니다. 이것이 같은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면 안타깝게도 아직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여기는 안목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그 안목이 바뀌지 않는다면 제 아무리 신학박사든,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목사든, 암 환자를 낫게 하는 능력이 있든 다 죽은 것입니다. 그것이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는 말씀의 본질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2: 14-26) Faith without deeds is dead


As the body without the spirit is dead, so faith without deeds is dead.(James 2:26)

You see that a person is considered righteous by what they do and not by faith alone.(James 2:24)
Therefore no one will be declared righteous in God’s sight by the works of the law; rather, through the law we become conscious of our sin.(Romans 3:20)


It is the contents of the Romans of Paul and the James of the Apostle James, which seem to conflict with each other in the two propositions of Acts and Faith. At first glance, this seems to be a clear replacement. But it seems that this seems to b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because it does not read the lines. It is an insight like reading Simcheongjeon and saying, 'You have to throw yourself in the sea to be able to do your utterance!'


The Apostle James said that Abraham was justified because Abraham showed his faith in his actions so that when Abraham said at the age of 100 he had sacrificed his son Isaac, which he had obtained by the promise of God, as the act of faith. In Romans 4, however, Abraham was circumcised and not justified, but God was righteous when he had not been circumcised.


It seems to me that these two apostles are talking about Abraham. But it is not. These two words are the same thing. It is because the God of Abraham, the apostle of Paul, and the apostle of James are no different.


Abraham did not do anything to be justified before God. It is not that he left his father's house because he wanted him to be righteous. When we are circumcised, we are not circumcised because we think that God will make us righteous. He did not first give his actions to God, but obeyed God's Word, and his body was made according to God's word. "He left his father-in-law's relative and went to the land to which I was directed." If you give your son Isaac, God does not offer his son Isaac, who thinks he will be righteous, but that God's obedience to his Son is a sacrifice of his Son.


Acts that the Apostle speaks are clearly <Acts of the Law>. The act is that there is no body to be justified before God. Abraham did not do anything to God to be justified. On the other hand, what James says is "the act of faith." The faith in Abraham has given birth to works. That is why God saw the act and justified the faith in God in Abraham.


Therefore, the Acts of the Law and the Acts of the Faith are quite different. The law of the apostle Paul speaks in the book of Romans, which comes from the idea that if a man gives God the merit of his deeds, God will justify his deeds. On the other hand, what the apostle James says is that if there is a soul, the body is alive, and if there is faith, there will be works by that faith.


I can not see the center of a person because I do not take a person in appearance. In conclusion, if a person does not act, he can not know the inside. If you do not listen to people, you do not know the idea. Without man's action, he can not know who he is. Therefore, when a person learns a person, they have no choice but to judge the behavior. However, the Apostle Paul or the Apostle tells us not to take people by appearance is that man's appearance and actions are not essence. The person's behavior is that it has a mind and an intention to make that action. That is, it appears in words and actions. Therefore, when you look at the behavior, you do not think that it is essential.


Also, doing so does not mean that the act itself is righteous before God. It is the same with the apostle Paul. The words of James the apostle are no different. If the apostle James did not have faith, he would not be able to draw the act because there is no faith that the faith is dead. In other words, action is an expression of faith and evidence. So, if there is no action, there is no faith.


People misunderstand this. So people need to have action to call it faith. But it is not. If you have faith, the Bible tells us that works do come out naturally even if you do not intentionally. When a soldier does not say anything, he wears military uniform when he goes to work, but when a person who is not a soldier wears military uniform, he has a plan for himself. In other words, you must have your will and will to do so.


Likewise, those who believe have no intention of doing. But I will just act. On the other hand, everyone who believes that there must be work without faith has its intentions. That is because unhappy things do not happen, or that is what God thinks he is blessed. And such people see their behavior, appearance, and visible things as their essence. It is nature.


Acts and faith are therefore the same. It is a unity whole from one God. The nature of the dog and the barking of the thief are the same. When a thief comes, it is not a bark, but a dog; If a thief comes and does not bark, people say, 'What is the dog?' There is no deed, there is no faith.


This is the same faith and practice that many people misunderstand. If this does not seem the same, unfortunately I still have the eye to see what is visible. If the vision does not change, no matter what the theologian, the pastor who represents the Korean church, or the ability to heal cancer patients, they are all dead. It is the essence of the Word that the faith that James the Apostle speaks of is dea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