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성경은 참 많은 것을 이야기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하나입니다. 그것은 바로 <그리스도란 어떤 존재인가?> 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예수님께서 보이셔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그리스도의 정체성은 하나님께서 기름을 부어 세운 정체성입니다. 바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이 그것입니다.


따라서 성경의 모든 말씀은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이 사람의 정체성을 사람이 순종하고 받아들이느냐 아니냐에 관한 것입니다. 그것을 받아 들이면 어떤 모습이 되는지. 또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은 사람의 삶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성경을 흔히 복음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 존재의 정체성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데 그것을 알려 주시는 복된 소식이기 때문에 복음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지금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시기와 다툼으로 구하여도 사람이 얻지 못하고 살인하여도 얻지 못하는 것은 그것이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사람을 위한 것을 가지신 이가 사람을 만드셨기에 사람이 그것을 구하면 풍성히 주신다고 말씀하시는 것이 그것입니다. 그런데 사람이 자기가 구해야 할 것이 아닌 것을 구하고 있으니 살인하여도 얻지 못하는 심각한 간음에 빠졌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야고보 사도는 원래 사람이 가져야 할 것을 사람이 구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성령께서는 시기하기 하신다[각주:1]고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성령의 일은 다른 것이 아니라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보고서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거듭나게 하시는 일을 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성령은 우리 안에 생명을 잉태케 하시는 분이고, 우리가 그리스도의 본성을 알고 살아가도록 도우시는 보혜사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들. 특히 하나님을 믿는다는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세우신 그 뜻을 구하는 것이 가장 우선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먼저 그 나라와 그 의를 구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또한 이것이 우리가 하나님께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은혜입니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뜻을 순종하는 것이 가장 겸손한 것입니다. 겸손한 것은 무조건 낮추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리를 아는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께서 정한 자리로 가서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뜻하신 것을 순종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진정한 겸손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정한 것을 자기의 존재 운명과 정체성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이 생각하는 의로움을 좇습니다. 이겨서, 높은 곳으로 가서, 더 고상해져서, 더 위대하고 성공하므로 하나님께 의로워지려는 자기 기준으로 살아갑니다. 자기가 주인도 아닌 인생을, 인생을 주신 하나님의 뜻과 다른 뜻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은 하나님이 보실 때 그 보다 더한 교만은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정한 것 보다 자신이 정한 것이 더 옳다고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하나님 당신은 좀 비켜 있다가 내가 영광으로 여기는 것을 주면 잘 받아먹고 내가 할 수 없는 이 세상에서의 영광과 성공이나 내게 뱉어내면 됩니다. 알겠습니까?”라고 하나님께 말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또한 마귀의 생각입니다. 


마귀의 생각이 다른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과 반대되는 생각을 하는 것이 마귀의 생각입니다. 마귀가 사람 밖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 안에 하나님과 반대되는 생각, 하나님이 주신 인생을 자신이 주관하는 생각이 바로 마귀의 생각입니다. 즉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과 자신이 마귀이지, 마귀가 흰 소복이나 검은 망토를 걸친 귀신같이 어슬렁거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두 마음을 품는다는 것 역시 같은 것입니다. 그것이 간음입니다. 남편 있는 여자가 다른 남자와 동침사는 것이 간음이듯, 우리 인생의 주인이 엄연히 계신데 그 주인의 생각이 아니라 자기 생각으로 인생을 산다는 것 그 자체가 간음이고 두 마음인 것입니다. 그것은 성결하지 않은 것입니다. 순결한 신부란 자기가 정한 남편을 맞이하는 것이 순결이듯, 성결은 존재하는 것이 자기 존재에 맞는 것을 수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사도는 하나님께 순복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하나님께 머리를 조아리면 우리를 혼내지 않고, 우리 먹을 것을 주신다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 순복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의와 뜻이 나의 의와 뜻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은 그렇게 하는 것이 우리의 존재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사람이 하나님께서 사람 만드신 목적 아래 순복하고 낮아지면 하나님께서 우리를 높이실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 안에 하나님께서 거하시므로 콜라병이 콜라가 되듯 우리가 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에서 하나님보다 높은 것이 없으므로 하나님 앞에 순복하므로 하나님의 의를 자신 존재 목적으로 받아드리는 것보다 더 높아지는 것은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그리스도(a christ)가 되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4: 1-10) The Lord will exalt you.


The Bible seems to talk about many things, but the reality is one. That is, what is Christ? That's what Jesus calls it and we call it "Jesus Christ." And the identity of Christ is the anointed identity of God. That is the purpose God made man.


So every word of the Bible is about whether or not a person obeys and accepts the identity of this person whom God speaks. What will it look like when you accept it. What is the life of a person who has not accepted it? The Bible is often called the Gospel because it is a blessed news that we do not know about the identity of our being and let us know it.


Now it is said that it is not for a man who is sought by the time and contention in which James the Apostle speaks, but is not obtained by man but murdered. It is that He who has for man has made man, and that man will give it abundantly if he asks for it. But a man is asking for something he should not be seeking, so he is in serious adultery, even though he is murdered.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the Holy Spirit is envious about what people do not ask for[각주:2].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s not something else, but because we are looking at Jesus Christ and doing things that will regenerate into the life of Christ. The Holy Spirit is the one who conceives life in us and is the Counselor who helps us to know the nature of Christ and to live.


Therefore everyone. In particular, those who believe in God are the first priority in seeking God's will for Him. So Jesus said, 'Seek first the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This is also the greatest grace we can get to God. And obeying the will of God is the most humble. Humility is not to lower it unconditionally, but to know its place. It is true humility to go to God's place before God and obey and accept God's will to man.


However, people do not accept what God has set as their own fate and identity, but follow the righteousness they think. I will live on my own standards, to win, to go to higher places, to be more noble, to be greater, to succeed, and to be righteous to God. There is no more pride in God's sight than to live a life that is not his master, a life that is different from the will of God who gave his life. It is because it is more right than what God has set.


"God, you are out of the blue, but if you give me what I regard as glorious, I will eat it and I will spit it out to you in glory and success in this world I can not do. Do you understand? " This is also the idea of ​​the devil.


The devil's idea is not different. It is the devil's idea to think against God. The devil is not outside the person. It is the idea of ​​the devil to think in opposition to God in man and in the life that God has given to him. That is, a man with such a thought and himself is not a devil, and a devil does not wander like a white gown or a ghost over a black cape.


Having two minds is also the same. That is adultery. As a woman who lives with a husband is adulterated to live with another man, the owner of our life is very strict, and not the owner's thought, but the life by her own thought is adultery and two minds. It is not sanctified. A purely bride is to accept his self-determined existence as sanctification as if it is innocent to welcome his appointed husband.


Therefore, the apostle James tells us to surrender to God. It does not mean that if we close our heads to God, we will not slaughter us and give us food. Submitting to God means accepting God's righteousness and will in my righteousness and will. We must do so because it is our purpose to do so.


God will elevate us if such a person surrenders and falls below God's purpose for man's creation. It is because we are living in God, so we become one with God, just as the cola becomes a cola. Because there is nothing higher than God in this world, there is nothing higher than submitting to God and accepting God's righteousness for his own purpose. And that is what we become Christ.




  1. 사람들은 성령이 시기하면서 까지 간구하신다고 하니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을 주시지 못하여 안달 난 영과 같이 생각하나 그것이 아닙니다. 성령은 성령의 일을 하시는 것이지, 사람들이 하나님의 뜻과 다른 육신의 일을 예수님의 이름으로 구하면 주는데 구하지 않음을 안타까워하시는 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본문으로]
  2. People say that the Holy Spirit makes supplication until envy, and they do not give what they need, but they do not think it as a spirit that falters. The Holy Spirit is doing the work of the Holy Spirit, not the person who does not desire not to ask for God's will and other physical things in the name of Jesus. [본문으로]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야고보서 4:1-10) 다툼과 정욕과 간음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야고보서 Date : 2017. 3. 11. 02:28 Writer : 김홍덕

지혜가 없으면 시기와 다툼이 있다고 말씀한 야고보 사도는 사람의 모든 싸움과 다툼은 정욕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말씀은 간음한 여자가 세상과 벗되므로 하나님과 원수가 된다는 말씀으로 이어집니다. 야고보 사도는 이 모든 것을 하나의 부류로 보고 있습니다. 인과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간음’은 남녀 간의 부적절한 관계를 말씀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성경이 말하는 간음은 주로 여자의 간음을 말하는데, 요한복음(8장)에 나오는 ‘간음 현장에서 잡혀 온 여자’가 대표적입니다. 간음 현장에서 잡혔다는 것은 남자도 같이 있었다는 것인데, 남자는 어디가고 여자만 잡혀왔을까요? 유대 율법은 간음한 자를 돌로 쳐 죽이라고 되어 있지, 간음한 여자를 돌로 쳐 죽이라고 되어 있지 않는데 남자는 어디에 갔을까요?


야고보 사도 역시 ‘간음한 여자’라는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아닌 말로 살인이야 혼자 저지를 수 있지만 간음은 혼자 지을 수 있는 죄가 아닙니다. 그런데 왜 여자의 간음이라고 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간음이란, 자기 짝이 아닌 상대와 상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성경이 말하는 간음은 다름이 아니라, 사람이 하나님의 창조 목적이 내용이 되지 않고 세상의 가치관을 자기의 것으로 삼는 것을 간음이라고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성경에서 여자는 곧 사람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만드실 때 사람이라는 형식 안에 하나님께서 거하실 목적으로 만드셨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하나님께서 거하실 자리에 자기 육신이 속한 세상에서 보고 듣고 스스로 형성한 가치관을 내용으로 받아들인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간음입니다. 하나님의 창조 목적이 아니라, 자기가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아는 가치관으로 형성한 선과 악의 기준, 그리고 삶의 목적을 채운 것이 바로 간음이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여자 곧 사람의 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사람이 다투는 것은 정욕으로 인함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정욕(lusts)은 ‘애정 없는 성욕’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내용 없는 형식’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본질은 없이 껍데기만 있는 것이 바로 정욕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경이 말씀하시는 정욕은 다름이 아니라 사람이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 사람의 본질은 없이 사람이 추구하고 도모하고 구하는 모든 것이 다 정욕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다투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삶의 내용이 없어서 그렇다는 것입니다. 삶의 목적과 본질 없이 형식만을 구하기 때문에 서로 다툰다는 것입니다. 형식 곧 물질세계는 유한한데, 같은 것을 서로 추구하니 다툴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것은 눈에 보이는 세계를 위함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존재를 육신이란 형식을 가진 사람이 형식으로서 표현하기 위함입니다. 사람 밖에 있는 것을 추구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기 안에 내용을 추구하여야 하는 존재인데 밖의 것을 추구하니 내용 없는 수고가 된 것입니다. 그래서 인생이 하나님 없이 추구하고 수고하는 모든 것이 다 정욕인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살인하기 까지 얻고자 하나 얻지 못하는 것은 구하지 않음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구하는 것은 세상의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각주:1] 사람들은 자기가 하나님께 구한다고 생각하지만 구해야할 것을 구하지 않았다면 구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구해야 할 것은 다름이 아니라 자기 존재의 이유와 목적인데, 사람들은 존재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구하지 않은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그것을 ‘졍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정욕이라는 것이 애정 없는 성욕과 같이 내용 없는 형식을 말하는 것이니, 정욕으로 쓰려고 구한다는 것은 내용 없는 형식을 위하여 구한다는 것입니다. 즉 인생의 본질은 인생의 존재 목적과 의미를 아는 것에 있는데, 사람들은 존재하고 있는 형식의 필요를 구하고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애정 없이 성욕을 추구하는 것과 같이 내용 없는 형식을 구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자기 짝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사람이 구할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자기 존재의 목적을 벗어나서, 존재하고 있는 육신이라는 형식의 필요를 세상의 가치관에 의지하여 ‘더 많이’, ‘더 좋게’ 되려고 하는 구함은 남편 아닌 여자가 남자를 위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취할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람들의 모습은 결국 하나님과 원수가 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생각과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생각은 육신의 삶의 어떠함에 있지 않고, 존재의 목적에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생각은 사람 안에 하나님께서 거하시므로 그 하나님이 사람의 육신을 통하여 표현되는 것에 있는데, 사람은 그와 반대로 형식인 육신의 수고가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안에서 밖으로’라고 말씀하시는데, 사람은 ‘밖에서 안으로’라며 주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4: 1-10) Strife, lust and adultery


James, who said that without wisdom there was envy and strife, says that all fights and strife in man originate from lust. And this passage leads to the word that an adulterous woman becomes enemy with God because she is naked with the world. The apostle James regards all of this as one class. There is causality. 


Biblical "adultery" does not refer to inadequat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The Bible says adultery is mainly a woman's adultery, as exemplified by the "woman caught in the fornication scene" in John's Gospel (chapter 8). The fact that he was caught in the fornication scene means that the man was also with him. The Jewish law says that an adulteress is to be stoned to death, not to kill an adulteress with a stone, but where did the man go?


The apostle James also refers to the word "woman who committed adultery." In other words, murder can be done alone, but adultery is not sin alone. However, there is a question about why it was called a woman's adultery. It is because adultery is a relationship with an opponent, not a partner. And the Bible says that adultery is not different, but because man says that God's purpose of creation is not content, but the value of the world is his own. In the Bible, women are people.


God made man for the purpose of dwelling in the form of man. In the place where God dwells, people have seen and heard in the world of their flesh, and have accepted their own values. This is God's adultery. It is not the purpose of God's creation but the adultery that fulfills the purpose of life and the standards of good and evil, which are formed by the values ​​of what one sees in nature. Because it is not a woman, not a mate.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man's dispute is due to lust. Lusts have the meaning of 'affectionless libido', which is 'contentless form'. In other words, it is lust that is only shell without essence. Therefore, the lust for which the Bible speaks is not different, but that man is the lust for everything man pursues, plans, and asks for without God's purpose, man's nature.


Therefore, it is not because people argue but because there is no content of life. It is that they are disputed because they seek only the form without the purpose and the essence of life. The form, the material world, is finite, and it is inevitable that we seek to do the same with each other. It is not for the visible world that God made man, but for the expression of the invisible existence of God as a form of the flesh. In other words, it is not a person who pursues what is outside the person, but a person who has to pursue the contents in himself. That is why everything that life pursues without God and labors is lust.


James said that the apostles did not ask for murder until they tried to get it. It is not the world to ask. People think that they ask God, but they do not ask for it unless they ask for it. What people need to save is not the difference, but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ir being. People are asking for what they need. So I did not ask.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he is asking for the wrongdoing. Lust is a contentless form, like lust without sex, so to ask for lust is to ask for a contentless form. In other words, the essence of life lies in knowing the purpose and meaning of life's existence, that people are seeking the needs of the existing form, and that it is seeking contentless form, like seeking lust without love.


And that is not a mate. In other words, people are not going to save. It is the desire of men to be 'more' and 'better' by relying on the values ​​of the world, the need of the form of the flesh that exists outside of the purpose of self existence, It is not a person to take.


The appearance of these people is said to eventually become enemies with God. It is natural. It is the opposite of God's thoughts. God's thoughts are not in any of the physical life, but in the purpose of being. God's idea is that in the human being, God is living in Him, and that God is expressed through the flesh of man, which, on the contrary, thinks that the work of the flesh, in contrast, God says, "Out in," and man is claiming to be "from outside to inside."


  1. 이 말씀은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교회들, 유명하고 부흥하는 교회들이 얼마나 허상인지를 설명하기도 합니다. 왜 그런가 하면, 하나님을 믿어서 육신의 일이 잘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믿어 사업이 잘 되고, 교회에 다니는 청년들이 세상이 걱정하는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하나님께서 우리 사람들이 구하길 바란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많이 모였다는 것만으로 부흥되었다고 한다는 것이 이미 무엇을 구한 것인지, 그 구하고 있는 것이 세상이 추구하는 풍요와 다산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으로]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야고보 사도는 <위로 난 지혜>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1장에서는 각양 좋은 은사는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로부터 내려온다고 말씀했고, 3장에서는 성결하고, 화평하고, 관용하고, 양순하며 긍휼과 선한 열매가 가득하고 편벽과 거짓이 없는 지혜도 위에서 난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것을 말씀하시는 것은 시기와 다툼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말씀하시기 위한 것입니다.


세상은 늘 혼란스럽고 다툼이 많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늘 이것을 해결하려고 하고, 또한 이 끝없는 다툼으로 인하여 세상이 멸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시기와 다툼은 의외의 원인에서 비롯됩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이것이 옳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부터 나옵니다. 세상의 어떤 다툼도 ‘내가 잘못했다’라고 하는데 생기지 않습니다. 잘못했다는 사람을 자기주장의 한을 풀듯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은 있을 수 있어도 다툼은 생기지 않습니다.


야고보 사도가 지혜가 위로부터 온다고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의는 ‘이것이 옳은 것이다’라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이는 옳은 것이 없거나, 모르거나, 감추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주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가 세상의 모든 다툼을 일으키는 것과 같이 ‘이것이 옳으니 이대로 해야 한다.’며 주장한 것 같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옳은 것으로 따진다면야 예수님께서 가지신 의와 선보다 더 옳은 것이 없음에도 주장하시지 않았습니다.


시기와 다툼이 대단한 것 같지만 결국은 내가 옳다는 것입니다. 내가 옳은데 남의 것이 인정받으니 시기하는 것이고, 내가 옳은데 그것이 아니라고 하니 다투는 것입니다. 이것이 가장 심한 곳이 어쩌면 교회입니다. 모양은 고상하나 절대로 양보하지 않습니다. 그러다 고상함의 임계점을 넘어서면 결국 예배당에서 똥물 투척하는 싸움이 되고, 교회가 갈라지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위로 난 지혜는 화평케 한다고 하심이 바로 이것입니다. 위로부터 난 지혜는 자기가 옳다는 주장으로 시기와 다툼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가장 옳은 것을 가지고 섬기고 종이 되고 죄인이 되는 그리스도의 도이기에, 화평케 하시는 예수님과 같이 화평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화평케 하는 십자가의 도는 육신을 십자가에 드리신 예수님과 같이 육신으로 섬기고, 육신이 자기가 옳다 주장하는 주장 앞에서 죄인이 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시기와 다툼이 아니라 화평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이 야고보서가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이 육신의 행함이 없으면 믿음이 없다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이 육신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하여 말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이들은 육신은 부정하니 행함으로 정하게 하여야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실 것이라 하여 내용이 행동이 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이 내용이 될 것처럼 율법을 지키고, 어떤 이는 믿음이란 육신과는 무관한 것이라 말하는 육신에 대한 무지를 깨우치려 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이 육신은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의를 행하는 도구라는 것을 알면 시기와 다툼이 없어질 것이기에 야고보 사도가 시기와 다툼을 그치라는 것입니다. 시기와 다툼이 있다는 것은 그 마음에 주장하는 것이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하늘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주기도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위로부터 난 지혜는 육신을 어떻게 쓸 것인지, 또 행함이란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기에 예수님과 같이 육신을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것에 드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위로부터 난 지혜, 곧 하나님의 의는 우리도 그리스도와 같이 육신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는 것에 소비하는 존재로 살아가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그 삶은 결국 하나님의 의가 육신의 모든 것으로 표현되는 것, 즉 믿음의 행함으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많은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이 옳다고 여기는 믿음과 신앙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믿는 신앙이 다른 분도 아니라 만유의 주님이신 하나님이기에 어떤 수를 쓰더라도 전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강권하여 내 집을 채우라’고 하셨고,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전하라’고 하셨기에 투철하게 전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은 위로부터 온 것이 아닙니다. 다른 것 볼 것 없이 화평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때로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화평이 아니라 불을 던지러 왔다는 것을 인용합니다. 하지만 그 불은 시비를 걸라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에 예수님에 대한 갈망이 생길 수 있도록 육신으로 살아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가장 강권한 것이고, 그것이 때와 무관한 것입니다. 항상 그렇게 사는데 때를 얻는 것이 무슨 의미겠습니까? 그리고 무엇보다 이것이 화평이고, 결정적으로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신 도가 바로 이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이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거하므로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이 이끄는 대로 자기 육신을 드려 그 육신이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것을 위하여 수고하는 것이 믿음이고 위로부터 온 지혜의 화평입니다. 그리고 그 이끄심은 가진 것이 하나님의 것이기에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이 그러셨던 것처럼 섬기고 육신으로 사람이 그리스도가 되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살아내는 것입니다. 그것이 믿음의 행함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3: 13-18) The peace of wisdom from heaven


James the Apostle speaks of "Wisdom that comes form Heaven". Chapter 1 says that good gifts from above are coming down from the Father of the Light, and Chapter 3 says that the wisdom that is holy, peaceful, tolerant, bold, full of mercy and good fruit, . This is to say that time and contention are not.


The world is always confused and contentious. So people always try to solve this, and I think that this endless fighting will destroy the world. But all these times and strife come from unexpected causes. It comes from claiming that this is the right thing. No controversy in the world occurs when I say, "I was wrong." There may be a person who violates someone who has made a mistake, but there is no contention.


James does not claim that the apostle's wisdom comes from Heaven, but God's righteousness is 'right'. This is because they do not claim, do not know, do not hide, and do not claim to be right. Do you think Jesus' crucifixion, like all the controversy of the world, has argued, 'This is the right thing to do.' It's not like that. He did not assert that there was nothing more right than the good and good that Jesus had if he were righteous.


Time and contention seem to be great, but in the end I am right. I am right, but others are recognized and jealous, and I am right. This is the most severe place, maybe a church. The shape is a solid one and never yields. Then, beyond the threshold of decency, it becomes a shit-fighting battle in the chapel, and the church is divided.


It is this that James' s apostle set up to make wisdom peaceful. The wisdom from Heaven is not to cause controversy and jealousy by claiming that he is right, but to be peaceful as Jesus, who is a peacemaker, because he is Christ's servant, servant, servant, and sinner with the most righteousness. And the crucifixion of the cross is to serve in the flesh like Jesus who gave the flesh to the cross, and the flesh to become a sinner before the claim that he is right. It is not time and contention, it is peace.


What this James wants to say is that there is no faith without the works of the flesh. The Apostle James tells us how to use this body. Some say it is unclean because the body is unclean, and if it is done by the works, God will be righteous. It is not the act of content, but the ignorance of the flesh, saying that the act is the content, It is to awaken.


When people know that this body is like Jesus who is crucified, it is a tool to do God's righteousness, so that time and contention will disappear, and James's apostle will stop timing and contention. There is time and contention that there is something in the heart that claims to be, not from heaven. The Lord's Prayer was not fulfilled. Because wisdom from Heaven will know how to use the body and what it is to do, just as Jesus would give the flesh to express God's righteousness.


For the wisdom from Heave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at we, like Christ, live as a body that the flesh uses to express God's righteousness. It is because the righteousness of God will eventually manifest itself in the manifestation of all of the flesh, that is, the works of faith.


Many Christians, however, are claiming faith and faith that they believe is right. It is believed that the faith in which you believe is not the other, but the Lord of all. He said, 'Compel me to fill my house,' and say, 'Whether I get time or not, please tell me.' But unfortunately it is not from above. It is not making peace without seeing anything else.


Sometimes people quote that Jesus came to throw fire, not peace. But the fire is not to be fought, but to live in the flesh so that people's hearts will have a desire for Jesus. It is the most powerful, it is irrelevant. What does it mean to get the time to live like that all the time? And above all this is peace, and crucially, Jesus is the cross.


Therefore, it is the faith of the wisdom that comes from Heaven,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dwells in Himself, that Himself is life, And the draw is not to claim that what we have is God's, but to serve as the Son of God did, and to live in the flesh so that the person would like to be Christ. That is the act of faith.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