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들으라 너희 중에 말하기를 오늘이나 내일이나 우리가 아무 도시에 가서 거기서 일 년을 유하며 장사하여 이를 보리라 하는 자들아(약 4:13)


‘오늘이나 내일이나’, ‘아무 도시에 가서’ 장사를 하겠다는 것, 그래서 그 장사의 이익을 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들으라며 야고보 사도가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장사가 아니라 공무원을 하겠다는 사람은 이 말씀을 듣지 않아도 된다는 것일까요? 이 말씀은 그런 의미로 하는 말씀이 아닙니다.


‘오늘이나 내일이나’, ‘아무 도시에 가서’ 장사를 하여 이익을 보겠다는 것은 삶의 이익이 자기가 정한 시간, 자기가 정한 장소에서 자기의 뜻대로 자기가 생각하는 이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여긴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이 이익은 당연히 자신의 이익입니다. 자신의 이익이라고 하면 하나님이 아닌 자신이 이익을 얻겠다는 것인데, 그렇다고 이것이 단순하게 돈이나 권력이나 고상한 것과 같이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얻는 것 자체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기의 이익이라는 것은 결국 이익의 대상, 장사의 소득이 누구에게 귀속되느냐의 문제입니다. 이것을 단순명료하게 이야기 한다면 <하나님을 믿는 것이 하나님께 이익인가? 아니면 사람에게 이익인가?>하는 문제입니다. 사람들이 하나님께 구하는 것이 과연 하나님께 유익인가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아니라면 사람의 이익이라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이 말씀은 사람이 자기 인생에 대하여 주권을 가지고 자기 삶에 필요한 것을 얻는 것에 관한 말씀입니다. ‘오늘이나 내일이나’, ‘아무 도시에 가서’ 장사를 하겠다는 것은 시간과 장소를 자기가 정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시간과 공간에 갇혀 있는 존재입니다. 그것을 극복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사람의 주권 아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자신이 정하겠다고, 정하면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이익도 마찬가지입니다. 기름 넣어주고, 정비해 주고, 세차해 주려고 자동차를 사는 사람이 없듯, 사람이 먹고 마시고 입는 것을 공급해 주시고, 그것을 복으로 또 인생의 본질로 여기라고 사람을 지으신 것이 아닌데도 사람들은 그것을 하나님께 기도합니다. 그것을 하나님께 얻겠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정말로 하나님께서 하라고 했다는 이유만으로 십일조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십일조를 하면 이익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십일조를 하면 재물을 쌓을 곳이 없도록 주시겠다고 하시니 그 이익이 목적인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하나님이 하라고 했기 때문에 한다고 하려면 돼지고기도 먹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사람들이 그렇듯 인생에 필요한 것, 먹고 마시고 입는 것이 생기는 것을 이익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을 믿습니다. 가난한 나라에 가서 선교하는 것도 다를 바 없습니다. 가서 전하는 것이 결국 이것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믿으면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을 주시고, 죽어서도 그것을 풍족하게 누릴 수 있는 천국에 간다고 전하는 것은 같기 때문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인생은 잠깐 보이다 사라지는 안개’라고 했습니다. 인생에게 기여되는 이익, 육신의 삶을 본질로 보고 그것이 풍족해지면 복 받았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인생이 안개와 같이 잠깐인 것은 인생은 소비재라는 것이고, 소비재라는 것은 어딘가에 소비되어야 할 목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도 사는 동안의 일이 본질이 아니라, 어떤 것을 위하여 살도록 지음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하나님의 형상을 표현하는 것, 하나님이 의가 인생의 내용이 되어 육신이라는 1회용 소비재를 사용할 기간 동안 하나님께서 목적하신 뜻을 잘 표현하는 것이 존재의 목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선(善)>인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뜻하신 것을 행치 않으면 죄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하나님을 믿으면 하나님이 이익이어야 하는 것입니다. 사람은 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것이 이익입니다. 성냥개비는 게임하는데 쓰이면 불타지 않아서 좋을 것 같지만 실상은 버려지는 것입니다. 몸이 불타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인데 다른 용도로 쓰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하나님이 그 의를 표현하시기 위하여 만든 존재인데, 성냥이 불타지 않음을 이익으로 알 듯 그 존재 자체에 필요한 것이 채워지는 것을 이익으로 아는 것은 버려지는 것이고 죄가 되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이런 말씀을 하는 것은 사람이란 하나님의 의가 자기 생명이 되어서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나야 하는 존재라는 것을 말씀하고자 함입니다. 그 행동이 바로 믿음의 행함입니다. 심령에 하나님의 의를 온전히 순종하여 받아들인 믿음을 삶으로 표현하면서 사는 것인 인생의 목적이고 이익인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하나님께서 만드신 시간과 공간, 그리고 사람을 그 안에 두신 뜻을 버리고 자기가 시간과 공간을 정하여 자기 육신의 먹고 마시는 문제에 이익을 도모하는 것은 하나님의 의를 버린 것이기에 선을 행하지 않는 것이고 그것은 죄라는 것입니다. 행함 없는 믿음이 죽은 것이듯 사람이 자기 육신의 이익을 위하여 하나님을 믿는 것이 죄라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4: 13-17) Sin to believe in God to see the benefits of the flesh


Now listen, you who say, “Today or tomorrow we will go to this or that city, spend a year there, carry on business and make money.” (James 4: 13)


James tells us to listen to those who say, "Today or tomorrow," "To go to any city," and to see the profit of the business, listen. Does not anyone who wants to be a public servant, not a business man, have to listen to this? This is not a word for that.


"To go to any city," "to go to any city," and to look for profit means that the interests of life consider the time at his own discretion, is. So this profit is of course your own interest. It is not self-interest that you will profit, not God, but it does not simply mean getting money, power, or noble socially valuable things.


Self-interest is the question of who is the subject of profit and the income of business. If we speak this simple and clear, is it good for God to believe in God? Or is it a benefit to people? What people ask of God is beneficial to God. If it is not, it is the profit of man.


This is what the apostle James tells us about a man having sovereignty over his life and getting what he needs for his life. "To go to any city" or "to go today" or "to tomorrow" means that you decide time and place. But man is trapped in time and space. It is not able to overcome it. It is not under the sovereignty of man. However, I think that it should be decided that I decide it myself.


Profit is the same. Just as there is no one to buy a car to put in oil, to repair it, to wash it, and to supply food to eat, drink, and wear, and to pray for God even though it is not someone who has made it a blessing for life. That is to get it to God. Do you really think that people pay tithing just because God told them to do it? Tithing is profitable. He said that if you pay tithing, you will have no place to build up your possessions. If not, you should not eat pork because you say that God has told you to do it.


It is in the interest of people to have what they need for their lives, what they eat, drink, and wear. So I believe in God. Going to a poor country and doing missions is no different. This is because it is eventually to go and convey. It is the same to say that if you believe in God you will go to heaven where you can eat, drink, and wear, and live in abundance even if you die.


The Apostle James said that life is a fog that disappears for a moment. It is not the benefits that contribute to life, the nature of the physical life, and it is not to be blessed if it is abundant. Life is like a fog, and life is a consumer goods. Consumer goods have a purpose to be consumed somewhere. Therefore, a person is not created for the essence of life, but is made to live for something.


It is the purpose of existence to express God's purpose in the period when God uses the disposable consumer goods of the flesh as the content of life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that is what God says about goodness. So, if God does not do what He means, He is saying it is sin.


If a person believes in God, then God must be profitable. It is profit for man to be one with God. Matchstick is good for not burning when used for game, but the fact is that it is discarded. This is because the body is made to burn, but it is used for other purposes. Man is also created by God to express his righteousness, and knowing that it is filled with what is necessary for the existence itself, as the benefit of the match is not profitable, is abandoned and sinful.


This is what the apostle James tells us to say that man is the righteousness of God to be his life and that it must be manifested in action. The act is the act of faith. It is the purpose and the profit of life which is to live the life which expresses the faith which is fully obeyed and accepte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spirit to life.


It is not to do good because God has forsaken the righteousness of God because he has forsaken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s time and space and the will of man, It is called. It is a sin that a man believes in God for the sake of his flesh, as though faith without work was dea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야고보서 4:11-12) 비방하지 말라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야고보서 Date : 2017. 3. 12. 06:50 Writer : 김홍덕

굳이 성경이 아니어도 사람을 비방하지 말라는 것은 많이 있습니다. 물론 성경에서도 형제를 비방하지 말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야고보 사도는 형제를 비방하거나 판단하는 것은 율법을 비방하고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율법을 비난한다는 것은 율법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율법을 재판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율법이라는 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의 본질은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 있으면 어떤 모습으로 살게 되는지를 설명하시는 것입니다. 율법을 지키면 하나님께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렇게 여기고 끊임없이 행위로 율법과 성경을 지켜서 하나님 앞에 의롭다함을 인정받으려고 합니다.


야고보 사도가 또 성경의 많은 사도들이 말씀하고 있는 ‘형제’는 길 가는 사람을 말씀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형제는 아버지가 같은 사람입니다. 성경에서 아버지는 하나님이시기에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된 사람을 형제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는 것, 즉 성경이 말하는 형제는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이 삶의 모습으로 나타난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율법은 사람이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이 삶의 모습과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기에 형제는 곧 율법이 이루어진 사람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그런 사람, 곧 형제를 비난하고 판단한다는 것은 율법을 판단하는 것이라는 것을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다시 생각해보면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었다면 형제를 비난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씀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야고보 사도는 형제를 비난한 사람 즉 율법을 판단하는 것은 율법의 준행자가 아니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율법을 준행하지 않고 판단하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율법을 준행한다는 것은 율법을 행위로 지켜낸다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이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는 사람인 것입니다. 즉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믿음의 행함>이 있다는 것입니다.


율법에 대하여 야고보 사도는 <준행>하는 것이 있고, <판단>하는 것이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판단을 하려면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어떤 기준이 있어야 대상이 그 기준을 만족하고 상회하는지, 반대로 미치지 못하는지를 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면에서 판단한다는 것은 계산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율법에 대하여 생각하기를 ‘이렇게 하면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실 것’이라는 목적을 가지게 됩니다. 


하나님을 믿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게 크게 착각하고 있는 것은 하나님을 자기 계산 안에 넣는 것입니다. 그것은 말씀을 준행하는 것으로 아주 교묘하게 포장되었지만 실상은 하나님을 자기 계산 안에 넣고 있는 것입니다. 율법을, 성경을 자기 행위로 지켜내면 하나님께서 주신다고 약속하신 것이 자기의 것이 된다는 것을 계산에 넣고 있다는 것입니다. 마치 쇠도끼를 자기의 것이라고 겸손히 말하면 금도끼와 은도끼도 상으로 줄 것이라고 계산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과 율법은 그런 계산의 법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생명의 법에 속한 것입니다. 율법과 성경은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서 생명이 되어서 행위로 표현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즉 행함이 있고 하나님의 반응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가 먼저 있고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생명의 법에는 계산이 없지만, 행함으로 의롭게 되려는 법에는 계산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 근원적인 문제를 본다면, 무엇을 계산하고 판단하는 것에는 주권이 있다는 것입니다. 자기의 것과 자신이 주관하는 것은 판단하고 계산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지만, 남의 것을 자기 계산에 넣는다는 것은 월권이고 무엇보다 도적질입니다. 하나님의 율법과 말씀을 판단하고 계산한다는 것은 단순히 판단하면 되지 않는데 판단했다는 문제를 넘어선 문제라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의 주권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주권에 도전한 가장 대표적인 사건은 선악과를 먹은 것입니다. 하나님과 같이 되려고 한 것입니다. 하나님과 같이 되려고 한 사람의 행동이 무엇이었는가 하면 그것이 바로 스스로 선과 악을 판단하는 기준을 먹은 것(가지게 된 것)이었습니다. 즉 기준을 가졌다는 것이 곧 판단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이 인생은 스스로 조성한 것이 아닙니다. 심지어 선택조차 하지 않은 것입니다. 즉 자신의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생명을 가진 형제를 판단하므로 하나님의 율법을 판단하는 사람이 되었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조성하신 자신의 인생과 형제의 인생을 자신이 소유하고자 한 것입니다.


그래서 야고보 사도는 입법자와 재판자는 하나님이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판단의 기준도 하나님의 것이고 교만한 인생들이 판단하는 형제의 삶과 그 교만한 인생조차 하나님의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넘보는 사람, 즉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어 그것이 삶으로 표현된 아버지가 하나님이신 형제를 판단하는 너는 누구냐는 것입니다. 즉 그런 사람은 하나님의 의가 없고 오히려 하나님의 주권을 넘보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4: 11-12) Do not slander.


There are many things that you should not slander people even if you are not the Bible. Of course, the Bible also tells us not to slander our brothers. However,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slandering or judging a brother is slandering and judging the law. And to blame the law is not to keep the law, but to judge the law.


The law is God's command. The essence of this commandment is to explain how God's righteousness will live in a person. If we obey the law, we are not justified by God. But people are so inclined to keep the law and the Bible constantly in action and to be recognized as justified before God.


The "brother" James and many of the Bible spoken by the apostles do not refer to the man who is on the way. A brother is the same father. In the Bible, the Father is God,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s his brother. That is to say, the brother of the Bible speaks of the person whose righteousness has become life and whose life has appeared in the form of life.


And the law say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life of man, and the life thereof is manifested in the form and manner of life. Therefore, James tells us that blaming and judging such a person, the brother, is judging the law. And if you think about it again, it's also a word that i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life, you will not blame your brother.


Therefore,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he who condemned his brother, the judge of the law, is not the law-follower. It is the person who judges without following the law. To follow the law is not to preserve the law by actio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person who is life and whose life is manifesting in action. That is to say, there is the Act of Faith, which James the Apostle speaks.


As for the law, James tells us that there is something to do and something to judge. There must be a standard for judgment. It is because a certain criter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meets or exceeds the criterion or not. Judging from such a point is like calculating. Thinking about the law, you will have the purpose that God will be righteous.


Many people who believe in God are mistakenly mistaken in their own way, putting God into their own calculations. It is very cleverly packed by following the Word, but in reality it is putting God into his calculations. If you keep the law and the Bible by your own actions, you are calculating that what you promise to give will be yours. If you humbly say that a horn is yours, it's like calculating a gold ax and a silver ax.


But the Word and the law of God are not in the law of such a calculation but in the law of life. The law and the Bible are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life in man and is expressed in works. That is, there is action and there is no response from God, bu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first and it is manifested in action. Therefore, there is no calculation in the law of life, but there is a calculation in the law to be justified by works.


And if you look at the more fundamental problem, there is sovereignty in what you calculate and judge. It is not a matter of self-control and self-control to judge and compute, but to put others into self-calculation is a whirlwind and above all, stealing. Judgment and calculation of the law and the Word of God is beyond the question of judging by simply not being able to judge. That is to challenge God's sovereignty.


The most representative event that challenged the sovereignty of God was eating the good and the bad. I was trying to be like God. What was the behavior of a man to be like God was that he ate the standard of self-judgment of good and evil. In other words, it is the judgment that you have a standard.


What should not be forgotten is that this life is not created by oneself. I have not even made a choice. It is not his own. But to be a judge of the law of God by judging the brother of God's life is to have his own life and the life of his brother.


So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the legislator and the judge are God. The standard of judgment is God's, and the proud life is the life of the brother and the proud life of God, judged by God. But who is the one who overcomes it, that is,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life, and the father expressed it as life judges the brother, God. In other words, such a person has no righteousness of God, but rather a person who overcomes the sovereignty of Go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3월 서울 모임 안내

Category : 알리는 말씀 Date : 2017. 3. 11. 11:24 Writer : 김홍덕

3월 서울 모임을 안내드립니다.


일시 : 3월 18일 토요일 오후 12:30~18:00

장소 :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1차 C동 30층 연회장

연락처 : 010-3396-5555 김홍덕

모임 장소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전에 연락을 부탁드립니다.



함께 나눌 말씀의 주제는 <공갈빵 사도신경>입니다.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하여 약간의 설명을 한다면,

사도신경이 공갈빵이 아니라, 자기 이야기가 아닌 사도신경을 외우고 믿는 것은

공갈빵과 같다는 이야기를 나눈다는 것입니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