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많은 신앙인들은 ‘늘 성경 말씀대로 살려고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므로 반성하고 항상 깨어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을 합니다. 참 겸손한 말로 들립니다. 하지만 그것은 전혀 겸손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은 아직 죄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죄인이라는 고백이고, 구원은 아련한 것이라는 고백일 뿐입니다. 아닐 것 같습니까? 무례한 말일까요? 아닙니다. 사실입니다.


우선 성경대로 살려고 하는데 안 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성경을 육체의 행동으로 지켜내는 것이 성경대로 사는 것이라는 신앙을 가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성경대로 산다는 것은 성경에 있는 말씀들을 문자 그대로 지켜내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생각으로 성경을 지키려고 해 보니 그것이 안 된다는 것을 스스로도 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것은 어려운 것이기에 항상 노력해야 한다.’고 겸손을 떨지만 그것은 무덤에 회칠을 하는 것일 뿐입니다.


결정타는 야고보 사도의 말씀에 있습니다. 율법을 다 지키다가 어느 하나를 지키지 못했다면 그것은 율법의 모든 것을 지키지 못한 것이라고 못을 박은 것입니다. 성경을 문자 그대로 육체로 지킨다는 자체가 율법입니다.(율법을 행동으로 지켜내겠다는 것입니다.) 지키려는 성경이 구약이냐 신약이냐에 따라서 율법이 되고 복음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서기(예수님 오신 후) 30,000년이라 해도 신약을 행위로 지켜내려 한다면 다 율법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 사도의 말씀은 성경을 행위로 지켜내려는 신앙을 가진 사람은 성경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못 지켜냈다면 성경을 하나도 지키지 못한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분명한 것이고, 성경을 문자 그대로 지키려고 노력하라고 가르치고 또 노력하는 사람들이 모인 오늘날의 모든 교회와 그 성도들은 모두 성경을 하나도 지키지 못한 사람입니다.


온전한 십일조를 내려고 한다면 커피 한 잔을 누구에게 얻어먹은 수익에 대한 십일조까지 내어야 온전한 것이 될 것입니다. 모르긴 해도 그것까지 계산해서 정확하게 십일조를 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니 십일조를 온전히 내는 교인은 없을 것입니다. 또한 항상 기뻐하라고 했는데 어느 한 순간 예외 없이 기쁘고 웃고만 있지 않았다면 전 재산을 교회에 바친들, 해외에 가서 선교를 하든 상관없이 성경을 하나도 지키지 않은 것입니다. 이렇게 간단한 두 가지만 들이대도 이미 대부분의 교인들, 행위로 성경을 지키려는 대부분의 교인들은 성경을 하나도 지키지 않은 것임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이렇듯 율법의 어느 하나라도 지키지 못하면 율법을 다 어긴 것이라고 하는 것은 앞서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말라고 말씀한 것에 이어서 하는 말씀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는 것(차별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도를 어긴 것이기 때문에 그런 신앙을 가지고 있다면 성경을 모두 어긴 사람이라는 것을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같은 사랑과 의도로 생을 주신 사람을 차별한다는 것은 하나님과 다른 기준을 가져야만 가능한 것입니다. 기준 없는 차별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외모가, 육신의 삶의 모양이 부자인지 아닌지를 가지고 사람을 판단한다는 것, 차별한다는 것은 세상의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다른 기준을 가진 것입니다. 그래서 사람을 외모로 보는 것은 성경을 전혀 지키지 못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 하나를 어긴다는 것은 모든 하나님의 말씀을 어기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사람을 외모로 취할까요?


그 이유는 바로 성경을 문자 그대로 육신으로 지키는 것을 신앙으로 보기 때문에 사람을 외모로 보는 것입니다. 자기 신앙의 기준이 ‘육신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느냐?’이기 때문에 사람을 보는 기준이 사람의 외모인 것입니다. 만약 사람의 중심이 무엇인지를 살핀다면 당연히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않을 것입니다. 중심을 보려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야고보 사도 역시 율법을 언급하므로 사람을 외모로 취하는 것은 율법을 행함으로 지켜내는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말씀하고 있다는 것은 행함이라는 것은 그런 의미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믿음이 있으면 그것이 나타날 것이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외모가 아니라 그 중심에 무엇이 있는지를 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보려면 당연히 성경은 사람 안에 하나님의 의가 심겨서 그 의가 생명이 되어 나타나면 다 지켜지는 것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어야 그것이 보이는 것이므로 결국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고 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기 안에 그리스도의 도가 있는 사람이 되라는 말씀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2: 10-13) Judging by appearance is breaking the Bible


Many believers say, 'I always try to live according to the Bible, but because I can not do it, I reflect and always try to be awake.' I hear it in a humble word. But it is not modest at all. It is a confession before God that he is a sinner who has not yet solved the problem of sin, and salvation is only a confession. Do not you think? Is it rude? no. It is true.


First of all, if you want to live according to the Bible, you can not do that, basically, you have the belief that keeping the Bible in the act of the body is living the Bible. Living the Bible is believing that it literally protects the words in the Bible. And when I try to keep the Bible in that way, I know I can not do it myself. It is humility, but it is whitewashed to the grave.


The judgment is in the words of James the Apostle. If we keep all the laws and fail to keep one, it is a nail that we can not keep all the law. It is the law itself that keeps the Bible literally in the flesh. (It is to keep the law by action.) The Bible that is to be kept is neither the law nor the gospel, depending on whether it is the Old Testament or the New Testament. Even if you are 30,000 years old (after Jesus), if you want to keep the New Testament act, it is law.


Therefore, the words of James's apostle are that if a person who has faith to keep the Bible by action fails to protect any part of the Bible, he can not keep the Bible at all. This is clear, and all the churches and their saints today who gather to teach and strive to strive to keep the Bible literally are all unable to keep the Bible.


If you are going to pay a full tithing, you will have to pay a tenth of your profits for a cup of coffee. No one will even pay tithing to calculate it. So there will be no people who pay tithing altogether. I was always pleased, and at any given moment, I was not happy to keep my Bible, regardless of whether I had given all the property to the church or went abroad to do missions, unless I was happy and smiling. It is clear that most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most of the members who want to keep the Bible, did not keep the Bible.


If the apostle James did not obey any of these laws, then he would have broken the law, because it is a word that follows from saying that he should not take a person for himself. Because judging people by appearance (discrimination) is a violation of Christ's will, we want to say that if we have such faith we are all people who have broken the Bible.


It is only possible for God to have a different standard than God to discriminate against those who have given birth to the same love and purpose. There is no discrimination based on standards. However, judging people by judging whether or not appearance is rich or not in the form of physical life is discriminating people by the standards of the world. It is different from God. So looking at a person as a person means that they have not kept the Bible at all. To break one of them is to break all the words of God.



So why do people take on a person?


The reason is to look at people personally because they see faith as keeping the Bible literally in the flesh. Because the standard of self-faith is 'what do you do with the flesh?', The standard of seeing a person is the appearance of a person. If you look at what the center of a person is, you will not look at it personally. I will try to see the center.


Therefore, James also refers to the law, so to take a person in appearance is to say that it comes from a faith that protects the law by doing. And speaking of this is not what it means to be doing. Faith has said that it will appear.


So look at what is in the center, not in appearance. And to see it, of course, the Bible is a person who knows that God's righteousness is in man and that his righteousness is life-sustaining and that all things are guarded. Is the Word.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람을 외모로 본다는 것은 모든 가치관에서 용납 받지 못하는 것의 하나가 아닌가 싶습니다. 성경이 아니라도 사람들은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않아야 한다고 말을 합니다. 그것이 인생의 본질을 보자는 이야기라면 아주 좋은 것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 아쉽긴 합니다. 즉 세상에서 성공하는 가치관이 사람의 외모나 Spec.에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어차피 세상의 본질을 눈에 보이는 것에 두고 있는 것은 같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외모로 보느냐? 아니면 속마음을 보느냐?’ 라는 문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무엇을 본질로 보느냐의 문제입니다. 사람을 외모로 보는 것은 사람을 보는 시각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모든 것의 본질을 눈에 보이는 것으로 보는 안목을 가지고 있다보니 사람이든 세상이든 무엇이든 다 눈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이런 안목을 가지고 있다면 율법이 범죄자로 볼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일면 아이러니 한 것입니다. 율법은 눈에 보이고 나타난 것을 심판하는 법인 것 같은데 그 율법이 사람의 외모를 보고 판단하는 것을 범죄자로 보겠다는 것은 율법이 자기 자신을 심판한다는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아닙니다. 율법이란 것은 하나님께서 그 주신 목적, 곧 내용을 아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는 바울 사도의 말씀과 같습니다. 그러니 야고보서나 로마서나 같은 안목의 말씀이라는 것이 여기서도 드러납니다.


만일 너희가 외모로 사람을 취하면 죄를 짓는 것이니 율법이 너희를 범죄자로 정하리라(약 2:9)


율법이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는 것을 범죄자로 보겠다는 것은 율법은 행위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자를 심판하기 때문입니다. 율법은 하나님의 의가 내용이 되어 나타나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시는 것인데, 그것을 본질로 보고서 행함으로 하나님께 의롭게 되려고 하면 율법이 그 행위를 정죄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을 외모로 본다는 것은 사람의 밖으로 드러나는 그 심령의 본질과 생명을 보지 않는 것이므로 율법은 그것을 범죄자로 규정하는 것이 본질적인 것입니다. 당연하다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말라는 말씀을 하시면서 어떻게 보면 차마 진부한 예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옷을 입은 자를 선대하고 가난한 자를 천대하는 모습에 대한 예를 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단서로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을 지키는 것을 인함이면 좋은 것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율법이 범죄자로 규정할 것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의 외모를 기준으로 사람을 대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 사람이 부자라도 선히 대할 것이요, 또한 가난한 자라도 선히 대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이웃을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즉 이웃을 사랑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의 이웃은 옆집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의를 함께 나누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외모가 아닌 속사람의 이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이웃을 선하게 여기는 것은 부자든 가난한자든 상관이 없이 대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말씀들을 대할 때면 이 성경은 참 오묘한 것임을 늘 깨닫습니다. 아침마다 새롭다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을 두고 하시는 말씀인 것 같습니다. 로마서를 읽으나 야고보서를 읽으나 그 말씀하시는 것이 어찌 그리 같은지, 그리고 하나님의 의가 우리 인생의 내용이 되어 삶으로 표현되는 법으로 보면 이 성경이 얼마나 오묘하게 잘 맞고 잘 짜여 있는지 항상 놀랍고 즐거운 일입니다.


그런데 성경을 문자 그대로 지키려는 사람에게 이 성경은 참으로 어렵고 괴로운 것입니다. 모든 것이 육신의 소욕을 하지 말라고만 하는 것 같으니 힘든 것입니다. 사람이 자기 안에서 나오는 것을 어찌할 수 없는데 그것을 이겨야 좋은 신앙이라고 하니 환장할 노릇인 것입니다. 자기 안에서 나오는 것을 어찌할 수 없다는 것을 보면, ‘그 안에 하나님의 의가 심기면 되겠구나!’라고 생각을 하지 못하니 그것이 어두움입니다.


그 어두움에 있으니 이 야고보서를 성경으로, 경전으로 삼고 있는 교회들이 돈 있는 사람이 장로가 되는 세상으로부터도 조롱 받는 일을 아무렇지 않게 하고 그것이 하나님의 일이라고 스스로 속고 있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어두움입니다. 그리고 그 어두움,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보는 이 모든 어두움은 성경을 몸으로 지켜내려고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율법은 땅에 떨어지지 않고, 그것을 죄로 심판하신다는 것입니다.


사람이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지 않으면 ‘사람의 외모를 보고 판단하지 않아야지…’라고 아무리 다짐해도 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 있으면 그것이 표현되는 삶을 사는 사람은 사람의 정체성이라는 것이 그 속사람에 있다는 것을 자신이 체휼하면서 살기에 다른 사람을 볼 때도 외모로 사람을 보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아니면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않게 되는 안목을 가질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않는 안목은 사람을 볼 때 외모로 판단하지 않으려 노력할 것이 아니라 자기 속사람이 하나님의 의로 채워짐으로 그 의로 사는 삶을 살 때 비로소 가능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 사도의 이 말씀, 사람을 외모로 보지 말라는 말씀은 “네 안에 하나님의 의가 심기는 것을 온유함으로 받으라”는 말씀인 것입니다. 그것이면 다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2: 1-9) Taking a person in favoritism(appearance)


It is one of the things that can not be tolerated in all values. People say they should not look at people, not the Bible. It would be very good if it was to tell the essence of life, but it is unfortunate that it is not. In other words, it is the same thing that putting the essence of the world on the visible in anyway that the value that is succeeding in the world is not in the person's appearance or Spec.


Do you look at a person 'in appearance? Or are you looking for something? "Is not a simple matter. It is a matter of what you see as the essence. Looking at a person by appearance is not limited to the point of view of a person. It has an eye to seeing the essence of everything as visible, and judging everything based on what is visible to people or the world.


The apostle James said that if he had this kind of vision he would see the law as a criminal. This is ironic on the whole. The law seems to judge the things that are visible and appearing, but to see the law as a criminal to judge a person by his appearance can be judged by the law itself. But it is not. The law also means that God's purpose is to know the content. It is like the apostle Paul. Therefore, it is also revealed here that it is a word of discernment like James or Romans.


But if you show favoritism, you sin and are convicted by the law as lawbreakers. (James 2: 9).


The law as a criminal to judge a person by appearance is because the law judges those who are brought before God by works. The law is to show w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o be revealed. If you try to be justified to God by doing it in essence, the law condemns it. Therefore, seeing a person as a person does not look at the nature and life of the spirit that is revealed outside of man, so it is essential for the law to define it as a criminal. It is natural.


The apostle James tells a trite example when he says that he should not take a person for himself. I have an example of a man who is dressed in beautiful clothes and a man who is a poor man. And it is said that it is good to be guilty of keeping the commandment 'Love your neighbor' in a clue. Otherwise, the law will be defined as a criminal.


This means that if the person does not treat people on the basis of the appearance of the person, he or she will treat them well, and also the poor will treat them well. That is to love the neighbor as the body. In other words, loving a neighbor is not about visible things. Our neighbor is not one who is next door, but a person who shares the righteousness of the kingdom of God. It is not the appearance, but the neighbor of the inner person. Therefore, to be good at the neighbor is to be treated regardless of whether he is rich or poor.


When I deal with these words, I always realize that this Bible is extravagant. It seems to me that this is something new every morning. It is always surprising and pleasant to see how exactly this Bible is well-formed and well-structured in terms of how it is like reading the book of Romans but reading the book of James, and how God's righteousness is the content of our lives and expressed in our lives.


But for those who literally keep the Bible literally, this Bible is really difficult and painful. It is hard to do everything as it says not to do the sin of the flesh. A man can not do what comes out of him, but it is a good faith to overcome it. If you see that you can not do what comes out of you, you can not think, 'God's righteousness should be planted in it!' It is darkness.


It is in the darkness that the churches that make this James the Bible as a scripture, as well as the scripture, are not to be ridiculed even from a world where a man of money is an elder. All of this is darkness. And all this darkness that sees the darkness, the nature which is visible, intends to protect the Bible with the body. But the law of God does not fall on the earth, but judges it by sin.


If a person does not judge a person by appearance, he should not judge a person's appearance. 'I can not promise no matter how. Whe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a person, the person who lives the life in which it is expressed does not look at the person when he or she looks at the other person because he lives with his compassion that the identity of the person is in the person. If this is not the case, there is no way to have an eye that does not look like a person.


Therefore, an eye that does not regard a person as an appearance is not a matter of trying not to judge a person by appearance, but only when a person lives in his righteousness filled with God's righteousness. Therefore, the words of James the Apostle, saying not to look at a person in appearance, is "to receive meekly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planted in you." That's all it will b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우리는 흔히 야고보서가 믿음보다 행함을 강조하는 성경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은 어디까지나 믿음이 있어 그 믿음이 표현된 것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믿음이 없다면 행함도 없다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야고보 사도 역시 바울과 같은 말씀을 전하고 있습니다. 바울 사도가 율법이란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있으면 그 의가 삶으로 나타난 모양이 율법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율법을 완성하러 오셨다고 하신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 역시 ‘그리스도의 도’는 심기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심기면 싹이 나고 나무가 되어 그 씨가 가진 생명의 본성을 표현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표현들, 싹이 나고 씨의 이름(정체성)과 같은 열매를 맺지 못한다면 그것이 죽은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야고보 사도는 그리스도의 도를 들으면 그것은 행함으로 나온다는 것을 말씀하십니다. 그러므로 도를 듣기만 하고 행하지 않는 것은 자신을 속이는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이 그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도가 심령에 심기면 반드시 그것은 생명이 되어 표현될 것인데, 그저 심기기만 하고 표현되지 않은 것은 죽은 것인데 듣는 것만 있으면 된다고 스스로를 속이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죽은 것을 산 것이라 믿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도를 듣고도 행치 않는다고 하는 것은 잠시 거울을 보는 것과 같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잠시 거울을 보면 자기 얼굴이 보이지만 거울이 없으면 보이지 않음과 같이 그리스도의 도가 자기 삶으로 표현되는 과정에 이르지 못하면 말씀을 들을 때는 자신에게 구원이 있는 것 같고, 하나님의 말씀이 밝아지는 것으로 여기지만 오래지 않아 그 믿음이 사라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성경을 통해서 예수님을 알고자 하는 것은 예수님에 대하여 알게 되면 그 알게 된 이미지가 우리 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그렇데 되면 우리 안에 심긴 그 예수 그리스도의 이미지가 땅에 심긴 씨앗이 되는 것입니다. 흙으로 만들어진 인생 안에 심겨진 씨가 있는 사람은 예수님의 삶과 또한 먼저 그 씨가 생명이 된 사람들의 삶을 봄으로 자기 안에 있는 씨가 싹이 나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성령으로 잉태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싹이 난 그리스도의 생명은 반드시 씨앗이 가진 유전적 특성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씨가 심겼다면 반드시 그리스도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성경이 말씀하시는,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입니다.


그러므로 행함이 없다는 것은 그리스도라는 생명이 가진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은 그리스도가 없다는 것입니다. 즉 그리스도의 도가 심기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심긴 것이 없으니 행동이 나오지 않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과 같이 과부나 고아를 돌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씀하시는 과부나 고아나 가난한 사람은 육신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그렇다면 가난한 사도는 부자에게 복음을 전할 수 없습니다. 이미 더 이상 줄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과부나 자신이 남편으로 섬기던 것을 잃은 사람입니다. 세상의 돈을 하나님으로, 또 명예를 하나님으로, 세상에서의 성공을 하나님으로 알던 사람이 그것으로부터 버림받은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고아 역시 그렇습니다. 사람이 존재한다면 자기 존재의 이유를 아는 아버지를 알아야 하는데 인생으로 보내진 이유를 알지 못하는 모든 인생들이 다 고아인 것입니다. 가난한 사람? 그것 역시 심령이 가난한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과부나 고아나 가난한 사람이라고 하면 육신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만 압니다. 그것은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보는 가치관과 안목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그런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이 본질이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이 육신이 하나님께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눈에 보이는 육신의 풍요나 가난이 결정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행함으로 구원을 받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가치관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과부나 고아나 가난한 사람이 하나님의 의에 대한 것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육신으로 가난하든 부자든, 과부든 남편이 다섯이 있든, 아버지가 있든 없든 가리지 않고 그리스도의 도를 전하기 위해서라면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듯 자기 가진 모든 것을 나누고 섬기는 삶을 살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행함이나 외모에 무관하게 그 믿음이 나타날 것이라는 것이 야고보 사도의 말씀인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 앞에서 정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말씀과 그리스도의 도가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매일 모여서 말씀을 공부하고 듣고 외운다 해도 아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교회에서 성경을 공부하기만 하고, 교인들끼리 모여서 그것을 나누고 즐기는 것 까지는 할 수 있는데, 정작 세상은 타락한 것이라고 외면하고 멀리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도가 없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십자가를 지셨는데, 십자가를 지고 따라가겠다는 사람들은 그 십자가의 도를 공부하고 서로 말하고 듣기만 하는 신앙의 모양이 다 이 야고보 사도가 경계하는 모습인 것입니다.


성경을 공부하고 교회에 모여서 그것으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것은 아주 경건한 신앙의 모습 같지만 실상은 자신을 속이는 것입니다. 그것이 좋은 신앙생활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도가 심긴 사람들은 말로서 신앙생활을 하지 않습니다. 세상을 타락했다고 멀리하고 외면하지 않습니다. 세상이 믿는 사람을 보고 ‘참 하나님의 아들이구나!’라고 증거하지 않으면 누가 증거 할 것입니까? 


그러므로 진정으로 그리스도의 도를 아는 사람은 모여서 성경공부만 하거나, 말로서 모든 것을 하려하거나, 반대로 행동으로 하나님의 의를 얻으려 하지 않습니다. 자기 안에 심긴 그리스도의 도가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의 본성이 나타나는데 그 나타남을 막을 수 없는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지 않을 수 없었던 것과 같이 이것은 본성에 관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런 본성의 나타남이 없다는 것은 당연히 죽은 믿음입니다. 그런데 자신의 삶이 교회에 있다고, 또는 늘 성경을 보고 서로 말하고 듣고 나눈다고 그것이 온전한 믿음이라고 여기는 것은 스스로를 속이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1: 19-27) The only thing that hears the words is to deceive oneself


We often think that James is a Bible that emphasizes action rather than faith. But the truth is not. The work of the apostle James says that there is faith to the last and that faith is expressed. That is why we say that there is no action without faith.


James also tells the same words as Paul. The apostle Paul tells us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law is the law in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appears in life. Jesus said that He came to complete the law. The apostle James also said that the "path of Christ" was planted. When planting, it will bud and become a tree, and it will express the nature of the life of the seed. Such expressions, if you can not bear the fruit like the name of the seed and the seed (the identity), it is dead.


In this context,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by listening to Christ's doctrine, it comes to works. Therefore, it is what he said that he who hears the deed but does not do deceive himself. If Christ's tenderness is planted in the soul, it must be expressed as life, not just deceit, but that which is not expressed is dead. It is like believing that we have bought the dead.


The fact that the Apostle James heard the word and did not do it means that there is no point in seeing the mirror for a moment. If you look in the mirror for a moment, you can see your face, but if you do not have a mirror, you can not see the way of Christ's life as it is invisible. If you listen to the word, it seems to you to have salvation, That faith will disappear.


We want to know Jesus through the Bible because when we know about Jesus, the image that we know comes into us. If so, the image of Jesus Christ planted in us becomes the seed planted on the earth. Those who have seeds planted in earthly soil will see the life of Jesus, and also the life of those whose life is first, so that the seeds in them will sprout. That is the conception of the Holy Spirit. The life of Christ that so sprouts will show the genetic qualities of the seed. Therefore, if the seed of Christ is sowed, it will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Christ. That is what the Bible says, "Acts", which James the Apostle speaks.


Therefore, the absence of deeds does no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of Christ. So it is that there is no Christ. In other words, Christ's path was not planted. There is nothing to plant, so there is no action. He does not care for widows or orphans like Jesus. The widow, the god or the poor, who speaks here, is not speaking of the condition of the flesh. If so, the poor apostle can not preach the gospel to the rich. There is nothing to give anymore.


It is the widow who the Bible speaks of and the one who lost what she served as a husband. The person who knew the money of the world as God, honor as God, and God as success in the world, is the one who is forsaken from it. Goa too. If a person exists, he must know his father who knows the reason of his existence. All lives that do not know why he was sent to life are orphans. poor? It is also speaking of the poor in spirit.


However, people know that it is a widow, a god, a poor person, and that is the state of the body. It is because we have the values ​​and the eyes that see what we see as the essence. Such people see that because the visible is the essence, the visible body determines the abundance and poverty of the visible body, depending on how it behaves to God. It is the value of those who think that they are saved by doing.


If a widow, a god, or a god who speaks of the Bible speaks of the righteousness of God, who knows whether it is poor in the flesh, or has riches, five widows, five husbands, I will live a life of sharing and serving everything I have, just as I direct the cross. It is the words of James the Apostle that that belief will appear regardless of his actions or appearance. It is pure in the sight of God.


Therefore, if the Word and Christ's doctrine do not manifest themselves in action, it is of no use to gather, study, hear, and memorize the Word everyday. We can only study the Bible in the church, and we can share it with the members and share it, and it is not Christ's intention to turn away and distant from the world. Jesus was crucified for those who do not know God. Those who want to follow the cross will study the way of the cross, and talk and listen to each other.


Studying the Bible, gathering in church and sharing each other's lives with it is like a very godly faith, but the truth is that you deceive yourself. It is misunderstanding that it is a good faith life. Those who are planted with Christ do not live a faith life in words. I do not turn away from the world that I have fallen. Who will testify if the world does not witness the believer and say, 'Son of the true God!'


Therefore, those who truly know the Church of Christ will not gather together to study the Bible, to do everything in words, or to take the righteousness of God in action by the opposite. It is the person who can not stop the manifestation of the nature of the life that is the life of Christ planted in him. This is about nature, just as Jesus could have commanded the cross.


Therefore, the absence of such a nature is, of course, a dead faith. However, if you think that your life is in the church, or that you always see the Bible, talk to each other, hear it, share it, and think that it is a whole faith, it is deceiving yourself.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