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세상의 타락과 하나님의 역할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7. 3. 3. 09:16 Writer : 김홍덕

많은 사람들은 원래 하나님이 만든 세상은 깨끗했고, 선했으며, 아주 좋은 세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마디로 에덴동산과 같은 세상이라고 여긴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타락을 했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천사도 타락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생각에는 결정적인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창조물들이 타락하는 것을 막지 못하시는 분이거나 방종했거나 아니면 유도했다는 것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보니 사람들이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각종 연구와 생각을 합니다. 신학이 그렇고 창조 과학이 그렇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러한 문제는 지금 철학적 사고와 과학적 실증을 가진 지금의 인류가 그것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확실한 이론은 없이 그저 믿음의 영역으로 남아 있기도 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많은 생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각도의 문제를 만납니다. ‘하나님이 왜 그랬는가?’, ‘성선설과 성악설’, ‘사람이 겪는 시련과 어려움이 사탄의 영역이라는 회피성 논리’와 같은 것들이 그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이란 존재는 자기가 사람이라는 것을 인지했을 때 이미 그 문제 속에 들어와 있습니다. 한 개인의 인생여정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인류(the Man)이라는 종족 자체가 세상의 타락과 하나님의 역할이라는 문제를 지켜본 것이 아니라 인류 자체가 그 문제 안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발견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인생들의 모든 노력들은 돛단배를 움직이도록 배 안에서 돛에다가 부채질을 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자신들이 본 적도 없는 자신들이 속한 프레임을 자신들이 해결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다람쥐 쳇바퀴 돌 듯 할 뿐 답을 얻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프레임의 의도나 구성되는 과정을 지켜본 적이 없는데 그 프레임의 구성 요소를 다 이해하려는 것은 안 되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냥 믿으라는 말이냐?’ 반문하실지 모르지만, 욥기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말씀을 같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욥기는 흔히들 ‘고난’에 대한 말씀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내용은 <행함과 믿음>이란 대 주제가 깔려 있습니다.(이 부분은 다음에 다시 쓰도록 하겠습니다.) 욥기 후반에 하나님께서 욥에게 긴 말씀(질문)을 하십니다. 욥기 38장에서 시작된 하나님의 긴 질문들(41장까지 이어짐)은 사람이 답을 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그 긴 질문을 들은 욥은 이런 고백을 하게 됩니다.


욥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가로되 주께서는 무소불능하시오며 무슨 경영이든지 못 이루실 것이 없는 줄 아오니 무지한 말로 이치를 가리우는 자가 누구니이까 내가 스스로 깨달을 수 없는 일을 말하였고 스스로 알 수 없고 헤아리기 어려운 일을 말하였나이다 내가 말하겠사오니 주여 들으시고 내가 주께 묻겠사오니 주여 내게 알게 하옵소서 내가 주께 대하여 귀로 듣기만 하였삽더니 이제는 눈으로 주를 뵈옵나이다 그러므로 내가 스스로 한하고 티끌과 재 가운데서 회개하나이다(욥 42:1-6)


이 고백은 제 스스로도 늘 교만하지 않게 하는 아주 좋은 말씀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많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사람들이 주제넘게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관계성’ 너머의 일을 알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금기의 것이 아니라, 순서가 틀렸다는 것입니다. 먼저 그 나라와 그 의를 구하라고 하신 것과 같이 하나님께서 사람 지으신 목적을 아는 것이 우선인데, 그것은 제쳐두고서 세상을 만드신 하나님의 일이 ‘잘 되었나? 잘못 되었나?’ 판단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사람들은 궁금증에 관한 것이라고 하겠지만 그것은 하나님의 일을 판단하려는 것입니다.


사람들도 애들이 어른 일을 궁금해 하면 참견한다고 말하면서 자신들이 조물주의 일에 궁금해 하는 것은 또 당연하게 여기는 뱀의 유혹을 떨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 놀라운 것은 사람이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성> 즉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과, 이 세상을 만드신 목적을 알면 욥의 고백처럼 듣기만 하던 것을 눈으로 보는 세계가 열리게 되는데, 먼저 할 것은 하지 않고 교만하게 자꾸 하나님의 영역을 들여다보려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하나님께서는 자기 영역을 감추시는 분이 아닙니다. 다만 하나님의 영역에 관한 일은 하나님의 성품을 가진 자라야 볼 수 있을 뿐입니다. 이것 역시 사람들도 그렇습니다. ‘관계자 외 출입금지’와 같은 것이 그것입니다. 사람들도 자기의 어떤 영역에 대하여 들어오려면 자격을 부여하는데 하나님의 영역에는 자기 맘대로 들어가려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왜 그러셨는지 알고 싶으면 그 문제에 대한 답을 들을 수 있는 존재가 되는 것이 먼저인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왜 그러셨는지에 대한 답을 들을 수 있는 이는 아들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있으면 하나님의 마음과 생각을 가지는 것이 되니 먼저 아들이 되면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 그대로 사람 안에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면, 그렇게도 궁금했던 ‘하나님이 만드신 세상이 왜 타락했는가?’나 ‘선악과는 뭐지?’와 같은 것은 이상하고 놀랍게도 이해가 됩니다. 이것은 어쩌면 귀납적 이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먼저 그 나라와 의를 구하라’고 하신 것을 잘 생각해야 합니다. 이 말씀을 그저 신앙으로 세속적인 것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며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마음을 감추기 위한 위장도구로 쓰는 말씀이 아닙니다. 이것은 모든 인생들은 하나님의 행사를 궁금해 하기 전에 먼저 하나님의 의를 알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꾸 사람들은 자기 안에 하나님의 의가 없는 티를 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선설이냐? 성악설이냐?’ 그러고, ‘세상이 타락할 것을 하나님이 방조했느냐?’와 같이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을 학문이나 연구랍시고 떠들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우리가 하나님과 하나가 되면 어떨 것 같습니다. 하나님과 하나가 되었는데 하나님께서 하신 일을 모르겠습니까? 예수님께서도 이제 우리를 친구라 여기시고 모든 것을 다 말씀해 주신다고 하셨는데 왜 안 되겠습니까? 우리가 하나님께서 의도하신대로 하나님의 의가 내 삶의 내용이 되어 내 안에 거하시므로 하나님과 하나가 되었는데 어떻게 하나님의 일을 모르겠습니까? 그리고 이것은 그것을 아는 이가 아무리 말을 해도 듣는 이가 하나님의 의가 그 안에 그것을 알 정도로 자라지 못했다면 그 듣는 사람의 세계에는 그것에 대한 개념이 없으므로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세상에 없으므로 비유로 말한다.’고 하신 것이 바로 그것이기도 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셨는데 세상이 타락했다. 하나님은 그것도 몰랐을까?’라는 것이 궁금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모든 의문들 안에 내가 존재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가 더 중요한 것입니다. 그것을 알려면, 우리가 존재하게 된 이유를 알면 그것은 아무 문제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로서의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라, 너무 쉬운 문제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래도 궁금한 이들이 있을 것이기에 간략하게 말씀을 드린다면, 세상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다음에 타락한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을 그렇게 무능하게 보시지 마십시오. 저라면 그런 무능한 하나님 믿지 않을 것입니다. 전지전능하다면서 자기가 창조한 존재의 단속도 못한다면 그게 무슨 하나님입니까? 저는 내일 당장 지옥 간다고 해도 그런 하나님은 안 믿을 것입니다.


우리가 세상을 인지하게 되었을 때 세상은 참 타락한 것 같고 답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타락한 것이 아니라 창세기 1장 2절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빛도 없고 모든 것이 혼돈 가운데 있는 상황이 사람이 세상을 인지하는 순간 펼쳐진 것입니다. 그리고 그 혼돈 가운데서 사람은 무엇을 존재의 이유와 목적인지를 생각하고, 이미 펼쳐놓으신 하나님의 창조 목적을 자신의 것으로 순종하므로 하나님의 아들이 되기를 바라시는 것입니다. 그 모든 것이 하나님의 창조입니다. 


사탄도, 타락한 것처럼 보이는 이 세상도, 그리고 사악하기만 한 인간들도 다 하나님의 섭리 안에 있고, 그렇게 흑암과 혼돈스러운 상황에서 하나님을 만나는 것이 하나님이 우리를 존재하게 하신 목적인 것입니다. 흑암과 혼돈이 하나님의 섭리 밖에 있다면 하나님께서 천지를 만드실 때 협조했겠습니까? 이것은 너무 상식적인 것인데 사람이 자기 기준으로 하나님의 일을 보니 어려운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성품을 가진 존재, 곧 그리스도의 영을 가진 하나님 아들이 나오는 것을 목적으로 하십니다. 이것에 대하여는 바울 사도가 로마서 8장에서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세상은 타락이냐 아니냐의 여부가 아니라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느냐 아니냐의 문제뿐입니다. 


이 안목을 가지고 있다면 하나님의 모든 일은 의문이 아니라 감사와 놀라움이 될 것이나, 그렇지 않다면, 그 안목을 주는 생명이 없다면 모든 것은 의문스러울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 만든 세상이 왜 타락했느냐?’와 같은 의문이 있다면 아직 하나님의 의와 생명이 자기 삶의 본질과 목적이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그것을 먼저 구하는 것이 신앙의 근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Translation by Google)


The fall of the world and the role of God


Many people think that the world that God originally made was clean, good, and very good. In a word, it is a world like the Garden of Eden. But people have fallen. I think even angels have fallen. But there is one crucial problem with this idea. It means that God has been unable, or has indulged, or guided his creation to prevent the Fall.


So people are doing research and thinking to solve this problem. It is theology and creation science. Unfortunately, this problem is now a part of the faith without a certain theory, since the present human being with philosophical thought and scientific proof has never seen it.


Here we meet various angles that require a lot of thought. That is why such things as 'Why did God do it?', 'The view that man is born good and the ethical view that human nature is evil', and 'Avoidance logic that man's trials and difficulties are the realm of Satan'.


But a person is already in the problem when he realizes that he is a person.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individual journey of life, the race itself, the Man, has not seen the fall of the world and the role of God, but mankind itself has found its identity in the matter.


Therefore, all the efforts of our lives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are merely to sail in the boat to fan the sailboat. It's because they are trying to solve the frame they belong to, which they have never seen before. This is not possible. I have never watched a frame's intent or composition, and I do not want to understand all the components of that frame.


You may ask, 'Do you mean to believe?' But you need to think about the words at the end of the book of Job. I think that the book of Job often refers to the "suffering," but the subject is the theme of "Acts and Faith." (This part will be rewritten next time.) In the latter part of Job, I will do. God's long questions (going to chapter 41), which began in Job 38, are things people can not answer. When he heard the long question, he confessed.


Then Job replied to the Lord “I know that you can do all things; no purpose of yours can be thwarted. You asked, ‘Who is this that obscures my plans without knowledge?’ Surely I spoke of things I did not understand, things too wonderful for me to know. “You said, ‘Listen now, and I will speak; I will question you, and you shall answer me.’ My ears had heard of you but now my eyes have seen you. Therefore I despise myself and repent in dust and ashes.” (Job 42: 1 -6)


This confession is a very good word that makes me not always proud. Here we can think of many things, that people are overly motivated to learn beyo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t is not taboo, but the order is wrong. It is first of all to know the purpose God has made for men, just as He has called for the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Is it wrong? " Of course, people say it's about curiosity, but it's about judging God's work.


People are saying that if they wonder about their adult work, they will interfere with it, and what they are wondering about the work of the Creator is that they can not take the temptation of a snake to take it for granted. And what is more surprising is that when a person know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the purpose God has made for man and the purpose for which he made the world, a world will be opened to see what he has heard like Job's testimony. But to proudly look into the realm of God.


But God is not the one who keeps his domain. But the work of God's realm can only be seen with God's character. This is also true for people. It is the same thing as "prohibition of access except the person concerned". People also qualify to come in for a certain area of ​​their own, and they want to go into their own way in the realm of God. If you want to know why God did that, then the first thing to be is to be able to hear the answer to the problem.


It is the Son who can hear the answer to why God did so. I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him, he will have the heart and mind of God. When God's righteousness is life in man as God created man, it is strange and amazingly understandable, such as, "Why did the world made by God fall?" Or "What is good and evil?" This may be an inductive understanding.


We must think carefully about Jesus' saying, 'First seek the kingdom and righteousness.' It is not a word to be used as a camouflage tool to conceal the glory of God to be successful in the world, because it is not just to seek secular things by faith. This means that all life is to know the righteousness of God before wondering about God's work. However, people continue to have a righteousness without God's righteousness in themselves. So, 'Sungshing? I do not know what it means to be a Christian. "


As Jesus said, it seems that we become one with God. Do you not know what God has done with God? Why did Jesus say that he now regards us as friends and tells us everything? As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content of my life, as we intended it to be, we become one with God because we dwell in me. How can we not know God's work? And this is the one who knows it, but the hearer can not know it because the hearer's world has no concept of it if the righteousness of God has not grown enough to know it in it. That is what Jesus said, 'I speak in parables because there is no one in the world'.


Therefore, 'God made the world and the world fell. I do not wonder if God did not know that, but more importantly, why am I in all these questions? If you know it, you will know it's no problem knowing why we existed. It is not a problem as a problem, but a problem that is too easy.



However, if there are some who are still wondering about it, the world is not the fallen one after God made it. Do not see God so incompetent. I would not believe such an incompetent God. If it is omnipotent and can not crack down on the creatures that you have created, what kind of God is it? Even if I go to hell tomorrow, I will not believe in God.


When we become aware of the world, the world seems to have fallen and there is no answer. But it is not the fallen, but the state of Genesis 1: 2. The situation where there is no light and everything is in chaos is the moment when a person recognizes the world. And in the chaos, man thinks what is the reason and purpose of existence, and wants to be God's son by obeying his already existing creation purpose of God. All that is God's creation.


Satan, the world that appears to have fallen, and all the wicked humans are in the providence of God, and meeting God in such a dark and chaotic situation is what God has made us exist in. If darkness and chaos were outside the providence of God, would God have cooperated in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This is a common sense, but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see God's work on his own standards.


God is aiming to come out of this world with the character of God, the Son of God with the spirit of Christ. This is what the apostle Paul says in Romans 8. Therefore, it is not only whether the world is corrupt or not, but the issue of whether the Son of God comes out of this world.


If you have this insight, all of God's work will not be a question, but a thank you and a surprise, otherwise everything will be questionable if there is no life giving it that eye. Therefore, if there is a question such as "Why did the world made of God fall," it is the foundation of faith to realize that the righteousness and life of God are not yet the essence and purpose of lif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성경은 성경이 말씀하시고자 하는 방향과 법으로 보면 그야말로 쉬운 책이고, 반대로 성경이 말씀하시는 것과 다른 방향과 법으로 보면 어려운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경을 신학이라고 공부하는 사람이나 성경을 지키기 어렵기 때문에 늘 깨어 있어야 한다는 사람들은 한 마디로 성경을 모르는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예수님의 짐은 가볍다고 했는데, 몇 년씩 공부해야 알 수 있다는 것은 한 마디로 사기행각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흔히 생명의 말씀이라고 합니다. 생명의 말씀이라는 것은 이 말씀이 생명의 아버지이신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생명의 아버지이신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생명의 법이 하나님께서 정하시고,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생명들은 같은 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명은 그 유전자가 몸으로 나타나는 것이고, 생명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낳아지는 것이라는 것이 그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에서는 하나님은 농부시고 그 뜻하신 말씀을 씨를 뿌리듯 사람에게 심는다고 하십니다. 사람은 흙으로 만들어졌기에 씨가 심기는 땅으로 늘 비유됩니다. 사람 안에 하나님의 말씀이 심기면 그것이 성령으로 잉태되어 생명이 되고, 그리고 그 생명이 가진 유전적인 본성이 몸으로 표현되고 행동되고 나타나는 것입니다.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모든 행동과 행함, ‘~~하라’고 하시는 말씀은 다 그것에 관한 것입니다. 


즉 성경이 말씀하시는 ‘~~하라’는 것은 그 행동을 하는 생명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생명이 되려면 그 생명의 본성이 사람 안에 심겨야 하는 것입니다. 그 생명이 심긴 적이 없고, 성경이 말씀하시는 것이 그 심긴 것이 표현되는 것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면 제 아무리 성경을 다 지켜낸다 해도 소용이 없고, 몸을 불사르게 내어주어도 소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성경을 신학이라며 공부하고, 그 공부를 해야 말씀을 전하는 자리에 선다는 것과 같은 것도 다 마음에 말씀이 심긴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이 생물학적으로 사람이 되기 위해서 공부합니까? 그런 바보짓을 하는 것이 바로 신학이기도 합니다. 마음에 심긴 것은 그 시절이 되면 다 씨의 생명으로 표현되는 것입니다. 사과 씨가 심기면 사과가 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말씀이 심기면 그것이 그리스도의 삶이 되거나 아니거나 할 뿐이지, 공부를 해서 보완하거나 더 좋아지거나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영혼을 구원하는 도’ 역시 이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구원은 죽을 자리에서 회복되는 것인데, 우리가 죽을 자리에 있었다는 것은 하나님의 생명의 법으로 볼 때 죽은 자와 같은 자리에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 자리는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것이 이루어지지 않은 자리입니다. 의학적으로 죽은 자리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의와 법의 자리를 떠난 것이 죽은 자리입니다. 그 자리에서 회복된 구원은 하나님께서 정한 자리로 돌아온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즉 행함으로 구원을 받으려 하고, 눈에 보이는 세상을 본질로 알고, 또 한편에서는 하나님께서 육신을 주신 이유가 우리 안에 심긴 하나님의 생명, 곧 그리스도가 표현되는 도구로서 주셨는데, 이 육신을 부정하게 보고, 하나님 앞에 의미 없는 것으로 보는 것이 사망의 자리에 있는 것입니다. 그 자리에서 우리 심령 안에 하나님의 의가 심기면 그 씨가 생명이 되어 육신으로 그 하나님의 의를 표현해내는 도구로, 소비재로 활용하는 것이라는 것을 아는 자리가 생명의 자리인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영혼을 구원하는 도>가 바로 이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도에 대하여 듣는 것은 속히 하고 말하는 것은 천천히 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 도는 생명의 법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은 객관적 시간의 빠름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생명은 언제나 자기 시절을 좇아 나는 것입니다. 가을 과일을 봄에 먹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씨를 받아들임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에는 언제나 속히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나오기 전 마지막 재앙이 애굽을 덮칠 때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어린 양을 잡아서 그 뼈를 꺾지 말고 먹되 신을 신고 허리에 띠를 띠고 바로 출발할 수 있는 상태로 먹으라고 하셨습니다. 어린 양을 먹는다는 것은 그리스도를 자기 안에 심는 것과 같은 것이고, 뼈를 꺾지 않는다는 것은 그 의를 자기 힘으로 상하게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속히 먹으라고 했습니다. 생명을 받아들이는 것은 그 때가 있기 때문에 그 때를 놓치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모내기의 때를 놓치면 쌀을 먹을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또한 듣는 것은 믿음의 본질입니다. “믿음은 들음에서 난다.”는 말씀이 그렇고 “듣는 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낫고 순종이 제사보다 낫다.”는 말씀이 또한 그것입니다. 하나님의 의, 우리 영혼을 구원할 도는 언제나 듣는 것입니다. 순종적으로 수용할 때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시절 안에서 속히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인생은 풀의 꽃과 같다.’고 했고,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은 것인데, 이 짧은 인생 안에 하나님께서 우리를 지으신 목적을 표현하게 하는 생명의 의를 받아들이는 것을 속히 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 인생이 길어야 100년인데 그 안에 하나님의 의가 무엇인지를 받아 들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생명이 표현되는 것에 있어서는 서두르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말도 천천히 하라는 것입니다. 말은 사람 안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하는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는 삶을 살면, 그 생명의 시절을 좇아서 말하고, 또한 화를 낼 일에는 화를 내기도 할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은 참 온유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의를 가지고 화를 내는 것은 온전한 일이나, 더 온전한 것이 있다면 화나게 하는 사람이 스스로 돌이킬 수 있게 살아내는 것입니다. 그것이 온유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저런 모양으로 말씀하고 있으나,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은 <영혼을 구원할 도>가 우리 안에서 생명이 되는 법에 대하여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 생명의 도가 우리 안에 심기면 그것이 우리 육신으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정말로 중요한 것이기에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것은 시절을 놓치지 말고, 그 생명이 표현되는 것은 서두르지 말고 그 때에 맞기면 온유한 삶이 될 것이라는 것을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1: 19-27) The heart that saves the soul is in your heart


The Bible is an easy book in terms of the directions and laws that the Bible is about to speak, and on the contrary, it is difficult in terms of directions and laws different from what the Bible says. That is why people who study the Bible as theology and people who are always awake because it is difficult to keep the Bible is a person who does not know the Bible in a word. Jesus said that Jesus' burden is light, but knowing that he can learn for years is only a fraud.


The Bible is often called the Word of Life. The word of life is because it is the word of God, the Father of life. God is the Father of life, because all the laws of life we ​​know are the law God has ordained and has come from God. And all the lives we know have the same law. Life is that the gene appears in the body, and that life is not made, but is born.


So in the Bible, God says that he is a farmer and that he will plant the seeds of his word as if sown. Because man is made of earth, it is always likened to the land where the seeds are planted. If the word of God is planted in man, it is conceived by the Holy Spirit and becomes life, and the genetic nature of the life is expressed, acted, and manifested in the body. Everything that the Bible says about all the actions and actions, '~~' is all about it.


In other words, the Bible says 'to do' is to be the life of that action. And to be that life, the nature of life must be planted in man. If you do not know that the life has never been planted and that what the Bible says is what it expresses, it is no use whatsoever to protect the Bible. Also, it is because the Bible is not a planting of words in the heart, such as studying theology as a theology, and being in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study it.


Who is studying to be a biological person? It is also theology that makes such a fool. It is expressed in the life of Mr. Dae when it is planted in heart. If the apple seed is planted, the apple will come. If the Word of Christ is planted, it means that it is or is not the life of Christ.


This is what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e "way to save the soul." Salvation is to be restored from the dead, and we were in the place where we were going to die, as we were in the same position as the dead according to the law of God's life. It is a place where God's intended purpose is not fulfilled. It is not a medically dead place. It is the dead place that God left man of righteousness and law. The salvation restored in that place is to say that God has returned to the place appointed.


That is, to be saved by action, to know the visible world in its essence, and on the other hand to give the body of God as the means of God's life, , It is in the place of death that it is seen as meaningless before God. I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planted in our souls on the spot, it is a place of life to know that the seed is to b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flesh as a life, as a consumer.


This is the way the Apostle James speaks of saving the soul. Therefore, to listen to this diagram is to say it slowly and to say slowly. Because this is the law of life, it is because the fast of objective time does not apply. Life is always followed by its own time. Autumn fruits can not be eaten in spring.


But just as we accept the seed, we must always be quick to hear God's word. When the last plague came to Egypt before the Israelites came out of Egypt, God told the Israelites to take a lamb and eat it without breaking its bones and eating it. Eating the Lamb is like planting Christ in Him, and breaking the bones is not to offend Him with His own strength. And I said to eat quickly. Because accepting life is the time, you should not miss that time. If you miss the time of rice planting is like eating rice.


Listening is also the essence of faith. It is also the word "faith is heard from the hearing" and "hearing is better than the oil of the flesh, and obedience is better than the sacrifice." The righteousness of God, the way to save our souls, is always to be heard. It is meaningful when you accept it obediently. And that is what you have to do in the days ahead.


Life is like a flower in the grass. Life is like morning dew. This is the moment in which we must accept the righteousness of life that expresses God's purpose for us in this short life. Our life is 100 years and we have to accept what God's righteousness is in it. And do not hurry when the life is expressed. That is why you have to say slowly. It is because it is an expression that makes people know what is in the person.


If we live a life in which the righteousness of God lives, we will speak according to the days of life, and we will also be angry at the anger. But it is true meekness. It is a perfect thing to anger with the righteousness of God, but if there is something wholly intact, the one who makes anger lives to turn it back on its own. It is gentle.


Therefore, although we speak in this or that form, what the apostle James wants to say is that he speaks of the way in which "saving the soul" is life in us. If it is planted in us, it will appear in our bodies. This is really important, so it is saying that accepting the Word of God does not miss the days, but that the life will be expressed in a rush, and at that time it will be a meek lif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하라 사람의 성내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함이니라 그러므로 모든 더러운 것과 넘치는 악을 내어 버리고 능히 너희 영혼을 구원할 바 마음에 심긴 도를 온유함으로 받으라(약 1:19-21)


잘 아는 말씀입니다. 성내기를 더디하라는 말씀. 하지만 알기만 할 뿐 지키기는 힘든 말씀입니다. 누구나 말을 참고 화를 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성경은 사람에게 힘든 과제를 던져주고 잘 해 내면 구원과 복을 주시고, 그렇지 못하면 벌을 주는 법을 가지고 있을까요? 설사 그렇다면 그래도 웬만한 사람은 할 수 있는 커트라인을 제시해야지 사람이라면 할 수 없는 것을 주면 그건 좀 너무한 것 아닐까요? 그것도 사람을 만들었으니 사람에 대하여 잘 아실 하나님께서.


신앙생활을 함에 있어서는 ‘무모한 맹신’보다는 ‘합리적 의심’이 좋습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예수님보다 더 큰 일을 할 수 있다고 하시니 바다 위를 걷는 것이 아니라 뛸 수 있다고 믿는 것 보다, 우리는 바다를 걸을 수 없다는 것이 과학적 역사적으로 증명되었는데 왜 그런 말씀을 하셨는지를 의심해보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의심은 결국 하나님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알려고 하는 것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맥락에서 우리는 화를 내지 않고서는 살 수가 없는데 화를 내지 말라니, 사람이 성내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한다면 참 어려운 문제가 됩니다. 야고보서에는 모든 율법을 지키다가 하나를 지키지 못하면 다 지키지 못한 것이라고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령 모든 성경의 말씀을 다 지켰다고 해도 화를 한번만 내면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러고 더욱이 우리에게 화 내지 말라고 하신 하나님은 수시로 진노하시고, 또 그 아들 예수님도 이 땅에 오셔서는 화를 내시면서 남들이 장사하는 것을 다 뒤집어엎으시기도 했는데 우리에게 하나님보다 더한 기준을 적용하신다면 이것은 정말 억울하거나 모순된 것이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사람이 가진 화내는 본성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어떤 것에 대하여 화를 내느냐의 문제입니다. 사람 안에 화내는 본성이 있다는 것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어떨 때는 화를 내어야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일은 화를 내면 안 되는 것이고, 또 어떤 것은 화가 필요하기도 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먼저 요약한다면 하나님의 의가 손상당하는 것에 있어서는 화를 내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 본성에 화를 내고 분을 내는 본성을 주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의 일과 육신의 일에 관하여 화를 내지는 말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의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의를 이루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원하시는 것이 그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 가정에 있는 칼은 날카롭습니다. 그래서 때로 손을 베기도 합니다. 그러면 우리가 손을 벤다고 칼이 날카로운 것이 죄가 됩니까? 그래서 그것을 무디게 만드는 것이 선한 일입니까? 그것이 아닙니다. 칼이 날카로운 것은 가정의 주인이 날카로운 것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즉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 목적 안에서 날카로움이 사용되면 선한 것이지만, 그 용도와 다르게 사용되면 악한 것이 되는 것입니다. 주인의 의를 이루지 못한다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사람이 어떤 일에 화를 내는 것은 자기 안에 가지고 있는 기준에 합당하지 않아서입니다. 자기가 생각한대로 일이 되었는데 화를 내면 그것은 환자입니다. 그러므로 사람 안에 어떤 기준이 있느냐에 따라 어떤 일에 화를 내는지가 정해집니다. 야고보 사도는 ‘사람의 성내는 것’이라는 말씀을 하고 있는데 이는 사람의 기준을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인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화를 내신 것은 예수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의로 볼 때 합당치 않은 일을 보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니 예수님 안에는 하나님의 의가 있기에 그 의로 볼 때 너무 화가 나신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우리 안에 하나님의 의가 생명이 되어 그 본성으로 살다보면 당연히 하나님의 의가 훼손된 모습을 볼 때 울분이 터질 것입니다. 그것은 화를 낸다는 이유만으로 악한 일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 앞에서 진정으로 선한 일이 되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께서 화를 내는 것이 하나님의 의를 이루지 못하니 화를 내지 말라고 하신 것은 화를 내는 그 행위 자체를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전하고자 하신 것은 “형제들아 너희 안에 사람의 일에 화를 내는 기준이 없는 사람이 되라.”는 말씀인 것입니다. 사람의 일에 화를 내는 사람의 기준으로 사는 사람이 되지 말고 하나님의 의가 삶의 모든 것이 된 사람이 되라는 말씀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1: 19-27) Can you not be angry?


My dear brothers and sisters, take note of this: Everyone should be quick to listen, slow to speak and slow to become angry, because human anger does not produce the righteousness that God desires. Therefore, get rid of all moral filth and the evil that is so prevalent and humbly accept the word planted in you, which can save you.(James 1:19-21)



It is well known. Slow down your anger. But it is hard to keep it but to know it. It is not easy for anyone to endure the language. This is something anyone agrees with. Then, does the Bible give you a hard task, give salvation and blessing if you do well, or punish you if you do not? If so, then a reasonable person should present a cut line that can be done. If people give something they can not do, is not it a little too much? God has made man, and he knows him well.


In the life of faith, "reasonable doubt" is preferable to "reckless blindness". It is a scientific and historically proven fact that we can not walk in the sea, rather than believing that Jesus can do us greater things than Jesus. I do not know. That doubt will ultimately be to know what God's intentions are.


In that context, we can not live without anger, but do not be angry. It is a very difficult problem if man's anger is not fulfilled in God's righteousness. James says that if you keep all the laws and do not keep one, you can not keep them. For example, even if you keep all the words of the Bible, it will be all in one blast once you are angry.


But God, who said to us not to be angry, was angry at times, and Jesus, his Son, came to this land and became angry when he overturned all that was buried by others, It will be really unjust or contradictory.


So this is not about the angry nature of man. It is a matter of getting angry about something. The fact that there is an angry nature in a person is not a problem in itself, but it is sometimes that you have to be angry. Some things are not to be angry, others are that they need anger.


To summarize, we must be angry when God's righteousness is damaged. That is why we gave our nature anger and anguish. But it does not make you angry about the work of the person and the work of the body. It is not the fulfillment of God's righteousness, but the fulfillment of man's righteousness. It is not what God wants people to do.


The knife in our home is sharp. So sometimes I cut my hands. Is it a sin for our sword to be sharp? So is it good to blunt it? That's not it. The sword is sharp because the owner of the home needs to be sharp. That is, there is purpose. So, if sharpness is used in that purpose, it is good, but if it is used differently from its purpose, it becomes evil. It is that it does not achieve the righteousness of the master.


It is because people are not worthy of the standards they have in their own anger. When you are angry, it is a patient. Therefore, depending on what criteria are in the person, it is decided on what will be angry. The apostle James says that "man is anger", which means that he is a man of standards.


Jesus is angry because he has seen unworthy things in the righteousness of God in Jesus. Jesus is the body of the Word of God, and in Jesus it is too angry for him because of the righteousness of God. If we then live the righteousness of God in ourselves and live in that nature, we will surely find ourselves in ruins when God's righteousness is damaged. It is not an evil thing just because it is angry, but rather a good thing before God.


James does not make angry, because he does not fulfill God's righteousness. The apostle of James is to say, "Brothers, be a man who has no standard in your anger against man's work." It is the word of God that the righteousness of man should be all things of lif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