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야고보서 5:12) 맹세하지 말라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야고보서 Date : 2017. 3. 16. 07:12 Writer : 김홍덕

맹세. 그것은 어떻게 보면 간절함의 표현이고, 다른 편에서 보면 믿음의 확실성을 증명하고자 하는 마음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맹세’가 가진 가장 큰 성격은 바로 ‘능동성’이라는 것입니다. 스스로가 증명하려는 마음으로 중요한 것을 담보로 내세우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예수님께서도 또 야고보 사도도 ‘맹세하지 말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물론 맹세라는 것이 그 자체로도 호불호가 갈리는 느낌을 주지만, 성경에서 맹세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첫째 신앙은 능동적인 것이 아니라 수동적이라는 것이고, 두 번째 자기 스스로 인생에 들어온 것도 아닌 사람이 그 어떤 담보를 내세워도 그것은 자신의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맹세한다는 것은 하나님보다 자신의 믿음이 더 앞선 것이라 주장하는 것이고, 무엇을 담보한다는 것은 그것이 자신의 소유라는 의미나 실상은 세상에 자신의 것은 없습니다. 인생 자체를 자기가 선택한 것이 아닌데 뭐가 자신의 것이겠습니까? 그 어느 것도 자신의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이 블로그를 줄곧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믿음은 수동적인 것>이라고 늘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먼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먼저 사랑하신 것”이라는 말씀이 그렇고, “하나님께 먼저 드림으로 갚음이 있겠느냐?”는 말씀이 그렇고, “숫양의 기름보다 듣는 것이, 제사보다 순종이 낫다”는 것이 그렇습니다.


야고보 사도는 이것에 대하여 “그렇다 하는 것은 그렇다 하고 아니라 하는 것은 아니라 하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죄를 면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이런 말씀들 앞에서 ‘그럼 사람은 그냥 아바타인가?’라는 반문을 가집니다. 그것은 인간의 존엄성과 또 사람이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여 정성으로 무엇을 드리는 것이 귀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 같지만, 실상은 죄가 되는 것입니다.


존엄성, 곧 가치는 목적에서 나오는 것이지 존재 자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예전 아프리카에서는 다이아몬드 원석으로 아이들이 공기하듯 가지고 놀았다고 했습니다. 다이아몬드가 목적 안에 들어가지 못해서 그렇게 된 것입니다. 사람의 존엄성이라는 것, 사람이라는 자기 주체성을 가지고 자기 인생을 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부질없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어디까지나 존재 목적을 알고 난 다음의 일이지, 자신이 존재하고 살아가는 목적도 모르는데 존엄성은 아무 의미 없는 것입니다. 앞서 말했듯 가치는 목적에서 나오는 것이지 존재 그 자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해적들이 서로에 대한 우애나 선장에 대한 충성심이 아무리 좋고 높아도, 존재 정체성이 역적이고 죄인인데 아무런 의미가 없듯이, 인생들도 자기 의지로 들어온 인생을 알면서도 자기 존재의 목적을 외면하고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 그 자체로 삶의 가치를 부여한다는 것은 창조주에 대한 명백한 죄인 것입니다. 즉 목적의 자리를 벗어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은 모든 것에 앞서서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회복해야 하는 것입니다. 사람은 하나님의 의를 받아들이는 수동적 존재이기에 먼저 이것이 선행되고 나면 그 다음에 자기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의가 이끄는 능동적인 삶을 살든지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경우도 자기 믿음이나 의을 나타내고 증명하려고 자기가 창조하지 않은 그 어떤 것으로 맹세함에 담보로 건다는 것은 오만한 죄입니다.


또한 그것은 자기가 만들지도 소유하지도 못하는(결국 죽으니까) 세상의 모든 것을 마치 자기 것인 듯 자기 신념을 증명하는 담보로 내세우는 것은 한 마디로 그냥 도적질입니다. 사기꾼입니다. 따라서 사람이 하나님의 것을 순종하고 수용하는 수동적인 정체성을 유지하지 않고, 또 자기 것도 아닌 것으로 담보를 내세우는 것은 자기 정체성을 벗어난 것입니다. 따라서 그것은 죄가 되는 것입니다. 죄가 다른 것이 아닙니다. 자기 정체성을 벗어난 것 그것이 죄이기 때문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그렇다 하는 것은 그렇다 하고 아니라 하는 것은 아니라 하라”고 하는 것이 이것입니다. 사람이 자신의 것이 아닌 삶 앞에 펼쳐지는 일들은 사람이 바꾸려 하거나, 틀렸다 말하거나, 그것이 어떤 것이라고 주장하거나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형제들, 곧 하나님으로부터 생명을 받은 사람이라면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의 모든 일이 하나님의 행사로 알고, 그 안에서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나타내시는 일로 알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5:12) Do not swear.

 

Swear. It can be a kind of expression of desire, and on the other hand, a heart to demonstrate the certainty of faith. However,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oath' is 'activeness'. It is because of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to prove itself as a collateral. But unfortunately, Jesus and James also say, 'Do not swear.'


Of course the swearing by itself gives the impression of humiliation, but the Bible tells us not to swear firstly that faith is not active but passive, and that any man who has not entered his life for the second time, It is not his own.


Therefore, to swear is to assert that his faith is ahead of God, and that what is secured is that it is his own, and in fact there is no one in the world. Life itself is not what you chose, but what is your own? None of that is his own.


People who have watched this blog all the time say that faith is passive. The saying, "We did not love God first, but God loved first." And the saying, "Is there any reward for returning to God first?" "It is better to listen to the oil of the ram than to obey the priest. It is better ".


The Apostle James says that "yes, yes, but not yes". And I say that this is to avoid sin. However, many people have the following statement in front of these words: "Is it just an avatar?" It seems to indicate the dignity of man and that it is precious to give thanks to God for His grace, but truth is sin.


Dignity, or value, comes from purpose, not from existence itself. In ancient Africa, it was said that the children play with air stone like diamonds. It is because diamonds can not enter into purpose. It is not dignity that it should be able to live the life of oneself with the dignity of person, the person's self-identity of the person, but it is the next thing after knowing purpose of existence only, It is not. As I mentioned earlier, value comes from purpose, not from existence itself.


No matter how good or loyal the friendship and the loyalty to the captain are, the pirates have no meaning when the identity of the being is reversed and sinful. Even though the life knows the life that came into its own will, It is an obvious sin against the Creator to give the value of life by itself. That is, it is out of purpose.


Therefore, one has to restore the identity of one's being before everything else. Since man is a passive being who accepts God's righteousness, if this is done first, then he must live a proactive life led by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m. Therefore, it is arrogant sin to pledge any thing to swear by something that is not created by man to demonstrate or prove his faith or righteousness.


In addition, it is just a thief to steal everything in the world as a self-assured proof of his belief that he is neither made nor possessed. It's a con. Therefore, it is beyond self-identity that a person does not maintain a passive identity that obeys and accepts God's, and that it is not self-assured. Therefore, it is sin. Sin is not different. It is out of self-identity because it is sin.


This is what the apostle James says "do not do it but do not do it". The things that are unfolding before man, not his own, are that a person is trying to change, say wrong, or do not claim to be what it is. If you are brothers, those who receive life from God, you know that all the work of God's world is an act of God, and in that God reveals His character. It is saying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야고보서 5:7-12) 인내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야고보서 Date : 2017. 3. 14. 21:57 Writer : 김홍덕

야고보 사도는 부자에 대한 경고의 말씀을 하신 후에 인내를 말씀하십니다. 부자란 돈 많은 사람이 아니라, 사람이 왜 사는지는 찾지 않고, 아침 안개와 같은 육신의 삶이 그냥 인생의 본질이라고 여겨 육신이 풍요하고 즐거운 것이 본질이고 의라고 여기는 생각의 세계에 있는 모든 사람입니다. 현재 가난할지라도 부자가 되어야 인생이 평안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부유한 자들이라는 것입니다.


반면에 인내를 말씀하시는 대상은 <형제들>입니다. 다시 말해서 아버지가 같은 사람들에게 하시는 말씀이라는 것입니다. 아버지는 자기 존재의 근원이고 이유를 가지신 분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아버지이신 것입니다. 따라서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형제는 하나님이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가지신 분임을 믿는 사람들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들에게 인내를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주의 이름으로 말한 선지자와 <욥>과 같이 인내하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욥이라고 하면 시험과 시련을 참고 인내한 상징입니다. 그러나 욥이 있어 정말로 견뎌낸 것은 육신의 고통이 아니라, 세 친구 빌닷과 소발과 엘리바스의 변론이었습니다. 그들의 변론은 “욥! 네가 하나님께 분명히 무슨 잘못을 했기 때문에 이런 시련을 당하는 것이니 회개하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욥은 그것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하나님은 행동에 대하여 반응하셔서 이런 일이 있게 하신 것이 아니라 그 분의 계획과 뜻이라고 했습니다.


선지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의 이름으로 말한 예레미야와 같은 선지자들의 때에 다른 선지자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그런 선지자들은 이스라엘이 하나님 앞에 절기도 잘 지키고, 제사도 잘 지키며, 율법도 잘 지키고 있는데 주의 말을 하는 선지자들이 하나님께서 진노하셨고, 이스라엘이 망할 것이라고 예언하는 것을 핍박했습니다. 행동으로 잘 하고 있는데 무슨 소리냐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회칠한 무덤과 같은 사람들이 바로 야고보 사도가 앞서 말한 부유한 자들입니다. 육신의 행위가 하나님의 법을 지키고 있으면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가치관이 곧 육신의 사치와 즐거움이 육신 가진 삶의 본질이라고 여기는 삶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인내는 다름이 아니라 육신이 본질이라고 주장하면서 살아가는 신앙들 앞에서 인내하라는 것입니다. 육신이 하나님의 의를 지키고 있으면 좋은 신앙이라고 하는 것 앞에서 인내하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주의 강림이 가까웠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강림은 다시 오시는 주님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시 오신 주님은 다름이 아닌 교회를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물론 언젠가 주님은 실제로 다시 오실 것입니다. 그것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 교회로 오신 내용이 형식으로 표현된 것입니다. 예수님 재림의 본질은 바로 교회입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야고보 사도가 주의 강림이 가까웠다는 것은 사람이 육신을 본질로 보는 세계에서 지친 영혼이 위로가 되도록 형제들과 같은 생명을 가진 교회 공동체가 이루어지면 주님의 위로가 함께 하신다는 것입니다. 주의 영을 가진 이들이 서로를 위로할 것임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형제를 원망하지 말라는 것이 그 맥락 위에 있는 것입니다. 형제가 같은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난 자들이라면 그 형제를 원망한다는 것은 자신의 어떠함이 하나님으로 인함이라는 것입니다. 형제가 원망의 대상이라는 것은 같은 하나님을 가졌기에 원망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원망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야고보서에 많이 강조되고 있는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도전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반면에 주의 강림이 임한다는 것은 온전한 하나님의 공동체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원망이 아니라 형제라서 서로에게 위로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 위로는 육신이 본질이 아님을 알기에 육신의 모든 것으로 하나님을 영광을 나타내고 형상을 표현하는 모둔 수고의 위로가 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육신이 세상에 속하여 있기 때문에, 타락한 선지자와 욥의 세 친구와 같이 육신의 어떠함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과 심판의 대상이 된다고 주장하는 그 주장들 앞에서 곤고한 마음이 형제들로 인하여 위로를 받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사람을 가장 피곤하게 하는 것은 육신의 노동이 아니라 틀린 것을, 또 모르는 것을 안다고 옳다고 주장하는 것을 견디는 것이 가장 힘든 일일 수 있습니다. 따지고 보면 예수님의 십자가도 그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수고를 예수님 때문에, 하나님 때문에, 하나님이 아버지인 형제들로 인하여 원망한다는 것은 아주 어두운 것입니다. 오히려 인내가 하나님의 위로를 받을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육신과 같이 나타난 것을 본질로 보는 이들은 부유하게 되려고 합니다. 자신과 자기 삶으로 세상의 가치를 모으려는 사람들입니다. 반대로 하나님의 아들들은 자신의 삶과 세상의 모든 가치를 하나님을 나타내는 것에 사용하는 사람들입니다. 전자는 밖에서 안으로 향하고, 후자는 안에서 밖으로 향하는 사람들입니다. 이 두 가치관이 만날 때 하나님의 아들들이 죄인이 되고 인내해야하는 일들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참을 수 있는 것은 같은 운명을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 곧 이 땅위의 하나님 나라요 그리스도의 몸되신 교회로 인하여 위로가 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5: 7-12) Perseverance


The apostle James tells patience after he has warned of the rich. The rich are people who are not rich people but who are living in the world of thought that does not find why a person lives, but that the life of the flesh such as morning mist is just the essence of life and that the body is rich and joyful is the essence. Even those who are now poor, but who think that life should be peaceful, should be wealthy, as James the Apostle speaks.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of perseverance is the <brethren>. In other words, it is what the Father says to the same people. Father is the origin of self existence and he has reason. So God is the Father. Therefore, the brother James is referring to is those who believe that God is the one who has the identity of his being. They are saying patience to them.


The apostle James tells us to be patient like the prophets and <Job> in the name of the Lord. Job is a symbol of perseverance with test and trials. But Job did not really endure the pain of the flesh, but the plea of ​​three friends Beddat, Shobal and Eliphaz. Their argument is "Job! Repent, for you have done this trial because you have done wrong to God. " But Job said it was not. God responded to His actions, not to make them happen, but His plan and will.


The same is true of the prophets. There were many other prophets at the time of prophets like Jeremiah who spoke in the name of the Lord. Such prophets have persecuted the prophets who spoke to you, saying that God was angry and prophesied that Israel would perish, while Israel kept the feasts before God, and kept the sacrifices well, and kept the law well. I was doing well with what I was saying. Those like whitewashed graves are the wealthy people whom James the Apostle said earlier. If the act of the flesh keeps the law of God, it is because it is the life that the luxury and the pleasure of the flesh regard as the essence of life with the flesh.


Therefore, the perseverance of James's apostle is not different, but that you should persevere before the faiths who claim that the flesh is the essence. If the flesh is keeping the righteousness of God, it is to persevere before what is good faith. Because the coming of the Lord is near. Of course, this Advent is telling the Lord coming again. And the Lord who comes again is speaking of the church, not the difference.


Of course, one day the Lord will actually come back. It is expressed in the form that Jesus came to the Church on earth. The essence of Jesus' Second Coming is the Church. So the Apostle Paul said that the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The apostle James said that the coming of the Lord is near, that the comfort of the Lord is with the life of a church community with lives like brothers, so that the souls of the world, where man is seen as the essence of the body, will be comforted. Those who have the Spirit have said that they will comfort one another.


It is in that context that you should not resent your brother. If a brother is born of the same Father God, if he blames the brother, then what is his ownness is because of God. The fact that the brother is the subject of resentment means he grumbles because he has the same God. That is to blame God. It is a challenge to God's sovereignty which is much emphasized in James. Therefore, it will be judg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ing of the Lord comes, it becomes a whole community of God. It is not a resentment, but a brother, and it is comforting to each other. On the contrary, knowing that the flesh is not the essence, there will be comfort in all of the flesh, expressing glory and expressing the image of God in all things of the flesh. Because the flesh belongs to the world, a broken heart will be comforted by the brethren before those claims that claim to be righteous and judgmental before God, like the fallen prophets and Job's three friends.


Indeed, it can be hardest to endure the most tiring of people is not the work of the flesh, but the right to know the wrong and the unknown. If you look at it, it is because it is the cross of Jesus. It is a very dark thing that it is grumbling for such trouble because of Jesus, because of God, because God is the Father. Rather, patience speaks of God's comfort.


Those who see the essence of being like a flesh try to become rich. It is people who want to collect the value of the world by themselves and their own lives. On the contrary, the sons of God are those who use their lives and all the values ​​of the world to represent God. The former is from outside, and the latter is from inside. When these two values ​​meet, the sons of God become sinners and sufferings. And that it is comforting because of the community of those who have the same fate, the kingdom of this earth, and the body of Christ.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야고보서 5:1-6) 부한 자들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야고보서 Date : 2017. 3. 14. 07:48 Writer : 김홍덕

좀 오래 전에 TV에서 축구공을 좋아하는 남자에 대한 이야기가 방영된 적이 있었습니다. 그는 축구공을 수집하고 있었고, 의미 있는 경기에 사용된 공이나 또 한정 생산된 공을 수집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는 그 공을 보기만 했습니다. 집에 고이 모셔두고 잘 닦아주고 보관했습니다. 어린 아들이 공을 차고 싶어도 그가 수집해 놓은 공은 찰 수 없었습니다. 물론 그 자신도 공을 차지 않았고, 축구도 잘 못한다고 했습니다.


축구공은 축구장에서 발로 차고 경기를 하고 사람들이 즐겁게 노는 것에 사용되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공을 가지고 놀지 않고 모시기만 하는 것은 우상 같기도 하지만 정말로 어리석은 일입니다. 이것은 누가 봐도 어리석은 모습이라는 것을 알 것입니다. 얼마나 그 모습이 답답했으면 그의 아내가 그것을 방송국에 사연으로 보내서 방송이 되었겠습니까? 누가 봐도 참 답답한 일이지만 정작 축구공을 모으는 당사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그런 사연을 보면 답답해하면서, 정작 자기 인생이 그렇다는 것은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어두움입니다. 예수님께서 오셔서 인생의 존재 목적을 보이셨는데도 모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축구공은 모셔두기 위한 것이 아니듯, 육신의 삶도, 육신의 건강을 위하고, 육신의 지위와 자존심을 위하고, 육신이 먹고 마시는 것을 위하여 사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것은 다 축구공을 차지는 않고 먼지 닦고 모셔두기만 하는 것과 같습니다.


야고보 사도는 부자들을 책망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밭에서 일한 품꾼의 품삯도 주지 않는 자들이라고 했습니다. 그들이 그렇게 하는 것은 땅에서 사치하고 연락(즐거움)하기 위함이라고 했습니다. 즉 축구공을 닦고 모셔두기 위하여 공을 모으는 사람과 같다는 것입니다. 땅의 사치와 연락(즐거움)을 위한 것이라는 것은 삶의 모든 목적이 육신이라는 것입니다. 땅은 곧 육신을 가진 인생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자기 눈에 가장 귀한 것, 자신이 가진 의로 볼 때 가장 본질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위하여 삽니다. ‘뭐니 뭐니 해도 돈이 최고다.’라는 사람은 돈이 가장 귀한 것이고, 그 돈이 많아야 의롭고 선한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돈이 육신을 풍요롭게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육신이 목적이라는 것입니다. 본질이 육신 그 자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존재하는 모든 것은 존재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닙니다. 사람이 가진 모든 것 중 그 어느 것도 존재하는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은 없습니다. 오만 원짜리 지폐는 그 지폐 자체가 본질이 아닙니다. 오만원이라는 가치가 본질입니다. 금과 은도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닙니다. 그것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본질입니다. 그 본질이 금과 은의 가치와 같기 때문에 그것이 귀한 것입니다.


그런데 정작 사람들은 자신이 존재하는 목적은 생각지 않습니다. 그것은 모든 것이 훼손된 것입니다. 즉 사망 가운데 있는 것입니다. 인생이 육신으로 존재하는 것은 그 육신이 어떤 목적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 육신의 풍요와 안녕과 보전이 존재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육신을 보전하고 재물이 필요한 이유가 있다면 육신의 사치와 즐거움 때문이 아니라 존재하는 목적을 위하여 필요하기 때문일 뿐입니다. 휘발유가 이동이라는 자동차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하듯.


그런데 금과 은을 육신이 존재하는 목적을 달성할 도구로 사용하지 않고 오히려 그 자체가 목적이라 여기며 사는 사람은 금과 은을 모으기 위한 것이라면 악해지는 것도 불사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선은 의나 도덕이나 법이 아니라 그들이 본질로 여기는 금과 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품삯을 착복하는 것입니다. 품꾼이 밉거나 못살게 굴려고 그러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본질로 보는 것은 금과 은 그 자체이기 때문입니다.


금과 은은 원래 녹슬지 않습니다. 그런데 금과 은이 녹슬었다고 하는 것은 인생의 본질을 금과 은으로 보는 사람이 가진 금과 은은 그 목적과 가치를 상실했다는 것입니다. 금과 은은 인생이 존재하는 목적을 위하여 소비되어야 하는 것인데, 오히려 그것을 모으는 것이 목적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축구공을 모아 두기만 하면 보기에는 깨끗하고 보존된 공이지만 목적의 관점에서 보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녹슨 축구공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옳은 자를 정죄하고 죽이는 것이라고도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옳다고 여기는 자는 금과 은이 목적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모든 것으로 하나님께서 자신을 조성하신 목적을 위하여 사는 사람입니다. 그들은 금과 은뿐 아니라 그들의 존재 자체에 목적이 있음을 알고 모든 것을 주를 위하여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그런 그들을 금과 은과 육신 그 자체가 목적인 자들이 볼 때는 죄인인 것입니다. 부유한 자는 모으나, 옳은 자들은 주를 위하여 쓰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유한 자들이 쓰지 못하게 가졌기 때문에 빼앗은 것입니다.


그리고 이 말씀은 세상에서의 경제 능력을 기준으로 부자에 대한 한정된 말씀이 아닙니다. 야고보 사도의 이 말씀은 인생의 본질을 모르고 있는 모든 사람들, 인생이 존재하는 목적이 분명이 있음에도 오히려 인생 그 자체가 목적으로 치환된 모든 사람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인생 그 자체가 목적인 사람들은 그 현실이 부자가 아니어도 결국은 그것을 꿈꾸는 사람이고, 육신의 삶을 목적으로 여기고 그 목표를 향하여 죽을 힘을 다해 살고 있는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꿈꾸고 달려가는 자들 역시 그 세계에 속한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야고보 사도는 그런 사람들, 인생의 목적이 인생 자체에 있다고 여겨 금과 은으로 인생을 풍요롭게 하려는 사람과 또 그렇게 된 자들의 금과 은이 자신들을 불사를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것은 인생의 목적을 상실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인생의 목적을 상실했다는 것은 인생을 창조하신 이가 볼 때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이기에 창조주는 그것을 사망으로 보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망으로 보는 것을 거두실 리가 없는 것입니다. 그냥 불쏘시개로 쓸 뿐입니다. 즉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는 일의 도구로 쓰여질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완악한 짓을 한 바로 왕이나 사울 왕과 같이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5:1-6) The wealthy


A long time ago, there was a story about a man who likes a soccer ball on TV. He was collecting soccer balls and collecting balls used in meaningful games or limited production balls. But he only looked at the ball. I left my house at home and wiped it well. Even though his young son wanted to play the ball, he could not catch the ball he had collected. Of course he said he did not play ball and he did not play soccer well.


A soccer ball is meant to be used for kicking and playing in a soccer field and for people to play happily. However, it is idiomatic to do it without playing with the ball, but it is really foolish. This is a foolish sight for anyone. If it was frustrating, how could his wife broadcast it to the station and broadcast it? It is frustrating for anyone to see, but it is not the party collecting the soccer ball.


However, people are frustrated when they see such stories, and do not know that their life is what they are. This is the darkness Jesus is talking about. It is because Jesus does not know that he came and showed the purpose of existence of life. Soccer ball is not meant to be kept, it is not for the physical life, for the physical health, for the body position and pride, for the body to eat and drink. It is the same as if you do not take a soccer ball and wipe away dust.


James the Apostle is rebuking the rich. They said that they did not give the wages of the laborers who worked in the fields. It is said that they do so in order to be luxurious and to communicate (enjoy) on the earth. In other words, it is like a person who collects balls to wipe the soccer ball. For the luxury of contact with the earth (pleasure) is that every purpose of life is a flesh. Because the earth is a life with a physical body.


People live for what they think is the most precious thing in their own eyes, the most essential in their own righteousness. The person who says, 'What is the best money is the best money' is the person who thinks that money is the most precious thing and that the money is good and good at most. I believe that money enriches the body. It is the purpose of the flesh. The essence is the flesh itself.


But everything that exists is not itself a being. Nothing of man has anything to do with itself. A bill of fifty thousand won is not the essence of the bill itself. The value of Oman is the essence. Gold and silver are not the ends themselves. What you can do with it is the essence. It is precious because its essence is equal to the value of gold and silver.


But people do not think about their purpose. It is all damaged. That is, in death. The existence of life in the flesh means that the flesh has a purpose. That the abundance, well-being and preservation of the flesh is not the purpose of existence. If there is reason to preserve the flesh and need wealth, it is not because of the luxury and joy of the body but because it is needed for the purpose that exists. Just as gasoline is needed for the purpose of moving cars.


However, gold and silver are not used as a means of attaining the purpose of the flesh but rather as the purpose itself, and the one who lives is also evil if it is for the gathering of gold and silver. For their goodness is not self-righteousness, morality, or law, but gold and silver, which they regard as their essence. So they are paying their wages. It is not that the hired man hates or hates, but what they see as the essence is gold and silver itself.


Gold and silver are not originally rusty. However, the fact that gold and silver are rusted means that the gold and silver of people who see the essence of life as gold and silver have lost their purpose and value. Gold and silver are the things that life must be consumed for the purpose for which it exists, rather it is the purpose of collecting it. Keeping a soccer ball together is like a rusty soccer ball that is a clean and preserved ball to watch but is useless in terms of purpose.


And it is said that it condemns and kills the righteous. He who believes God is right is not the purpose of gold and silver, but the one in whom God has created himself for all that he has. They are people who use everything for the Lord, knowing that they have purpose in their own existence as well as in gold and silver. It is sinners when they see such things as gold, silver, and the flesh itself. The rich are gathered, but the righteous are for the Lord. It was also taken away because the wealthy have been unable to write.


And this is not a limited word about the rich, based on economic power in the world. The words of James's apostle are all those who are unaware of the nature of life, and all those whose life itself is replaced by purpose, even though the purpose of life is obvious. Those who aim for life itself are those who are not wealthy but who dream of it, who live with the purpose of the physical life and live with the power to die toward that goal. Because those who dream and run are also people who belong to that world.


The Apostle James said that such people, gold and silver of those who would enrich life with gold and silver, and those who believed that the purpose of life was in life itself, would burn themselves. It is because it has lost the purpose of life. The loss of the purpose of life is nothing more than worthless when the creator of life sees it, and the Creator sees it as death. And it can not be taken away from death. I just use it as a firepower. In other words, the righteousness of God will be used as a tool of manifestation. For example, it will be like the king who did the stubborn thing to show the righteousness of God or the king of Saul.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