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요나서를 시작합니다.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요나 Date : 2017. 3. 27. 23:39 Writer : 김홍덕

요나서는 구약성경의 32번째 책입니다. 구약성경 후반부 12개의 소선지서 중의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 요나서의 내용은 아주 동화 같습니다. 그래서 교회 유년주일학교에서도 늘 자주 가르칩니다. 그래서 교회를 조금이라도 다녀본 사람은 요나의 이야기는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이 요나서는 한편으로는 어렵습니다. 예수님께서 기적을 요구하는 유대인들에게 요나의 기적 밖에는 보여 줄 것이 없다고 하셔서 요나의 일은 예수님과 연결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예수님의 모습과 전혀 다르게 하나님께 반항하는 요나의 모습이 그려져 있기 때문에 선뜻 ‘요나가 좋은 선지자야?’라고 반문하게 만들기도 하고, 또 다른 하나는 자기 나라의 적국이고 이방인의 도시인 니느웨로 가고 싶지 않은 요나의 태도가 일면 이해되기도 하는 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 한 가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요나와 하나님의 대화는 마치 농담 같은 분위기가 나는 것도 특징적이긴 합니다.


요나서에 나오는 다시스 외에 니느웨나 욥바는 다른 성경에서도 나오는 지명입니다. 현재의 이라크 니네베라는 도시가 그곳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한 니느웨는 요나의 일 이후에 결국 그 타락을 멈추지 않아서 나훔 선지자로부터 멸망을 예언 받고 멸망을 한 성읍입니다.(나훔 선지자가 피의 성이라고 함(나 3:1)) 그리고 욥바는 베드로가 고넬료를 찾아가라는 하나님의 꿈을 꾼 곳이기도 합니다.(이런 것은 인터넷에서 금방 알 수 있는 것들입니다.)


그러면 다소 이색적인 이 요나라는 성경이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은 어떤 것일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수 천 년 전에 이스라엘의 적국 도시의 멸망에 대한 예언에 들어 있는 기적이 오늘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그게 아니면 요나서도 나훔서도 뭐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늘 나의 이야기로 읽혀지지 않는다면 그냥 재밌고 유명한 성경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러나 이 요나서의 말씀은 오늘 우리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나서가 오늘 하나님을 믿는 우리도 요나와 같은 마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생각에 하나님의 의에 반하는 삶을 사는 사람들에 대하여 선대하지 않는 마음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요나 역시 자기 민족 이스라엘의 적국인 앗시리아의 수도인 니느웨를 구원하러 가는 것이 반가울리 없었듯, 오늘 우리도 신앙에 반대하는 사람을 용납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보면 우리는 그냥 쉽게 요나가 하나님께 불순종한 것을 요나의 성격이나 단순하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하나의 예로 삼기에는 우리로서는 납득이 될 수 있는 마음이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또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마지막으로 하신 말씀, 니느웨에 많은 사람이 있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아끼심이 합당하다는 말씀은 남의 일로 보면 ‘하나님은 참 사랑이 많으시다.’고 할 수 있겠지만 하나님께서 내가 싫어하는 사람을 구하신다고 하시는 것을 그렇게 쉽게 하나님의 사랑이라고 용납할 수 있는지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성경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I will start Jonah.


Jonah is the 32nd book of the Old Testament. It is one of the twelve small prophets of the latter half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contents of this book are very fairy tales. That is why we often teach at Church Sunday School. So the person who visited the church a little is famous enough to say that he knows the story of Jonah.


But this Jonah i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Jesus said to the Jews who asked for miracles that there was nothing to show except Jonah's miracle, so that Jonah's work was connected to Jesus, because it depicted Jonah, rebellious against God, The good prophet? "And the other one is that the attitude of Jonah, who does not want to go to Nineveh, the enemy city of the enemy, is understandable.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Jonah's conversation with God is characteristic of a joke-like atmosphere.


In addition to Tarshish in Jonah, Ninevah and Joppa are place names from other Bibles. Nineveh, now known as the Iraqi city of Nineveh, is a city that was destroyed after the destruction of Nahum by the prophets of Nahum, 1)) And Joppa is also the place where Peter dreamed of going to visit Cornelius (this is something you can quickly see on the internet).


Then it is important that what the somewhat unusual "Jonah" Scripture is trying to say. What miracles in the prophecies of Israel's destruction of the hostile city of thousands of years ago meant to me today? That's because neither Jonah nor Nahum is so important. If you can not read my story today, it's just a funny and famous Bible story.


However, the words of this Jonah have important meaning to us today. Because Jonah believes in God today, we also have a heart like Jonah. It is because we have a lot of unfriendly minds about people who live a life contrary to God's righteousness in the mind of man. It is hard for us today to tolerate those who oppose faith, just as Jonah was not going to save Nineveh, the capital of Assyria, the enemy of his nation, Israel.


In this way, we can easily say that Jonah disobeyed God was a mind that could be convincing for us to be an example of Jonah's character or simply the obedience to God's Word. The last thing God said to Jonah is that there are many people in Nineveh and that God is worthy of them. If someone else says, 'God has a lot of love,' God says that He saves people I hate It is a Bible that allows us to consider whether we can tolerate what we are doing so easily.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야고보서를 마치며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야고보서 Date : 2017. 3. 27. 07:33 Writer : 김홍덕

‘야고보서’ 하면, 우리는 일반적으로 <행함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는 것이 떠오릅니다. 그리고는 ‘<행함으로는 의롭게 될 수 없다.>는 로마서와 상충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야고보서나 로마서는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께서 심령에 거하시는 사람의 삶이 어떤 것인지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로마서는 믿음, 곧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 있어야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시는 것이지, 믿음이 없는데 행함만으로 의롭게 된다는 것이 아니라는 말씀을 하고 있고, 야고보서는 행함이 있다는 것은 그 안에 그 행함을 이끌어내는 혹은 표현하는 하나님의 의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이라는 존재가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표현하시기 위한 존재로 지음을 받았고, 하나님께서 사람 안에 거하시고, 생명이 되시니, 그 생명이 육신의 삶으로 표현되는 것임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의(내용)가 되시고 사람은 그 의를 표현하는 형식 곧 행하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 앞에서 선한 행동을 하면 하나님께서 자신을 의롭게 여기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것이 율법주의인데 바울 사도는 이것을 경계했습니다. 하나님께서 의로 여기시는 것은 행동이 아니라 행동하게 하는 의로움이라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반대로 야고보 사도는 행동이라는 것은 당연히 그 행동을 이끄는 믿음이 있다는 것이므로 행함이 없는 것은 영혼 없는 것과 같이 죽은 것이라고 말씀을 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일면 상충되게 보이는 로마서나 야고보서는 같은 의를 전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사람들이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관점, 자기의 의와 주장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하다가 보니 이 두 성경이 다른 것이 아닌가 생각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성경의 모든 말씀이 하나님께서 본질이고 내용이 되시고, 사람은 그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창조된 존재라는 이것만 분명하게 알면, 행함으로 의롭게 되지 않는다는 것도 맞고, 행함 없는 믿음이 죽은 것이라는 것 역시 맞을 뿐 아니라 그 둘은 같은 말씀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야고보 사도가 시험이나, 또 말에 대하여, 또한 간음이나 서로 비방하는 것과 같은 것에 대하여 다양한 말씀을 하였지만 그 모든 것은 결국 “너희 안에 온전한 그리스도의 영이 있으며 된다.”는 말씀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오늘날도 같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의가 자기 안에 있으면 성경의 모든 것이 다 자기 행동으로 또한 삶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것을 의심하고 있다는 것은 단적으로 자기 안에 온전한 하나님의 의가 없다는 것입니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이 땅에 오신 예수님으로부터 그 예수님의 모습이 자기 안에 이미지로 들어와서 마음에 심기고 그것이 생명이 되어 복음을 위하여 목숨을 받친 많은 사도들과 믿음의 선진들이 하나님의 의가 자기 안에 있으니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살게 되었다는 것을 증거하고 있음에도 ‘어떻게 믿음만 있으면 다 된다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나, ‘그러면 예수만 믿으면 세상 막 살아도 된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는 것은 다 자기 안에 그리스도의 심령이 없다는 것을 자백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의 모든 말씀을 대할 때에, ‘이렇게 하라는 것’으로 여기는 사람은 성경을 잘못본 것입니다. 아이에게 공부하라고 말하는 부모가 바라는 것은 아이가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함입니다. 성경의 모든 말씀도 그 행함이 목적이 아닙니다. 육신의 모든 삶이 그런 행동으로 관철되게 하는 심령을 가진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런 사람이 되는 것이 지혜고 믿음입니다. 반대로 그렇지 않는 것이 간음과 죄가 되는 것입니다. 자기 짝이 아닌 것과 하나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은 하나님의 의가 그 안에 있어 그 하나님의 의가 육신으로 나타내는 것이 그 존재의 목적입니다. 그 목적대로 살면 성경의 모든 것이 다 지켜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의가 아닌 다른 것이 자기 안에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은 목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기 짝이 아닌 것과 하나 되니 간음이고, 자기 존재 목적의 자리를 떠났기에 죄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 상태인 사람들이 하는 말이 자신을 불사른다는 것이고, 또 다른 사람을 비방하는 것입니다.


이 야고보서는 행동이 있어야 온전한 믿음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밥 퍼주고 봉사하고 기부하라는 것이 본질이 아닙니다. 이 말씀은 그럴 수 있는 생명을 가진 사람이 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생명이 있는 사람들의 모습과 그렇지 않은 모습을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서를 대한다는 것은 행함이 중요하다 여기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행함을 이끌어내는 내용이 있는, 즉 하나님의 의가 자기 본질과 내용과 목적이 되는 삶이되는 것을 아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After completing the book of James


When we say "James," we generally come up with the idea that faith without work is dead. And I think that 'can not be justified by doing' conflicts with Romans? ' But James and Romans are telling the same story.


Every Bible tells us what life is like in God's spirit. Romans says that faith, the righteousness of God, must be in man, that God is righteous, not faithful, but that it is not justified by works, and that James is acting is the righteousness of God, It is said that it is because.


This means that the being of man is created by God to express that character, that God dwells in man and is life, and that life is represented by the life of the flesh. It is God's righteousness, and man is the form of his righteousness.


But some people think that if they do good in front of God, God will take them for granted. This is legalism, but Paul apologized. He emphasized that what God considers righteous is righteousness, not action. On the contrary, the apostle James said that the act is, of course, the belief that leads to the act, so that without practice, it is dead like a soul.


Therefore, Romans and James, which seem to be contradictory, convey the same righteousness. However, when people are living a faith life with the view that they think is right, their righteousness and their claim, they think that these two Bibles are different. Not only is it true that all the words of the Bible are not justified by works if God is the essence and content of man, and that man is created to express it, that righteousness is dead, Is the same word.


James has spoken a variety of things about temptation, words, and adultery, and vice verses, but all that is saying is, "There is a whole spirit of Christ in you." This is the same today. When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Himself, everything in the Bible is manifested in His actions and lives. To be suspicious of this is simply that there is no perfect righteousness in God.


The righteousness of God is in him, the apostles and believers of the faith who have come into the image of Jesus in the image of Jesus from the coming of Jesus into the flesh, Even if you testify that you have lived a life like Christ, you are asking, 'How can it be that you have faith alone?' Or 'Are you saying that if you believe in Jesus, you can live in the world?' It is to confess things.


Therefore, when you deal with all the words of the Bible, those who regard it as 'to do this' have mistaken the Bible. Parents who tell their child to study are not looking for a child to sit at a desk, but to be a good person. Not every word of the Bible is the purpose of that act. It is to be a person with a spirit that allows all life in the body to be carried out by such action.


It is wisdom and faith to be such a person. On the contrary, if not, it is adultery and sin. It is because it is united with what is not a partner. In other words, man is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m, and the righteousness of his God is the purpose of his being in the flesh. If you live according to that purpose, everything in the Bible is kept.


But what is not in God's righteousness is in him because God is not the purpose of man. That is why one is not one's partner, one is adultery, and sinful because he has left his place of purpose. The words of those who are in such a state are that they are burning themselves, and they are slandering another person.


This James says that action requires complete faith. It is not the essence of serving and giving donations. This is to be a person with a life that can be. And I am talking about those who have life and what they are not. Therefore, acceptance of the book of James is not to b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practice, but to know that there is content that leads to action, that is, the righteousness of God becomes a life of self-essence, content and purpos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예수님께서 중풍병자를 고치실 때에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라고 말씀하시므로 바리새인들이 크게 비난한 일이 있습니다.(마 9장) 그때 바리새인들이 분노한 것은 다름이 아니라 사람이 죄를 사한다고 말을 한다는 것 때문이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사람은 사람의 죄를 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에게 죄 사함을 받으라고 설교하고 전하지만 전하고 있는 자신이 죄를 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믿으면 죄가 사하여진다고 할 뿐입니다.


물론 천주교에서는 고해성사를 할 때 죄 사함 받는 조건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가서 주기도문을 몇 번 외우시오!”와 같은 해법을 준다는 것이 그것인데, 이것은 아예 사람이 죄를 사할 수 없다고 여기는 것 보다 더 큰 오류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의 행위를 보고 죄를 사하시는 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존재의 하나님, 즉 ‘관계가 어떻게 되느냐’를 보시지 ‘무엇을 했느냐’나 ‘무엇을 드렸느냐’로 판단하시는 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하나님을 잘못 알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야고보 사도는 형제가 미혹한 중에서 돌이키게 하면 그것은 구원하고 죄를 사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너희가 알 것은 죄인을 미혹한 길에서 돌아서게 하는 자가 그 영혼을 사망에서 구원하며 허다한 죄를 덮을 것이니라(약 5:20)

야고보 사도가 형제라고 말한 사람들 중에서 어떤 이가 진리에서 떠난 다른 사람을 돌이키게 하면 그것은 곧 진리에서 떠난 사람을 구원하는 것이고 또 죄를 사하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진리를 떠났다고 하는 것은 진리 가운데 있다가 떠났다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찾아 헤매고 돌아다니는 사람, 혹은 진리를 찾는 것에 실수(잘 찾지 못하는)를 한 사람이라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진리를 찾아 헤매는 사람들에게 진리가 무엇인지 알게 하는 것이 바로 구원을 주는 것이고 죄를 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찾는 진리는 결국 자기 삶의 목적과 의미입니다. 사람에게 자기 존재의 목적과 의미를 알게 하는 것이 구원이고 죄를 사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따지고 보면 죄라는 것이 자기 자리를 떠난 것인데 그 자리를 회복시키는 것이 죄를 사한다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리고 자기 자리를 떠났다는 것은 그 자리를 정한 하나님이 보실 때는 죽은 자리이기에 그 자리를 회복하는 것이 구원인 것입니다.


문제는 어떻게 진리를 알게 할 것이냐는 것입니다. 여기에 야고보 사도가 야고보서를 기록한 이유가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행함 없이 말로만 진리를 전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즉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몸소 지심으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보이신 것과 같이 육신의 행함으로 진리를 전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 때 사람의 죄를 사하고 구원을 얻게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행함은 배고픈 사람에게 밥을 주고, 아픈 사람 간호해주는 것과 같은 행위 자체가 아니라, 자기 안에 하나님의 의가 있어서 그 의가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이 내재된 육신이 그 생명대로 사는 행함, 즉 본능으로 인한 삶을 사는 것을 말합니다. 그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행동)이 되어 살아갈 뿐인데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보고서 ‘저것이 인생의 존재 목적이구나!’, ‘저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원하신 모습이구나!’, ‘저것이 바로 하나님의 영이 나타난 아들의 모습이구나!’라고 깨닫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것을 본 사람 안에 들어간 하나님 아들의 삶을 사는 사람의 모습이 성령의 도우심으로 다시 생명이 되어서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자기 삶의 목적과 의미가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실 때의 목적으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구원이고 죄 사함인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십자가가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십자가에 달리신 주님,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다보니 그 육신이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데 드려지더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십자가에 육신을 드렸더니 사람들이 그 모습을 보고 하나님의 아들이 어떤 존재인지 알게 되고, 십자가에 달라신 예수님을 본 사람들이 예수님의 모습을 인하여 자기 삶의 목적이 하나님께 있고, 하나님의 성품과 영광을 나타내는 것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더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죄사함이고 구원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의 죄를 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말로서 성경 말씀을 전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행함 없이는 아무 것도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많은 사도들이 자기 방에 앉아서 복음을 전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의 육신이 수고하는 행함이 있었기에 복음이 전해진 것입니다. 그들이 복음을 전한 행함은 어떤 상급 때문이나, 그렇게 해야 한다는 의무감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이 자기 안에서 생명이 되니 그 본성에 이끌린 것이라는 것입니다. 즉 복음을 전하고, 하나님의 의와 말씀을 육신으로 살아내는 것이 자기 본성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시는 행함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는 믿음의 행함은 사람을 구원하고 죄를 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아니 그것이 믿음의 본질이기도 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사람의 정체성에 관한 것 뿐 아니라 사람이 행위로 죄를 범하는 것, 즉 하나님의 의를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부족함을 돌이키는 것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말씀입니다. 사람이 사람의 잘못을 보고 ‘그러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은 쉽지만, 잘못한 사람이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돌이킬 수 있는 본이 되는 것은 아주 어려운 것입니다. 하지만 야고보 사도가 말씀하고 있는 믿음의 행함은 또한 그것을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ames 5: 19-20) The act of faith to forgive sin


When Jesus healed the paralytic, he spoke highly of the Pharisees, saying, "Your sins are forgiven" (Matthew 9). The Pharisees at that time were not angry but said that man bought his sin It was because. In other words, one can not forgive man's sin. This is still the case today. I preach to people to receive forgiveness of sins, but I am telling them that if they believe in Jesus, they will forgive their sins.


Of course, Catholicism also suggests the conditions for the remission of sins when doing confession. That is to say, "Go and memorize the Lord's Prayer a few times!", Which is a bigger mistake than to think that man can not sin. God is not the one who sees man's deeds and forgives sins. This is because God is not the one who judges the God of existence, what is the relationship, what he has done, what he has given. In other words, we know God wrongly.


But the apostle James tells us that if a brother turns away from his deceit, it saves and forgives sins.

let him know that he who turns a sinner from the error of his way will save a soul from death and cover a multitude of sins. (James 5:20)

James says that if one of the people who said that the apostle was a brother turned away from another who had left the truth, it would save the person who had left the truth and that he would forgive sin.


To leave the truth is not the fact that it has been left in the truth, but that it means a person who wanders around searching for the truth, or who made a mistake (not sure) in finding the truth. In other words, it is salvation and forgiveness for those who seek to find truth to know what truth is.


And the truth that people seek is ultimately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ir lives. It is salvation for man to know the purpose and meaning of self-existence, and to buy sins. If you look at it, it means that sin has left your place, and restoring the place is a reasonable reason to buy sins. It is the salvation that restores the place because it is a dead place when God who sees the place sees that it has left his place.


The question is how to know the truth. There may be a reason why James wrote the account of James. It is to say that it is not merely conveying truth in words without action. In other words, Jesus must show the truth through the works of the flesh, just as He showed that He is the Son of God with the cross. When you do that, you will save people's sins and get salvation.


And the act is not the act of giving food to the hungry person, nursing the sick, but the righteousness of God in Himself, so that the righteousness of Him is the life in which the body is born, It is living a life. He is the only one who lives the Word of God as a flesh, and when others see it, "That is the purpose of life!", "That is the way God wanted a man!", It is the appearance of the Son of the Spirit of God! '


So the image of a person who lives in the life of the Son of God who has entered into the person who saw it, becomes a life again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restoring the identity of his being and returning to the purpose of his life I will. That is salvation and forgiveness of sins. And that was the cross of Jesus.


The Lord who is crucified, the Word of God being flesh, is that the flesh is revealed to show the righteousness of God. So, when they saw the image of the cross, they saw that the Son of God was there, and those who saw Him who was crucified showed Himself the purpose of His life, God's character and glory And that they are in a state of being. That is forgiveness of sins and salvation.


Therefore, anyone can forgive another's sins. It is not just to say the Bible in words. It is nothing without action. Many apostles did not sit in their rooms and preach the gospel. The gospel was delivered because there was a practice of their flesh. The way they preached the gospel is not due to any reward, but a sense of duty to do so, but the Word of God is life in itself and is drawn to its nature. In other words, it is self-nature to spread the gospel and live the righteousness and the Word of God in the flesh. That is what the apostle James says. Therefore, the works of faith, as James's apostle speaks, can save man and save sins. No, it is also the essence of faith.


And it is equally applicable not only to the identity of a person, but also to the reversal of the shortcomings of man sinning by works, that is, not expressing God's righteousness. It is easy for a person to say, "You should not do it" when you see a person's fault,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a person who has been wronged to become an example of how you can turn your own mistakes. But the act of faith, as James's apostle speaks, is also speaking of it.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