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요나 1:17-2:9) 요나의 기도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요나 Date : 2017. 4. 5. 15:50 Writer : 김홍덕

하나님께서는 바다에 빠진 요나를 큰 물고기를 보내서 구하십니다. 근데 이것은 어떻게 보면 구한 것인지 어떤 것인지 애매하게 보일지 모릅니다. 물고기가 요나를 삼켰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요나는 그 물고기 뱃속에서 하나님께 기도합니다. 삼일 동안. 이것이 요나의 표적 혹은 기적입니다.


잠깐 이것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사람을 삼킬만한 물고기라면 고래나 큰 상어 정도일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사람, 또 성경의 내용이 사실적으로 일어난 일이라는 것을 믿는 것이 믿음이라는 사람들에게는 큰 물고기가 무엇인지 중요할 것입니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그런 사례가 있었다는 것을 가져와서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셨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그런 모든 시도는 절대적인 단 하나의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은 오늘 나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만민을 위한 성경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하면 하나님의 능력이 그렇다는 것이라고 말하겠지만, 앞선 글에서 말씀드렸듯이 하나님은 우리 육신이 눈으로 보고, 몸으로 겪는 삶에 대하여 기적이나 복을 주시기 위하여 우리를 부르신 것이 아닙니다. 


눈에 보이는 것을 믿는 신앙이 바로 하나님의 낯을 피한 신앙입니다. 그런 신앙은 다 소유와 공로의 신앙입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나타난 것이고, 하나님은 그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목적인 분입니다. 그리고 그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고, 사람을 지으신 하나님의 창조 목적입니다. 그리고 사람이 그 하나님의 목적을 자기 삶의 목적과 의미로 받느냐 아니냐가 신앙의 본 모습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요나가 큰 물고기 뱃속에서 삼일동안 기도하니 하나님께서 물고기가 요나를 육지에 토해내도록 하셨습니다. 바다에 빠지기 전 요나는 자신이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큰 풍랑이 일어났으니 자신을 바다에 던지라고 하였습니다. 즉 하나님의 낯을 피한 자에게 어울리는 자리는 바다 곧 세상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피했다는 것은 곧 세상에 속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요나의 고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믿고서 구원을 받으려면 반드시 우리의 죄를 시인하고 자백하여야 하는 것은 다 아는 사실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죄를 자백하라고 하니, 자신이 행동으로 지은 죄를 자백합니다. 그러다보니 여러 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예수님은 2,000년 전에 십자가에서 우리 죄를 대속했는데, 2,000년이 지난 지금 우리가 살 것을 미리 알고, 또 우리가 무슨 죄를 지을지 다 알았다는 말인가?” 하는 뭔가 답하기 곤란한 질문이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것에 대하여 ‘그렇다’고 답하는 교역자들에게 고개를 갸우뚱거리면 ‘보지 않고 믿는 것이 믿음’이라는 답을 듣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 앞에서 자백해야 하는 죄는 다른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낯 곧 하나님의 정체성을 외면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 하나님을 믿었다는 것을 자백하는 것입니다. 요나가 하나님을 거역한 것은 행동이지만, 그 행동을 이끌어낸 요나의 마음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요나가 하나님의 낯을 피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마주하지 않겠다는 마음이 요나가 보인 불순종의 본질인 것입니다.


이는 우리 모든 사람이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분명히 행동으로 많은 죄를 짓습니다. 그 범죄의 모양이나 형태는 참으로 다양합니다. 하지만 그 모든 범죄, 행동으로 범하는 죄를 짓게 하는 단 하나의 원인이 있습니다. 그 원인이 모든 범죄의 원인이고, 모든 다툼의 이유이고, 모든 갈등의 본질입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너는 악하고 나는 선하다’는 주장으로 인한 것입니다.


사람이 짓는 모든 죄와 사람 사회에 있는 모든 갈등의 원인은 오직 이것 하나입니다. ‘너는 악하고 나는 선하다’는 것, ‘너는 틀렸고 나의 생각이 맞다’는 것, ‘네가 하는 대로 하면 안 되고 내가 하자고 하는 대로 해야 한다’는 것 그것 하나로 인한 것입니다. 여기에 우리의 죄가 있습니다. 상대가 악하고 나는 선하다는 것 사이에는 기준이 있습니다. 바로 선과 악에 대하여 구분하는 기준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사람 스스로 가졌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선악과를 먹은 것입니다.


문제는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기대하시는 것은 사람이 스스로 선과 악을 구분하는 존재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선하게 여기시는 것을 자기 삶의 목적으로 순종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이 자기가 선과 악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서 하나님과 같이 되어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삶의 일과, 자신이 만들지 않은 다른 사람과 세상을 판단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 마음을 가지고서는 하나님을 낯을 대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선악과를 먹은 아담의 행동에서도 나타납니다. 아담이 선악과를 먹은 것은 행동이라서 죄는 행동으로 범하는 것 같지만, 그 본질은 하나님과 같이 되려고 한 마음이 선악과를 먹게 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먹고 보니 정말로 눈이 밝아져서 모든 일에 ‘이렇게 해야 한다, 저렇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게 된 사람은 하나님의 낯을 대할 수는 없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아담도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숨었던 것입니다.


그와 같이 요나도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도망을 갔습니다. 니느웨를 구하라는 하나님의 뜻보다는 자신이 가진 의가 더 의롭다고 생각했기에 하나님의 명을 거역한 것입니다. 요나에게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없는데 하나님을 거역할 이유는 없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명을 거역한다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내 뜻대로’하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죄입니다. 요나가 고백한 것은 바로 이 죄를 고백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죄를 범한 사람은 세상의 가치관에 속한 사람이기에 바다에 던지라고 한 것입니다. 자기 성찰은 분명했습니다.


그 요나를 하나님께서 물고기를 보내서 구원하셨다는 것입니다. 자기 정체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고백이 있는 사람은 세상에 던져졌다고 해도 하나님께서 구원하신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 요나가 물고기에게 삼켜진 사건의 본질적 내용인 것입니다. 이는 우리 모든 사람이 성경 요나를 읽고서 하나님 앞에서 발견해야하는 우리의 모습인 것입니다.


요나의 기도 역시 그것입니다. 요나는 뱃사람들에게 자신을 바다에 던지라고 했으나, 기도할 때는 ‘주께서 나를 깊은 바다 가운데 던지셨다’고 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낯을 피한 사람이 바다 같은 세상에 속하게 되는 것은 하나님의 법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는 것은 하나님에 의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요나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그렇게 하심이 합당하고, 주의 전에서 쫓겨나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바다와 같은 세상은 피곤해서 하나님께 기도하였더니 성전에 기도가 상납되더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 거짓되고 헛된 것을 구하는 것은 하나님이 주신 은혜를 버리는 것이라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다름이 아니라 존재하지 않았을 우리를 하나님의 형상을 표현할 존재로 지었다는 것이 은혜인데, 그 은혜를 저버리는 것이 바로 거짓되고 헛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자기 옳다고 생각하는 대로 가는 것이 바로 거짓되고 헛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요나는 자기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분명하게 알았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낯을 피했다고, 하나님의 의를 떠나서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대로 갔다는 것을 고백했습니다. 그랬더니 하나님께서 다시 육지로 보내주셨다는 것입니다. 그 회개의 시간, 요나가 온전히 자기 정체성을 회복한 시간이 사흘이라고 했습니다.


사흘, 곧 “3”은 하나님의 수입니다. 삼위일체가 그렇고, 아브라함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사자가 3명이었던 것이 그렇습니다. 즉 요나가 물고기 뱃속에서 3일 있었다는 것은 사람이 물고기 뱃속에 들어가도 3일은 견딜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경륜의 시간을 보냈다는 것입니다. 바울이 아라비아에서 3년의 세월을 보낸 것과 같이 말입니다.


이는 우리가 하나님의 정체성을 떠나서 다시 회복하는 여정은 하나님의 여정, 곧 하나님이 정하신 여정을 거쳐내어야 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은 어떤 이들에게는 알리고리칼한 이야기일지 모릅니다. 이 사흘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요나의 기도는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행동으로 지은 것을 회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낯, 곧 하나님의 정체성을 떠난 것을 회개하는 여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이신 것이라는 것은 오늘 우리의 이야기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래야 땅에 올라설 수 있으니 말입니다. 흙으로 지어진 인간이 땅에 올라선다는 것은 자기 자리를 회복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onah 1: 17-2: 9) The prayer of Jonah


God sends a great fish to Jonah, who is in the sea. But this may seem ambiguous as to how you saved it. The fish swallowed Jonah. And Jonah prays to God in the belly of that fish. For three days. This is the sign or miracle of Jonah.


Let me talk about this for a moment. If it is a fish that can be devoured, it will be a whale or a big shark. So it will be important for those who want to prove the Bible scientifically, and believe that the Bible's content is factual, what a big fish is. So I claim that there was such an example in history and that God would have done it.


But every such attempt has an absolute single problem. That is not what happens to me today. I can not prove that it is a Bible for all people. This is to say that the power of God is true, but as I said in the preceding article, God did not call us to give miracles or blessings to our physical bodies and to the lives that we experience through our bodies.


Faith that believes what is visible is faith that avoided the face of God. Such faith is the faith of all possessions and merits. What is visible is something that is invisible, and God is the object that is invisible to the eye. And what is invisibl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the purpose of God's creation of man. And whether or not a person receives the purpose of God in the purpose and meaning of his life is the image of faith.


Then Jonah prayed for three days in the belly of the great fish, and God let the fish spew Jonah on the land. Before falling into the sea, Jonah told her to avoid herself and to throw herself into the sea because a great storm arose. In other words, it is the sea, the world, that is suitable for those who avoid God. To avoid God is to belong to the world. This is Jonah's confession.


If we believe in God and be saved, we must know and confess our sins. Many people confess their sins and confess their sins. Then there are various problems. "It is a question that is difficult to answer," Jesus said, "We have redeemed our sins on the cross 2,000 years ago, 2,000 years ago, and now we know what we are going to live." If you are confused with the clergy who say yes to this, you will hear the answer, "Believing to believe without seeing."


But the sin we must confess before God is no different. We confess that we have ignored the identity of God, the identity of God, and believed in God as we thought. What Jonah rebelled against God was action, but Jonah's heart led to his action. It is that Jonah has fled from God. The heart of not facing God is the nature of disobedience that Jonah saw.


This is the same for all of us. People obviously commit a lot of sin with their actions. The shape and form of the crime varies tremendously. But there is only one reason for all of these crimes to commit sin. The cause is the cause of all crime, the reason for all contention, and the nature of all conflict. It is not the difference, but the claim that you are evil and I am good.


It is only one of all the sins that man makes and all the conflicts in man's society. 'You are evil and I am good', 'You are wrong and my mind is right', 'You should not do what you do and you should do whatever I want'. Here is our sin. There is a standard between the opponent is evil and I am good. That is, there is a criterion that distinguishes between good and evil. It is the person who has it. That is what I ate the good and the bad.


The problem is that God does not expect man to be a person who distinguishes between good and evil, but obeys God's good for the purpose of his life. However, a person is trying to judge the work of life that he or she does not choose with the standard of good and evil, like God, and the other person and the world that he did not make. With that kind of mind, you can not feel like God.


This is also manifested in Adam's actions in eating good and evil. It is an act that Adam ate the fruit of the good and evil, so that sin is committed by action, but the essence is that a heart that is made to be like God has eaten it. And when I ate it, I realized that it was really possible to claim that it should be "this way, I should do it" in all things. But those who did so were not able to deal with God's face. So Adam also hid from God's face.


Likewise, Jonah fled from the face of God. It is a rebellion against God's command because he thought that his righteousness is more righteous than God's will to save Nineveh. There is no reason for Jonah to rebel against God because he does not think he is right. It is no different to rebel against God's command. I will do it according to my will. This is sin. Jonah confessed this sin. And the person who committed such a sin is a person belonging to the value of the world, so it is said to throw in the sea. Self-reflection was obvious.


That Jonah sent the fish to save God. It is the intrinsic content of the event that Jonah was swallowed up by the fish, to say that God is willing to be saved even if he is thrown into the world. It is our appearance that all of us must read the Bible Jonah and find it before God.


Jonah's prayer is that too. Jonah told the sailors to throw himself into the sea, but when he prayed, he said, 'The Lord threw me into the deep sea.' In other words, it is the law of God that a person who has escaped the face of God belongs to a world like the sea. It is by God. And Jonah is praying that God will do it for Himself, even if it is expelled from Him.


The world like the sea was tired and prayed to God, and prayer was paid to the temple. And I confess that it is to abandon God's grace to ask for all these things and false and vain things. The grace of God is not the difference, but grace that made us exist as an expression of God's image, that is, it is false and in vain to forsake the grace. It is a lie and a vain thing to go as a person thinks he is right.


Jonah clearly understood what he had done wrong. He confessed that he had escaped God's face and left God's righteousness and went as he thought he was right. Then God sent us back to the land. The time of the repentance, Jonah said, was three days when he fully regained his identity.


Three days, "3" is the number of God. It is true that the Trinity, and the three angels of God who appeared to Abraham. In other words, Jonah had three days in the belly of a fish, not that he could endure three days even if he entered the belly of a fish, but he spent the time of God's economy. Just as Paul spent three years in Arabia.


This means that we must leave God's identity and restore it again through the journey of God, the journey of God. This may be a story of Ali Golgi for some. It is possible that these three days may not make sense. But it must be our story today that Jonah's prayer is not to repent of man's actions in the sight of God, but to show that there must be a journey to repent of God's being, the identity of God. Because it can rise to the ground. It is because the earthly man ascends to the ground because he restored his place.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세상을 바꾸려면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7. 4. 4. 14:37 Writer : 김홍덕

많은 신앙인들은 신앙으로 세상을 바꾸려고 합니다. 심지어 정당을 만들기도 하고, 목사가 정당의 개혁을 맡기도 합니다. 의아한 것은 크게 진보와 보수로 나눌 때 양쪽 모두 하나님의 이름으로 뭔가를 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한정된 서울대 입시에 많은 종교의 신앙인들이 자기 자녀의 합격을 기도하는 것과 같이 말입니다. 


정치적으로 격변하는 한국의 상황뿐 아니라 세상의 많은 문제들을 성경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그 기대를 믿음으로, 다시 그 믿음으로 변화를 일으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그런 노력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따지고 들자면 중세 이전부터, 아니 예수님의 때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아직 세상은 여상합니다. 아직도 세상이 바뀌어야 한다는 소리가 그치지 않았으니 말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도 정치적인 성향이 있고, 사회 문제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것에 하나님께서 역사해주시기를 바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 모릅니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분명히 할 것이 있습니다. 나의 바람을 하나님께서 이루어주시기를 바라는 것인지, 아니면 하나님께서 세상을 경영하시는 그 경영함에 자신이 순종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쉽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가 바라보는 관점이 하나님의 이름으로 관철되기를 바랍니다. 보수적인 정치 성향을 가진 사람은 정치가 보수적이기를 바라면 하나님께 기도하고,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 또한 자기가 바라는 대로 사회가 진보적이길 바라면서 하나님께 기도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양쪽 모두 하나님을 자기 뜻을 이루는 도깨비 방망이로 볼 뿐이 하나님께 순종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바뀔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세상이 바뀌어야 하느냐 하면 각 개인의 세상이 바뀔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 목적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오시므로 사람들에게 눈에 보이는 세상이 아닌 하나님의 세계가 열리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창세기가 말씀하시는 세계는 다름이 아니라 “하나님의 세계”이기 때문입니다. 즉 각 사람에게 하나님의 세계가 열리면, 그 하나님의 법과 의로 살게 될 것이고, 그런 사람들이 모이면 세상은 바뀌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세상은 그렇게 바뀌면 바뀌겠지만 다르게는 절대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가진 기준과 의는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성경 사사기를 지나면서 하나님께서는 왕을 바라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바람을 못 마땅하게 여기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왕을 세우는 것을 기뻐하지 않으신 것은 사람들의 문제는 왕이 없어서가 아니라, 각 사람이 자신을 다스리는 왕이 되지 못해서라는 것을 알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왕이 되고, 그런 사람들이 모인다면 따로 왕이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왕을 지나서 제도적으로 대표자를 뽑고 정치를 만들었습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문제를 자기 밖에서 해결하려는 것입니다. 자기 밖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을 본질로 보는 안목을 인함입니다.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나타난 것인데, 그 보이지 않는 것이 근원이라 여긴다면 자기 자신도 돌아보아서 자기 안에 있는 것을 바꾸면 겉도 바뀐다는 것을 알 텐데 그것을 외면하니 자기 밖의 세상이 바뀌면 세상이 바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세상을 이기었노라’하신 것을 생각해 봅시다. 예수님은 세상의 권세에 의하여 죄인이 되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는데 왜 세상을 이겼다고 하셨을까요? 십자가에 달려서 고통 중에 “다 이루었다고”고 하신 것도 그렇습니다. 물론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부활하셨기에 이긴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시기 위하여 죽으신 것이 아니라, 세상의 권세에 의하여 죽임을 당했기에 부활하신 것입니다. 죽지 않았다면 부활이 뭔 소용이겠습니까?


예수님의 이김과 다 이루심은 세상의 변화가 아닙니다. 설사 예수님이 부활하심이 이기심이라고 쳐도, 그 뒤로도 사람들은 단 한 순간도 예외 없이 세상은 바뀌어야 한다는 세대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그렇게 본다면 예수님이 세상을 바꾸시는 것은 대 실패입니다. 최소한 고객 만족은 못 이루신 것입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세상이 바뀌길 기도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생각해보면 사람들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세상이 바뀌길 기도하는 것은 참 아이러니 한 것입니다. 그것은 “예수님 당신이 와서 십자가에 달렸지만 세상은 바뀌지 않았으니, 지금이라도 뭐 어떻게 좀 해 보지?”라는 요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세상을 이기신 것과 다 이루신 것이 자기 믿음이라면 이제 와서 다시 예수님의 이름으로 또 신앙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꾸어 달라고 하는 것을 ‘예수! 당신은 실패했구만, 다시 해 보지?’가 아니면 어떻게 봐야하겠습니까? 


세상은 절대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온전하시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 세상이 하나님이 실수하시는 것이 아닌 다음에서야 항상 같을 것입니다. 다만 바뀌어야 하는 것은 세상을 보는 사람들의 안목 그것이 바뀌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 안목이 바뀐다는 것은 자기 세상이 바뀌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모이면 그 주변의 세상은 바뀔 것입니다. 그런 변화는 세상의 풍조와 시대의 흐름에 무관할 것입니다. 어떤 상황이라도 그런 변화는 늘 있고 힘이 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예수님이 이기신 이김이기 때문입니다.


“어둠은 물러가라고 외쳐서 물러가는 것이 아니라, 작은 한 줄기 빛이 있으면 물러가는 것”이라 했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신앙이 온전히 사람 안에 있으면 각 사람의 안목이 바뀔 것입니다. 안목이 바뀌면 그 사람의 세상이 바뀐 것입니다. 그렇게 세상이 바뀐 사람이 모이면 세상은 바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세상이 온전한 것은 그렇게 하나님이 바라시는 대로 자기의 안목이 바뀌는 사람은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늘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게 하나님께서 세상을 만드신 목적이니까…



(Translation by Google)


To change the world...


Many believers seek to change the world through faith. He even creates political parties, and the pastor is responsible for political party reform. I am wondering that when we share progress and reward, both of us are trying to do something in God's name. Just as a lot of religious believers pray for their children 's accepta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hoping that the Bible will be able to solve many problems in the world, not only in the politically catastrophic situation in Korea, but also in believing that expectation and trying to make a difference with that faith again. However, such an effort is not the story of today yesterday. It is from the pre-medieval times, not at the time of Jesus. But the world is still worse. It still does not stop the world from changing.


People who believe in God are politically inclined and interested in social issues, so it may be natural to expect God to work on them. But there is definitely something to be done here. My desire is for God to fulfill my breeze, or whether God will obey his own management of the world.


Unfortunately, most people want their viewpoint to be seen in the name of God. A person with a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is to pray to God if he wants the politics to be conservative, and also to those who have a progressive tendency and pray for God as hoping that society is progressive. But this is not to obey God, both of which see God as a goblin of his own will.


Nevertheless, the world needs to change. What world needs to be changed requires each individual's world to change. This is also the purpose Jesus came to the earth. This is because Jesus came and opened the world of God, not the visible world to people. The world that Genesis speaks is not "different" but "God's world". That is, when each person opens the world of God, he will live with the law and righteousness of the God, and when such people gather, the world will change. The world will change if it changes, but it will never change otherwis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standard that people have.


Through the Bible, God deserved the wind of the Israelites who desire the king. God did not delight in establishing a king because people know that the problem is not not that there is no king, but that each person can not be king over him. This is because a man becomes a king over himself, and if such people come together, he does not need a king.


However, people went through the king systematically and elected representatives and made politics. It is trying to solve the problem of self-control outside of yourself.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outside of yourself is due to the discerning view of what is visible. Everything that can be seen is something that is not visible, and if you think that the invisible is the source, you will see that if you turn around and change the inside, you change the outside world. It is to think.


Let us consider Jesus 'overcoming the world.' Jesus was a sinner by the power of the world and died on the cross Why did he say that he won the world? It is also true that on the cross, in the midst of suffering, "it is finished". Of course, people say that Jesus won because he was resurrected. However, Jesus did not die to resurrect, but was resurrected because he was killed by the power of the world. If not dead, what would the resurrection be?


The fulfillment of Jesus' victory is not a change of the world. Even if Jesus' resurrection is called selfishness, people have been led to a generation where the world must change without exception for a single moment. If you look at it, it is a great failure for Jesus to change the world. At least, customer satisfaction is not achieved. People are still praying that the world will change.


So it is ironic that people think about the world in the name of Jesus. It can be said, "Jesus, you came and ran on the cross, but the world has not changed, so what do you do now?" If Jesus had overcome the world and it is his faith, come now and ask him to change the world again in the name of Jesus and in terms of faith. How would you look if you did not succeed? '


The world will never change. Because God is perfect. Now this world is not always God's fault, but it will always be the same. The only thing that needs to be changed is that people who see the world must change it. To change that perspective is to change your world. And when those people get together, the world around them will change. Such changes will be irrelevant to the trend of the world and the flow of the times. In any situation, such changes will always be and will be powerful. That's because Jesus is the victor.


"The darkness is not going to shout to go back, but to go away if there is a small one." If faith in God is entirely in people, each person's perspective will change. If you change your mind, that person's world has changed. The world will change if the world changes. And the world is perfect because the person whose eyes change as God wants him to come out yesterday, today or forever. That's why God created the world ...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요나 1:17-2:9) 요나의 표적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요나 Date : 2017. 4. 3. 15:57 Writer : 김홍덕

예수님께 기적을 요구하는 바리새인들에게 예수님은 기적 대신에 <요나의 표적>외에는 보여줄 것이 없다는 말씀을 하십니다.(마 12장, 눅 11장) 이것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시는 사건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이 드러난 사건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따라서 세상에서 유일한 기적은 다름이 아니라 육신을 가진 인생이 하나님의 아들로 거듭나는 것뿐이라는 말씀을 하신 것입니다.


요나가 보여주는 동화 같은 이야기는 단순히 하나님의 명을 어기면 안 된다는 것이나, 또 하나님은 큰 고기를 보내서 요나를 살려주심과 같이 기적으로 통해서 사람을 구하신다는 것이나, 아니면 니느웨의 사람들의 생명을 사랑하신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요나를 통해서 설명하시고자 하는 의(의도)가 표현된 사건, 곧 형식인 것입니다.


요나는 하나님의 명을 거역하고 자기가 뜻한 곳으로 가려고 탄 배는 풍랑을 만났고, 요나로 인한 풍랑임이 드러나자 요나는 바다에 던져졌습니다. 이는 사람이 하나님의 낯, 곧 하나님의 정체성을 피하면 스스로 ‘고난’이라 탄식하는 세상의 가치관에 빠져서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두신 의는 외면하고, 삶 그 자체를 영화롭게 하려고 사는 것이 바로 하나님의 낯을 피한 것입니다.


요나가 바다에 던져지니 하나님께서 큰 물고기를 준비해서 요나를 삼키게 했습니다. 그리고 삼일 만에 거짓말처럼 물고기 뱃속에서 육지로 나와서 다시 니느웨로 가서 하나님이 전하라고 하신 말씀을 전하게 됩니다. 이것이 요나가 체험한 기적인데, 예수님께서는 요나가 물고기 뱃속에서 살아난 것을 예수님이 보이실 유일한 기적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예수님께서 보이신 기적이 그뿐 만은 아니었습니다. 오병이어는 물론이고 죽은 사람을 살려낸 것만 3명인데 그런데 왜 요나의 기적 밖에는 없다고 하셨을까요? 이것은 아주 중요한 예수님의 언급입니다. 그것은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 그것만이 하나님이 보실 때 기적다운 기적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다른 모든 기적들은 그 기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많은 신앙인들은 ‘기적’을 신앙의 아주 중요한 요소로 봅니다. 그래서 심지어 이적의 하나인 ‘방언’을 받지 못하면 구원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을 지경입니다. 그만큼 사람들은 ‘신비한 일=좋은 신앙 or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기적이란 요나의 기적뿐>이라고 하셨습니다.


이것은 많은 기적을 행하신 예수님의 말씀입니다. 다시 말해서 예수님께서 행하신 많은 기적은 결국 요나의 기적에 수렴되는 것, 요나의 기적을 위한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세상에서 어떤 이적이나 기적이나 신비한 일을 경험했거나 또 일으킨다고 해도 요나의 기적을 일으킬 수 없다면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닌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요나의 기적이 가진 본질적인 의미는 무엇일까요? 풍랑 이는 바다에 빠지면 사람이 죽을 수밖에 없는데 사람을 삼킬 만큼 큰 물고기가 와서 요나를 삼키고 삼일이나 뱃속에 있었는데도 죽지 않고 살아난 것이 본질일까요? 아니면 예수님께서 죽은 자 중에서 삼일 만에 살아나신 것이 요나의 기적의 본질일까요? 그것을 사실로 믿어야 하나님을 믿는 것이 된다는 것인가요?


예수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삼일 만에 부활하신 것이 요나의 기적에 비유되는 사실적인 사건인데 그 사건의 본질이 바로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시고 그 일로 인하여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아야 한다고 외치던 사람들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입니다. 즉 <요나의 기적>이라는 기적의 본질은 바로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자기 뜻대로 살던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사람이 스스로 이성이라는 것을 가지고 생각하면서부터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것을 관철시키려 살다가 인생이란 조성하신 이가 있다는 것을 알고 그의 뜻을 자기 존재의 이유와 목적으로 알고 살아가게 되는 것이 바로 사람에게 있어 가장 핵심적인 기적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으로 사는 삶이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의가 삶으로 표현되는 영이 심령 안에 생명이 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 삶이 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기 육신의 삶이 삶의 본질이라 여기기에 하나님께 육신이 필요한 것과 삶이 풍요해지는 것을 복으로 알아 늘 그것을 구합니다. 삶을 사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생각지 않고 삶, 그 자체가 목적이라 여긴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하나님의 낯을 피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 얼굴을 그런 사람들에게는 들지 않으신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람을 지으시고 기대하시고 목적하시는 것이 있는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기름을 넣어주기 위하여 자동차를 산 사람과 같이 인생 자체를 풍족하게 하려고 사람을 사랑하시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바로 그런 사람들, 인생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라 여기며 살며 자기 존재의 목적을 알지 못하고 하나님 주신 인생을 자기 맘대로 살다가 그런 삶이 세상(바다)에 속한 것이라는 것을 알고서 자신을 돌이키는 것, 그래서 하나님께서 그 구원을 베푸시므로 바다에서 살아나게 되는 것 그것이 바로 기적 중의 기적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보실 때 사망 가운데 있다가 하나님이 보실 때 살았다고 할 수 있는 자리로 사람이 그 자리를 옮기는 것, 그것이 요나의 기적이고, 그것이 예수님께서 사람에게 보이시는 유일한 기적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Jonah 1: 17-2: 9) The sign of Jonah


To the Pharisees who ask Jesus for a miracle, Jesus tells them that there is nothing to show but a miracle instead of a sign of Jonah (Matthew 10, Luke 11). This is what Jesus said about the crucifixion . And this is what Jesus said about the event that Jesus was the Son of God. Therefore, the only miracle in the world is not different, but that the life with the flesh is only born again as the Son of God.


The story of Jonah's fairy tale is not merely to break the command of God, but God loves the life of Nineveh, or he saves people through miracles as he sent Jonah to live. Is not. It is an event, or form, in which God's intention is to be explained through Jonah.


When Jonah rebelled against the command of God, and the boat that was about to go to his place met with a storm, and Jonah was revealed to be a storm, Jonah was thrown into the sea. This means that when a person avoids the identity of God, the identity of God, he or she will fall into the values ​​of the world sighing as 'suffering'. It is the folly of God that people turn away from what God has given to man and live to glorify life itself.


Jonah was thrown into the sea, and God prepared a great fish to swallow Jonah. Then, on the third day, like a lie, we come out of the belly to the land, and go to Nineveh and tell the word that God has told me to do. This is the miracle Jonah experienced, and Jesus said that Jesus was the only miracle that Jonah had survived in the belly of the fish.


But when you think about it, it was not the miracle that Jesus showed. Of course, there are only three who saved the dead, but why is it that there are only miracles of Jonah? This is a very important mention of Jesus. It is a miracle-like miracle when man sees God as the Son of God. In other words, all the other miracles are meant to explain the miracle.


Many believers see 'miracles' as a very important element of faith. So there are some who claim that there is no salvation if they do not receive the tongue, which is one of the miracles. People think that 'mysterious work = good faith or God's will'. But Jesus said that miracles are miracles of Jonah.


This is the word of Jesus who performed many miracles. In other words, many of the miracles Jesus has done are meant to converge on Jonah's miracles, miracles of Jonah. Therefore, even if you have experienced any miracle, miracle, or mysterious thing in the world, or if you can not cause miracles of Jonah, it is nothing.


Then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Jonah's miracle? If a man walks in the sea, he will die. Is it true that a fish that was large enough to swallow a man came and swallowed Jonah and was alive for three days, even though he was in the womb? Or is it the nature of Jonah's miracles that Jesus rose from the dead three days? Is it true to believe in God?


The fact that Jesus was resurrected from the dead on the third day is a realistic event compared to Jonah's miracle. The essence of the event is that the people who cried out that Jesus was crucified and that he should crucify Jesus because of it, This is what happens. In other words, the miracle essence of "Miracle of Jonah" is to say that the man who lived by his own will escapes the face of God and becomes the Son of God.


It is the most important miracle for a person to live by knowing that there is a person who has created life and living his life for the reason and purpose of his existence. I will. It is because the life of God's will is the Son of God. This is because the spirit expressed by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life in the soul because the will of God has become a life.


Because many people think that the life of their flesh is the essence of life, they are blessed to know that God needs the flesh and that life is abundant. I do not think there is purpose in life, but life itself, and purpose itself. This, however, is the avoidance of God. God does not lift his face to such people. Because God builds, expects, and has a purpose. God is not loving people to enrich life itself, like those who bought cars to feed oil.


That is the way that life itself is the purpose of life and that we can not know the purpose of our existence and live our life as we wish, and to turn ourselves by knowing that life belongs to the world, It is miraculous in miracles that we are saved from the sea because we are good. It is the miracle of Jonah that man moves to a place where God can see and be seen in the midst of death and live when God sees it, and that is the only miracle that Jesus shows to man.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