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5

약속한 땅에서의 타락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사기 Date : 2017. 4. 18. 11:06 Writer : 김홍덕

신앙에는 좌표 혹은 목적지가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하나님께서 지시할 땅’으로 떠났고, 이스라엘 백성들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약속 받고 그곳을 향하여 갔으며, 사도 바울은 푯대를 향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신앙인들도 신앙의 목적지를 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막힌 목적지를 향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이 바로 ‘구원’에 관한 것인데, 구원 받고서 천국에 가는 것을 신앙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마치 그것이 마지막이고 유일한 목표처럼.


하지만 구원은 신앙의 시작이지 목적지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구원을 신앙의 목적지로 삼다 보니, ‘구원 받고 예수 믿는 사람들의 죄를 어떻게 볼 것인가?’, ‘예수 믿는 사람들은 죄를 짓지 않는가?’와 같은 의문과 반문과 힐문을 듣습니다. 그 상황에서 안타깝게도 명쾌한 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또한 허다한 것도 사실입니다.


이 사사기는 바로 그런 것에 대한 답을 조명해 주기도 합니다. 사사기라는 성경의 배경이 바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약속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것이 그렇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여정이 사람이 하나님께서 정한 자리로 가는 여정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사기의 내용과 같이 ‘약속한 땅’에서의 범죄와 또 구속은 구원 받은 사람들의 범죄와 돌이킴에 관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사람들이 구원을 목적지로 보는 것에 있습니다. 또 한 가지는 역시 기본적으로 성경을 왜곡되게 보는 것, 즉 행위로 구원을 받는다는 것에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행위로 구원 받는 것이 아니라고 말을 하지만, 구원 받은 사람들은 행위를 잘 간수해야 한다고 말은 합니다. 모순입니다. 행위를 잘못하면 구원 받은 삶이 훼손된다면 행위와 구원은 절대적 관계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선 구원이라는 것이 왜 목적지가 아닌지를 생각해 본다면, 하나님의 생명의 주님이시라는 것에 그 답이 있습니다. 구원이라는 것이 하나님이 보실 때 살았다고 할 수 없는 삶을 살다가 하나님께서 보실 때 생명이 있고 살았다고 할 수 있는 삶으로의 전환이 바로 구원입니다. 새로운 생명을 얻었기에 ‘거듭남’이라고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생명은 철저히 하나님의 의도하심, 목적하심을 기준으로 합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향하여 가지신 뜻으로 살면 산 것이고, 육신이 멀쩡해도 하나님의 의와 다른 삶을 살면 죽은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구원이고 생명이라면 구원은 목적지가 될 수 없는 것입니다. 구원이 목적지라면 태어나자마자 다시 죽어야 합니다. 목적지에 왔고, 사명을 다했는데 살아 있을 이유가 없고, 살아 있다고 해도 할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미 결승점을 통과했는데 다시 뛰어다닐 이유나 힘도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원은 신앙의 시작입니다. 새로운 생명을 얻었으니 그 때부터 이제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면서 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즉 구원은 목적지가 아니라 시작점이라는 것입니다.


시작이라는 것은 미약함도 있습니다. 방금 시작했는데 능숙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시작은 무궁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부터 무엇이라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넘을 때에 ‘너희가 밟는 모든 땅이 너의 것이 될 것’이라고 하심이 그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뜻하신 인간의 자리에서 살아내는 모든 것이 자신의 정체성이 되고, 자기 생명의 풍족함이 될 것이라고 말씀을 하신 것입니다.


즉 신앙이란 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그 인간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서 살아가는 삶인 것입니다. 여기에는 어떤 구속도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육신과 그 안에 있는 자아가 하나님의 성품으로 거듭났으니 그 생명으로 살아가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살아가기만 하면 하나님의 성품을 무궁히 표현하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 많은 사람들은 ‘자기 맘대로 사는데 어떻게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느냐?’고 반문합니다. 사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 참 난감합니다. 하나님과 하나 된 사람, 내용이 하나님의 성품인 사람이 맘대로 한다면 그것이 도무지 누구의 마음이겠습니까? 하나님과 하나 되지 못해서, 하나님과 하나 된 것이 어떤 것인지 모를 때에 하는 질문이 바로 ‘자기 맘대로 사는 것이 어떻게 하나님의 영광이 되느냐?’인 것입니다.


이 사사기를 보는 것 역시 같은 것입니다. 사사기는 분명히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에서의 이야기입니다. 이것을 오늘 우리의 이야기로 받는다면 그것은 우리 인생이 하나님께서 뜻하시고 의도하신 사람의 자리를 회복한 삶 안에 어떻게 타락이 있느냐의 문제와 같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하나님께서 정한 정체성을 회복한 삶을 살 때도 우리 안에는 적지 않게 이겨내야 할 본성이 있습니다. 신앙생활이란 그것을 하나씩 이겨가는 것입니다. 이것을 성경에서는 신앙이 장성한 분량에 이르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신앙의 초점을 사람의 행위에 둡니다. 그 증거는 뭔가 자신에게 불행한 일이 생기면 ‘하나님께 뭘 잘못했나?’ 돌아보는 것입니다. 행위가 하나님의 반응을 이끈다고 보는 것이 행위의 신앙입니다. 즉 율법신앙이라는 것입니다. 그런 신앙의 관점으로는 구원 받은 사람들의 행위는 계륵입니다. 물론 그런 신앙이란 구원을 받은 신앙이 아님에도 자기들끼리 구원 받았다고 착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구원 받았는데 왜 죄를 짓지?’라는 모순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그것에 대하여 변명은 있으나 명쾌한 답은 없습니다.


신앙은 행위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행위는 사람 안에 있는 의가 표현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 안에 무엇이 있어 어떤 행위가 나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행위가 같다고 같은 것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거듭난 사람의 삶이란 그 속에 있는 것이 나오는 행함이 삶인 것입니다. 그리고 그 삶은 마치 어린 아이나 나서 장성해가는 것과 같이 사람 안에 있는 하나님의 영이 그 삶을 다스리는 영역이 하나씩 넓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성경 사사기 역시 바로 그 맥락에서 하나님께서 우리 신앙의 여정을 설명하시는 책인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Fall in Promised Land

Faith has coordinates or destinations. Abraham went to the land which God commanded, and the people of Israel were promised the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and the apostle Paul turned to the goal. So many believers also have a religious destination. But the problem is that you are heading to a blocked destination. The most basic thing about salvation is that it is for the purpose of faith to be saved and to go to heaven. It's like the last and only goal.


But salvation is the beginning of faith, not the destination. Nevertheless, when many people regard salvation as a destination for their faith, they hear questions, such as "How can we be saved and see the sins of those who believe in Jesus?", "Do not those who believe in Jesus sin?" It is.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unfortunate answer is not clear.


This Judgment also illuminates the answer to that. That the background of the Bible, Judas, is what happened in the land where the milk and honey that God promised to the Israelites flowed. It is because the journey of the Israelites is to explain the journey of a man to a place appointed by God. Therefore, the crime and redemption in the promised land, like the contents of the Book of Judges, include a story about the crime and conversion of the saved people.


The problem is in what people see as a destination for salvation. Another thing is basically that the Bible is distorted, that is, it is saved by action. Many people say that they are not saved by action, but they say that those who are saved should keep the action well. Contradiction. If wrongdoing is undermined, then salvation is an absolute relationship.


First, if you think about why salvation is not your destination, then there is the answer that you are Lord of God's life. Salvation is the salvation of a life that can not be said to have lived when God sees it, and a conversion to a life where God lives when he sees it. It is also called "regeneration" because it has acquired new life. And this life is strictly based on God's purpose and purpose. If God lives with the will of man, he will live. If the body is fine, he will die if he lives a righteous life with God.


If it is salvation and life, salvation can not be a destination. If salvation is the destination, we must die again as soon as we are born. I have come to my destination, have done my mission, have no reason to be alive, and even if I am alive, there is nothing I can do. I have already passed the finish line, but I do not have the strength or strength to run again. So salvation is the beginning of faith. Since then, we have begun to live in expressing God's character. That is, salvation is not the destination but the starting point.


Beginning is also weak. I just started and can not be proficient. On the contrary, the start has no end. From now on, anything can be done. When God crossed over the Jordan to the people of Israel, he said, "All the land you are treading will be yours." He said that everything that lives in the position of human being that God has will be his identity, and will be the abundance of his own life.


In other words, faith is a life in which God restores the human identity and the purpose of Christ. There is no restraint here. The flesh and the self in which God is given are born again by the character of God, and we can live with that life. If we live like that, we will express God's character all the time.


Many people here say, 'How can you live your own way and show the glory of God?' In fact, it is very difficult to ask these questions. Who is one with God, whose content is the character of God? The question that comes to you when you are not united with God and you do not know what is united with God is how to live your own way is the glory of God.


It is also the same to see this Judgment. Judgment is certainly a story in God's promised land. If we receive this as our story today, it may seem like the question of how our lives are corrupted in a life that has restored the position of God's intended and intended person. But when we live a life that has restored God's identity, there is a tremendous nature in us. A life of faith is to win it one by one. This is what the Bible says is that faith comes to the fullest.


Many people place the focus of faith in the act of man. The evidence is that when something unfortunate happens to you, you look back at what you did wrong with God. It is the faith of the act to see that the act leads to the response of God. That is, it is a faith of the law. From such a viewpoint of faith, the actions of those who are saved are eternal. Of course, such beliefs are not believed in salvation, but they are mistaken for their own salvation. That being said, you are falling into the contradiction of "Why are you guilty when you are saved?" Of course there is an excuse for it, but there is no clear answer.


Faith is not about conduct. It is because the act is the expression of righteousness in man. In other words, there is something in the person that comes out. Therefore, the act is not the same. Therefore, the life of the born again is the life that the thing that is in it is life. And that life can be said to be a widening of the realm of the life of God in the person, just as a child grows up. Bible Judgment is also the book in which God explains the journey of our faith in that context.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사를 세우신 하나님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사기 Date : 2017. 4. 13. 08:40 Writer : 김홍덕

사사기에는 13명의 사사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사사기 안에 있는 사사들만 보겠습니다.) 여기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고 교회 학교에서 많이들은 기드온이나 삼손도 있고, 삼갈, 둘라, 입산과 같이 불과 한 두절에 간단하게 언급된  사사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사사들은 이스라엘이 범죄하고 그래서 어떤 이방민족이 침략을 해 오고 그래서 사사로 세워져서 이방민족을 물리치는 이야기가 다 구성된 사사도 있고, 단순하게 사사로만 있다가 죽었다는 것만 언급된 사사도 있습니다.




‘사사’라는 말은 ‘쇼페팀(םטפשׁ)’이라는 말로 ‘다스리다’, ‘통치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말이라고 합니다.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에 들어간 이스라엘 백성에게 ‘다스리는 자’가 필요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스려야 할 사람이나 일이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약속한 사람의 자리에 이르렀는데 그 사람의 자리,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 안에서 사는 자리에 들어갔으면 다 된 것 같은데 그 안에 다스릴 것이 있더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사사를 세워서 다스렸다는 것입니다.


13명의 사사들 중에서 웃니엘, 에훗, 드보라, 기드온, 입다, 삼손 이렇게 6명의 사사들의 기록을 보면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목적에서 악을 행하므로’라든가 아니면 ‘바알과 아세라를 섬김’과 같이 하나님을 진노케 하여 하나님께서 이방인들을 일으켜서 이스라엘을 침공하게 하고, 그렇게 되니 이스라엘의 백성들이 하나님께 간구하고 그래서 하나님께서 사사를 세웠습니다.(이렇듯 3단계의 구조가 다 있는 사사를 ‘대사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 앞에서 악을 행했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어떤 것이 악인지를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과 사람이 생각하는 악은 차이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A를 악하다고 하지만 사람들은 선하다고 하고, 사람들은 B를 악하다고 하지만 하나님은 선하다고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께서 의도한 것과 다른 정체성을 가진 상태로 행하는 모든 것을 악함이라고 하시나, 사람들은 정체성에 관계없이 단지 나타난 행위나 생각과 말을 보고 악하다고 합니다. 더욱이 사람들이 말하는 악함은 공통적으로 선하다고 공감하는 사람이 많은 것에 반하면 반할수록 더 큰 악이 됩니다. 즉 선과 악에 대한 판단에도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가치기준의 하나인 ‘다수결’의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이 말은 선과 악이 다수결에 의하여 정해진다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선과 악은 세상의 가치 기준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어떤 존재가 있다면 그 존재가 존재하는 목적이 있고, 그 목적대로 그 존재가 사용되고 살아가면 선하다고 여깁니다. 이는 사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전쟁을 위하여 만들어진 무기는 전쟁에서 능력을 발휘하면 선한 것입니다. 적어도 전쟁이 필요하고 그 전쟁을 이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그것이 선한 것입니다. 하지만 전쟁을 반대하거나 상대국가에서 보면 그 무기는 악한 것입니다. 정체성의 문제가 아니라 자기의 이익과 의를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사람과 하나님이 생각하는 악의 차이입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 사사 시대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께 악을 범하였다고 하신다는 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정체성을 상실했다는 것입니다. 그들의 행위가 때로 이방 신을 섬기는 것은 다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뜻하신 것 보다 자기들의 가치관을 더 좇았기 때문입니다. 바알과 아세라, 다곤(반인(伴人)반어(半漁))신을 섬긴다는 것은 그 신이 가진 의미가 자신들의 존재 목적이나 바람을 해결한다고 믿는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그 신의 정체성 안에(아래에) 자기 존재 정체성이 있다고 여기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신을 믿고 섬기는 것의 본질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런 마음이 사사가 나타나야 하는 이유가 되는 것입니다. 사람이 스스로 자기의 의를 가지고 신앙과 믿음에 까지 자신이 의롭다 여기는 것을 추구하고 좇는 것, 그것이 바로 하나님 앞에서 행하는 악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기독교 신앙, 즉 하나님을 믿는 믿음 안에서도 동일합니다. 사람은 그릇입니다. 담는 존재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생각과 의와 뜻을 담을 때 믿음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하나님을 믿는 것조차 자신의 생각대로 믿고 있습니다.


성경을 연구할 때도 자신이 가진 안목과 가치관의 프레임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합니다. 마치 넓게 편 밀가루 반죽을 그대로 접어서 국수를 만들려고 하지 않고 자신이 만든 한 가닥 국수를 만드는 빵틀 같은 자기 기준으로 성경을 분해하고 채색해서 보려고 합니다. 철학자는 철학적으로 성경을 보려하고 과학자는 과학적으로 보려 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하나님 앞에서 악한 일인지 모릅니다. 


철학이나 과학이나 다 하나님 안에서 나온 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이 있어 사람과 세상이 나고,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 말씀하신 것이 성경인데, 그 성경을 성경 안에서 난 자들이 세상이 있고 나서 생긴 철학과 과학으로 분해하면 알 수 있다 여기고 도전하고 있는 것을 연구와 신앙으로 보는 오만함 가운데 있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나님 앞에서 악하고 교만한 것이 아니면 무엇이 하나님께 악하고 교만한 것이겠습니까? 정말로 하나님께서 천지를 지으신 창조주로 믿는다면 그 창조 아래서 나온 학문으로 하나님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 어떻게 선한 것이 될 수 있겠습니까? 그것이 바로 악한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사사, 즉 그 생각을 다스리는 자를 세우시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The God set the judge


There are records of thirteen judges in Judges (see Judges in Judges). Here we have Gideon and Samson, who we know well and have heard many in church schools, and Samgal, Dula, There are also judges mentioned. And some of the judges mentioned that the Israelites were sinned, and thus some nations had invaded, and thus they were built as judges, and that they had a story of defeating the Gentiles, and that they were simply dead as judges.


The word 'Sasa' is a word meaning 'to rule' or 'to rule' with the word 'Shophetim(םטפשׁ)’. It is necessary for the Israelites who entered the land that God promised to have a ruler. It is that there is a person or thing to be ruled. God has come to the place of the promised man, and it is as if he had entered the place of his life, where God lives in the purpose of man's creation. That is why God has judged and ruled.


Of the 13 judges, the records of six judges like Joneli, Ehud, Deborah, Gideon, Jephthah, and Samson say, "The people of Israel are doing evil in the purpose of God." Or, as in "serving Baal and Asherah, And God made a judge for the people of Israel. (This is why we call the judge with the three levels of structure "the ambassador.") Also.


Israel said that they did evil before God. Then we should think about what is evil before God. The evil that God and man think is different. God says A is evil, but people are good, and people say B is evil, but not that God is good.


God says that everything that God does with a different identity than what he intended is called evil, but people are evil when they see just the acts, thoughts and words that appear, regardless of their identity. Moreover, the worse the people speak, the more evil they are against a lot of people who agree that they are good in common. In other words, judging good and evil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majority', one of the most influential value standards in the world. This does not mean that good and evil are determined by a majority, but that good and evil that people think is based on the world's value standards.


God has a purpose to exist if there is a being, and if the existence is used and live for that purpose, it is good. This is true of people. Weapons made for war are good if we exercise power in war. At least it is good for those who need war and want to win that war. But if you oppose the war or you see it in the other country, the weapon is evil. It is not based on identity but on the basis of self-interest and justice.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man and God's evil.


Therefore, the fact that God inflicted wickedness on God in Judgment days means that the people of Israel have lost their identity. Their actions sometimes serve the Gentiles because they followed their values ​​more than God meant to them. Baal, Asherah, and Dagon (half-manned half-fish) serve God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god's meaning is to solve their own purpose or wind. That is to say, in the identity of the god (below) there is a self-identity. That's because it is the essence of believing and serving God.


This is the reason why this mind must appear. It is evil for man to seek his own righteousness and pursue what he considers righteousness to faith and faith, and to do it before God. And this is the same in the Christian faith, the faith in God. Man is a bowl. It is a carrying existence. It is faith when we put God's thoughts, righteousness and will. However, people believe in believing even in God.


When I study the Bible, I can not escape the frame of my own perspective and values. I would like to break down and colorize the Bible on my own standards, such as making a bunch of noodles made by myself, rather than trying to fold noodles by folding flat bread dough. Philosophers try to see the Bible philosophically and scientists see it scientifically. But I do not know how evil it is before God.


Philosophy or science is all that comes out of God. It is the Bible that God has the will of man and the world, and what it means, that the Bible can be found in the Bible when it is divided into the philosophy and science that came after the world. I am in the midst of arrogance.


What is evil and proud to God, if it is not evil and arrogant before God? If we truly believe that God is the Creator of heaven and earth, how can it be good to try to understand God with the science that came from it? That is evil. That is why God sets up judges, who rule over them.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사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사기 Date : 2017. 4. 12. 06:51 Writer : 김홍덕

성경 사사기는 어려운 성경입니다. 그저 사사기에 나오는 여러 전쟁에 하나님께서 기적을 행하셨다는 것이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는 것을 믿는 것을 믿음이라고 여긴다면 어려운 책입니다. 객관적 사실로 믿기에는 터무니없거나 이해하기 힘든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역사적 배경을 가진 책이기 때문이 이스라엘이 아닌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문자적으로 사사기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모든 기록이 그렇듯, 기록은 기록한 이의 의도가 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기록한 말씀입니다. 모든 사람, 모든 인생이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받기 원하시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이 아닌 다른 민족과 시대의 사람들에게 ‘사사기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역사를 배경으로 한 기적 같은 이야기가 사실이었다고 믿어야 구원 받는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것이 아니라, 사사기의 행간을 읽고, 의도하신 바를 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사사기가 자기 안에서 하나님의 말씀, 곧 성경이 될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냥 이스라엘의 설화나 신화 같은 책일 뿐입니다.


이 사사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의 종살이를 끝내고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가나안에 정착하는 초기의 말씀입니다. ‘삼갈(삿 3:31)’이라는 사사의 재임 기간이 명확하게 나오지 않지만 그 외 삼손까지의 사사들이 사사로 재임한 기간이 296년 정도이니 단순하게 초기로 보기도 어렵지만,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되기 전 시대의 말씀입니다. 그 이스라엘의 역사가 오늘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아는 것, 그것이 사사기를 바로 보는 것이고 사사기의 말씀을 믿는 것입니다.


성경은 기본적으로 한 사람에게 하나님의 세계가 열리고, 그런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것에 관한 말씀입니다. 하나님의 세계가 열린 사람들이란 그 본성이 그리스도라는 본성이기에 예수님께서 우리와 같은 육신으로 우리에게 오셔서 육신을 가진 이가 그리스도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십자가에서 보이신 것입니다. 그것을 보고 자신이 그리스도로서 살아갈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하나님의 세계가 열린 것이고, 그 사람들이 모여서 공동체를 이루면 하나님의 나라 곧 교회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을 하여 광야를 지나는 여정은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의 역사가 아니라 하나님과 다투어 이긴 사람들의 신앙의 여정입니다. 이스라엘이라는 말의 뜻이 ‘하나님과 겨루어 이긴 자’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야곱이 얍복강가에서 하나님의 사람과 씨름하여 얻은 이름입니다. 그 씨름은 사실 하나님의 사람이 이겼는데, 하나님께서는 야곱에게 그 이름을 ‘하나님과 겨루어 이겼다’는 의미로 이스라엘이란 이름을 주신 것입니다.


이는 마치 전투에서는 졌지만 전쟁은 이긴 것입니다. 야곱이 하나님의 사람과의 씨름에서는 졌지만,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자기의 의가 꺾이는 것이 전투로서는 진 것이지만, 결국 자기의 의가 하나님 앞에서 꺾이므로 사람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의가 사람에게 이루어지게 되니 사람으로서는 그 존재의 의미를 회복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사람에게 가장 이긴 자는 자신의 존재의 이유를 모르는 것을 이기고 나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사람, 즉 야곱과 같이 자신의 의를 하나님 앞에서 주장하다가 오히려 하나님의 뜻이 자신에게 이루어진 사람이 이스라엘의 백성인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혈통으로 유대인이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는 로마서에서 바울 사도가 아주 강력하게 하시는 말씀하기도 했습니다. 만약 단순하게 성경의 이스라엘이라는 단어가 유대인을 지칭하는 것에 한정된다면 유대인 아닌 다른 사람들은 다른 신을 찾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창세기에서 여호수아에 이르는 여정은 자기의 의가 하나님 앞에서 꺾이므로 하나님께서 자신을 지으신 뜻이 자기 삶의 의미와 목적이 된 사람의 여정입니다. 그리고 이 사사기 역시 같은 맥락의 말씀입니다. 사사기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에서의 전쟁, 그것은 사람이 하나님께서 사람 지으신 자리, 곧 사람의 정체성을 회복했을 때 자기 안에 있는 본성과의 싸움에 관한 말씀입니다. 가나안 땅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이고, 땅이란 흙으로 지어진 사람이란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이 하나님이 약속한 존재로서 살아가는 여정에서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사람의 정체성을 자기 존재의 목적으로 자기 삶의 의미로 순종하는 과정에서 보니 사람 안에, 자기 안에 사사기에 나오는 각양의 이방인들의 본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세운 사사들이 나타나서 이방인들을 이겨간다는 것이 바로 그 이야기입니다.


가나안 땅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입니다.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이라는 것은 지도위의 땅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정하고 약속하신 사람의 정체성이라는 것입니다. 그 사람의 정체성, 하나님께서 정한 사람의 자리에서 완전히 정착하는 것에는 이겨내야 하는 자기 안에 본성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방인이라는 것은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는 본성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입장에서 이방인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사사기의 말씀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자리에 정착하는 것, 즉 하나님이 정하신 온전한 사람으로 회복되는 여정에서 자기 안에 있는 이방인의 본성과 같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지 않는 본성들이 있고, 그런 본성들을 어떻게 이길 것인지, 또 무엇이 이긴 것인지를 사사들을 통하여 말씀하신 것입니다. 바로 그렇게 사사기를 볼 때 비로소 이 사사기가 오늘을 사는 우리 각 개인의 말씀이 되는 것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How will you look at Judges?


Bible Judges are difficult Bible. It is a difficult book if you believe that believing that God has done miracles in many wars in Judges is true.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absurd or incomprehensible to believe in objective facts. Moreover, because it is a book with a historical background, it is difficult for people in other countries, other than Israel, to literally understand Judges.


But as with all records, records have the intention of recording them. The Bible is written by God. God, who wants all people to receive the grace of God's salvation to all people, to people of other nations and ages who are not of Israel, to believe that miraculous stories based on the history of Israel recorded in Judges were true, , But when the reading of the Book of Judges is read and the Book of Judgments can be seen, it will be the Word of God, the Bible, in it. Otherwise, it is just a book like Israel's fable or myth.


This is the earliest word of the day when the Israelites ended their slavery in Egypt and settled in Canaan promised by God. Although the term of the judge named Samgal (Jdt 3:31) is not clear,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early as 296 years, when the judges of Samson, other than Samson, served as judges. It is the word of the times. To know what that Israeli history means to me today, that is to look at Judges and to believe the words of Judges.


The Bible is basically about the opening of the world of God to one person and the gathering of such people to form the kingdom of God. The people of God's world are open because the nature of Christ is the nature of Christ, and Jesus came to us in the same flesh and showed us what it is to be Christ. When we see it, we realize that we are to live as Christ. It is the opening of the world of God, and if those people come together to form a community, we become the kingdom of God, the church.


Therefore, the journey of the Israelites to the exodus through the wilderness is not a work of the nation of Israel, but a journey of faith for those who have won and struggled with God. The word Israel means "the one who competed with God." This is the name that Jacob got from wrestling with God's people at the Jabbok River. The wrestling was in fact won by the man of God, and God gave Jacob the name Israel in the sense that he had won the name "against God."


It is as if it lost in battle but it won. Jacob is lost in the wrestling with the man of God, but it is a battle for man to break his righteousness before God, but his righteousness is broken before God, so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who created man will be done to man. It is because I have recovered the meaning. The person who has won the most is because he has won over what he does not know.


He is the people of Israel, who, like Jacob, claimed his righteousness before God, but God's will was done to him. It does not mean that the people of Israel are Jewish by blood. This is what the Apostle Paul said very strongly in Romans. If the word "Israel" in the Bible is limited to referring to Jews, it is better for the non-Jews to find other gods.


Therefore, the journey from Genesis to Joshua is the journey of God's self-made meaning to the meaning and purpose of his life, because his righteousness is broken before God. And this Judgment is also in the same context. Judges are wars in the land that God promised, a man's battle with the nature that is in him when God restored man's identity, the place he made. Canaan is the land God promised, and the earth is the earth.


In the process of obeying the identity of the person God has promised in the meaning of his life for the purpose of self-existence in the journey of a man of God as God's promised existence, the nature of the various gentiles in Judges It is. It is the story that the judges whom God has established appear and overcome the Gentiles.


The land of Canaan is God's promised land. The land that God promised is not the land on the map but the identity of the person God promised. The identity of the person, the full settling of God's appointed person, is that there are natures within him that must overcome. The Gentiles are the nature of God that is not pleasing to God. It is a Gentile in the eyes of God.


Therefore, the words of this Testimony are to be settled in the place where God has promised, that is, in the journey of being restored to the perfect man appointed by God, there are natures that are not pleasing to God, like the nature of the Gentiles in him, , And what he won, through judges. This is the word of each of us who will live today.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