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46

천지창조 셋째 날에는 하나님께서 땅이 드러나게 하신다. 천하의 물, 곧 하늘 아래의 모든 물, 즉 궁창 아래의 모든 물을 한곳으로 모이게 하셔서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빌리면 해수면 위에 있는 모든 땅의 체적보다 해수면 아래의 체적이 더 크다고 한다. 즉 지구는 바다 위의 모든 땅을 다 바다 안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물을 다 한곳으로 모아서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이다.


지금 이 창세기의 말씀 곧 천지가 창조되는 과정은 단순히 물리적인 세상의 기원을 밝히는 이야기가 아니라고 누차 이야기해 가고 있다. 지금 이 천지창조는 세상의 창조과정을 통하여 흙으로 지으신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그 내용이다. 하늘이나 바다나 땅과 같은 세계는 형식이라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이렇게 글을 쓰고 읽을 수 있다는 것은 태어났기 때문이다. 이런 태어남이 없었다면 세상 아니라 그 어떤 것이라도 우리에게 의미가 있을 수 없다.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금 물이 어디로 모이고 땅이 드러나고 하는 모든 것이 어디를 지향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천지창조 과정이 한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둘째 날에 하나님께서는 물을 궁창 아래의 물과 위의 물로 나누셨다. 이는 혼돈하는 땅과 같은 사람(사람은 흙으로 만들어졌으니 땅은 사람을 말함)의 공허함에 대한 갈증, 즉 자기 정체성의 갈증을 해갈하기 위하여 물을 마셔야 하는데, 물은 상수가 있고 하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일상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람이 하수도의 물을 마시고 살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정체성을 해갈하는 것에 대하여 하늘 아래, 즉 세상의 온갖 지식으로는 사람의 정체성이 해갈되지 않는다는 것을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을 나누심으로 말씀하셨다. 그리고 셋째 날에는 이 궁창 아래의 모든 물을 한 곳으로 모으셨다고 했다. 즉 사람이 그 정체성을 해갈하기 위하여 마셔서는 안 되는 세상의 세상의 모든 지식들을 한 곳으로 모으셨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나님께서 물을 하나로 모으신 것에는 목적이 있었다. 그것은 물을 모아서 무엇을 하시겠다는 것 보다는 땅이 드러나게 하시기 위한 것이었다. 땅이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즉 이 말씀은 세상의 모든 이론과 지식 가운데서 사람이 드러나게 하신다는 말씀인 것이다. 이것을 종교적인 예식으로 가져온다면 그것은 세례가 될 것이다.


지금 이 셋째 날의 창조는 물을 모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땅이 드러나게 하시는 것이 목적이다. 즉 사람이 궁창 아래의 물, 곧 사람들이 자기 정체성의 갈증을 해갈하기 위하여 취하는 모든 세상의 지식들인 궁창 아래의 물에 매몰되지 않고 물 위로 드러나게 하시기 위하여 하늘 아래의 물을 모으시고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이다. 즉 이것은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하여 사람들이 허무함을 느끼고 또한 그것으로는 자신의 정체성이 안식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하셨다는 것이다.


이것은 세례와 같다. 세례는 밥티스마(Baptisma)라고 하는데 이는 ‘물에 잠기다’는 의미이다. 왜 사람을 물에 잠그는가 하면, 사람이 물 속에서는 살수 없다는 것을 알게 하기 위하여 그렇게 하시는 것이다. 즉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사람이 세상이 추구하는 각종 위대함을 좇는 지식과 종교와 규례 안에서는 살수 없다는 것을 고백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늘 인생은 허무하다고 한다. 많은 경우 세상에서 높은 정신적 세계를 이룬 사람들도 그렇게 말한다. 그것은 그들이 추구한 모든 것이 다 하늘 아래의 물이기 때문이다. 즉, 사람들이 돈을 벌어 자신을 만족시켜 보려 하고, 또 공부를 많이 하면 자신의 갈증이 해갈될 것 같아서 그렇게 하고, 또 때로는 종교적인 규범을 행동으로 지켜 행하면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해서 평생을 그렇게 살다가 보면 그 모든 것이 허무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그렇게 말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하늘 아래의 모든 물을 다 한 곳으로 모으고 땅이 드러나게 하셨기 때문이다. 땅이 드러났다는 것은 사람이 궁창 아래의 물 속에서는 살수 없다는 것을 하나님께서 말씀하셨기 때문인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궁창 아래의 물과 같은 철학과 종교와 황금을 하염없이 마시려 하고 또 마신다.


그러나 그 결국은 다 물에서 땅이 드러나듯, 궁창 아래의 물을 마시던 사람들은 결국 그것으로 안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즉 땅이 물 위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사람은 세상의 물, 궁창 아래의 물을 먹고는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아니 사람은 그런 존재라는 것이다.


지금 이 천지창조의 과정은 세상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실상은 자신의 정체성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아 그리스도와 같이 하나님의 아들로 사는 존재가 되어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안식할 수 있는 관계가 되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 한 사람이 자기 정체성을 알지 못해서, 다시 말해서 왜 살아야 하는지를 알지 못해서 혼돈과 어둠 가운데 있을 때, 하나님께서 빛을 비추심으로 어두운 방에 들어가서 사물을 구분하듯 자신의 정체성과 하나님에 대한 인식이 있게 된다는 것이 첫째 날의 창조 과정이고, 그렇게 자신의 정체성이 회복되기 시작하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실 물과 마셔서는 안 되는 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 그 둘째 날의 말씀이다.


그리고 그것을 알게 된 사람은 궁창 아래의 물이라 할 수 있는 세상의 모든 지식 가운데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고백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고백은 인생은 세상의 것을 취하여 살 수 없는 흙으로 만들어진 인생이라는 것을 물에서 땅이 드러나게 하셨다는 것으로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러면 이 세상의 것, 궁창 아래의 물은 무엇인가? 그것에 대하여는 넷째 날에 말씀하고 계신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작고 일상적인 것들...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3. 6. 13. 18:15 Writer : 김홍덕

얼마 전에 끝난 프랑스 오픈 테니스대회가 있었다. 나달이라는 선수가 있는데, 경기가 제법 볼만하다. 특히나 프랑스 오픈의 경우 크레이코트(맨땅으로 된 테니스장)에서 하는데, 나달이라는 선수는 크레이코트에서 절대 강자다. 최근 9년간 딱 한게임만 졌다.(그 대회를 제외하고 다 우승)... 여튼 그렇다는 것이고......


테니스 경기를 보다보면 점수를 따는 Winning Shot이라는 것이 있다. 그야말로 상대가 칠 수 없는 코스로 공을 치는 것이다. 그런데 선수들은 그냥 평범한 공들을 주고 받는다. 상대가 서 있는 곳에다 공을 준다. 난 왜 그러는가 싶었다. 그냥 처음부터 상대가 치기 어려운 공울 주면 되지 않겠는가 싶었다. (티비 화면으로 보면 충분히 그럴 수 있어 보이기 때문)


<2013 프랑스오픈의 나달 - 출처 : 미디어다음>


자꾸 경기를 보다가 보니 몇 가지가 이해되었다. 먼저는 보는 것과 하는 것은 다르다는 것! 화면으로 보기에는 그냥 돌아서서 위닝샷을 날리면 될 것 같지만 선수들의 공은 그렇게 호락하지 않다. 그리고 또 하나는 그렇게 평범해 보이는 공을 주고 받다가 보면 위닝샷을 칠 수 있는 틈이 생긴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렇게 평범한 공들을 주고 받지 않으면 자신의 실수로 경기를 망친다. 위닝샷이란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테니스 경기를 보면서 복음과 삶에 대한 생각을 해 보았다. 복음을 전하는 것에 대한 간절한 마음이 생긴 이후로 부터 끊임 없이 어떻게 이 복음을 전해볼까 생각을 많이 했다. 생각 같아서는 수 만명이 모인 집회를 인도하여 이 복음을 전하면 얼마나 좋을까? 아니면 회사에서 높은 자리에 올라서 사내에 신우회를 만들어서 성경공부를 하고 복음을 전하면 얼마나 좋겠는가 싶었다. 삶도 마찬가지이다. 단번에 복권이 당첨되듯이 삶이 변하고, 삶의 질이 좋아지면 또 얼마나 좋겠는가 싶었다.


하지만 복음을 전하는 것이든, 살아가는 일이든, 테니스 경기에서 평범한 공을 주고 받는 것과 같이 작은 일상들을 반복하는 것에 충실하지 않으면, 테니스에서 위닝샷과 같이 복음을 전하거나 삶이 개선되는 일은 있을 수가 없다. 복음을 전하는 것도, 정말 작은 일상들을 끊임 없이 반복하는 중에 생기는 것이다. 인생을 이렇게 살다가 언제 복음을 전하겠는가? 하는 체념 같은 시간들이 쌓이고 쌍여야 위닝샷을 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글을 쓰는 것도 처음에는 그냥 내 안에 있는 생각을 쓰면 될 것이라 생각했다. 그렇지만 하나씩 하나씩 반복적으로 계속 써 오다보니 내 안에서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이해하기 쉬울까?'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없는 생각이었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계속 써 내려가다 보니 배운 것이다. 아직은 위닝샷을 칠 정도는 아니지만 조금씩 틈이 생긴 것이다. 


그저 평범할 것 같은 일들,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일들을 반복하는 것은 히말라야를 등반하는 것 보다 어쩌면 더 어려운 일일지도 모른다. 복음은 그렇게 전해지는 것이다. 작고 보잘 것 없는 일상을 반복하는 삶을 통해서 전해지는 것이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일들을 해 나가는 것에서 시작되고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삶이 진정으로 하나님이 주신 삶에 순종하는 것이다.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끄러운 기독교인  (0) 2013.06.30
사적인 이야기 하기  (0) 2013.06.29
인생의 가치  (2) 2013.05.22
삶은 꽃과 같이(전자출판 교육을 받고)  (0) 2013.04.29
사랑장에 대한 새로운 묵상  (0) 2013.04.29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연약함과 부정함이 왜 하나님의 목적이었는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사람들이 사는 세상에는 하나가 없어지면 다른 연관된 하나가 없어지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남자가 없어진다면 여자라는 말 조차 무의미해진다. 이것처럼 뭔가 전혀 다른데, 그 다르다는 것이 서로의 존재 이유가 되는 것이 있다.


자동차는 빠르게 달리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찰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그래서 공기의 저항을 줄이려고 엄청난 기술적인 노력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정작 자동차는 타이어의 마찰이 없으면 앞으로 갈 수 없다. 저항을 줄이는 것과 마찰력은 완전히 반대의 개념인데, 절대적으로 서로를 보증하는 관계인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목적은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부정하고 연약한 사람의 정체성이 자동차의 마찰력이라면 거룩한 하나님의 성품은 저항을 줄여서 앞으로 달리는 성질에 비유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람의 부정함과 연약함은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절대적인 성품이라는 것이다. 사람의 연약함과 부정함은 이런 것이다. 사람의 연약함이 없다면 하나님의 성품이 들어날 수 없다. 


즉 사람들이 스스로 부정하게 여기고 극복하려는 사람의 부정함과 연약함이 어떤 목적 아래에서는 발휘되어도 되는 것이다. 그것은 목적을 벗어나서는 사람이 스스로 선하게 여기는 것이라도 하나님 앞에서는 부정한 것이라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칼의 날카로움은 요리하는 목적 아래서는 온전한 것이다. 마찰력도 타이어의 마찰을 이용하여 속력을 내는 것에서는 유용한 것이다. 하지만 아무것이나 베면 부정한 것이고, 타이어가 아닌 다른 것이 마찰이 높아지면 그것 또한 부정한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가지고 있고, 또한 사람이 스스로 제어하려 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인생의 목적을 나타내는 것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언제나 온전하다. 식욕이나 성욕은 생존과 종족보전이라는 관점에서 온전한 것이다. 그것 자체가 부정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일방적인 제어의 관점이 아니다. 사람에게 어떤 것, 그 자체를 부정하게 여기는 것은 하나님께서 그것을 만드신 뜻에 도전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하나님께서 주신 목적 아래에 두면 아름다운 것이 된다. 그것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각양의 본성을 대하는 하나님의 마음인 것이다.


성욕은 일반적으로 부정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결혼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그것은 축복이고 또한 생명을 낳는 것은 대단한 신비이며 축복이다. 이처럼 사람이 가진 각양의 연약함과 부정하게 취급 받는 것들이 목적 안에서 영광을 얻기도 하고, 또 때로는 그것이 절제되어 영광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 안에 있는 어떤 것도 그것 자체로 부정한 것은 없다. 그 모든 것은 다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드러내실 도구와 성품으로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무엇을 목적으로 알고 살아가느냐가 사람 안에 있는 것을 정하게도 하고 부정하게도 하는 것이지, 그것 자체를 부정하게 여기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를 부정하게 여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요셉의 처사 또한 그렇다. 아직 자기가 동침하지 않은 약혼녀가 임신했다 해도 그것이 하나님의 성령으로 잉태된 것은 정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아주 아주 정한 일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살면서 보여주는 다양한 행동과 모습들은 그 자체가 부정하거나 악한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만드시고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기에 너무 적합해서 보시기에 좋았다고 한 우리의 모습과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 그것이 부정한 것일 뿐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