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0

가인과 아벨 (3)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6. 13. 15:26 Writer : 김홍덕

그런 가인에게 있어 죽이고 싶은 대상이 있었는데, 그것은 같은 배에서 난 동생 아벨이었다. 아벨은 양을 치는 사람이었는데, 양을 친다는 것은 우리가 다 아는 것 처럼 목자라는 것이고, 특별히 양은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가축이다. 그런 아벨의 제사를 하나님께서 받으셨다는 것이다.


아벨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사람 안에 있는 양의 본성, 곧 사람 안에 가지고 있는 하나님의 목적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니까 선악과를 먹은 아담에게서 나온 가인과 아벨이라는 두 아들은 선을 행하고자 하는 마음과 악을 좇는 마음이 사람 안에 함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한가지 주의할 것은 여기서 말하는 선과 악은,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착한 행동과 악한 행동과 같은 행동이나, 법이나 도덕이나 규범을 기준으로 선하고 악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보실 때 가인과 같이 선과 악을 판단하는 마음을 가진 악함과, 하나님을 표현하려는 선함을 말한다.


이것에 대하여는 로마서 7장, 8장에서 바울 사도도 아주 깊이 있게 말씀하였는데, 바울이 영적으로는 하나님의 법을 육신으로는 죄의 법을 쫓는다고 하였다. 이는 아담 안에서 "이것은 이렇게 해야 해"라는 기준으로 사람을 죽이기도 하는 가인과 같은 아들과, 양을 치는 아벨이라는 아들이 나옴과 같은 것이다.


아담은 온 인류의 처음이고 상징이다. 아담이라는 말의 뜻이 '붉다'는 뜻이고, 이는 흙인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아담은 모든 사람이다. 그 아담에게서 가인과 아벨이 나왔듯, 모든 사람은 하나님을 좇는 마음과 이를 죽이려는 마음이 그 안에 함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담이 가인과 아벨을 낳은 것은 선악과를 먹은 다음인데, <"선악과를 왜 만드시고 에덴에 두셨는가?"> 할 때, 선악과를 에덴 동산에 두셨다는 것은 사람이 육신을 가졌다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했고, 선악과를 먹었다는 것은 <"이 육신을 가지고 하나님처럼 되려고 하니 이것은 하나님처럼 되는 것에 합당한 선이고, 저것은 하나님의 진노하게 하는 악이라고 육신을 구분한 것이 바로 선악과를 먹은 것">이라고 포스팅 했었다.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 선악과 (35) - 선악과의 본질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 선악과 (36) - 육신을 가진 것, 선악과를 만드신 것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 선악과 (37) - 에덴동산과 선악과



그리고 사람들이 "이래서는 하나님처럼 될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이 바로 육신이 가진 연약함이었고, 그런 연약함에 대하여 아담이 선악과를 먹고서 보니, 그것이 부끄러워 가렸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선악과를 먹은 결과이고 사람이 하나님처럼 되려 할 때 나타나는 반응인 것이다.


그런 반응의 뿌리가 "이것은 이래야 해"라고 스스로 기준을 세우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가인 역시 그런 뿌리에서 비롯되어 자기의 제사에 대한 의미를 스스로 부여했기 때문에 하나님의 결정에 항거하여 양을 치는 아벨을 죽인 것이다. 즉, 하나님이 보실 때 그 성품을 나타내기 위하여 주신 양과 같은 인간의 연약함을 죽인 것이다.


이것을 바울 사도는 "육신이 죄의 법을 좇는다"고 고백했다. 즉 죄는 하나님이 만드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다고 하신 연약함을 가진 육신을 부끄럽게 여기고 그것을 죽여 없애고, 절제하고, 억제하는 것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이라고 여기는 것을 바울이 말하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많은 경우 신앙이라는 이름으로 사람이 가진 본성, 특별히 연약하고 어쩔 수 없는 것을 절제하고 그것을 삶에서 죽여 없애듯 축출하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고 생각하는데, 잠 자지 않고 기도하면 하나님이 기뻐하실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먹지 않으면 안되는 육신인데, 먹지 않고 기도해야 신앙이 좋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바로 그런 죄를 말하는 것이고, 그렇게 육신의 연약한 본성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인이 아벨을 죽인 것과 같은 마음이라는 것이다.


(계속)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인과 아벨 (5)  (0) 2014.06.14
가인과 아벨 (4)  (0) 2014.06.14
가인과 아벨 (2)  (0) 2014.06.13
가인과 아벨 (1)  (0) 2014.06.12
생명과 (9)  (0) 2014.05.24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가인과 아벨 (2)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6. 13. 12:15 Writer : 김홍덕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하와, 그들이 선악과를 먹고자 한 마음인 "하나님처럼 되려는 마음" 그리고 하나님처럼 되기 위해서 선과 악을 알아야겠다고 생각한 마음이 육신으로 표현된 것이 바로 두 아들 가인과 아벨이다. 왜냐하면 가인과 아벨은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먹은 다음에 낳은 그들의 속심령 곧 본성이 성육신 된 존재가 아들이기 때문이다.



cain & abel
cain & abel by gabork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아담은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온 인류를 대표하는 대명사이기도 하다. 그렇다는 것은 오늘 우리가 까마득한 옛날의 한 살인 사건이 오늘 나의 이야기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도 나도 모두가 다 인간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람이라서 성경을 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역사 이래 모든 사람은 그 마음에 선과 악을 구분하는 마음을 가지고 나면 그 마음 안에서 가인과 같은 마음도 있고, 아벨과 같은 마음도 생긴다는 것이다. 이것은 스스로를 돌아보면 분명한 사실이 아닐 수 없다. 


우리 안에는 누구나 가인이 제사는 받아져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 처럼 "이것은 이래야 한다"는 마음이 있고, 그것은 돌아서서 후회하기도 하는 자아의 뜻을 아벨을 죽이듯 무시하고 "이래야 한다"는 의를 표출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오늘 우리에게 가인과 아벨이 주는 교훈인 것이다.


그렇듯 사람 안에 누구나 가인과 같은 마음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가인은 농부라고 했다. 아담이 에덴에서 쫓겨날 때 하나님께서 아담에게도 "자기의 근본인 토지를 갈게 하니라(창 3:23)"이라고 하셨는데, 이 또한 농사를 지어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여기서 재미 있는 것은 토지를 보고 하나님께서 <아담의 근본>이라고 하신 부분인데, 이것은 아담이 흙으로 만들어진 존재라는 것이기도 하고, "사람이 무엇을 먹을 것인가?" 할 때, 땅에서 나는 것, 즉 사람에게서 나는 것을 먹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은 사람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람으로 부터 인정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담과 가인은 농부였는데, 이는 사람이 사람을 경작하는 것, 즉 사람이 인정을 받기 위하여 선악과를 먹은 사람들의 세계에 충실하는 모습을 보이고 살게 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인데, 오늘 날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너무나 분명하게 설명하시는 말씀이신 것이다.


그런 사람, 사람에게 인정 받기 위하여 사람을 경작하는, 그러니까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하고, 사람이 만든 법과 규칙에 열심인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이 가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사람은 자신의 그런 수고가 하나님께서 열납하셔야 한다고 믿고 있다는 것이다.


자세히 보면 지금의 교회들이 보여 주는 모습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교회 안에 있는 논리들이 얼마나 사람이 경작하는 법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지 모른다. 그 모든 것을 대표하는 것이 바로 <큰 교회>라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교회의 규모가 크다는 것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이 인정하는 화려함과 위대한 모습을 갖추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큰 교회고, 사람의 법을 경작하는 것이다.


<세상에서 성공하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는 명제가 얼마나 오염된 것인지, 또한 세상에서 세상의 법을 따라 살아서 그들의 기준에 따른 성공해 놓고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신다고 예배를 드리는 것은 바로 가인의 제사인 것이다. 그리고 그 제사는 가인의 제사와 같이 받아질리가 없는 것이다.  


(계속)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인과 아벨 (4)  (0) 2014.06.14
가인과 아벨 (3)  (0) 2014.06.13
가인과 아벨 (1)  (0) 2014.06.12
생명과 (9)  (0) 2014.05.24
생명과 (8)  (0) 2014.05.15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가인과 아벨 (1)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6. 12. 18:25 Writer : 김홍덕

가인과 아벨은 아담과 하와가 낳은 아들들이다. 우리가 익히 아는대로 가인이 아벨을 죽였다. 이른바 인류 최초의 살인인 셈이다. 그러다보니, 가인과 아벨은 사람의 부류에 대한 대명사로 인식될 지경이다. 그런데 문제의 발단, 그러니까 살인의 동기라는 것이 지금으로선 이해하기 힘든 것이다.


살인이라면, 복수라든가, 돈이라든가, 뭐 그런 것이 있을 법 한데, 살인의 동기가 하나님께 제사를 드렸는데, 아벨의 것은 받으시고 가인의 것은 것은 받지 않으셨다는 것에 격분한 가인이 동생이 아벨을 쳐 죽였다는 것이 이 사건의 전말인 것을 보면 말이다.



Cain & Abel
Cain & Abel by seamusiv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사람들은 많은 경우 살인의 동기가 된 제사 흠향에 있어서의 차별을 가인과 아벨의 직업에서 찾으려고 한다. 그건 틀린 시도는 아니다. 하지만 가인이든 아벨이든 그 마음에 어떤 것을 먹거리로 삼아야겠다는 것 역시 알고보면 다 하나님께서 그 마음을 조성하신 결과라는 것을 생각하면 그 마저도 뭐 명쾌한 것은 아니다. 하나님은 모은 것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이시 말이다.


하지만 성경에 나오는 단초는 우선 두 사람의 직업이 전부이다. 왜 하나님께서 가인의 제사를 받지 않았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고 봐야 한다. 직업 외에는. 그렇다면 정말로 직업 때문일까? 가인은 농부라서 제사를 받지 않고, 아벨은 목동이라서 제사를 받았다는 것일까? 


그들의 직업도 다 하나님께서 어떤 것을 말씀하시기 위한 계획임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즉 하나님께서 어떤 것을 사람들에게 말씀하시고자 하시려다 보니, 가인은 농사 짓는 사람이 되었다. 그리고 이름도 "얻다"라는 뜻을 가지게 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벨도 그렇다.(아벨은 '호흡', '숨' 이란 뜻)


창세기 4장이 시작되기를 "아담이 그 아내 하와와 동침하매...."라고 시작된다. 그리고 그 앞인 3장의 마지막은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나면서 아담에게 하나님께서 "농사"를 지어야 먹고 살 것이라고 명하시는 장면이 나온다.


즉 가인과 아벨은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하와의 속사람이 육신이 된 존재가 두 아들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선악과를 먹고, 선과 악을 판단하는 존재에게서 난 아들, 즉 선과 악을 판단하는 본성이 두명의 아들로 성육신 되었다는 것을 말씀하고 계신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형식은 가인이라는 형이 아벨이라는 선한 동생을 죽인 것이지만, 내용으로 보면 선악을 판단하는 의가 육신이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하여 설명하는 사건이 바로 가인과 아벨의 사건이라는 것이다. 가인이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 앞에 기준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제사는 받아져야 한다는 <의>가 생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의는 가인에게서 생긴 것이 아니라, 그 아비 아담에게서 비롯된 것이다. 아담이 먹은 선악과가 가인으로 표현된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가인은 "하나님이 나 한테 이러면 안되지?"하는 마음이 생긴 것이다.


아담이 선악과를 먹음으로 말미암아 에덴에서 쫓겨나고 그리고 그 사이에서 형제로 낳은 두 아들은 어떻게 보면 선과악이 함께 있는 선악과와 같은 의미이다. 그래서 "이것은 이래야 된다"라는 기준을 가지게 되어, "제사는 받아져야 한다"는 생각을 했고 그 결과 동생을 죽이는 것이다.


(계속)

'평교인의 성경 보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인과 아벨 (3)  (0) 2014.06.13
가인과 아벨 (2)  (0) 2014.06.13
생명과 (9)  (0) 2014.05.24
생명과 (8)  (0) 2014.05.15
생명과 (7)  (0) 2014.05.13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