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0

(요한일서 1장 5-10절) 죄(1)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요한1서 Date : 2014. 9. 26. 14:47 Writer : 김홍덕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신 (당시의) 이유는 초라한 모습으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스스로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것을 용납 할 수 없는 법이 있었다는 이야기다. 그 법이 예수님을 죄인으로 만든 것이다.


그 법은 유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율법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비단 당시의 유대인들에게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할 수 없는 가치관은 인류 모두의 가치관이라는 것이다.


그 가치관을 성경에서 죄(罪)라고 한다. 어원으로 보면 죄는 '자리를 벗어나다'라는 뜻을 가진 '하말티아'라는 말이 어원이다. 즉 죄는 자기 자리를 벗어난 것을 죄라고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 유대인들의 관점은 예수님이 죄인인 것 같지만, 하나님의 관점에서 그들은 죄인이고 그들이 가진 관점이 바로 죄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죄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는 예수님을 보고 죄라고 하는 것이며, 그런 관점은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시고 자리매김하신 자리를 벗어난 것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건 사람의 자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 유대인들의 관점에서 보면 예수님은 절대로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할 수 없는 그런 사람이었다. 그들의 기준에 하나님의 아들은 창녀와 밥을 먹는다거나, 세리의 집에 들어가서는 안 되는 존재인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은 그렇지 않으셨고 오히려 예수님과 같은 모습이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신 것이다.


유대인들이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하나님의 아들의 정체성은 예수님을 시험한 마귀가 생각하는 하나님의 아들과 같은 것이다. 그 단편적인 것이 바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보고 사람들이 조롱하기를 하나님의 아들이면 거기서 내려오라고 한 것이다.


가로되 성전을 헐고 사흘 만에 짓는 자여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자기를 구원하고 십자가에서 내려오라(마 27:40)


앞에서도 말한 것과 같이 공생애를 시작하려는 예수님을 시험한 마귀의 시험에는 항상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이 들어 있었다. 즉 하나님의 아들은 육신을 가진 사람과는 다른 존재라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에덴동산에서 있었던 사건의 '데쟈뷰(Deja vu)' 현상이다. 에덴동산에서 뱀이 하와에게 이르기를 선악과를 먹으면 하나님과 같이 될 것이라며 유혹한 것과 같은 장면이라는 것이다. 즉 사람이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 즉 육신 너머 초인간적 존재가 되는 것이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다는 것과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에 대하여 착각하게 만드는 유혹에 빠진 것이다. 즉 하나님과 하나가 된다는 것이 하나님과 동일한 능력과 기능과 모양을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것은 비단 아담과 하와의 문제만이 아니다. 지금도 사람들은 하나님과 하나가 되는 사귐에 대하여 하나님과 동일한 같은 개체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그런 생각이 많은 이단을 양산하는 유혹이기도 하다.


이단은 사실 아무나 되는 것은 아니다. 나름 성경에 대하여 많은 깨달음이 있어야 한다. 그러다가 결정적으로 하나님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사귐에 대하여 하나님과 사람이 같은 개체가 되는 것으로 가버려서 이단이 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그건 어쩌면 애초부터 성경에 대하여 모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어쨌든 하나님과 사람이 같은 개체가 되는 것을 하나가 되고 하나님처럼 되고 하나님과 사귐이 있는 것이라고 보는 시각은 예수님과 같이 육신을 가진 존재를 하나님의 아들로 볼 수 없다. 육신은 하나님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것은 같은 개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영이신 하나님의 의를 육신이라는 형식을 가진 사람의 삶을 통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존재의 이유와 존재가 같아지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그저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은 하나님처럼 되는 것으로 아는 관점이 선악과도 먹게 하고 예수님을 시험하며 또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또한 하나님의 아들이면 그곳에서 내려오라고 조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죄는 다른 것이 죄가 아니다. 사람이 하나님과 같아지려는 것, 하나님과 같은 개체가 되고 하나님처럼 되는 것, 그리고 육신의 한계를 벗어나서 십자가에서 내려오는 존재가 되어야 하나님의 아들, 곧 하나님이 원하시는 사람이 된다고 믿는 것 그것이 죄다.


그 믿음, 그 생각이 "죄(罪)"인 것은, 그것이 바로 사람의 자리를 떠난 것이다. 사람은 하나님과 같은 개체가 되기 위하여 지어진 것이 아니라, 의를 가지신 하나님을 표현하는 형식으로 지음을 받은 것이고, 그 형식으로 육신이 존재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안타까운 죽음...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4. 9. 26. 10:01 Writer : 김홍덕

어제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 우리 작은 아이반의 아이가 성적을 비관해서 학교에서 뛰어내렸는데 끝내 목숨을 건지지 못한 사건이 있었다. 그 아이는 최근 모의고사에서 반에서 1등을 했고, 반 아이들과 두루 친하게 지낸 착한 아이라고 아들이 말했다.


뉴스에 나기를 비염으로 힘들고 성적을 비관해서 그랬다고 났는데, 공부를 잘하고 싶은데 늘 몸이 안 따라 주어서 힘들었던 같다. 아들에게 물어보니 비염으로 힘들어했다고 한다. 또 담임선생님도 처음 담임을 맡은 젊은 교사고, 학기 초 원래 담임이 병가를 내는 바람에 대신해서 맡게 된 반인데, 이래저래 안타까운 일이다.


그 아이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지만 어제는 내내 '그 아이가 다시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가시질 않았다. 부질없는 생각이고, '좀 더 살지, 부모님은 어쩌라고?' 싶은 마음도 들었지만 마음만 무거울 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일 뿐이었다.


군에 있을 때 가끔씩 부대원들의 자살 소식을 들었었다. 2,000명도 안 되는 부대인데 거의 1년에 1명 정도 그런 일이 있었다. 그런데 그때는 병사들끼리 밥 먹으면서 '이 군 생활도 못 견디면 어차피 사회에서도 살기 힘드니 잘 죽었다.'라고 몹쓸 소리들을 했던 기억이 난다. 철이 없다는 것이 그런 것인가 보다.


죽음! 참 안타깝다. 자살도 웬만하면 다 타살이다. 어제 죽은 그 아이도 사회가 죽인 것이다. 이 사회가 아이들을 그렇게 만들어가고 있다. 여기서 할 이야기가 아니지만, <전교조>라는 것이 생긴 이후에 아이들의 학교생활이 더 나아졌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는다.


오히려 아이들의 인권을 외치면서 그런 것에 힘쓰는 자신들의 정당성과 우월성 그리고 자부심을 가지기 위하여 교사가 아이들을 가끔은 때려서라도 바르게 교육하고자 하는 것을 원천 봉쇄해버린 집단이 전교조가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어제 그 아이가 있는 학교, 우리 아들이 다니는 학교에도 전교조 교사들이 있는데, 그렇게 사회를 시끄럽게 할 정도로 교육을 위한다면서 아이들의 아픔을 보살피지 못했다 싶어서 한편으로 화가 나기도 한다. 물론 그 아이를 죽음으로 몰아간 사회의 책임이 전교조에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평소 전교조가 생긴 이후 학교 폭력, 왕따, 학생들의 자살이 늘어난 것 같은 느낌에 한 소리 해 본다.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 다음 세대의 건전한 사회를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수능>을 없애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사람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온 나라가 들썩이는 그것이 사람 사는 사회에서 중요한 일이 되었다는 것이 안타깝고 잘못된 것이 아닌가 싶어서다.


뭐 멍청한 사회 평론은 그만하고, 죽음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 본다. 한 달 여 전, 고등학교 때 교회에서 같이 놀던 친구가 암으로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도 며칠을 그 생각이 맴돌았는데, 이제 또 그런 생각이 든다. 이건 분명히 나이의 탓인가 보다.


나이가 들면서 <죽음>에 대해서 아무래도 많이 생각해 본다. 점점 뻣뻣해지는 몸도 그렇거니와 무엇보다 삶의 너머에 대한 생각을 해 본다. 젊을 때는 죽음보다 죽어가는 과정의 고통이 두려웠기도 했었다.


죽음은 결국 형식의 틀을 벗는 것이다. 살면서 생각으로 늘 꿈꾸었듯 몸에 구속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신앙으로 본다면 내용이신 하나님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안으로>는 품속이나 건물 안으로 와는 다른 개념이다. 그건 <세계 안으로>를 말한다.


사람의 죽음은 <하나님의 의>라는 내용을 몸 가진 사림의 인생을 통하여 표현하는 것을 마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흔히들 말하는 창조주의 세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라 믿는다. 이건 어쩌면 사람에게 축복과 같은 일일지도 모른다.


다만, 세상의 모든 일이 그렇듯 그럴만한 사람이라야 그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다. 형식을 벗고 내용과 하나가 되는 것이라면, 형식 안에 있던 내용과 들어가는 세계의 내용이 같아야 하는 것이라야 하는 것이 세상의 이치이기 때문이다. 


세상의 이치가 그렇다는 것은 만드신 이의 생각이 그렇다는 것이다. 프로야구 선수로서 훈련하고 2군에서 또한 연습장에서 연습하는 신분이 아니었는데 어느 날 1군 경기를 하는 법이 없듯, 이 세상에서 살 동안 죽어서 들어갈 하나님의 의를 표현한 적이 없는데, 육신이라는 형식을 벗는다고 그 안에 들어갈 수는 없는 것이 아니겠는가?


어린 아이의 죽음이 안타까운 것은, 많은 세월 육신의 삶을 살면서 하나님의 만나고(그 아이는 신앙이 없다고 했다) <하나님의 의>라는 내용을 맘껏 표현할 기회가 많았다는 것, 그것이다. 


그런 마음에 삶이 허락되는 동안 더 많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고 알리는 삶을 살아야겠다고 마음도 먹어본다. 이 안타까움이 그렇게라도 승화되면 그렇게 먼저 죽어가는 이들의 혼이 교훈이 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의 거처가 되시는 하나님  (0) 2014.11.03
폰 껍데기 벗기기  (0) 2014.09.26
신념과 어른이 된다는 것  (0) 2014.09.16
신앙의 순도  (0) 2014.09.01
내용과 형식의 방향성으로 보는 생명  (0) 2014.08.24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람들의 생각은 무한하다. 그 생각은 형식이 필요 없다. 그렇지만 생각대로 하려면 언제나 자신의 육신의 삶이 한계로 다가 온다. 그것 때문에 생각대로 안 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사람의 자리이다. 십자가에 달린 사람의 생각은 그곳에서 내려가는 것이지만 그럴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이 사람이다.


사람은 형식이 없는 것을 자기의 정체성으로 삼을 수 없다. 사람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살기를 바라는 것이 바로 뱀이 하와를 유혹한 '하나님처럼 되는 것' 그것이다. 알고 보면 사람이 원하는 기적이란 것이 다 육신이라는 형식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다. 그러면 십자가에서 내려올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형식을 준수하면서 살아야 한다. 그것이 요한 사도가 엄히 경계하고 전하는 내용이기도 한 것이다. 바로 예수님께서 육신을 가지고 이 땅에 오신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라는 것, 그것이다. 그것이 사람의 정체성이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이어야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은 내용이 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자신이 자신의 삶의 목적을 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사람의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우리는 <하나님의 의>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하나님의 의를 벗어나서 형식으로서의 사람의 자리를 벗어난 것을 <죄>라고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의 피, 곧 예수님의 생명이 우리의 구속이 되는 것이다. 예수님의 생명은 사람이 자기의 자리를 지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사람의 자리를 지키시는 것을 완전하게 보여주신 곳이 십자가이다.


그 십자가에서는 사람이라면 그 누구라도 스스로 내려 올 수 없다. 그리고 또 누구도 십자가의 자리로 가는 것을 피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사람은 세상이 가지고 있는 법 앞에서 항상 죄인이기 때문이다. 세상이 원하는 법, 곧 사람이 자기 한계를 벗어나야 훌륭한 사람이 된다는 그 법, 그 모든 세상 법의 뿌리에서 파생된 법 앞에서는 그 누구라도 죄인이 되기 때문이다.


올림픽에서는 2등부터는 뭐라고 수식어를 붙여도 다 패배자 곧 올림픽이 원하는 승자의 법에 의거하여 죄인이 된다. 돈 앞에서는 더할 말이 없다. 돈 좀 있다 싶어도 항상 그 위에 누군가가 있기 때문이다. 즉 돈이라는 기준에서 늘 죄인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듯 세상이 원하는 승자의 법에 의하면 모두가 죄인이 된다. 그렇게 죄인이 되면 다 십자가에 달리는 것과 같이 모든 것이 발가벗겨지고 스스로 그곳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때가 되면 가시관 쓰신 예수님처럼 생각으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고, 입고 계셨던 옷과 같이 내게 씌워진 신분으로도 나를 십자가에서 내려올 수 있게 하지 못하며, 못 박힌 손과 발처럼 나의 행동으로도 구원할 수 없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통해서 보여주신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것이 예수님의 피요 예수님의 생명인 것이다. 또한 그것이 우리가 하나님의 의로 회복된 인간 본연의 모습이고 정체성이며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빛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 빛과 사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을 알면 우리는 이 삶을 빛을 만난 것과 같이 어두움에서 행하지 않아도 된다. 즉 인생이 어떤 것인지 훤히 알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세상의 승리하는 법으로 승자가 되려고 그렇게 애를 쓰도 되지 않고 캄캄하던 그 삶의 미래와 삶의 목적이 사람은 그럴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빛을 만난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이 빛이신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렇게 만드셨기 때문이고 우리가 그것을 깨닫게 되면 그것이 빛이 되는 것이다. 


그것을 처음으로 보여주신 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시기에 그 예수님의 생명과 같이 우리도 분명한 한계가 있는 존재라는 것을 십자가의 예수님을 보고 알게 되면 그것이 바로 예수님의 피, 곧 생명으로 구속을 받는 빛 안에 거하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