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0

삼성의 팬으로서...

Category : 잡동사니 Date : 2014. 11. 13. 10:51 Writer : 김홍덕

"야구가 끝나는 날은 가장 슬픈 날이다."라는 말이 있다. 물론 우리나라에 야구단이 몇 개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웃기는 이야기지만,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간 공감이 가는 말이다. 야구를 좋아하는 나에게도 저 말대로라면 봄까지는 슬프다. ㅎㅎ


나는 야구를 아주 좋아한다. 다른 스포츠에 비해서 그 매커니즘이라고 할까? 그게 아주 매력적이다. 중고등학교까지는 고향인 대구의 고등학교 야구가 최고의 전성기여서 야간자습시간에 누군가 가져온 라디오를 듣기도 했던 기억도 난다.


내가 응원하는 팀은 삼성이다. 예전에는 삼성이라는 제품도 아주 좋아했는데, 애플 아이폰을 처음 사용한 일주일째에 '내가 10여년간 삼성에 속았구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만족한 이후에는 '오직 삼성'이라는 마인드에서는 많이 벗어나 있지만, 그래도 야구단은 이른바 향토구단이고 연고지가 고향이라서 아직도 응원한다.


예전에 삼성팬으로 사는 것은 힘들고 슬픈 일이었다. 메이저리그에는 "세상에서 가장 힘든 직업은 시카코컵스의 팬으로 사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100년 넘게 우승을 하지 못한 한 때문에 그런 말이 생겼는데, 삼성팬으로 사는 것도 예전에는 그랬다.


2002년 가을 처음으로 한국시리즈를 우승했을때, 너무 좋아서 같이 있었던 모든 사람에게 밥을 샀을 정도로 기뻣었다.(그래봤다 2,30명 정도 였지만)


다른 구단과 비교한다면 삼성이 가진 매력은 리그 원년부터 한해도 거르지 않고 우승을 위해서는 뭐라도 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다른 구단도 다 그렇다고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삼성만큼이라고 하기 어렵고, 설사 의도는 있다해도 우승을 못하니 그룹차원에서 감사를 할 정도의 의지를 보여주진 않았다.


이제는 늘 이기는 야구라는 말도 가능할 정도의 구단이 되어 있지만, 그래도 한국시리즈를 보는 것은 응원하는 입장에서는 가슴 조리는 일이다. 올해 2014년에는 제대로 된 강자를 만난 것 같았지만, 단 하나 경험의 차이로 이겨내기도 했다.


가끔씩 지난 시절의 야구 이야기를 하는 티비프로를 볼 때면, 2000년 이전의 삼성 이야기는 보지 않는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그건 참 비참한 과거였다. 넥센의 염감독이나 이사장의 말처럼 준우승은 정말로 비참한 일이라는 것을 삼성도 팬들도 아마 알것이라 생각이 된다.





이 시점에 삼성의 야구에 환호하는 것에는 어떻게든 우승을 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뭐든지 해 본 결과로 오늘에 이른 그 과정이 표현된 오늘을 감사하고 싶다. 그건 어쩌면 살아가는 자세도 그래야 할지 모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세상에는 어쩌면 몰라서나, 혹은 없어서 못하는 일은 없을지 모른다. 적어도 시장경제 기반의 자유민주주의 세계에서는 말이다. 심히 고상하게 비약된 견해일지 모르지만 삼성의 야구를 보면서, 원년부터 2000년대까지 그 많은 실패들을 바탕으로 이제는 명실상부한 리딩구단이 된 모습이 단지 스포츠를 너머 교훈적인 모습 마저 느끼게 한다.


어쨋던 야구의 시즌은 이제 쉰다. 얼음 밑에도 물은 흐르듯 겨울동안은 또 다른 리그가 있겠지만 단순한 스포츠의 감동이나 한 시즌의 우승이라는 결과로 응원하는 팬들에게 보여준 것 이상으로 원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끊이 없이 목표를 향해가는 모습에 작지만 감사하는 마음도 보낸다.


그나저나 야구 없는 겨울을 또 보내야 하는구나.....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0) 2016.07.20
바람의 소리  (0) 2015.10.19
세상은 정말 제대로 흘러가고 있는 것일까?  (0) 2014.11.12
이발소  (2) 2014.07.08
익숙함...  (0) 2014.07.08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아들의 수능일

Category : 김집사의 뜰/복음 담론 Date : 2014. 11. 13. 09:54 Writer : 김홍덕

오늘은 수능일이다. 집의 큰 아이도 오늘 수능을 치러 갔다. 생각해보면 나에게 수험생 부모라는 자리는 태어나서 처음 해 보는 것이라서 그 성적표가 어떨지는 모르겠다.





아침, 아들 녀석을 시험장에 데려다 주는 길에 짧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 큰 아들은 어떨 때는 친구처럼 대화를 하기도 한다. 사무실이나 집에서 간단하게 맥주 정도는 같이 마시기도 한다.) 


아들에게 나는 "사람이 지난 날을 돌아보면 더 잘 할 수 있었을 것 같지만, 사실은 오늘의 모습이 사람의 최선의 모습이다."라고 했더니, 아들 녀석도 "그런 것 같아요."하고서는 시험장에 들어갔다.


수능일이 다가오면서 나는 아이에게 "시험을 처삼촌 벌초하듯이 치라."고 자주 이야기 했다. 모르는 문제가 나오면 잘하려 하지 말고 그냥 남일 하듯이 답을 쓰라고 말이다. 그 이유는 자기 능력 이상을 기대하면서 긴장하지 말기를 바랬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난생 처음해 보는 수험생 부모 노릇이라, 때로는 감정에 휩싸여 아이를 닥달하기도 하고, 또 때로는 내 마음은 답답해도 그냥 믿어보자 하는 맘으로 보내기도 했는데, 전반적으로 큰 압박을 준 것은 아니라는 자평을 하고 싶은 마음이다.


아이가 수능을 치러가는 시절이 되자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한다. 어느 날 "아들 리모컨 가져와." 하면 종종 걸음으로 웃으면 리모콘을 가져다 주는 아이가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 아빠라는 것이 다르고 아버지가 다르다는 것을 생각해 봤다.


이제 아이에게는 우유나 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운전면허증이 필요하고 여자친구가 필요하고 사회의 스펙이 필요한 아이가 되었는데, 나는 부모로서 그런 변화에 대비되었는가 생각해보면 딱히 그런 것은 아닌듯 하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이 정도 생각이라도 하는 것이 다행인듯 하다.


그래서 어줍잖게 이것 저것 마음을 바로 잡아 보면서 먹어가는 나이에 적합한 옷을 잘 고르며 살아야겠다 싶다. 내일은 그렇게 준비하고, 어제는 최선이었다는 것을 믿는 마음으로 오늘을 살면 되겠다 싶다. 얼마나 알지는 모르지만 아들도 그것을 알고서 시험을 치러 들어가서 마음이 가볍다. 


오늘은 아들도 수험생이라는 짐을 벗는 날이고, 나도 수험생 부모를 지나 성인의 아비가 되는 문턱에 다가선 날이다. 이 날을 맞이하러 간 아들에게 고마운 날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세상은 정말 제대로 흘러가고 있는 것일까?

Category : 잡동사니 Date : 2014. 11. 12. 10:16 Writer : 김홍덕

어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에서 개최하는 2014 미래유망기술세미나에 다녀왔다. 특별한 기대는 없었고 오히려 경품에 더 관심을 가지고 참석한 세미나였다.







하지만 생각보다는 들을만한 내용들이 좀 있었다. 특히나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DB를 구축해 놓고 검색할 수 있게 KISTI에서 구축한 TOD/COMPAS는 그 존재 유무를 알았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몇 시간 앉아 있던 값은 했다고 할 수 있다.


내용들은 어렵진 않았지만 들으면서 전문적인 사람들의 능력에 감탄하게 하는 내용들이 많았다. 그리고 앞으로는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들이 2~3년 이내에 3D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될 것이라는 것과 같이 IT와 관련하여 세상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에 대한 내용들이 많았다.


세미나의 형태도 나름 첨단이었다. 서울에서 강의를 하고 대구, 부산, 광주의 대학에 있는 강의실에서 실시간으로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강의실 전면을 차지하고 있는 모니터 반은 강의장과 강사를 나머지 한면에는 PT내용이 실시간으로 전국에 보여지는 기술은 대단해 보였다.


그런데......


평소에도 늘 생각해 왔고 강의 내내 드는 생각이 있었는데 그것은 <"과연 이런 흐름이 맞는 것인가?">하는 것이었다. 그러니까 사람이 살아가는 방법과 시대의 변화가 정말로 사람에게 유익하고 사람 본연의 정체에 적합한 형태로 가고 있는 것인지를 생각해 본다.


강의 중에 로보트에 관한 내용이 있었다. 지금까지 많은 기술들이 로보트들을 사람과 비슷한 모양으로 만들려고 노력해왔고 일본 혼다의 아시모와 같은 경우 한 대에 2억에 가깝지만 실제로 제법 인간의 모습을 닮았다.



ASIMO (2010)
ASIMO (2010) by Ars Electronica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그런데 이제는 기술의 관점이 달라지고 있다고 한다. 과연 사람들이 사람의 모양과 비슷하게 생긴 물체가 사람과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에 얼마나 호감을 가질 것인지에 대하여 회의적이라는 것이다. 아니 말 그대로 비호감의 요소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로보트도 각자의 기능에 맞게 전혀 사람답지 않고 오히려 디자인과 가구의 일부와 같은 모양을 가지고 필요한 기능을 하는 모양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즉 기계는 기계다워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많은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언뜻 보면 편리해지고 있다. 예전에는 누구나 전화번호 수첩을 가지고 다니거나 많은 전화번호를 외우고 다녔고, 물어 물어 길을 찾았고, 어느 도시나 유명한 약속 장소가 늘 있어 그렇게 미리 만나기를 약속하고 만났다.


하지만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면 전화번호도 외울 필요 없고, 길 찾는다고 차에서 내리거나 사람에게 물을 일이 없고, 약속을 정하기 보다 실시간으로 바로 만나고 대충 가서 전화로 만나면 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정말로 편리한 것 같지만 한마디로 편리하게 사람을 만난다는 가면 아래 사람이 사람에게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과연 이 기술의 발달이 사람에게 정말로 유익하게 흘러가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의 소리  (0) 2015.10.19
삼성의 팬으로서...  (0) 2014.11.13
이발소  (2) 2014.07.08
익숙함...  (0) 2014.07.08
아름다운 이별은?  (2) 2014.06.06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