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0

영지주의라는 것은 초대교회 시절에 생긴 사상이긴 하지만 현재의 시대라고 해서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영지주의가 사도요한이 경계하는 마귀의 생각이고 적그리스도라는 것은 분명하다.


적그리스도나 마귀라는 것은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게 있어서 절대로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요소들이나, 알고 보면 우리 마음 안에 그런 요소들이 다 있다. 그래서 그것을 발견하는 것이 신앙의 중요한 부분인 것이다.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끊임없이 사람들과 다투시는 것이 있다면 사람에 대한 관점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하나님께서는 당신께서 만드신 사람의 육신이 온전하다고 말씀하시는 반면에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람들이 취하고 있는 두 가지 큰 태도가 있는데 하나는 육신이 하나님 앞에서 부족하니 금욕하고 절제하고 훈련하여 하나님께 합당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고, 또 하나는 육신은 어차피 중요한 것이 아니고 영혼이 중요한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러한 두 구조에 있어 전자를 율법주의라고 할 수 있고, 후자를 우리는 영지주의라고 할 수 있다. 율법주이는 사람의 연약하고 추한 모습을 법으로 규정하여 다스리고 감추는 것이라면, 영지주의는 반대로 육신은 어쩔 수 없고 거룩하게 되는 것과는 무관하니 별도로 생각하는 것이다.


이 두 구조는 예수님을 보는 관점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율법주의는 가난한 목수의 아들이고 율법을 지키지 않는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 없고, 영지주의는 육신을 가진 사람이 예수님처럼 될 수는 없으니 예수님은 육신으로 오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쪽의 생각은 둘 다 하나님 앞에서 온전한 생각이 아니다. 율법주의는 하나님을 온전히 믿는 사람에게 떠나온 자리라면, 영지주의는 가서는 안 될 자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이 육신을 분명히 기뻐하셨고, 그것을 다시 보이시기 위하여 예수님을 육신으로 보내셨기 때문이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생각과 뜻과 의를 믿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있어 하나님을 믿는 온전한 모습은 사람에 대하여 하나님과 같이 생각하는 것이다. 그것이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가지고 계신 사람에 대한 생각은 기본적으로 온전하고 보시기에 심히 좋은 존재이다. 이에 대하여 사람이 자신과 또한 사람을 보면서 사람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하는데 그 이유는 하나님과 같이 되려하기 때문이다.


하나님과 같이 되려는 것은 신이 되고자 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람에 대하여 자신이 정의를 내리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이 어떠해야 하나님이 기뻐하시는지를 자신의 생각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이것을 평범한 말로 하면 '적어도 사람이 이래야지!'하는 것이 된다.


사람이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이 바로 선악과를 먹은 것이다. 스스로가 어떤 것이 선한 것이며, 어떤 것이 악한 것이라고 규정하는 권세를 가지려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사람들은 '적어도 사람은 이래야지!'라는 기준들이 생긴 것이다.


그 기준이 율법을 낳은 것이다.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율법주의인 것이다. 


(율법의 목적은 사람이 율법을 지켜서 의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율법을 지키려 하면 사람의 한계와 정체가 드러나도록 되어 있는 것인데 이를 오해한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바울 사도가 로마서에서 많이 이야기 하였다.)


그리고 또 하나 사람이 스스로 하나님의 아들에 대한 기준을 선악과를 먹은 결과 가지게 되니 나타난 것이 무엇인가 하면 육신의 것은 아무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다. 이것이 영지주의다. 이 시대에 영지주의의 변형이 있다면 그것은 세상을 무시하는 신앙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요한 사도 그리고 심지어 예수님께서도 세상 사람들이 예수님을 알지 못한다고 말씀하고 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다 예수님을 알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관점의 차이가 있는 것일까?


단순한 비유로 본다면 국민들이 대통령이나 연예인들을 알고 있지만 그들은 대부분의 국민들을 모르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더 정확하게는 사람들이 아는 것은 예수님의 생애와 그 기록에 관한 것이고 사람들이 모르는 것은 예수님의 정체성이다.


사람들은 예수님의 생애를 역사공부를 하듯 알고 있고, 기독교인들과 비기독교인들의 차이는 예수님의 생애를 실제의 사건과 기적으로 믿는지 아닌지에 차이가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예수님의 생애가 어떠하든 그것이 나와 상관이 있는 말씀이 아니면 적어도 나에게는 의미가 없다.


앞에서 포스트한 것과 같이 예수님께서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로 이 땅에 오셔서 기름 부음을 받은 자의 직분인 왕이요 제사장이며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밝혔는데, 그 당시 하나님을 잘 믿는 사람들에 의하여 예수님의 모습은 왕으로도 하나님의 아들로도 인정받지 못해 죽임을 당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달리신 이 이유가 바로 세상이 예수님을 알지 못하는 이유이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기름 부음을 받은 그리스도로 세운 것에 비해 하나님을 믿노라 하는 사람들은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인정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예수님을 아는 것은 이 블로그에서 누누이 언급하고 있는 것과 같이 예수님께서 우리와 같은 육신으로 오신 것을 믿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래야 우리 육신이 예수님과 같이 행할 수 있고, 예수님의 제자로서 따라 갈 수 있으며,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고, 예수님께서 기적을 일으키시는 것을 믿어야만 한다면 우리는 그런 기적을 쉽게 일으킬 수 없어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기도 어렵거나 될 수 없고 따라가는 것이나 행하는 것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수님의 기적이나 신비한 능력은 결국 십자가에서 사람의 모습을 보여주시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이지 그 자체가 우리 사람이 따라해야할 목적이나 사람의 정체성이나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자격을 말하는 것이다.


바로 이런 것을 알지 못하면 예수님의 행적을 기록한 성경을 아무리 알고 신학적으로 또한 모든 것을 알고 또 죽은 사람을 살리는 능력이 있다 해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듯 예수님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안다는 것은 예수님께서 오신 목적,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예수님을 우리와 같은 성정으로 보내신 목적을 아는 것, 그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이 육신을 가진 인생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드러내시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바로 그 목적을 아는 것이 예수님을 아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도 요한은 요한 일서 2장 27절에서 "너희는 주께 받은바 기름 부음이 너희 안에 거하니 아무도 너희를 가르칠 필요가 없고……" 라고 말씀하고 있다.





가르칠 필요가 없다는 것은 <기름 부음>이 모든 것을 가르치기 때문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이고 우리에게 가르치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기름 부음을 받았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말뜻이다. 메시야라는 말 역시 같은 말이다. 메시아나 그리스도나 공히 다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메시아는 히브리어고 그리스도는 헬라어일 뿐.


기름 부음은 어떤 신분에 대한 임명과 선언과 상징이다. 그것은 왕과 제사장을 말하는 것이다. 또 기름을 부어주는 것은 가르치는 것과는 좀 거리가 있는 의식이다. 기름을 붓는다는 것은 올림픽 메달을 주는 것 같이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 하는 의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름 부음을 받았다는 것은 배우는 자리에 있다는 것이 아니라, 어떤 자격과 신분이 갖추어졌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는 배움에 관한 것이라기보다 신분에 관한 것이라는 의미다. 다시 말해서 기름 부음을 받으신 예수님은 왕이요 제사장이라는 것이다.


그런 예수님께서 기름 부음을 받으신 그리스도로 우리에게 보이신 그 삶을 보고 우리가 또한 그리스도와 같이 살아야 함을 깨달았다면 그 사람 역시 그리스도와 같은 정체성이 회복된 사람이므로 그 사람은 그리스도에 대하여 배우는 것이 아니라 신분이 회복되고 선언되는 것이라는 말씀이다.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죄목이 두 가지인데, 그 하나는 유대인의 왕이라고 한 반역죄와 또 하나는 하나님이 아들이라고 한 신성 모독죄이다.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예수님의 신분은 왕이요 제사장(하나님을 대신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세상이 그를 그렇게 한 것은 예수님을 알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세상이 예수님을 알지 못했다는 것은 요한 사도가 요한복음에서도 또 요한일서 3장에서도 말씀하고 있다.


빛이 어두움에 비취되 어두움이 깨닫지 못하더라(요1:5)


하나님은 예수님을 이 세상의 왕으로 또한 제사장으로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아들로서 보내었는데 이것을 알지 못한 사람들은 하나님께 기름 부음을 받아 왕이신 예수님이 왕이라 하니 죽이고, 아들이라 하니 죽인 것이다.


기름 부음을 받은 신분 곧 정체성은 배워서 가는 자리가 아니다. 예수님께서 가르치신 것은 우리가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이끌어 내시고 깨닫게 하신 것이고, 그 깨달음 안에 있는 사람이 바로 주 안에 있는 것이다.


교육이라는 것은 근본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그 안에 있는 것을 이끌어 내는 것이라고 한다. 이는 참 맞는 말이다. 이와 같이 주님의 가르침은 사람 밖에 있는 어떤 것을 사람 안으로 넣는 것이 아니다.


예수님의 가르침은 우리 안에 있는 것을 이끌어 내고 우리가 누구인지 깨닫게 하는 것 그것이다. 그것은 세상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것에 관해서는 예수님 외에 가르칠 수 있는 존재가 이 세상에는 없다.


예수님의 가르침은 사람이 알지 못하고 할 수 없는 것을 알게 하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만드신 사람, 예수님이라는 이름을 대할 때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는 그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십자가에서 보여주심으로 우리가 그와 같이 기름 부음을 받은 존재로서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끌어 내신 가르침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