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598

기독교는 구원을 말한다. 하나님을 믿으면 구원을 얻는다고 말한다. 구원을 얻는다는 건 죽을 지경에서 건져졌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구원받기 전 기독교인들의 삶은 전능하신 창조주 하나님이 아니면 구할 수 없을 정도의 위험에 있었다는 의미다. 그러면 그 위험은 무엇인가? 구원받았다는 사람들은 이걸 분명히 알고 있을까? 아쉽게도 그렇지는 않다. 사실 이걸 잘 생각해보지도 않아 보인다.

 

우선은 '죄와 사망'에서 구원받았다고 말한다. 이건 다분히 상투적인 표현이지만 그 말을 진심으로 인정한다고 해도 기도할 때는 회개로 시작해야 한다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이처럼 분명한 모순에도 별다른 의문을 가지지 않는다. 여러모로 죽음에서 건져진 사람의 태도로 보기 어렵다.

 

무엇보다 심각한 건 구원받았다는 삶은 구원 이전과 달라진 게 없다. 구원 이전이나 받은 다음이나 추구하는 건 똑같이 세상 가치다. 성공을 하나님께 의지하고, 성공이 하나님께 영광이 되며, 성공을 하나님의 은혜로 안다고 목적이 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자기 힘이나 다른 신으로는 안 되니 하나님으로 의지하는 대상으로 세탁했을 뿐 생물로 보면 같은 걸 양식으로 삼는 같은 생명이다. 같은 존재라는 뜻이다. 구원 이전이나 이후나 똑같이 세상의 가치를 양식과 소망과 성공으로 삼는 이상 구원받았다고 할 수는 없다.

 

우리 구원은 어디서부터 어디로의 구원인가?

 

출애굽기는 이것을 우리에게 설명한다. 우리의 구원이 무엇으로부터, 어디로부터의 구원인지를 이스라엘 백성의 형편을 통해 말씀한다. 세상을 상징하는 애굽에서 국고성을 쌓는 노예로 사는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은 세상 가치를 추구하고 굳건히 하는 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 모습이다. 세상 가치를 추구하면서 심지어 그것을 하나님을 통해 얻으려는 삶과 신앙이 구원받아야 하는 종살이다. 여기서 벗어나는 게 하나님의 구원이다.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모세는 바로에게 가서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께 희생을 드리러 가겠다고 말했다. 하나님의 백성은 세상 가치를 쌓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에 자기를 희생으로 드리는 사람이란 의미다. 하나님께 희생을 드린다는 건 자기의 모든 것을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바친다는 것이다. 하나님을 의지하고, 성경을 지켜서 육신의 평안과 복락을 얻으려는 것과는 반대다.

 

물론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한 목적,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일을 위해서 사람을 부유하게 하시기도 한다. 그러나 그건 하나님의 주권이지 하나님 믿는 사람이 잘 살아야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는 건 아니다. 출애굽기를 주목해서 봤다면 이스라엘 백성이 구한 건 노예의 삶을 벗어나는 것이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은 하나님의 약속이지 이스라엘 백성이 구한 게 아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구원은 세상 가치를 좇는 삶에서 행여 뒤처져 육신이 더 수고해야 하는 건 아닌지 우려하는 삶에서 벗어나는 게 아니다. 우리의 구원은 오히려 그런 가치관에 사로잡힌 삶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하나님 믿는 사람은 세상에서 성공해야 한다는 생각 속에 감춰진 세상 가치를 벗어나지 못하는 종살이, 행여 하나님을 진노케하지는 않을까 근심하는 마음으로 전전긍긍하며 성경을 지키는 노력에 숨겨진 세상 가치를 추구하는 종살이에서 벗어나는 게 구원이다. 하나님은 그런 걸 의와 영광으로 여기시지 않는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1. 오늘 나의 이야기 ‘출애굽기’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출애굽기 Date : 2023. 5. 30. 06:08 Writer : 김홍덕

성경 두 번째 책인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종살이하던 애굽에서 벗어나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젖과 꿀이 흐르는 비옥한 땅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그린 책이다. 그렇다고 이 책이 하나님을 믿는다는 한 민족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출애굽기는 모든 신앙인의 신앙 여정이고, 역사다. 한마디로 오늘 나의 이야기다. 정확히는 복음 전 단계에서 진정한 복음의 삶으로 가는 신앙 여정이 어떤지를 말씀하시는 성경이다.

 

우리 구원의 이야기다. 우리는 구원을 생명이 바뀌었다는 의미의 거듭남이라고 한다. 출애굽기는 이와 같은 우리 구원을 이스라엘 백성의 여정으로 설명한다. 지리적 이동으로 보이는 큰물을 건너서 젖과 꿀이 흐른다는 땅에 이르게 된 이스라엘 백성의 여정은 우리 각 사람이 어떤 존재로 변화하는지를 설명한다. 그렇게 나와 상관있는 이야기가 아니라면 어리석은 누군가의 말처럼 출애굽기는 단지 딴 나라 역사 이야기일 뿐이다. 그것도 허구 혹은 신화적인 역사 이야기다.

 

그러나 분명 출애굽기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구원의 말씀이다. 형식적으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을 떠나 현재의 이스라엘 땅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 같으나, 본질은 우리의 본성이 바뀌는 과정에 관한 말씀이다. 우리가 세상을 보는 안목과 무엇을 귀하게 여기고 무엇이 본질인지를 깨닫는 심령의 변화 과정, 거듭나는 과정을 말씀하시는 책이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건이 바로 홍해와 요단강을 건너는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유대인은 큰물을 건넌 자라는 의미 히브리인이라 칭하게 되었다. 이렇듯 큰물을 건넌 일은 우리에겐 세례를 의미한다. 물에 잠겼다가 나온다는 의미의 세례는 물속에서 살 수 없는 생명이란 고백으로 말미암아 다시 태어나는 고백적 예식이다. 그건 다시 말해서 이전에는 물속에서 살려고 노력했다는 의미다. 물속에서 살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건 성경 말씀을 행위로 지켜내려고 했다는 의미다. 여기서 성경은 십계명 같은 구약성경에 한정하지 않는다. 성경의 어떤 말씀, 심지어 복음의 말씀도 '~해야 한다'가 되는 순간 행위로 지키는 말씀, 곧 율법이 된다.

 

출애굽기는 바로 그런 신앙을 벗어 버린 생명으로 거듭나는 과정에 관한 말씀이다. 따라서 오늘 출애굽기를 읽는다는 건 오늘 나의 신앙이 율법을 지키는 신앙이 아닌지, 거듭난 생명이 가진 본성대로 사는 생명으로 거듭난 사람인지, 그리고 그에 합당한 신앙 여정을 거쳤는지 살피는 일이 되어야 한다. 그제야 비로소 출애굽이 내 이야기가 된다. 내가 세상의 종살이에서 벗어난 사람이 된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부활을 의심하고 완전히 믿지 못하는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온 천하에 복음을 전하라고 당부하시고 얼마 후 하늘로 승천하셨다. 특히 복음을 전하라고 당부하실 때 많은 능력이 임할 것이란 말씀도 함께 하셨다. 뱀을 잡고 독을 마셔도 해를 받지 않고 병든 사람에게 손만 얹어도 나을 것이라 말씀하셨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수를 믿으면 마치 초능력자라도 될 것처럼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예수님은 자신도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못한 그리스도라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즉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게 직임이 아닌 그리스도가 전하라고 한 복음은 육신의 문제 해결을 복된 소식으로 전하라는 건 아닐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는 걸 상식이라고 한다. 핵심은 역시 그리스도가 어떤 존재냐는 것이다.

 

예수님의 당부를 받은 제자들이 전한 복음의 핵심은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가 그리스도, 곧 메시아와 구원자라는 것이었다.

 

그런즉 이스라엘의 온 집이 정녕 알찌니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행 2:36)

 

따라서 복음을 전함에 주어지는 능력 역시 이 맥락에서 봐야 한다. 독을 먹어도 상하지 않고, 손만 얹어도 병이 나을 것이란 말씀의 주된 목적 역시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이 그리스도라는 맥락에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벗어나 높아지고 육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걸 하나님의 능력으로 또 성공으로 여기는 세상 가치의 기대가 이루어진 성과를 제시하는 성령의 능력으로 보면 안 된다는 뜻이다.

 

기독교인들은 복음을 전할 때 신앙을 가진 사람의 성공을 미끼로 삼는다. 교회에 다녔더니 사업이 잘되었다는 이야기, 자기가 다니는 교회에는 세상에서 성공하고 잘나가는 어떤 어떤 사람이 있다는 이야기, 자기가 다니는 교회에는 기도로 병 고친 사람이 있다고 이야기하면서 '당신도 이런 기적과 혜택을 누리는 주인공이 될 수 있다'라고 꼬드긴다. 그게 예수를 믿어야 하는 이유라는 것이다.

 

약간의 풍자로 채색되었긴 하지만 교회의 전도는 이렇다. 그럴 수밖에 없는 건 교회가 세상에서 높아지고 성공하는 걸 추구하기 때문이다. 독을 먹어도 상하지 않을 것이란 말씀도 이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다. 교회에 다닌다는 건 곧 세상이 겪는 어려움을 회피하는 증표와 뒷배가 된다는 약속으로 해석한 것이다.

 

하지만 예수님이 전하라고 하신 복음은 그와 반대다. 세상의 가치관으로 볼 때 가장 낮고 천한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이 세상의 성공을 담보하신다는 게 말이 되고 복음이 될 수는 없다. 그것도 사람의 보편적 한계를 넘어서는 기적을 수반한 성공과 능력을 주실 것이란 게 복음일 수는 없다. 예수님은 십자가를 지는 그리스도로 거듭나는 게 복음이라는 걸 몸소 보이시면서 이를 전하라고 하셨지, 가난을 해결하겠다거나 초인적인 기적을 행하는 사람으로 만들어 주겠다고 약속하시지 않았다.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께서, 또 그의 제자와 사도들이 지금까지 전해 온 복음은 세상의 성공을 담보하는 성령의 능력이나 하나님의 은혜가 아니라 그리스도로 거듭나는 것, 그 하나다. 그리스도로 거듭난다는 건 곧 그리스도라는 생명이 된다는 것이고, 그리스도라는 생명이 되었다는 건 그리스도이신 예수님과 같은 본성을 가진다는 의미다. 그렇게 된다면 모든 성경이 나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예수님의 말씀대로 우리의 삶이 성경 자체가 되는 것이다. 이게 바로 복음이다.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요 5:39)

 

우리의 삶이 성경 그 자체가 된다는 건 놀라운 일이다. 모든 기독교인이 성경대로 살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한다면 이보다 더한 복음이 없다. 기독교인들은 세상의 성공을 목적으로 성경대로 살려고 하지만 늘 실패하는 데 반해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은 그냥 살 뿐인데 그 삶 자체가 성경이 되니 목적과 세계와 구조와 가치관이 다르다. 그런데 이게 바로 복음이다.

 

이렇듯 성경이 다 이루어진 삶이 된다면 예수님의 약속대로 독을 먹어도 상하지 않을 것이다. 즉 세상 가치관 아래 살아도 하나님을 떠나는 악에 빠지지 않는다는 의미다. 손만 얹어도 병든 자가 분명 나을 것이다. 손을 얹는다는 건 삶의 행동이 하나님과의 관계에 이상이 생긴 병을 치료할 것이란 말씀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복음을 잘 생각해야 한다. 복음은 세상에서 성공해서 평안을 누리게 된다는 약속의 말씀이 아니다. 그리스도로 거듭난다는 말씀이다. 성경대로 거듭난 그리스도는 십자가를 지는 그리스도며, 나보다 남을 낫게 여길 수밖에 없는 본성을 가진 생명이다. 늘 남에게 나를 내어주는 십자가를 지는 본성으로만 사는 존재다. 사람이 이렇게 되는 게 예수님이 전하신, 또 전하라고 하신 복음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