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4

(2:14-42)

가난한 자는 항상 있을 것이라고 하신 예수님은 가난을 해결하는 그리스도가 아니니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외쳤던 사람들이 자기들이 십자가에 못 박은 예수가 주님이자 그리스도라는 말에 자신들의 어두움을 깨닫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베드로와 사도들에게 답을 구했다.

 

저희가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려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물어 가로되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거늘 (행 2:37)

 

이에 베드로는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 그러면 성령을 선물로 받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리고 이 말은 하나님을 부르는 사람에게, 그 사람이 얼마가 되었든 그들을 위한 말씀이라고 했다. 이에 세례를 받은 사람이 삼천 명이라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 이들의 회개는 베드로의 설교 때문이다. 즉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가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라는 말에 회개했다.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라는 생각을 돌이켰다는 뜻이다.

 

세례라는 말은 물에서 건져낸다는 의미다. 물은 또한 율법이니, 율법으로는 살 수 없다는 고백이 바로 세례다. 세례는 행위로 의로워질 수 없다는 고백이다. 또한 겉모습과 외모가 그리스도의 정체성과 사람의 정체성을 결정한다는 생각은 선한 생각이 아니라는 고백이다. 선한 것이 날 수 없다는 나사렛에서 와서, 가난이라는 사람의 외모와 행위를 의롭게 하는 게 그리스도라는 믿음 아니 신념을 버리는 게 세례다. 이것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다는 말이다.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님의 이름으로 세례받는 건 행위와 외모가 의로워야 하나님 앞에 의로워진다는 생각을 버리는 것

 

이러한 세례를 받으면 또한 성령을 선물로 주신다고 하셨다. 따라서 성령의 강림과 충만은 행위로 의로워지는 신앙에서 돌아서는 연장선 상에 있다. 행위가 초라하고 가난을 해결하는 게 그리스도가 아니라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걸 돌이켰더니 갑자기 신비한 기적을 행하게 되는 성령을 받는다는 식의 생각은 예수 이름으로 세례받은 게 아니다. 행위로 의로워지는 신앙에서 돌아섰더니, 초자연적인 행위를 일으키는 성령이 오신다? 이렇게 무턱대고 세상에서 잘 되려는 자기 정욕을 좇는 신앙을 추구하는 건 그저 미신일 뿐,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님을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로 믿는 신앙이 아니다.

 

선물은 받는 사람에게 유익하다. 주는 사람 역시 이를 위해 준다. 주는 사람은 가졌고 받는 사람에게 합당할 때 선물이다. 머리가 없는 사람에게 헤어드라이어를 주는 것처럼 주는 사람에게 유익하지 않고 별 쓸모가 없는 걸 주는 건 선물이 아니라 조롱이다. 성령을 선물로 준다는 건 받는 사람이 성령의 정체성에 합당하다는 뜻이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로 믿는 믿음을 생명으로 잉태케 하시는 성령을 받으려면 그 믿음과 성령이 그와 같은 일을 하시는 분이란 걸 믿어야 한다. 그런 사람에게만 성령을 선물로 주신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로 믿는 믿음을 생명으로 잉태케 하시는 성령을 받으려면 그 믿음과 성령이 그와 같은 일을 하시는 분이란 걸 믿어야 한다.

 

만약 성령을 기적을 행하는 신비한 영으로 믿고 그 신비한 능력이 육신의 문제, 가난과 질병과 사회 문제를 해결해 주신다고 믿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 성령을 선물로 받을 수 없다. 우선 성령은 그런 일을 행하는 분이 아니다. 그리고 가난과 질병은 외모와 행위의 영역이다. 그 속에 살 수 없다는 고백이 세례다. 성령은 그 고백이 있는 믿음을 생명으로 잉태케 하신다. 이게 그리스도로 거듭나는 것이다. 이런 사람이 진정한 성령을 선물로 받는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도행전) 07 – 술 취했다는 사람들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도행전 Date : 2024. 4. 24. 21:51 Writer : 김홍덕

(2:5-13)

"술 취했다"라는 말은 술 마신 사람만을 지칭하는 표현이 아니다. 이건 일상적이지 않고 상식적이지 않은 상태를 비난하는 포괄적 표현이다. 오순절에 임한 성령으로 인해 방언을 말하고 회개하는 사람의 모습을 술에 취했다고 말했다는 건 비이성적인 행동으로 봤다는 의미다. 사람의 이런 시각은 요즘이라고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성령의 기적으로 병을 고치겠다고 한다거나, 교회를 위해 생계를 위협하는 큰 돈을 헌금하는 행동들은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사람이 볼 때 낮술에 취한 것과 진배없다.

 

세상의 기준으로 보면 신비한 능력을 신봉하는 건 낮에 술에 취해 있는 것처럼 비정상적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보기에 낮술에 취한 것 이상으로 더 비이성적인 게 있다. 그건 바로 세상을 구원한다는 그리스도 곧 메시아가 일반인보다 훨씬 낮고 천한 신분인 사형수가 되어 십자가를 진다는 걸 믿으라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세상의 가치관과 법 기준에 따라 죄인, 그것도 사형수가 된 사람이 나를 구원하는 그리스도라는 걸 믿으라는 의미다. 이건 의미로만 보면 기도하면 암이 치유된다고 믿는 것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술에 취한 소리다.

 

베드로가 십자가에 못 박은 예수가 그리스도라고 외치고, 그걸 듣고 그 예수를 그리스도로 인정하지 않았던 자신의 마음에 찔려 회개하는 무리는 낮술에 취했다고 비웃는 건 교양 없는 행동이 아니라 어쩌면 너무 당연한 행동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베드로는 이 말씀은 술 마시고 하는 말이 아니라 선지자 요엘의 예언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일갈했다. 다시 말해서 이건 술에 취해 하는 말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진리의 말씀이다.

 

사람에겐 죄인이 되어 십자가를 지는 존재가 그리스도며, 메시아는 그런 존재로서 인간을 구원한다는 걸 믿으라는 건 낮술에 취한 것 이상의 비이성적인 소리다.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베드로의 말은 세상 사람의 기준으로 볼 때 터무니없는 소리다. 하지만 성령의 직임과 능력을 안다면 베드로의 말은 성령의 능력이다. 게다가 십자가에 못 박힌다는 걸 이해하지 못해 힘들어하던 베드로가 성령이 오시니 그리스도가 오히려 담대하게, 사람들이 낮술에 취한 소리라고 비웃음에도 불구하고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걸 선포했다.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얻은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고전 1:18)

 

세상 사람들과는 달리 제자들과 함께 성령이 임한 사람들은 베드로의 말이 마음을 찔렸다. 자기의 죄를 시인한 것이다. 그 찔림에 "우리가 어찌할꼬?" 탄식했고, 베드로는 세례하고 죄 사함을 받으라고 했다. 세례는 이전 생명으로는 생명이 없음을 알고 옛 것은 죽고 새 생명으로 나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여기서 가난은 해결하지 않는 그리스도는 그리스도가 아니라는 생각이 죄인 것도 알 수 있다. 그 죄 사함을 받고 새 생명으로 나는 게 세례다. 구원은 이렇게 자기 스스로 죄를 시인하고, 스스로 새 생명을 소망하므로 말씀에 순종하므로 얻는다.

 

자신들과 같은 육신을 가지고 와서 가난은 그리스도의 일이 아니라는 예수는 그리스도가 아니라고 단정하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게 내어 준 죄를 시인하니, 베드로가 선포한 말씀이 그들 마음에 심겼고, 성령께서 그 말씀이 생명이 되게 잉태시키시므로 회개했다. 이것이 성령의 능력이고 강림이며 충만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도행전) 06 - 베드로의 설교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도행전 Date : 2024. 4. 21. 19:33 Writer : 김홍덕

(2:14-42)

베드로의 설교와 3,000명의 회개는 줄탁동시의 관계다. 베드로의 설교가 유대인들에게 찔림이 되었다. 핵심은 베드로는 무엇을 설교했고, 사람들은 무엇에 찔려 무엇을 회개했는지다. 그게 이 사건을 기록한 목적이다. 그리고 설교자 베드로도 설교 전후로 아주 대단한 변화가 있었다. 그건 바로 십자가를 진 예수가 그리스도냐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정체성에 관해 베드로에게 변화가 있었다. 그 전환점은 성령강림이다.

 

그런즉 이스라엘 온 집이 정녕 알찌니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하니라(행 2:36)

 

기독교인들은 성령강림 전과 후의 베드로가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저 예수님의 수제자니 성령의 능력이 나타난 것이지, 베드로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베드로는 아주 큰 변화가 있었다. 성령이 충만해지기 전에는 '그리스도가 어떻게 죄인이 되어 십자가를 질 수 있지?'라는 의문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래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는데도 엠마오로 가려 했다.

 

성령이 강림하시니 "그리스도가 어떻게 십자가를 지는가?"라며 낙담했던 베드로가 십자가에 달린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라고 선포했다.

 

그런 베드로가 유대인들을 향해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가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라고 설교했다. 베드로의 이 변화는 성령의 역사와 능력이다. 예수님께서 자신이 아버지께로 가고나면 오시는 성령께서 예수님이 말씀하신 모든 걸 알게 하실 것이라고 하신 약속이 이루어진 것이다. 성령으로 말미암아 어떻게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지는 죄인이 될 수 있는지 알지 못했던 베드로와 제자들에게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면서까지 전하신 하나님의 말씀이 깨달아지고 자기 것이 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성령의 능력이고 성령 충만의 결과다.

 

한편 유대인들은 베드로의 설교가 마음을 찔렸다. 그들은 그리스도이신 예수님이 왜 죄인이 되어 십자가를 지는지를 의심한 정도가 아니라, 가난을 해결하지 않는 그리스도는 그리스도가 아니라고 단정했던 사람들이다. 그게 그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이유고 정당성이었다. 그런데 그들이 십자가에 못 박은 예수가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라고 선포되니 마음이 찔려 회개했다.

 

가난을 해결하지 않는 그리스도는 그리스도가 아니라며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외치던 사람들이 성령이 강림하니 자기 믿음을 돌이키고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었다.

 

표면적으로 본다면 유대인들의 회개는 자신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는 행위를 회개하는 것 같다. 하지만 본질은 그리스도의 정체성이다. 그들이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그렇게 환호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외친 건 예수님이 그들이 바라던 그리스도가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들에게도 그리스도는 가난과 독립의 문제를 해결하는 초능력자였지 십자가에 못 박히는 죄인은 아니었다.

 

그런데 성령이 강림하시니 그리스도가 어떻게 십자가를 지는지 갈등하던 제자들이나 가난과 독립을 해결하는 존재를 그리스도로 믿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던 유대인들이나 모두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이 그리스도라는 걸 믿었다. 그걸 믿었기에 설교했고, 그걸 인정했기에 가난을 해결하지 않는 그리스도는 그리스도가 아니라고 확정했던 자신들의 생각을 돌이켜 회개했다. 이것이 바로 성령강림의 역사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