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2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신 것은 하나님의 의가 예수님의 육신과 삶으로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들이다. 그것이 아니라 생물학적인 아들이거나, 능력으로 아들이 된 것이라면 오늘 우리는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없다. 반대로 예수님께서 우리와 같은 육신으로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심으로 아들이 되셨다는 것은 우리도 그렇게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사람들은 예수님과 같이 된다는 것에 대한 착각을 가지고 있다. 예수님과 같이 되는 것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수님이 우리와 같은 인생으로 오셨다는 점이다. 예수님의 놀라운 능력, 죽은 자를 살리고 바다 위를 걷는 그런 능력은 육신이 아니라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냉 말씀으로만 해도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은 예수님을 굳이 우리와 같은 육신으로 이 땅에 보내셨다. 그것은 한 마디로 십자가를 져야하는 것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말씀으로 십자가를 질 수도 없지만, 설사 그렇게 하셨다고 해도 우리는 그렇게 십자가를 질 수 없기 때문에 사람에게는 아무런 의미와 소용이 없는 것이다.


십자가를 진다는 것에는 육신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십자가라는 형틀을 지기 위하여 육신이 필요했다는 의미가 아니다. 십자가를 지려면 육신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육신은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수고해야 하는 실체라는 의미이다.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이 육신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그 존재의 목적을 십자가로 보여주신 것이다.


어떤 사람이 교회에 다니려고 하니 가정에서 반대가 심하여서 따로 독립해서 살기로 했다. 그렇게 살아보니 이만저만 힘든 것이 아니었다. 모든 것을 부모님이 챙겨주다가 혼자서 알아서 하려하니 힘들었다. 그래서 그런 삶을 교회에 가서 이야기 했더니 ‘신앙을 지키기 위한 결단’이라면 위로했고, 그 사람도 교회도 그것을 십자가를 지는 삶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것은 반만 맞다. 진정으로 육신을 잘 사용하는 것은 그 육신으로 수고하여 모든 가족이 그 수고에 감동(이것이 성령의 감동)하여 같은 신앙을 가지게 되었을 때 정말로 그 육신이 십자가를 지는 삶을 산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십자가는 위대한 것을 위하여 감당하는 고통이 아니라,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위대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하지 않는 하찮아 보이는 수고,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 그 수고를 감당하기 위하여 육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예수님의 십자가가 그것을 본 백부장에게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라 고백하게 하는 감동을 주었듯이. 하나님을 믿는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가족도 등지는 위대한(?) 결단이 십자가가 아니라, 가족을 감동시키는 수고, 그것이 십자가라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심판이 있다. 예수님의 심판이 바로 이것이다. 육신의 존재 목적과 사용법을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바른 표준을 제시하심으로 그릇된 길로 가고 있는 이들이 그릇된 길에 있다는 것을 드러나게 하시는 것, 그것이 예수님의 심판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예수님의 심판은 사람을 세워 놓고, ‘넌 언제 이런 일(do)을 했으니 어떻게 처분한다.’라든가, ‘넌 언제 나에게 이런 것을 바쳤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으니 벌을 주마.’와 같은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 사람의 존재 목적과 삶의 법과 의미를 온전히 보이심으로 스스로 그 표준 앞에 죄인임을 고백하게 하는 심판이 바로 예수님의 심판이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심판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예수님께 맡기신 것이 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의를 그 육신을 가지신 삶으로 보이시고 십자가를 지심으로 사람의 존재 목적과, 육신을 주신 하나님의 의를 벗어나게 살고 있는 이들의 모습이 잘못된 것임을 드러나게 하심이 심판이니 당연히 예수님께서 아버지로부터 모든 심판의 권한을 위임 받으신 것이라고 하시는 것이다.


사람들과 교회는 예수님의 말씀을 많이 오해한다. 특히 교회가 그렇다. 세상의 성공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는 그 가치관으로 심판이라는 것을 보게 되면 사람의 행위를 법정에서 재판하듯이 하나님이 심판하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대표적인 인물이 아마 마르크스일지도 모른다.


심판이라는 것은 ‘넌 이런 것을 잘못했다.’고 지적하고 평가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모습이 창조주가 주신 삶의 목적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을 스스로 알 수 있는 삶을 육신으로 살아내는 것, 그것에 있다. 그렇다고 사람들이 깨달으라고 그렇게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살 수 밖에 없는 생명이 자기 안에 있기에 말하자면 어쩔 수 없이 그렇게 사는 것과 같은 것이다. 


예수님께서 겟세마네에서 잔을 물려주시기를 기도하시고도 그냥 털 깎는 자 앞의 어린양과 같이 끌려가신 것은 마음에 도망가고자 하는 마음을 참고 가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의 운명, 육신이라는 것을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에 본능,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으로 나타나는 생명의 본성이 예수님을 이끈 것이듯, 사람이 나를 보고 스스로 삶이 심판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나는 그저 하나님의 생명대로 살 뿐인데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게 생명의 법이다.


그러므로 아들에게 심판이 위임된 것은 아버지가 홀(권위를 상징하는 막대기)이나 반지를 아들에게 주어 권한을 위임한 것과 같은 것이 아니다. 아버지의 의가 아들로 나타나서 아들이고, 그 아들로 나타난 삶 그 자체가 아버지의 의와 다르게 살고 있는 아들이 아닌 모든 인생들에게 심판이 된 것이다.


예수님께서 아들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이 땅에 오심은 모든 인생에게 심판이다. 하나님께서 삶 지으신 그 창조 목적에서 벗어난 삶을 살던 모든 사람에게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그것 자체로 심판이라는 것이다. 그 예수님의 심판을 보고, 자신의 정체성을 돌이키는 사람은 생명의 부활이 되고, 예수님의 삶을 보고도 자기 맘대로 하나님을 조각하고 그 하나님을 믿는 이들은 죽음의 부활과 심판을 받게 되는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아버지께서 죽은 자들을 일으켜 살리심 같이 아들도 자기가 원하는 자들을 살리느니라 아버지께서 아무도 심판하지 아니하시고 심판을 다 아들에게 맡기셨으니 이는 모든 사람으로 아버지를 공경하는 것 같이 아들을 공경하게 하려 하심이라 아들을 공경하지 아니하는 자는 그를 보내신 아버지도 공경하지 아니하느니라(요 5:21-23)


예수님께서는 또 하나님께서, 아니 아버지께서 죽은 자들을 살리심과 같이 아들들도 자기가 원하는 자를 살리며, 아버지는 아무도 심판하지 않으시고 아들에게 심판의 권한을 주셨다고 말씀하신다. 여기서 먼저 죽은 자를 살리는 것에 관한 말씀에서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무엇이 죽은 것이며, 또 예수님께서 살리신다는 원하시는 자는 또 누구인가 하는 점이다.


죽은 자는 살다가 죽은 자를 다시 살린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영어 성경에서는 이 죽음에 정관사 the를 붙이고 있는데, the가 붙어 있다는 것은 ‘죽음’이라는 상태와 개념 전체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한 사람의 죽음과 같은 하나하나의 죽음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이라는 상태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 앞에서 사람의 육신이 죽었는데 그것에서 살린다는 개념이 아니다. 이것은 죽음이라는 상태, 하나님이 보실 때 죽은 것인 상태에서 살리신다는 의미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하나님이 죽은 자라 하는 상태가 있다는 것이다. 그것에서 살리신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것은 육신의 죽음보다 더 크고 근본 된 개념이다.


하나님이 보실 때 사람은 하나의 피조물이다. 물론 다른 피조물과는 전혀 다른 존재이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진 유일한 존재인 것이 그렇다. 그렇다고 육신의 목숨, 그것이 ‘사람이 살았느냐? 죽었느냐?’를 가늠하는 기준은 아니다. 피조물이기에 그 만드신 목적 안에 있다면 산 것이고, 목적 밖에 있으면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딸 정도로 훌륭한 육신을 가지고 있어도 죽은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죽은 자들을 일으켜 살리신다는 것은 사람이 하나님의 창조 목적 밖에 있어 하나님이 보실 때 죽은 자와 같은 사람을 하나님이 살았다고 할 수 있는 존재로 일으키신다는 의미인 것이다. 이것은 마치 겉은 멀쩡하지만 시간이 맞지 않는 시계를 고쳐서 시각을 정확히 알려주게 되어 주인이 그 시계에 대하여 가진 목적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바로 이 죽음과 이 살리심의 권세를 아들에게 주셨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예수님이 그 죽음에서 사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시는 분이시기 때문이다. 즉 사람이 하나님께서 자신을 지은 목적을 알지 못하고 살아가는 하나님이 보실 때 죽은 상태에서 하나님이 보실 때 살아 있는 존재가 되는 법이 어떤 것인지를 예수님을 통하여 보이셨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예수님의 과정과 법, 하나님의 의가 육신으로 나타나는 것 그것이 바로 구원이고 죽음에서 살아난 것이라는 의미인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과 의가 사람에게 회복되는 것이 하나님의 살리심이기에, 하나님의 의와 말씀이 육신으로 나타난 예수님은 육신을 가진 사람이 하나님의 창조 목적 안에서 살게 되는 모습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신 것이라는 말씀이다.


그리고 그렇게 하나님의 의와 사람 지으신 뜻이 육신으로 나타난 존재가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다. 하나님의 아들이란 바로 그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 지으신 목적이 아버지가 가진 의고, 그 의가 육신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아들인 것이다. 육신으로 한 남자가 자신의 가문을 이어갈 아들을 얻겠다는 의를 가지고 혼인하여 가문을 잇겠다는 그 의를 육신을 가진 아들로 얻는 것과 같은 이치인 것이다. 그렇게 얻은 아들은 온 가문의 의도하는 의도가 육신으로 태어난 존재이듯이.


그와 같이 하나님께서도 사람을 만드신 이유가 있다. 그것은 하나님을 표현하시기 위함이다.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이 이야기 되고 어떤 삶의 주제가 되기를 바라시며, 또한 하나님의 성품이 무엇인지를 나타내고자 사람을 만드신 것이다. 사람으로 하여금 그것을 나타내라고, 그래서 사람을 보면 하나님의 이미지가 떠오르라고,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형상(image)’대로 만드셨다는 말씀의 본질이다.


한 사람, a man이 존재한다면 어떤 예외 없이 그 사람의 존재 그 자체만으로 그 사람을 낳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 즉 아버지를 증거하는 것이다. 또한 아버지가 흑인인지 백인인지와 같은 혈통도 드러나고, 또한 그 성품도 드러난다. 그것이 아들이다. 그것이 아들이 아버지를 증거하는 것이다.


우리가 이 육신으로 그런 법을 알고 있다는 것은 a man을 통해서 그 아버지가 존재함을 알듯이 육신을 가지고 살면서 이 ‘사람’이라는 존재, 곧 the Man의 아버지가 있다는 것을 배우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사람이라는 존재를 있게 하신 아버지, 사람의 존재 목적과 삶의 의미를 부여하시고 주신 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하나님의 의를 자신의 존재 목적으로 삼으면 산 것이고, 그것을 모르면 죽은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이 생명이신 것이다.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 것, 하나님께서 아들을 보내셨다는 것이나,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셨다는 것은 같은 맥락이다.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사람 만드신 의가 육신이 되신 분이고, 하나님이 보실 때 죽은 자와 같은 인생들은 하나님께서 사람 지으신 목적은 망각하고 눈에 보이는 이 육신의 삶이 자기 존재의 본질로 알고 살아가는 것, 그 차이 뿐이다.


그 망각의 상태, 자기 존재의 목적과 삶의 의미를 모르는 혼돈과 흑암 중에서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인식하게 하는 존재가 바로 예수님이시다.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신 이유가 바로 자기 존재의 목적을 알지 못하고 하나님 앞에서 죽은 인생들에게 구원이고 빛이고 생명인 것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죽은 자를 살리는 권세가 아들에게 있는 것이다. 


예수님을 통하지 않고서는, 예수님의 모습을 보지 않고서는 사람이 자기의 존재가 예수님과 다르다는 것, 하나님의 말씀과 의가 육신이 된 삶과, 보이는 것을 본질로 알고 흑암에서 살아가는 자기 삶의 차이를 알 수 없기에 예수님은 죽은 자를 살리는 권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자라는 것은 홍길동은 되고 일지매는 안 된다는 식의 개체에 대한 말씀이 아니다. 즉 육신으로 누구는 원하시고, 누구는 원치 않으신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님이 원하는 사람이 되려고 애쓸 이유가 없다. 그런 개체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원하신다는 것은 들린 놋뱀과 같은 예수님을 보기를 원하신 예수님의 뜻, 그것을 말하는 것이다. 즉 예수님을 보고서 사람이 자신도 그와 같이 되기를 바라는 그 예수님의 원하심 그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러니까 사람이 예수님의 원하심을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이면 예수님께서 살리시기로 원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고 자기가 생각하는 대로 살거나, 자기가 원하는 대로 하나님을 믿는 사람은 절대로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사람, 곧 죽은 자 중에서 살리심을 받는 사람이 될 수 없다는 것, 그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하나님과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죽음은 하나님께서 사람 지으신 목적을 알지 못하는 삶을 사는 인생을 말하는 것이다. 그것은 당연히 아들이 아니다. 아들은 아버지의 의가 육신이 된 존재인데, the Man의 아버지이신 하나님께서 사람 지으신 목적을 알지 못하니 아들도 아닐뿐더러 죽은 존재일 뿐이다.


그런데 아버지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 이 땅에 오셔서 사람들에게 사람 지으신 하나님께서 사람의 존재 목적을 그 분을 통해서 보이셨다. 그래서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다. 하나님의 의가 육신으로 나타나신 것이다. 하나님께서 그 형상대로 사람 지으신 목적이 이루어지신 분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예수님이 오셨다는 것, 존재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아버지를, 하나님을 표현한 것이고 나타낸 것이다. 그 형상 곧 이미지가 드러난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그리고 그것은 예수님을 보고서 자신도 예수님과 같이 아버지가 있다는 것, 곧 자신을 지으신 이가 있고, 그 분께 자신의 존재 목적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 사람은 하나님 앞에서 산 자가 되는 것이다. 그것이 구원이다. 그것이 영생이고 생명이다. 그리고 사람이 그렇게 되었다는 것은 아버지 하나님의 뜻이 그 사람에게 이루어진 것이기에 그 사람은 당연히 하나님의 아들인 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예수님의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신앙 안에서 이것은 무정의 용어와 같은 것이다. 하지만 만약 교인들을 모아 놓고서 예수님이 왜 하나님의 아들인지를 이야기 해 보라고 하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 있게 이야기 하며, 또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개념이 과연 일치할지 그것은 잘 모르는 일이 아닐까 의혹을 재기해 보고 싶다.


사람들이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개념에 있어서, 육신의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개념을 확고한 기반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때로는 영이신 하나님과 육신을 가지고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이라는 그 관계와, 또한 삼위일체라는 개념으로 들어갔을 때 육신의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개념으로 다 설명되지 않는 하나님과 예수님의 부자관계(?)를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관계는 머리로나 지식적으로 특히나 신학적인 이해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것을 알아야 하는 유일한 이유는 우리 모두가 예수님과 같이 육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에, 예수님이 왜 하나님의 아들이신지는 곧 내가 어떻게 하나님의 아들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표준이기 때문이다. 즉 영이신 하나님과 육신을 가지신 예수님이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것이 이해가 된다는 것은 육신을 가진 우리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법을 알았다는 것이 된다는 것, 그것이 하나님과 예수님이 아버지와 아들임을 이해해야 하는 유일한 이유라는 것이다.


이 블로그에서 수 없이 이야기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것. 아들은 아버지가 가진 의와 본성이 보이는 육신으로 나타난 존재이다. 그러니까 아버지 안에 있는 본성은 눈에 보이지 않고, 아버지의 의는 보이지 않는데, 그것이 아들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심지어 아버지라는 개념도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닌데, 아들이 태어남으로 한 남자가 아버지가 되는 것이다.


성경에서는 예수님을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이라고 하셨다. 이 말씀은 하나님의 의와 계획을 뜻하는 로고스이다. 즉 하나님의 의와 계획이 육신으로 표현된 존재가 예수님이라는 의미다. 그래서 아들이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삼위일체이다. 하나님의 뜻과 육신으로 나타나신 예수님과 그 예수님을 보고서 하나님을 알게 하시는 성령은 모두 하나라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정말로 잘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아니 내 것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예수님은 

아들은 아버지의 하시는 일을 보지 않고는 아무 것도 스스로 할 수 없나니 아버지께서 행하시는 그것을 아들과 그와 같이 행하느니라(요 5:19)

라고 하셨는데, 이 말씀은 언뜻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바타인가?’ 싶은 생각이 들게 하는 말씀이다. 하지만 이 말씀은 그런 말씀이 아니다. 즉 예수님은 하나님의 행동이나 일을 따라 하신다는 것을 표현하신 것이 아니라, 아버지와 아들은 어떤 관계인지를 설명하시는 말씀이라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아들이 아버지의 일을 보지 않고 스스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은, 아버지의 일이 무엇인지를 안다면 아들은 그 아버지의 일을 할 수 있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사람이 무엇을 보았다는 것은 그것이 자신의 것이 되었다는 것이고, 그 보는 것이 자신의 일과 의미가 되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화 <아바타>에서 주인공 ‘제이크 셀리’는 나바족의 여전사 ‘네이티리’와의 갈등 이후에 이런 말을 서로 주고받는다. “I see you.” ‘네가 보인다.’라는 말이다. 바로 여기서 말하는 것과 같은 보는 것, 그것이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아들이 아버지의 일을 보는 것이라는 의미라는 것이다. 즉 너의 속마음, 너의 종심, 너의 의도, 너의 본질이 보인다는 의미의 “본다”라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렇게 아버지를 보아야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아버지께서 가지신 의를 볼 수 있고, 그것이 자신에게 의미가 있어야 아들로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다르게 표현하면 아버지의 의가 자기 안에서 의미가 있을 때 비로소 아들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들이라는 것은 죽어도 그 아버지와의 관계를 델 수 없고, 그 아버지의 본성이 자기 삶의 자국마다 묻어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일을 보아야 아들이 무엇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버지의 본성, 아버지가 아들로서 나타내고자 하는 의가 자기 안에 있고, 그것이 보일 때 비로소 아들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아들은 그 존재 자체가 아버지가 나타내고자 한 의의 본질이기에 그의 모든 것은 아버지의 일, 곧 아버지를 나타내는 일을 하게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아들이 태어나기만 해도 그 아들로 인하여 누구나 아버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아들이 살아가는 모습만 봐도 아버지가 어떤 혈통이고, 어떤 성품을 가졌는지를 알 수 있듯이, 하나님의 아들은 자기 안에 하나님의 의가 육신의 아버지가 자기 육신의 혈통의 근원인 것과 같이 자기 존재의 근원이자 본질이라는 것을 아는 존재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사람의 모든 삶은 다 아버지의 일, 곧 아버지를 나타내는 것이 되는 것임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중요하다.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법도 그것이기 때문이다. 즉 우리 육신을 가진 이 인생의 의미와 삶의 본질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을 믿는 믿음(순종으로 받아들임)을 가진다는 것이 바로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법이고, 또한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신 이유가 우리와 상관이 있는 유일한 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은 사람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사람이 자기 존재의 목적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은 하나님이 자신의 아버지, 곧 존재의 이유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신 목적이 나의 육신을 가진 삶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것이야 말로 하나님을 아버지로 인정하고, 드러내는 유일한 방법인 것이다. 예수님께서 독생자이신 것은 바로 이 유일한 법으로 오신 아들이시기 때문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