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4

성경이 말하는 죄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설명했듯 주기도문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신 목적이자 사람을 통해 이루길 원하는 하나님의 뜻이 자기 본성이 되기를 구하는 기도다. 하늘의 뜻이 땅에 이루어지는 것이나 그 나라가 내게 임하는 것이 모두 그 하나를 구하는 것이고, 그렇게 된 사람에게 하나님은 하늘에 계신 아버지다. 결론은 그리스도로 거듭나기를, 즉 구원을 간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건 구원 이전의 어떤 삶, 죄와 사람이라고 성경이 말하는 삶에서 새롭게 거듭나는 것이다. 하늘의 뜻이 사람에게 이루어진다는 건 곧 죄가 사해지고 어둠이 사라지는 빛이 있는 삶이다.

 

'''하말티아'라고 발음하는 헬라어가 어원이다. 이 말은 '과녁을 벗어나다'는 뜻인데 자기 자리를 벗어났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자리는 위치가 아니라 정체성이다. 사람이란 존재에게 정해진 자기 정체성이 있는데 이 정체성을 벗어난 게 바로 성경이 말하는 죄다. 아담이 범죄하고 숨었을 때 하나님께서 "아담아 네가 어디에 있느냐?"라는 말씀 속 <어디>도 사람의 자리, 사람의 정체성이다. "아담아 네가 지금 내가 사람을 창조한 목적 안에 있느냐?"라는 말씀이다.

 

죄는 자기 존재 정체성의 자리를 떠난 것

 

간첩이란 존재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간첩은 존재 자체가 죄다. 그가 선하게 행동하고,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에 늘 앞장설 뿐 아니라 기부하고 가난한 사람을 돌본다고 해도 죄인이다. 오히려 그가 간첩이란 사실이 드러나면 그의 선행에 혜택을 입은 모든 사람도 죄와 연루된 것으로 간주해 사법기관의 조사를 받게 된다. 이처럼 정체성이 죄를 정의하는 핵심적 요소다. 형법에 정의되는 죄도 결이 같다. 모든 형법의 기저에는 <사람이 그러면 안 된다>가 깔려 있다. 사회 구성원으로서 정한 정체성을 벗어난 행동은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행동은 정체성에서 비롯된다. 정체성이 지향하는 목표가 행동의 동기다.

 

사람의 정체성은 사람을 창조한 하나님이 정하는 것

 

사람의 정체성은 하나님이 정했다. 하나님이 자기 성품을 표현하겠다는 뜻에 따라 사람을 창조했다. 따라서 피조물인 사람의 정체성(이 정체성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보이셨다.)은 하나님의 창조 목적에 부합할 때 온전하고 선하며 의롭다. 반대로 하나님의 의와 뜻이 아닌 것을 표현하고 지향하면 자리를 벗어난 것이다. 이러한 사람의 죄를 선악과가 대변한다. 선악과를 먹었다는 건 단순하게 하나님의 명을 거역한 불순종이 아니라 사람이 선과 악을 판단하는 자기 기준을 가졌다는 뜻이다. 이는 다음에 나오는 <선악과>에서 더 자세히 알아본다.

 

정리해 보면 사람은 하나님께서 뜻하신 목적이 있어 창조된 존재다. 그 목적은 하나님의 뜻을 표현하는 것이고, 사람은 그 뜻대로 사는 게 자기 자리이자 정체성이다. 그런데 이 자리를 떠나서 하나님의 의가 아닌 걸 의로움으로 여기고 살아가고 표방(아담은 하나님처럼 되려고 선악과를 먹었다.)하는 것, 그것이 바로 성경이 말씀하시는 죄다. 사람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신 목적대로 살아야 할 빚이 있는데 이를 이행하지 않는 것, 이것이 바로 죄다. 예수님께서 죄를 빚(debt)이라고 하신 이유다.

 

사람은 하나님의 뜻을 이행해야 할 빚진 존재

 

이는 비단 사람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가 소유하고 사용하는 물건도 다 그렇다. 자동차는 나를 이동할 수 있도록 기능을 발휘해야 할 빚이 있고, 전구는 밝음을 제공해야 할 빚이 있다. 이런 빚을 갚지 않는 건 죄다. 그리고 빚을 갚을 수 없는 죄의 상태는 고장 났다고 하고 아프고 죽었다고 한다. 또한 모든 존재의 수명 역시 이 목적을 이행할 때까지다. 사람도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할 육신이 더 이상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하나님께서 데려가신다. 사람은 이렇게 하나님이 자신을 존재케 한 목적에 관해, 자기 정체성에 관해 하나님께 빚을 지고 있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6:1-7)

교회와 사도들에 대한 핍박은 더해졌지만, 예수의 도를 믿는 제자의 수는 늘어났다. 사도행전 전체적인 흐름으로 보면, 이러한 핍박은 복음 확장의 계기가 되는데 그 시작이 집사의 임명이다. 언뜻 집사는 교회의 구제가 불공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의 보강처럼 보이지만, 정작 집사들의 행적을 보면 사도와 다를 바 없이 복음을 전하는 일에 전념한다. 그리고 스데반 집사와 빌립 집사의 일이 바울 사도의 회개와 이방인들에게 복음이 전해지는 계기가 된다.

 

교회에는 출신이 다른 성도들이 있었다. 이건 사람이 많아지면 나타나는 필연적 현상이다. 성도들의 구제를 주관하던 사도들은 복음을 전하는 데 집중하고 있었기에 바빴기 때문에 교회의 구제가 출신 별로 공정하지 않다는 불만이 쌓였고, 이 문제를 바로잡고자 집사를 선출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마도 많은 사람은 이걸 행정과 사역의 분리처럼 보고 있는 것 같다. 오늘날 교회의 행정 구조도 그렇다. 명목상이긴 하지만 교역자 그룹과 당회를 구성하는 장로들의 역할을 나눈 게 그렇다.

 

하지만 구제의 공평을 위한 것처럼 보이는 이 말씀은 식량의 공정한 배분과 같은 육신의 필요에 대한 구제가 핵심이 아니다. 그러니까 교회의 일을 행정과 사역으로 나눌 때 효율적이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이 문제를 바로 보려면 교회의 필요, 교회가 행하는 구제가 무엇인가를 생각해야 하고, 이 관점에 해답을 해결하는 건 바로 교회의 정체성이다. 교회의 정체성은 교회가 무엇을 구하고 있는지에서 알 수 있다. 구하고 있다는 건 곧 필요고, 구제는 그 필요의 공정한 분배다. 구제를 육신의 먹거리, 입을 거리로 보면 본질을 볼 수 없다.

 

교회의 성도들이 가진 불만은 먹을 것, 입을 것에 관한 공평한 구제가 아니다.

 

당장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집사들은 쌀 나누어주는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니었다. 스데반은 순교했고, 빌립 집사는 다니며 이방인이라도 가리지 않고 복음을 전했다. 교회가 필요했던 구제는 복음이 전해지는 곳에 음지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성도들의 마음이다. 그래서 구제를 위해 집사를 선출하겠다는 사도들의 말에 온 교회가 기뻐했다고 한 것이다. 이를 기뻐한 교회는 사도들이 옥에 갇혔을 때 하나님의 예정하신 뜻이 이루어지기를 구하던 그 교회다.

 

온전한 교회가 바라는 공평한 구제는 사람을 가리지 않고 복음이 전해지기를 바라는 것

 

즉 사람들이 원한 구제는 영적 구제고, 이것이 공평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랐다는 건 출신에 무관하게 복음이 전해지기를 구했다는 뜻이다. 그리고 그 간구대로 스데반을 통해 바울 사도가 회개하고, 그 바울 사도가 말 그대로 차별 없이 모든 이에게 복음을 전하는 사도가 되었다. 이른 흐름을 증명하는 한 사례가 바로 사마리아와 이디오피아 내시장에게 복음을 전한 빌립 집사의 일이다. 그리고 이어서 베드로가 군대 백부장인 고넬료의 집을 찾게 되는 과정을 거쳐 복음은 전 세계로 전파된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행 1:8)

 

육신의 안목으로 읽지 않고 사도행전을 제대로 읽었다면, 하나님의 예정하신 뜻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성도들이 자기 소유를 팔아 교회의 필요를 위해 사도들 앞에 두었다는 말씀 속 필요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그런데 일곱 집사를 선출하는 과정을 육신의 빈부 격차에서 발생하는 구제의 필요로 읽고, 설교하고, 믿는다는 건 성경을 육신의 안목으로 읽고 믿는다는 증거다. 교회의 정체성을 까맣게 모르는 것이며, 이걸 모른다는 건 성령이 없다는 뜻이다. 그건 곧 구원이나 거듭남이 없다는 의미이므로 깊이 돌아봐야 한다.

 

물론 우리의 삶에 육신의 필요는 절대적이다. 성경의 모든 걸 영적인 의미로만 보는 걸 경계하는 이유기도 하다. 그러나 알아야 하는 건 육신은 그 속에 있는 걸 표현하는 형식이란 것이다. 그건 역설적으로 속에 있는 것, 심령과 영혼이 온전하면 그 온전함대로 육신의 일도 형통하게 된다는 뜻이 된다. 당연히 이 형통함의 기준도 세상적 기준이 아니다.

 

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 됨같이 네가 범사에 잘 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간구하노라 (요삼 1:2)

 

사도행전을 처음 시작할 때 사도행전은 성령이 하시는 일을 기록한 성경이라고 설명했다. 너무 당연한 이 기준으로 일곱 집사의 선출 사유를 본다면 당연히 이 구제는 성령의 역사가 공평하기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성도들의 간절함이다. 그리고 이는 사도행전의 전개가 증명한다. 집사의 일을 전후로 성령의 역사가 유대와 예루살렘에만 머물지 않고 널리 퍼져나간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2024 주기도문) 일용할 양식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주기도문 Date : 2024. 6. 13. 05:16 Writer : 김홍덕

예수님의 기도 주기도문의 주제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향해 가진 뜻이 사람에게 이루어지기를 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수님은 이 기도가 이루어진 실체다. 예수님은 자신을 말씀하신 것이다. 우리가 일용할 양식을 하나님께 구하라고 하신 말씀도 궤를 같이한다. 언뜻 육신의 양식을 하나님께 구하라는 말씀처럼 들리지만, 먹을 것과 마실 것 그리고 입을 것은 하나님께서 다 아신다고 하신 예수님이다. 이 양식은 육신의 양식이 아니다.

 

물론 육신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에게 육신의 양식은 절대적인 요소다. 성경은 이것이 불필요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하나님을 믿는 믿음을 가지면 육신의 양식에 관해 하나님께 의지하는데 이건 잘못된 게 아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에 앞서 먼저 구할 게 있다고 했다. 그건 바로 앞서 주기도문에서 사람인 땅에 이루어지기를 구한 하나님 나라와 그 의다. 임하기를 간구하라는 그 나라와 그 나라의 의다.

 

그러므로 염려하여 이르기를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하지 말라 이는 다 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천부께서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줄을 아시느니라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마 6:31-33)

 

사람에게 하나님의 나라와 의가 임했다는 건 곧 말씀이 육신이 되었다는 의미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한 목적이 육신인 사람의 인생이 되었다는 뜻이다. 그래서 먼저 나라와 의를 구하라고 하셨다. 하나님의 목적인 말씀이 육신이 된 삶에 필요한 건 부족함 없이 공급하신다. 이동이란 목적으로 자동차를 산 사람이 항상 기름을 넣어 주는 것과 같은 이치다.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가 부족함이 없으리로다(시 23:1)

 

그러므로 주기도문에서 구하라고 하신 일용할 양식은 육신의 양식이 아니다. 그리스도라는 생명의 양식이다. 하나님의 나라와 의가 육신이 된(나라가 임한) 사람은 예수님께서 구하라고 하신 일용할 양식이 무엇인지 안다. 생명은 자기가 무엇을 먹어야 하는지 본능적으로 알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나라와 의가 임한 사람, 줄여서 거듭난 사람은 성경이 말하는 양식이 육신의 양식이 아니라 그리스도라는 생명의 양식임을 안다.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된 사람의 양식은 곧 그리스도의 양식이다. 이 양식이 어떤 것인지는 그리스도이신 예수님께서는 수가성 여인을 만났을 때 말씀하셨다.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는 게 그리스도의 양식>이라고.

 

그 사이에 제자들이 청하여 가로되 랍비여 잡수소서 가라사대 내게는 너희가 알지 못하는 먹을 양식이 있느니라 제자들이 서로 말하되 누가 잡수실 것을 갖다 드렸는가 한대 예수께서 이르시되 나의 양식은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며 그의 일을 온전히 이루는 이것이니라 (요 4:31-34)

 

예수님께서는 수가성 여인에게 자신이 그리스도라는 걸 전하셨다. 그리고 그 말씀을 듣고 예수님이 그리스도라는 걸 깨달은 여인이 마을로 사람을 부르러 갔다. 그사이 먹을 것을 사러 갔던 제자들이 와서 예수님께 (육신의) 음식을 권했는데, 예수님은 <나의 양식>이 따로 있다고 하시자, 제자들은 '누가 따로 음식을 가져다드렸는가?'라고 생각했다. 이때 예수님은 나의 양식은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는 것>이라고 알려 주셨다.

 

따라서 주기도문을 통해 구하라고 하신 일용할 양식은 나에게 임한 나라의 의, 하늘의 뜻대로 사는 삶이다. 육신이 된 말씀대로 사는 삶이다.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건 노력하는 게 아니라 양식으로 먹는 것이다. 생명에 관한 것이며, 본성에 관한 것이다. 생명이 자기가 무엇을 먹어야 본능으로 알 듯, 하늘의 뜻이 이루어진 땅과 같은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본능적으로 알고, 본능에 따라 사는 게 곧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삶이다. 이게 하나님 말씀으로 사는 삶이다.

 

하늘의 뜻이 땅에 이루어진 사람의 양식은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것

 

무엇보다 이 양식, 하나님께서 인생을 주신 뜻을 행하는 양식은 하나님 나라와 의가 이루어진 사람만의 양식이다. 이 양식은 육신의 양식을 먼저 구하거나,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은 남자가 출산의 고통을 알 수 없는 것처럼 절대로 알 수 없고 먹을 수 없다. 하지만 하늘의 뜻이 이루어진 땅인 사람에겐 오히려 하나님이 인생을 주신 뜻을 행하는 것 외의 양식은 없다.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 입에 꿀보다 더하니이다(시 119:103)

 

그러므로 우리가 구해야 할 양식은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이다. 매일 그렇게 살아야 하기에 일용할 양식이다.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면 하나님의 뜻을 알아야 한다. 그것도 머리로 아닌 게 아니라, 출산한 여자가 남자를 안다고 말하듯 지가 몸으로 체휼하여 아는 것이다. 그렇게 알 때 비로소 하나님의 뜻대로 행할 수 있다. 그런 삶, 그 양식을 구한다는 건 결국 그런 사람이 되기를 구하는 것이다. 주기도문의 주제인 그리스도로 거듭나는 것, 그리스도(a Christ)가 되는 것에 속한다. 이렇듯 주기도문은 목적과 방향이 분명하고 순서 또한 명확하다.

 

일용할 양식을 구한다는 건 결국 하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구하는 것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