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56

사람들은 예수님을 믿는 것의 증거는 성경대로 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수 믿는 사람들은 성경을 지키면서 산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교회에 가면 성경대로 착하게 살고, 또 십일조를 하고, 주일을 지키며, 기도하고 성경을 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서어경보고 기도하기 시작하므로 신앙생활이 시작되는 것이라 여깁니다. 즉 그렇게 하면 예수님을 믿는 것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바울사도는 다르게 말씀합니다. 방향이 반대라는 것입니다. 성경보고 기도하므로 예수 믿는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 믿는 사람이 성경보고 기도하는 것이라는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너희 안에서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로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빌 2:13)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 한 사람의 심령 안에서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이 육신으로 행하게 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성경 또한 같습니다. 성경을 지켜서 하나님의 의에 이르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의가 사람 안에서 생명이 되어 그 의대로 사는 모습을 기록한 것이 성경입니다. 아브라함이 성경대로 살아서 하나님의 의에 이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대로 산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기록했더니 성경이 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읽고 있는 성경은 다 기록이 먼저 있었던 것이 아닙니다. 신약시대에는 구약성경이 있었다고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지금 우리가 읽고 있는 신약성경 역시 제자들이 본 예수님의 삶의 모습과 바울사도의 마음에 있는 것을 기록하였더니 성경이 된 것입니다. 즉 말씀이 육신이 되신 예수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의가 예수님으로 표현된 것이 먼저고, 바울사도와 여러 사도들 안에 있는 하나님의 의가 먼저 있고 그것을 기록한 것이 성경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을 읽고 예수님의 제자가 되고 예수님과 같이 되려고 한다면 성경에 기록된 것을 행동으로 지켜내는 것이 본질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성경은 결국 하나님의 의를 가진 사람의 삶을 문자로 기록하여 된 것이므로, 결국 하나님의 의가 생명의 본성이 된 사람의 삶을 기록하면 모두 성경과 같은 의미를 가진 기록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성경은 하나님의 의를 가진 사람의 역사와 일기와 같은 것입니다.


제조현장에는 문서와 기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문서는 업무의 표준이 되는 도면이나 작업표준과 같은 것입니다. 이것은 직원들의 업무 표준이고 제품의 규격입니다. 이것들은 업무 방식이 바뀌거나 제품이 개선되면 수정될 수 있는 문서입니다. 이와 다르게 ‘기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업무의 결과와 제품 제조과정에서의 특성을 측정한 값을 기록해 두는 문서를 말합니다. 이 기록은 절대로 수정하면 안 됩니다. 이것은 법적으로도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성경은 기록이지 문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앞선 예를 가지고 좀 더 설명해 본다면, 문서는 사람들이 자신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기준으로 볼 때 더 합리적이다 싶은 방향으로 수정(개정)할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의 의로 해석해도 됩니다. 하지만 기록은 자기가 볼 때 아무리 불합리해도 수정하면 안 됩니다. 측정한 치수가 규격을 벗어나 불합격이라고 나타낸다고 자기 맘대로 수정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그와 같이 성경도 자기 기준으로 수정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볼 때 비합리적이라고 자기 맘대로 수정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돼지고기는 먹고, 안식일은 다르게 지키면서 십일조는 곧이곧대로 내라고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성경을 보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성경은 하나님의 의가 육신으로 표현된 삶이 기록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의가 사람으로 행하게 하신 그 행함의 기록이 성경이기 때문입니다.


바울사도가 빌립보 교회의 성도들에게 말씀하시는 것, 하나님께서 빌립보 성도들 안에서 행하시는 기쁘신 뜻이 빌립보의 성도들을 행하게 하신다는 것, 그것은 아주 중요한 말씀입니다. 사람들은 구원을 이루기 위하여 행동으로 열심히 노력하지만 그것이 아니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정말로 이 빌립보서를 제대로 읽었다면 구원을 받기 위해서, 또 스스로 받았다고 여기는 구원을 유지하기 위하여나 더 풍족하게 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모든 것은 모두 구원을 모르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구원을 받았다는 것은 하나님의 기쁘신 뜻이 그 사람의 속사람이 되어, 그 속사람의 이끌림대로 살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살았더니, 그렇게 사는 것을 기록으로 남겨서 보니 성경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지금도 같습니다. 자기 심령 안에 하나님의 의가 있어 그 의대로 사는 사람은 문득 돌아보는 자신의 삶이 너무나 성경과 같다는 것에 놀라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삶을 살게 됩니다. 당연히 성경이 의문스럽지 않을 것입니다. 자기 이야기가 의문스러울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믿고서 자기 삶이 이렇지 않다면 그것은 그 안에 하나님의 기쁘신 뜻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루어낼 구원이 없는 것입니다. 성경이 의문스럽다면 구원이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성경을 행동으로 지켜내면 하나님이 의롭게 여기시고 기뻐하신다고 여기면 그 또한 구원이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기쁘신 뜻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 구원을 이루는 삶이지, 구원을 위하여 행하고 그 모습을 판단하시고 기뻐하시는 것이 아니라고 분명히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Philippians 2: 12-18) The Bible and People who work out salvation


People think that the evidence of believing in Jesus is living the Bible. 'Those who believe in Jesus live by keeping the Bible.' So, I think that when I go to church, I live well in the Bible, pay tithing, keep Sunday, pray, and see the Bible. I also think that the life of faith starts because I start praying and seeing my sermon. In other words, I think that it is to believe in Jesus.


But the Apostle Paul speaks differently. The direction is opposite. It is clear from the Bible that prayer is not to be a believer in Jesus, but that believers are to pray in the Bible.

for it is God who works in you both to will and to do for His good pleasure (Phil. 2:13)


Believing in God means that God's will is life in one's heart and that the life is to be done in the flesh. The Bible is also the same. It is not to keep the Bible to the righteousness of God. It is Scripture that the righteousness of God is recorded in the life of man in his life. Abraham did not live to the righteousness of God according to the Bible, but recorded the story of Abraham living in the meditation of God, and it became the Bible.


Actually, the Bible that we are reading is not the first to be recorded. It may be said that the Old Testament was in the New Testament, but the New Testament which we are reading now also records the life of Jesus as seen by his disciples and what is in the heart of Paul's Apostle. In other words, the righteousness of God in Jesus, who is the body of the Word, is first expressed in Jesus,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apostles and apostles is first and it is the Bible.


Therefore, if you read the Bible and become disciples of Jesus and become like Jesus, it is not the nature to keep what is written in the Bible by action. It is because the Bible eventually records the life of a man who has the righteousness of God, so that i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life of a person who has become the nature of life, it will be a record with the same meaning as the Bible. In other words, the Bible is like the history and diary of a person who has the righteousness of God.


On the manufacturing floor there are documents and records. A document is like a drawing or a work standard that is a standard in business. This is the work standard of the employees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s. These are documents that can be modified if the way of doing business changes or the product is improved. Otherwise, there is a record. This is a document that records the results of work and the measur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record should never be modified. This is also a legal issue. The Bible is a document, not a document.


If we explain more with the previous example, the document can be modified (revised) in a way that makes it more reasonable when people see them as the basis for their work. You can interpret it as your own righteousness. However, no matter how irrational the record is, you should not modify it. You should not modify it yourself if you indicate that the measured dimensions are out of specification and fail.


Likewise, the Bible should not be modified on its own terms. It is irrational that you should not modify yourself as you see it. You should not look at the Bible in the same way that you eat pork, keep the Sabbath different, and pay tithing immediately. Because the Bible is the record of the life expressed in the flesh of God's righteousness. Because the righteousness of God is the Bible, which is the record of the works which were done by man.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Apostle Paul speaks to the saints of the Philippian Church, that the good will of God in the Philippians is to do the saints of Philippi. Because people are trying hard to act to achieve salvation, but they are saying that it is not. So, if you really read this Philippian book properly, all that is trying to make you more salvific, and to maintain the salvation that you claim to be, is that you do not know salvation.


Having been saved means that the good will of God will become the inner person of the person and live according to the inner person's guidance. When I lived like that, I left the record of living so that I became a Bible. It is the same now. There is God's righteousness in his own spirit, and the person who lives in his school will be surprised that his life is so biblical, and live a life of gratitude for God's grace. Of course the Bible will not be questionable. Because your story can not be questionable.


Therefore, if you believe in God and your life is not like this, then there is no God's good will in it. So there is no salvation to be accomplished. If the Bible is questionable, there is no salvation. Also, if you keep the Bible in action, you will not have salvation if you think that God is righteous and pleased. It is because God's good will is manifesting in action that it is a life of salvation, that it is done for salvation, judging its appearance, and not pleasing.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빌립보서 2:12-18) 너희 구원을 이루라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빌립보서 Date : 2017. 7. 27. 20:44 Writer : 김홍덕

‘구원’이라는 것은 기독교 신앙의 근간 중의 근간입니다. 예수님을 믿어서 죄와 사망에서 구원을 얻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그 말만 놓고 봐도 지금의 신앙에 얼마나 많은 모순이 있는지 드러납니다. 예수님을 믿어서 죄와 사망에서 구원을 이루었다면 죄와 사망은 구원 받은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는 것은 더 이상 기도할 때 회개할 이유가 없어야 하는데 기도의 공식(?)에 회개가 들어 있다는 것은 사실 모순입니다. 이는 하나님이 보시는 죄와 사람들이 자기 기준에 의한 죄를 혼돈하기 때문이기는 합니다.


또 한 가지 구원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아주 중요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많은 기독교인들은 구원이 신앙의 목표라고 여긴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다소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과 같은 생각입니다. 구원이라는 것은 신앙의 목표가 아닙니다. 구원은 신앙의 시작이라는 것입니다. 구원이 신앙의 목표인지 아니면 시작인지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시작과 끝은 과정을 바라보는 방향이 반대입니다. 속사람이 겉사람으로 나타나는 것과 겉사람의 행실로 속사람의 정체성을 바꾸려는 것이 반대이듯.


바울사도가 빌립보 성도들에게 말합니다. “너희 구원을 이루라!”라고. 구원을 이룬다고 하니 구원이 목표인 것 같아 보이지만 여기서 ‘이루라’는 의미는 work out의 의미입니다.(실제로 영어 성경에서 그렇게 쓰고 있습니다.) 이는 없는 것을 이루어내라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것을 이루어내라는 것입니다. 즉 빌립보 성도들이 가진 구원을 표현해 내라는 것입니다. 이것으로 볼 때도 구원은 목표가 아니라 시작인 것이 분명합니다.


바울사도가 이루라고 하고 있는 구원은 앞선 2장의 1-11절의 말씀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지고 나보다 남을 낫게 여기는 삶을 통하여 그 삶을 본 모든 사람이 예수의 이름 앞에 무릎을 꿇게 만드는 삶을 사는 것이 구원이라고 설명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행동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 속사람에 있어 그것이 겉사람으로 나타는 것이 구원이라는 것입니다.


구원이라는 것은 죄에서 구함을 받는 것입니다. 죄라는 것은 선악과를 가짐으로 사람에게 깃든 것입니다. 사람이 자신이 가진 선과 악의 기준을 가진 것이 죄악이고, 반대로 그것이 해결되면 구원인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자신의 기준이 아니라 하나님의 기준이 사람에게 의의 기준이 되었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는 것, 사람이 하나님의 의를 자기 의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것은 그 사람이 예수님과 같은 정체성을 가진 존재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보이신 것이 바로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하나님의 의를 육신으로 표현하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구원이라는 것은 단순하게 어떤 압박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라,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한 성품과 정체성을 가졌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구원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구원은 그 때부터 시작입니다. 그리스도 예수의 품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구원이며, 생명이기에 그 생명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구원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사람으로 날 때 이미 사람이고, 살면서 사람으로 살아서 사람답게 사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구원에 대한 개념도 중요하지만, 구원이 신앙의 목표인지 아니면 그것이 시작이고 삶으로 표현되는 근원인지를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것을 거꾸로 안다는 것은 당연히 구원을 모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망치의 쇠뭉치(머리)를 손으로 쥐고 사용한다는 것은 당연히 망치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과 같습니다. 구원이 자신에게 새로운 시작인지, 아니면 교회에 다니는 목적이며, 끝내 지켜야 하는 어떤 것으로 보는 것은 구원이 없는 것입니다. 알지도 못한 것이 자기 것이라고 하는 것은 도적질이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Philippians 2: 12-18) Work out your salvation


'Salvation' is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faith. By believing in Jesus, we are saved from sin and death. In fact, it reveals just how many contradictions there are in the faith of today. If you have believed in Jesus and have been saved from sin and death, then sin and death are not the problems of the saved. This means that there should be no reason to repent when we pray, but it is in fact a contradiction that repentance is included in the prayer formula. This is because the sins that God sees and the people confuse the sins of his own standards.


Another important thing when talking about salvation is that many Christians regard salvation as the goal of faith. But it's like a photograph that is somewhat out of focus. Salvation is not the goal of faith. Salvation is the beginning of faith.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whether salvation is the goal or the beginning of faith. The beginning and the end are opposite to the process. It seems to be contrary to the inner person appearing as an outer person and to change the identity of the inner person by the behavior of the outer person.


The Apostle Paul speaks to the Philippians. "Make your salvation!" It seems to me that salvation is the goal, but the meaning of "here" means to work out (actually, in the English Bible). It is not to achieve what is not, but to achieve what you have is. That is, to express the salvation of the Philippians. It is clear that salvation is not the goal but the beginning.


The salvation that the Apostle Paul says is explained in the preceding two verses, 1-11. It is explained that salvation is to live a life in which all who have seen the life through the life of Christ, with a mind that is better than I, has been kneeling before Jesus' name. This is not an act, but the heart of Christ Jesus is in the inner man, and it is salvation that manifests itself as an outer man.


Salvation is the desire from sin. Sin is embraced by man as having good and evil. It is a sin that man has the standards of good and evil he has, and on the contrary, it is salvation when it is resolved. It is not his own standard, but the standard of God has become a standard of righteousness to man. Yes, the fact that a person uses God's righteousness as a standard of his righteousness means that he has become a person with the same identity as Jesus. It is because Jesus is the one who expresses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flesh, which is the body of God.


Therefore, salvation is not merely a departure from any pressure, but that man has the same character and identity as Jesus Christ. That is salvation. Therefore salvation is the beginning. It is salvation to live with the character of Christ Jesus, and to live with that life is salvation. It is like being a person when you are a person, living as a person and living as a person.


The concept of salvation is also important, but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know if salvation is the goal of faith, or whether it is the beginning and the source of life. Knowing it upside down is of course not knowing salvation. The use of a hammer with its hand (the head) is, of course, unaware of what the hammer is. It is salvation that salvation is a new beginning to itself, or a purpose to go to church, and something that must be kept to an end. It is because it is robbery that it is your thing that you did not know.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빌 2:9-11)


바울사도는 빌립보서 2장을 시작하면서 빌립보 교회의 성도들에게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을 품으라>고 권면하였습니다. 바울사도가 말씀한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은 다른 것이 아니라 십자가를 지신 마음입니다.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의인이 죄인을 위하여 죄인이 되어 육신을 드려 수고하고 희생하는 마음입니다. 그 마음이 있어야 나보다 남을 잣게 여길 뿐 아니라 복음을 전한 이를 기쁘게 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빌립보의 성도들에게 복음을 전한 바울사도가 전한 복음과 같이 빌립보의 성도들이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을 가질 때 기쁘다는 것은 이 복음의 근원인 하나님 또한 사람들이 하나님의 의도한대로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은 사람이 되는 것을 기뻐하신다는 것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모습 그대로의 아담을 보시고 심히 좋아하셨을 뿐 아니라 일을 마치시고 안식하셨다고 하셨습니다. 안식하셨다는 것은 뜻하신 바가 다 이루어졌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보이신 그리스도의 정체성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것과는 완전히 반대의 것입니다. 사람들은 늘 세상에서 이긴 자가 되려 합니다. 돈 버는 일이든지 공부하는 일이든지 그 무엇이라도 남보다 더 나은 자리, 더 이긴 자리에 가는 것이 잘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하나님께도 그렇게 잘 되게 해 달라고 기도합니다. 자기 기준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려 합니다. 그러나 십자가는 그것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십자가는 형식의 관점, 세상의 관점에서 보면 패자의 모습입니다. 건축자가 버린 돌과 같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모퉁이 돌이 되는 법이 하나님의 법입니다. 사람들의 눈에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은 사형수이지만 하나님이 보실 때는 온전한 그리스도의 모습이라는 것입니다. 그 예수님을 믿노라 하면서 죄인이 아니라 승자와 이긴 자가 되려하고, 이긴 자가 되도록 은혜를 베풀어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은 너무 터무니없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앞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사람들의 관점과는 다르게 사형수가 되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온전한 그리스도로, 또한 아들로 기뻐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세상 기준으로 볼 때 죄인이요 사형수인 예수님의 모습과 죽음을 영광스럽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거기서 그치지 않고 그 십자가의 도 앞에 세상의 모든 무릎을 꿇게 하셨다고 하셨습니다.


무릎을 꿇었다고 하니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교회에 가서 기도할 때 무릎을 꿇는 것을 말하는 것 같지만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닙니다. 무릎을 꿇을 뿐 아니라 세상의 법에 의하여 죄인이 되어 사형을 받은 예수님을 주로 시인하게 되고 하나님께 영광이 되게 하는 모든 것을 총칭하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적어도 예수님께 무릎을 꿇는다고 하면 세상의 가치관을 좇아서 더 이기고 더 가진 자가 되는 것을 의로 여길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것을 의로 여기지 않는 사람이 되었다는 것이 바로 예수님께 무릎을 꿇는 사람이 된다는 것입니다.


바울사도는 하늘 위에 있는 자, 땅 위에 있는 자, 그리고 땅 아래에 있는 자 그 누구라도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게 된다면 무릎을 꿇고 예수를 주로 시인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고 했습니다. 주로 시인한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면 그것은 교회에 와서 ‘주여 주여’라며 예수님을 부르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상대를 주(主)로 여긴다는 것은 그에게 내 운명을 맡긴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나의 정체성과 운명이 그에게 종속되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것은 세상의 가치관으로 볼 때 죄인이 되신 예수님을 주로 모시는 것입니다. 그렇게 예수님을 주로 모시는 사람이 하나님께 와서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된 것이니 은혜를 베풀어 주십시오!’라고 기도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주와 섬기는 이의 정체성과 방향이 반대인데 어떻게 주님으로 모실 수 있겠습니까? 그럴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런 마음으로 예수님을 주로 시인하는 것은 다 거짓된 것이기에 입이 닳도록 예수님을 주로 불러도 소용이 없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주로 시인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은 우선 예수님의 마음을 품을 때 가능합니다. 또한 그것이 유일한 법입니다. 그리고 그 법이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어 세상의 모든 사람이 예수님을 주로 시인하게 되려면 예수님의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그 육신으로 예수님께서 육신을 십자가에 드리심과 같이 또한 수고하고 희생하여 예수님의 마음을 그 육신으로 표현해 내고, 그 삶을 본 사람들이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을 본 사람들이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했듯이, 예수님의 마음으로 사는 사람들을 본 사람들도 예수님의 마음으로 사는 사람들을 보고 그 모습이 하나님의 아들임을 알게 되어 자신들의 마음 안에도 그 모습이 심기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은 사람들이 하나씩 늘어 날 때에 세상의 모든 사람이 예수님의 이름 앞에 무릎을 꿇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사람이라면 이 법 앞에 서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법입니다. 그래서 하늘 위에 있는 자나 땅 위에나 아래에 있는 그 어떤 사람이라도 이 법 앞에서는 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예수님을 주로 시인하게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이것을 발견하지 못하는 것은 단 두 가지의 이유뿐입니다. 하나는 온전한 십자가를 보지 못함이고, 또 하나는 보는 사람의 마음이 돌짝밭과 같아서 제 아무리 온전한 십자가를 봐도 그 마음에 그리스도의 생명이 심기지 않는 것뿐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너무나 많은 십자가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세상 방방 곳곳에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널려 있고 선교사와 매체를 통해서 예수님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예수님을 주로 시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예수님을 주님으로 믿어서 세상에서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과 그것을 전하는 사람은 많지만 예수님과 같이 죄인이 되려는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


특히 교회가 그렇습니다. 바울사도는 나보다 남을 낫게 여기므로 권면과 사랑의 위로를 행하라고 했는데, 지금의 교회들은 하나님을 잘 믿는 사람들의 모습이라는 것이 권세를 가지고 신앙 없는 사람을 말로서 심판하기 일쑤입니다. 그것은 육신으로 십자가를 지시므로 그것을 본 사람이 스스로 고백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심문하듯이 강제하는 것입니다. 그런 교회의 무기는 다름이 아니라 순종하지 않으면 육신의 삶이 불행이 닥칠 것이라는 겁박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 것은 이 세상에서 성공하기 위함이 아니라, 세상의 가치관(육신의 평안과 성공이 복이라는 가치관)으로 볼 때 죄인이 되는 것을 알지만 그 마음에 그리스도의 본성이 있기에 그 본성을 좇아 죄인이 되고 섬기는 삶을 사는 것이 우리의 존재 목적인 것입니다. 그런 삶이 바로 그리스도의 삶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그리스도의 삶을 살 때 그 사람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온전한 신앙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면 신앙이 연약한 사람, 하나님 앞에서 죄인과 같이 사는 사람들을 꾸짖듯, 또 훈계하듯 그리고 ‘예수 안 믿으면 지옥 가!’라는 겁박으로 대할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신앙이 어릴 뿐 아니라 죄 가운데 사는 사람들의 그 가치관을 가진 이가 스스로 자신을 돌이킬 수 있도록 육신을 드려 수고하고 섬기고 희생하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진 것입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의 십자가가 바로 그것을 보이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Translation by Google)


(Philippians 2: 1-11) Beneath the name of Jesus ...


Therefore God also has highly exalted Him and given Him the name which is above every name, that at the name of Jesus every knee should bow, of those in heaven, and of those on earth, and of those under the earth, and that every tongue should confess that Jesus Christ is Lord, to the glory of God the Father.(Philippians 2: 9-11)


Beginning with Philippians 2, the apostle Paul exhorted the saints of the Philippian church to "bear the heart of Christ Jesus". The mind of Christ Jesus, whom the apostle Paul spoke of, is not the other but the cross. To take the cross is a righteous man to be a sinner for a sinner, to give his flesh and to labor and sacrifice. It is said that not only does the heart have more than others to please me, but it also pleases the person who preached the gospel.


Like the gospel preached by Paul, who preached the gospel to the saints of Philippi, the believers of Philippians are glad when they have the heart of Christ Jesus that God, the source of this gospel, It is also said that you are pleased. In fact, God saw Adam as it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not only that he liked it very much, but also that he had rested from his work. Having rest is that you have done everything you can.


Christ's identity on the cross is exactly the opposite of what people are seeking. People always try to be the winners of the world. I think that it is better to go to the place that is better than others, whether it is money making or studying. So I pray that God will do so well. I want to glorify God on my own standards. But the cros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it.


The cross is a view of form, a view of the los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It is like a stone that the builder abandoned. But it is the law of God that makes it a corner stone. Jesus on the cross in the eyes of men is a condemned man, but when God sees it, he is the image of Christ. It is too absurd to pray to God to be a winner and winner, and to be a winner, not to sinners but to believe in Jesus.


But God, as I said before, was delighted to be the perfect Christ, and also the Son, who, on the cross, became a perfect prisoner, unlike the people. And by the world standards, he glorified the appearance and death of Jesus, the sinner and the death penalty. And he said that it did not cease there, but that all the knees of the world should bow before the cross.


I have knelt on my knees. It seems like people who believe in God are kneeling when they go to church to pray, but it is not that simple. It is a word that refers not only to kneeling, but also to all things that make Jesus glorified and become God's glorified Lord. Therefore, if you kneel at least to Jesus, you will not be able to overcome the values ​​of the world and to be more righteous. To be a man who does not regard it as righteousness is to be kneeling to Jesus.


The Apostle Paul said that if anyone on the heavens, on the earth, and anyone under the ground had the heart of Jesus Christ, he would kneel and confess Jesus to the Lord and glorify God. It is not to say to Jesus that you come to church and say, Lord, Lord, To regard an opponent as Lord is to give him my destiny. In other words, I acknowledge that my identity and destiny are subordinate to him.


If so, it is Jesus who is a sinner in the world. So you can not pray that someone who is primarily Jesus is coming to God and saying, 'Be gracious to God because it is glorious for you to be successful in the world!' How could the Lord and the servant have the opposite identity and direction? It is not possible. Therefore, in order to confess Jesus mainly with such a heart, it is all a lie, so it is useless to summon Jesus to wear his mouth.


It is possible to confess Jesus to the Lord and glorify God in the first place. It is also the only law. And if the law is passed on to others and all the people of the world will admit Jesus to the Lord, those who have the heart of Jesus will be able to do the same in the flesh as Jesus gives the flesh to the cross, Those who have seen the life of Jesus, who have seen Jesus on the cross, confessed Jesus as the Son of God, as well as those who have seen the life of Jesus. I know that I am the son of a child, and I will plant it in their own minds. So, as the number of those who have embraced the heart of Jesus Christ increases, everyone in the world will kneel before the name of Jesus.


And if this is a person, it will be in front of this law. That is why anyone who is above the heavens, on the earth, or under anyone else is to give glory to God and confess Jesus before this law. But there are only two reasons why people can not find it. One is not seeing the whole cross, and the other is like the heart of the viewer, so that no matter how perfect the cross is, the life of Christ is not planted in his heart.


But now we hear so many crosses. There are people who believe in God in every corner of the world, and Jesus is being delivered through missionaries and media. However, people can not admit Jesus mainly. This means t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believe in Jesus as the Lord and want to succeed in the world and those who tell it, but no one wants to be a sinner like Jesus.


Especially the church. Paul's apostle said that he should do the comfort and comfort of loving others because he is better than I, but now the churches are prone to judge a man who does not have faith by words. It directs the cross in the flesh, so that the person who saw it is not forced to confess oneself, but is forced to interrogate. The weapon of such a church is not different, but a fear that the life of the body will be unhappy if not obedient.


But we believe that to believe in God is not to be successful in this world, but to be a sinner when we see the value of the world (the value of the body and the blessing of success), but because of the nature of Christ in his heart, It is our purpose for us to live a sinful and servant life. That is because life is the life of Christ. And so when you live the life of Christ, you become the Son of God.


Therefore, if you are a person with complete faith, if you are a person with a mind of Christ Jesus, you are not to treat people with weak faith, like those who live with sinners before God, as discipline and with the cowardice of ' I will. It is the heart of Christ that not only is faith a child, but that those who have the values ​​of those who live in sin can alienate themselves by living their lives in labor, service, and sacrifice. Because Jesus' cross is what it is.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