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596

(사도행전) 66 – 각각 다른 하나님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도행전 Date : 2024. 11. 22. 00:02 Writer : 김홍덕

(22:2-29)

바울 사도로 인한 소동은 작은 일이 아니었다. 천부장까지 나서서 바울 사도를 격리하므로 사태를 일단 진정시켜야 했다. 그 후에 사도 바울은 천부장에게 기회를 얻어 자기의 회심 과정에 대해 유대인들에게 간증하는 시간을 가졌지만, 유대인들은 끝까지 듣지도 않으려 했고 오히려 더 바울을 죽이려 했다. 하지만 바울 사도가 자신이 로마 시민권을 가졌다는 걸 밝힘으로써 상황은 다소 반전되었지만 그렇다고 석방이 되지는 않았다.

 

바울 사도는 변론을 통해 자기의 모든 건 하나님의 뜻이라는 걸 설명하려 했다. 하지만 바울 사도의 변심은 하나님을 배신한 것이라 믿고 있는 유대인들에게 통할 리 없었다. 유대인들이 믿는 하나님은 율법을 행위로 지키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이고, 그 행위에 따른 반대급부로 상 혹은 벌을 내리시는 하나님이었다. 하나님은 그런 분이라고 굳게 믿고 있는 유대인들은 오직 행동과 말로 바울 사도를 판단할 뿐이었다.

 

사도 바울의 하나님과 유대인의 하나님은 달라

 

사람들은 단어가 같으면 뜻도 같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기독교 신앙 안에서 보면 기도, 전도, 봉사, 율법과 같은 단어들은 유대인이나 지금 기독교인들이나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이라고 부르기만 하면 성경에 나오는 여호와 하나님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유대인과 사도 바울의 괴리에서 보듯이 하나님이라고 부른다고 모두 여호와 하나님인 건 아니다. 솔로몬 이후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하나님 혹은 여호와로 부르지 않아 하나님께서 진노하신 게 아니라는 것 정도는 볼 수 있어야 한다.

 

하나님이라고 부른다고 다 여호와 하나님을 부르는 건 아니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이 불러 복음을 전한다고 간증했지만, 유대인들에게는 하나님을 배신한 배신자에 불과했다. 사도 바울은 하나님께서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자신을 불렀다고 간증했지만, 유대인들이 믿는 하나님은 이방인을 사랑하지 않는 하나님이었다.

 

지금도 다르지 않다. 세상에는 너무나 많은 교회와 성당 등이 있고, 그곳에서는 모두 하나님을 부르나 그들이 모두 여호와 하나님, 외모를 보시지 않고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을 부르는 거라고 할 수는 없다. 만약 눈에 보이는 세상에서 성공하고 평안하기를 구하는 게 하나님을 믿는 목적이라면 여호와 하나님을 부르는 게 아니다. 아쉽게도 대부분은 그렇다. 무엇을 기도하는지를 보면 아는데 부르기는 하나님이라 불러도 그들이 믿는 신은 바알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사도행전) 65 – 왜 복음을 핍박할까?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도행전 Date : 2024. 11. 21. 07:29 Writer : 김홍덕

(21:27-22:1)

나실인의 예식 기간이 일주일이 지나자, 아시아에서 온 유대인들이 바울을 체포하고서 "유대인들을 훼방하고 헬라인을 성전에 데리고 들어가 더럽혔다"며 그 이유를 외쳤다. 그러나 바울 사도를 체포한 유대인들의 이유 중에 헬라인을 성전에 데리고 들어갔다는 건 오해였다. 단지 사도 바울이 에베소 교회의 사역자이자 동역자인 드로비모라는 헬리인과 함께 예루살렘 성에 있다는 것만으로 그렇게 생각했다.

 

유대인들에게 어쩌면 그런 오해는 중요하지 않았다. 그들은 사도 바울의 모든 행동은 율법을 훼방하는 것으로 간주했다. 본질적으로 그들의 목적은 율법을 범한 바울 사도를 계몽하는 게 아니라 더 이상 복음을 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왜 이들은 그렇게 복음을 핍박하고, 복음을 전하는 사도 바울을 죽이려 했을까?

 

유대인으로 대표되는 행위로 성경을 지키려는 율법주의자는 근본적으로 행위를 중요하게 여긴다. 율법주의자는 눈에 보이는 육신의 행위가 어떤지로 그 사람이 하나님을 어떻게 섬기는지를 판단하고, 육신의 상태, 즉 지위나 경제 상태 등을 기준으로 하나님이 그 사람을 어떻게 생각하지는를 판단한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욥의 세 친구, 빌닷과 소발과 엘리바스다. 이런 가치관을 가진 사람은 행위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아 보이는 복음으로 인해 율법을 준수하지 않아 자기들에게 미칠 하나님의 진노를 두려워한다. 고난받고 있는 욥을 보고서 하나님께 (행위로) 죄를 범한 결과라고 했고, 그 환난을 벗어나려면 무엇을 잘못 했는지(Do)를 돌아보고 행위를 회개하라고 독려했다.

 

율법주의의 이런 이면에는 두려움이 존재한다. 눈에 보이는 육신의 삶에 미치는 불행을 하나님의 진노로까지 생각하기에 더 두려워한다. 눈에 보이는 세계 안에서 생각하니 하나님께 행위로 죄를 범하면 벌을 받는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인생의 불행은 행위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어떻게든 행위를 정결하게 해서 하나님의 진노를 피하고 더 나아가 행위로 쌓은 공로로 하나님께 복을 받고자 한다. 그렇게 하나님이 주시는 긍휼과 축복의 대가로 하나님의 말씀을 준행하는 행위를 드리려고 한다. 예수님께서는 이런 거래를 장사라고 일갈하시기도 했다.

 

복음을 핍박하는 건 여호와 하나님이 아닌 자기들이 만든 하나님의 진노를 두려워하기 때문

 

사람은 상 받지 못하는 걸 두려워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벌을 받는 건 누구나 두려워한다. 상을 받아야겠다는 욕망에 빠진 게 아니라면 상을 받지 못하는 게 두려워 능동적 핍박이나 대응을 하지는 않지만, 두려워하는 일은 어떻게든 막아보려고 하고, 필요하다면 강요하고 핍박한다. 성경대로 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염려와 경각심은 이런 두려움에서 비롯된다. 자녀에게 헌금을 떼먹는 건 하나님 것을 도둑질하는 것이라 엄히 경계하며 가르치지만, 성경을 읽지 않는다고 지옥 간다고 훈육하진 않는다. 잘하면 좋은 걸 하지 않는다고 두려운 일이 일어난다고 생각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유대인들의 복음 핍박은 두려움 때문이다. 그 두려움은 눈에 보이는 본질이 망하는 안 된다는 두려움이다. 육신이 아프면 안 되고, 사업이 실패하면 안 된다는 두려움이다. 그리고 이 두려운 일은 하나님께서 일으키신다고 믿는다. 그래서 두려운 일이 일어나면 하나님께서 벌을 주시는 것이고, 벌을 받는 건 본질로 보고 있는 육신의 행위가 잘못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예수님은 사람이 두려워하는 그 지경에 본성에 이끌려 가셨다. 그리스도라는 본성이 그런 본성이다. 두 사람이 있을 때 한 사람을 섬기게 되는 게 사람이 인생에서 겪는 두려움의 단면이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낮아지고 발을 씻기라 하셨다. 이건 사람이 두려워하는 일을 하라는 말씀이다.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을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로 믿는다는 게 바로 그렇게 사람이 두려워하는 것, 두 사람이 있을 때 섬기는 사람이 되고, 세상의 가치로 선한 걸 추구하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이다.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을 하나님 아들 그리스도로 믿는다는 건 사람이 두려워하는 삶이 자기 본성이 되기를 바라는 것

 

예수님도 사도 바울도 이걸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하셨다. 유대인들의 발작 버튼이 누르는 일인 셈이다. 그리고 지금도 사람들은 앞서 설명한 두려움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구약의 율법이 아닌 신약의 말씀을 행동으로 지키려고 노력한다. 그러면서 자신은 율법을 지키려는 율법주의자는 아니라고 착각한다. 육신이 세상 기준으로 성공하기를 바라고, 반대로 망하는 걸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예수님을 믿고 있다면 아직 실천에 옮기지 않았을 수는 있지만 율법주의자고 복음을 핍박하는 사람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많은 신앙인이 할 수 있는 대로 더 많이 하나님께 기도하려고 한다. 때론 세상 유익을 구하지 않고 순수한 마음으로 기도한다고도 한다. 하지만 기도는 어디까지나 간구다. 하나님께는 있고, 내게는 없는 걸 구하는 게 기도다. 창조주인 하나님께는 있고 피조물인 나에겐 없는 단 하나, 극복할 수 없는 그 절대적 차이 하나는 바로 피조물인 나의 존재 목적이다. 기도는 이 하나를 구하는 것이다. 주기도문이 바로 사람이 하나님께 자기 존재의 목적과 삶의 의미를 구하는 기도다.

 

주님이 가르쳐 주신 기도는 기도의 모든 것이고 사람이 하나님께 구해야 하는 유일하고 전부인 간구다.

 

따라서 주기도문은 사람이 하나님께 구해야 하는 유일하고 전부인 기도다. 그렇다고 주기도문을 뇌까리라는 건 아니다. 주기도문의 취지와 주제를 하나님께 구하라는 뜻이다. 주기도문으로 구해야 할 것이 바로 그 나라와 그 의다. 이것만 있으면 우리는 모든 걸 할 수 있다. 존재 목적을 회복한 삶은 존재 목적대로 살게 된다. 그건 목적 있는 삶의 모든 걸 이루는 삶이다. 살면 사는 대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오늘까지 어떤 기도를 했는지는 상관없다. 되돌아보지 않아도 십중팔구는 돈 달라, 밥 달라는 기도였을 것이다. 세상에서 평안과 번영을 구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간구로 설사 벼락부자가 되거나 암이 치유된다고 해도 사람의 존재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면, 사랑 없이 몸을 불사르는 것처럼 아무 소용이 없다. 우리에겐 육신의 평안과 삶의 풍요보다 존재로 목적과 삶의 이유가 먼저고 더, 아니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이걸 구하는 게 바로 주기도문이다.

 

이 책은 그 주기도문의 목적과 의도를 설명했다. 그래서 하나님을 의지하고 하나님을 믿으며 그 뜻을 준행하고자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이들에게 그 의도가 분명히 전달되기를 바란다. 사람이 그렇게 알고자 하는 하나님의 뜻은 이미 하나님께서 그 아들을 십자가에 못 박으시면서까지 우리에게 다 말씀하셨으니, 우리는 그 뜻이 땅인 나에게 이루어지도록 순종하는 일만 남았을 뿐이다. 그 순종의 고백, 지금까지 이미 말씀하신 하나님의 뜻을 헛되게 육신을 위해 구했다는 돌이킴이 필요하다.

 

이 필요를 구하는 게 주기도문이고, 이 책은 그 주기도문의 주제를 설명했다. 아무쪼록 진정으로 하나님께 간구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 책이 하나님껜 있고 사람에겐 없는 단 한 가지 내 존재의 목적을 간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하고, 또 하나님께서 그 간절함을 가진 사람에게 약속한 이 은혜를 약속대로 베푸시기를 구한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