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01

(마가복음 4:30-34) 겨자씨 비유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마가복음 Date : 2022. 6. 23. 16:51 Writer : 김홍덕

겨자씨 비유는 비유 자체로는 어렵지 않다. 다만 하나님의 나라가 혹시 숨이라도 크게 쉬면 날아가 버리는 작은 겨자씨처럼 작은 것으로 시작된다는 사실을 믿는 건 어렵다. 하나님 나라가 사람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말씀하심이다.

 

하나님 나라는 크고 위대하다는 게 사람의 생각이다. 교회를 크고 화려하게 건축하는 게 하나님의 영광이라 말하는 이유다. 그렇게 생각을 하는 사람으로선 초라한 모습의 예수님을 하나님 아들로 인정할 수 없다. 결국 이 생각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다.

 

그는 멸시를 받아서 사람에게 싫어 버린바 되었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 마치 사람들에게 얼굴을 가리우고 보지 않음을 받는 자 같아서 멸시를 당하였고 우리도 그를 귀히 여기지 아니하였도다(사 53:3)

 

결국 교회를 화려하게 건축하는 게 하나님께 영광이란 생각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다. 하나님 나라는 크고 위대한 업적으로 세워진다는 사람의 생각이 그렇다. 많은 봉사와 십일조 그리고 헌금이 천국에서 고래 등 같은 집을 상으로 받을 것이란 믿음도 이 생각의 산물이다. 이게 사람이 가진 하나님 나라에 대한 진심이다.

 

겨자씨 비유는 이런 생각이 고착된 사람 앞에 예수님께서 던진 하나님 나라의 모습이다. 세상의 기준으로 볼 때 가치 없는 게 하나님 나라의 풍성함을 이룬다는 말씀이다. 하나님 나라는 위대하다 믿음,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 가치관의 연장선 위에 있지 않고, 오히려 낮고 천한 십자가를 지는 사람의 죽음으로 인하여 풍성해진다는 걸 알려주신 게 겨자씨 비유다.

 

지금 읽고 듣고 있는 말씀을 예수님 말씀처럼 헤아려본다면 겨자씨는 바로 십자가란 걸 알 수 있다. 사람의 생각에 겨자씨처럼 함께 살아갈 가치가 전혀 없어 보이는 사람을 보내는 곳이 십자가다. 십자가를 진 당사자인 예수님의 말씀이니 더욱 그렇다. 그렇게 천한 자리에서 풍성한 안식과 만족을 누리는 삶이 하나님 나라의 삶이다.

 

높이 오르려는 사람에게 낮아지는 십자가는 겨자씨와 같이 보잘것없는 것

 

사실 사람은 누구나 알고 있다. 높이 오르려는 몸부림 속에 지쳐 있고 그 삶에 안식이 없다는 것을. 그래서 예수님께서 말씀을 잘 헤아려보라고 하셨다. 어디까지 올라야 만족스러운 인생이 되는지조차 모르면서 하염없이 위로 오르려는 게 사람이다. 그리고 사람의 그런 모습이 곧 공중의 새다.

 

그런 인생에게 안식과 만족을 주는 자리가 십자가다. 예수님 말씀은 결국 여기에 귀결된다. 이걸 아는 게 성경을 아는 것이다. 그리고 이걸 알기까지 헤아려야 한다. 묵상해야 한단 뜻이다. 사람이 보기에 터무니없는 말씀, 낮은 곳에 만족과 안식이 있다는 이 겨자씨 같은 말씀이 사람의 심령에 심겨서 자라면 그 사람으로 인하여 정처 없이 살아가던 사람이 안식을 누린다는 게 하나님의 법이다. 그리고 이 법이 다스리는 나라가 풍성한 하나님 나라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마가복음 4:26-29) 묵상이 필요한 이유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마가복음 Date : 2022. 6. 19. 16:16 Writer : 김홍덕

묵상이란 언뜻 보기에 천국에 상급을 쌓는 것이라는 기도, 봉사, 전도와 달리 가만히 앉아서 생각만 하라는 말로 들릴 수도 있다. 그래서 묵상만으로 어떻게 신앙이 자랄까 의심한다.(사실 이 정도 의문이 든다면 신앙에 대해 상당한 고찰이 있는 사람이다. 대부분은 그마저도 하지 않는다. 신앙이 삶의 옵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수님은 분명히 말씀하신다. 땅에 심긴 씨가 모르는 사이 싹이 나고 열매가 되듯이 묵상함으로 신앙 열매가 열린다고 말씀하신다. 땅에 심긴 씨가 열매가 되는 자연의 법칙으로 비유하셨다는 건 신앙이 자라는 것 역시 묵상만으로 풍성하게 되는 게 불변의 법칙이란 뜻이다.

 

예수님께서 계속 농부와 씨 그리고 열매를 가지고 말씀하시는 건 하나님의 말씀으로 거듭나고 열매를 맺는 건 생명의 법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생명이다. 그래서 <거듭난다>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도로 나고 장성하여 열매 맺는 건 사람이 알고 있는 생명의 법, 그대로다.

 

생명은 유전자와 본성이 있다. 그건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이 어떻게 할 수 없다. 사람이 어떤 재주를 부려도 사과를 심어 놓고 복숭아가 열리게 할 수는 없다. 그건 역설적으로 생명은 자기 본성대로 자란다. 하나님 말씀은 사람의 심령 안에서 되새김질하듯 묵상하므로 자란다. 그게 말씀의 본성이다. (굽이 갈라지고) 되새김질하는 동물만 먹으라고 하신 뜻도 여기 있다. 그리고 지금 예수님의 말씀도 이 본성을 바탕으로 말씀하시고 있다.

 

그런데 사람은 신앙이 자라기 위해서 자꾸 무언가를 하려고 한다. 대표적인 게 기도다. 예수님께선 단 하나의 기도만 가르쳐 주셨는데 그 내용은 하나님 말씀의 본성에 순종하고 수용하라는 게 전부다. 사람의 생각처럼 육신의 문제를 구하거나 신앙의 자람을 구하는 게 기도가 아니다. 기도 역시 하나님 말씀이 그 본성과 정체성대로 나를 주관하시도록 자신을 드리는 것이다. 신앙 성장은 사람이 알고 있는 기도로 되는 게 아니다.

 

사실 하나님 말씀은 사람이 금방 수용하기 힘들다. 하나님 말씀이 어렵거나 별나서 그런 게 아니라 항상 높아지는 걸 추구하는 사람에게 낮아져서 십자가를 지란 말씀은 반대기 때문에 낯설고 수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묵상이 필요하다. ‘왜 그렇게 말씀하시는가?’, ‘예수님은 어떻게 하셨는가?’, ‘제자들과 사도들은 어떤 과정을 겪었는가?’를 생각해봐야 한다. 그런 묵상 없이 말씀이 단번에 자기 게 될 수는 없다. 앞서 말했듯 하나님 말씀을 듣기 전까지 추구했던 삶의 방향과 하나님 말씀의 방향은 반대다.

 

항상 높아지는 걸 추구하는 사람에게 낮아져서 십자가를 지란 말씀이 만났는데 “왜 그런가?” 묵상이 없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

 

여기엔 충돌이 발생한다. 낮아지는 것과 높아지려는 게 만났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신 이유가 여기 있다. 땅인 사람에게 떨어진 육신이 된 말씀은 씨와 같이 죽으므로 생명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께선 죽음을 앞두고 제자들에게 씨가 열매가 되려면 땅에 떨어져 섞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 12:24)

 

그리고 예수님께선 십자가를 진다는 말에 깊은 혼돈에 빠진 제자들에게 성령이 오시면 모든 걸 알게 될 것이라고 하셨을 뿐 아니라, 곧 배신하고 떠나고 부활한 자신을 만난 다음에도 도망갈 제자들이 자신을 영화롭게 하였다고 하나님께 기도하셨다. 그들 안에 심긴 하나님 말씀의 생명 본성, 그 능력을 알고 계셨기 때문이다. 예수님 자신이 그 말씀이 육신이 된 분이시니 확실하게 아셨다.

 

예수님께선 제자들에게 생명이 풍성해지기 위해 무언가를 하라고 하신 적이 없다. 정말로 기도하라고도 하신 적 없다. 오히려 믿음이 없음을 책망하셨다.(변화산 아래서) 자기 안에 있는 하나님 말씀이 놀라운 생명이 된다는 믿음 없음을 책망하셨다. 그 예수님께서 생명이 풍성해지려면 필요한 건 묵상이라고 하고 계신 것이다.

 

듣고 있는 말씀이 어떤 의미인지 헤아리고 묵상하라는 게 예수님의 당부다. 그러면 말씀이 심령 안에서 생명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 심령에서 생명이 될 수 있도록 우리에게 들린 말씀은 이미 십자가에서 썩었고 죽었다. 그 말씀이 생명이 되기까지 우리는 그 말씀의 의미를 되새김질하면 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조급하다. 아니 예수님 말씀을 귓등으로 듣는다. 그래서 자꾸 뭔가를 하려 한다. 봉사하고 외치고 노력한다. 더 안타까운 건 그 노력과 외침이 육신의 평안과 성공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사람들에게 필요한 건 이미 전해진 하나님 말씀은 십자가에서 썩었다는 것을 믿고 그 말씀을 묵상하는 것뿐이다.

 

우리가 묵상해야 할 말씀은 넘친다. 하나님 말씀을 듣기 전 우리가 추구했던 것, 진리로 알고 주장하고 외쳤던 것들과 말씀을 비교해 본다면 욥의 세월에 버금가는 묵상의 시간을 보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만큼 우린 하나님 말씀과 반대로 달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렇기에 이 말씀이 심령에서 생명이 될 때 감동은 평생의 감동이 되고, 생명이 되면 성경대로 살지 않으려 해도 다신 그럴 수 없는 자신이 된 걸 너무 밝히 알 것이다. 빛을 만나는 게 어떤 건지 너무 확실히 알게 될 것이다. 이게 단 하나의 구원, 그것이다. 그리고 자고 깨는 중에 열리는 열매, 풍성한 열매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또 가라사대 너희가 무엇을 듣는가 스스로 삼가라 너희의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요(막 4:24)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이 땅에 보내셔서 기적도 행하고 놀라운 말씀을 선포했다는 사실만으로 예수님을 빛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심령 안에 예수님과 같은 생명이 있어 줄탁동시처럼 연결될 때 예수님을 보내신 하나님의 뜻이 밝아지고 진정한 빛이 된다. 한 마디로 나 자신이 예수님과 같은 존재가 되어야 예수님으로 인한 밝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때 비로소 예수님께서 빛이란 걸 알게 된다.

 

예수님께서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으라고 하심도 궤를 같이한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들을 귀 있는 사람은 예수님과 같은 그리스도로 거듭난 생명이 예수님과 연결된 사람, 그래서 온전히 바로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이다. 자기 심령에 예수님과 같은 본성이 있어 예수님의 모든 말씀이 어렵지 않고 밝히 이해될 수밖에 없으니 예수님이 빛이 된다. 결국 빛이 드러난 사람과 귀 있는 사람은 같은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예수님께선 지금 무엇을 듣고 있는지 스스로 삼가라고 말씀하신다. 되새김질하는 짐승만 먹으라고 하심 같이 말씀을 묵상하란 의미다. 말씀을 듣고 자기 안에서 밝아질 때까지 묵상하고 또 묵상하란 말씀이다. 그렇게 하면 이어지는 자고 깨는 중에 말씀이 심령에서 자란다는 비유 그대로 심령에서 말씀이 자라고 밝아진다고 말씀하신다.

 

말씀을 헤아리고 측정하고 묵상하면 들은 이상으로 더 얻는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수가성 여인에게 하신 네 속에서 생수가 흘러넘칠 것이라 하신 말씀같이 하루하루 자고 일어나면 말씀이 더 풍성해진다는 의미다.

 

내가 주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나의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요 4:14)

 

그리고 그렇지 않다면 그나마 들은 것마저 다 잃게 될 것이라 하신다. 길가에 뿌려진 씨가 새에게 먹히듯, 돌밭에서 난 싹이 햇볕에 마르듯, 또 가시의 방해로 자라지 못한다는 말씀이 그 의미다. 그런 의미에서 말씀을 묵상한다는 건 결국 좋은 밭이 되기 위해 심령을 개간하는 것과 같다.

 

베뢰아 사람은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보다 더 신사적이어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 그중에 믿는 사람이 많고 또 헬라의 귀부인과 남자가 적지 아니하나(행 17:11,12)

 

더 받을 것이라 하신 있는 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과연 그런가?’ 끊임없이 묵상하는 사람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이해된다는 건 말씀하신 하나님과 같은 의가 자기 안에 있다는 증거다. 따라서 말씀이 이해되기까지 묵상하는 과정은 심령에 심긴 말씀이 성령으로 인해 하나님의 의가 본성인 그리스도로 거듭나는 과정이다. 그 거듭남이 예수님을 온전한 빛임을 깨닫게 한다.

 

사람들의 생각처럼 예수님의 피로 구원받았음을 믿습니까?”란 질문에 라고 대답하는 그 간편함으로 구원을 받을 수 없다. 최소한 자기가 받은 구원이 무엇인지는 명확해야 한다. 받았다는 데 명확하지 않을 수는 없다.

 

예수님의 피가 어떻게 나를 구원하는 건지, 어떤 자리에서 어떤 자리로 구원을 받았다는 건지, 죄는 무엇이며 구원이 죄를 깨끗이 씻는다면 일상에서 죄 없는 사람으로 산다는 건 또 무엇인지에 대한 답이 자기 안에 있어야 구원받은 것

 

예수님의 피가 어떻게 나를 구원하는 건지, 어떤 자리에서 어떤 자리로 구원을 받았다는 건지, 죄는 무엇이며 구원이 죄를 깨끗이 씻는다면 일상에서 죄 없는 사람으로 산다는 건 또 무엇인지와 같은 근원적인 질문 혹은 의문에 대해 묵상함으로 밝아짐이 없는데 구원이 있을 수는 없다. 이건 성경이나 신앙의 문제가 아니라 상식과 논리의 문제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사람들에게 예수님이 하신 말씀이 무엇인지 묵상하라고 하신 이유다. 그렇게 묵상할 때 묵상한 내용대로 구원받은 사람, 예수님의 빛이 밝게 비췬 사람으로 대우받는다. 우리의 헤아림으로 헤아림을 받는다는 의미가 이것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