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25-26장) 빌닷과의 세 번째 대화 - 1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욥기 Date : 2019. 3. 15. 09:23 Writer : 김홍덕

이제 친구들과의 마지막 대화입니다. 빌닷과 세 번째 변론을 주고받고 나면 욥의 한탄 섞인 마지막 말이 이어지고 나면 욥기의 본론이라고 할 수 있는 엘리후의 말과 하나님의 질문공세 그리고 그 말을 듣고 욥이 자신이 알지 못했던 것을 깨닫고 모든 것이 회복되는 과정으로 욥기는 전개 됩니다.


친구들과의 마지막 대화는 빌닷과의 대화입니다. 빌닷의 말은 아주 짧습니다. 이 빌닷의 말은 아주 짧고 표면적으로 하나님의 절대적 권능을 인정하는 말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이 빌닷의 말은 오늘날 하나님을 신으로 믿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님을 생각하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보편적인 무지가 바로 율법주의와 영지주의 뿌리입니다.


만약 누군가가 오늘날 교회 안에서 자신이 의롭다고 주장을 해 보면 그 교회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벌떼처럼 드러날 것입니다. 그런데 성경을 읽고 보면 우리가 의롭게 될 것이 아니라면 굳이 하나님을 믿을 이유가 없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이유가 우리가 의롭게 되기 위함인데 사람이 의롭다고 말하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는 들어볼 생각도 하지 않고 그 표현 자체가 불경스럽다고 합니다. 그 이유나 들어보고서 비난해도 충분한데 말입니다.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질 수 없다는 빌닷의 말과 같은 생각을 가진 오늘날의 대부분 신앙인들은 하나님 앞에 의로워지려고, 단 하나의 성경말씀이라도 더 지키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노력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의롭지 않다는 것을 실토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노력하는 그것이 욥기에 나오는 친구들이 그렇게 욥의 책망하는 가치관입니다. 


행위로 죄를 범하였기 때문에 고난을 당한다고 주장한다는 것은 행위가 부족하면 의롭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런 맥락에서 행위가 부족하여 행여 벌이나 고난을 당할까 하여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것은 노력하는 내내 의롭지 못한 상태라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 행여 그 노력이 철저했다 해도 어느 한 순간 단 하나만 놓친다면 그 모든 것이 다 불의가 된다고 성경이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의로울 수 없다는 것은 매우 겸손한 것 같지만 결론적으로 보면 그것은 하나님을 불의한 신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람 안에 거하시기를 원하는데 사람이 의롭지 않으면 하나님은 불의와 하나가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빌닷의 말이 가진 행간이 그렇고, 오늘 육신의 일이 여의치 않으면 교회에 가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한다는 신앙을 가진 사람들의 신앙 정체성이 그렇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더 깊은 곳에 있습니다. 사람을 어떻게 보는지는 결국 신앙의 근간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셨는데 사람은 의롭지 못하다고 여기는 괴리가 바로 문제의 핵심입니다. 사람을 가장 먼저 의롭지 않다고 본 사람이 누구냐 하면 바로 아담이라는 것을 안다면 함부로 사람을 불의하게 여기지 못할 것인데, 어둡고 그런 것을 가늠할 생명이 없으므로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지 못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스스로를 부정하게, 의롭지 못하게 여기지 못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그에 대한 후속조치를 낳습니다. 하나는 필사적으로 의로워지려는 노력이고, 또 하나는 포기하듯 하는 것입니다. 전자가 율법주의를 낳고 후자가 영지주의를 낳은 것입니다. 요한일서, 유다서를 포스팅할 때 많이 언급했듯, 율법주의와 영지주의는 사람을 부정하게 여기는 것에서 시작했고 뿌리가 같은 것입니다. 바로 그 뿌리의 일면을 빌닷이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날도 사람을 부정하게 여기는 생각은 깊이 뿌리를 잡고 있습니다. 신앙생활을 끊임없는 노력의 선로 위에 놓고 달리기를 채근하는 신앙이라는 것은 모두 율법주의입니다. 사람들은 이 율법이라는 것을 문장이나 어느 책에 쓰였는지를 가지고 구분하는데, 미안하지만 그 행위의 규례가 어디에서 왔던 그것을 해야만 의로워진다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고 이야기하면 신약이라도, 심지어 이 블로그에서 말하고 있는 개념조차도 다 율법이 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기도하고, 성경보고, 방언을 하고, 금식하고, 전도하고 봉사하는 것과 같은 것은 율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율법은 그 행위 자체가 기준이 아니고 그 행위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구약이라도 예수가 그리스도며 하나님은 존재의 하나님이라는 것을 알게 하면 복음이 되고, 예수님의 말씀이라도 그것을 해야 의로워진다고, 하나님이 기뻐하신다고, 특히 그래야 복을 받는다고 생각하고 한다면 모두 율법인 것입니다.


그것이 율법이 되는 것은 바로 사람이 부정하고 의롭지 못하다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설사 기도하고 해도, 남을 위하여 목숨을 내어주는 것이라고 해도 자기 본성에 이끌려서 하지 않을 수 없어서 한 것이 아니라, 그래야 하나님의 무엇인가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것을 지금 없기에 구하는 것이고, 없다는 것은 의롭지 못하고 부정하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존재론적 신앙을 가진 사람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시고 보시기에 좋았다고 하신 것과 같이 그 모든 것이 온전함을 압니다. 왜냐하면 온전함, 그것에서부터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았고, 사람을 만들고 안식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사람이란 존재가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기에 온전하고 의로운 존재라는 의미이고, 그것을 아는 사람은 사람을 부정하게 여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