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27-31장) 욥의 마지막 변론 – 4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욥기 Date : 2019. 3. 20. 16:46 Writer : 김홍덕

욥기는 많은 경우 소설로 치부됩니다. 하지만 욥기의 내용은 알고 보면 신앙의 고급과정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모든 성경은 초신자에서부터 사도들에게 이르기까지 모두에게 의미를 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출애굽의 과정으로 비한다면 가나안 땅 이후의 여정이라고 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욥이 보이고 있는 태도는 자신이 의롭다는 것을 확신하는 것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욥의 말과 상황을 잘 이해하려면 아무래도 자신이 하나님 앞에 의롭다는 확신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는 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것과는 좀 다르다는 것을 이전 글에서 많이 설명한 것 같습니다.


보통 사람들이 하나님이나 신을 찾기 시작하는 것은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육신의 평안을 인생의 목적과 소망으로 삼고 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육신이 평안한 가운데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도록 돈이나 권력을 가지는 것이 세상에서 성공이라 여김을 받는 것입니다.


육신이 평안한 것이 복이라 여기기 때문에 당연히 육신이 부정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육신이 부정하지 않고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되려고 하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그래서 무엇을 하면 자신이 추구하는 육신이 복을 받기에 합당한 행실을 할 것인지 고민하고 성경이나 도덕을 추구합니다.


그런데 그 보편적인 사람들의 가치관을 조금만 생각해보면 의로워지려고 한다는 것은 의롭지 않기 때문에 도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을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이 사람들을 눈이 어둡다고 하고 생명이 없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어두운 것은 육신을 가진 사람의 운명입니다. 사람들이 그렇게 평안을 추구하는 그 육신은 살아갈수록 평안에서 멀어지는 노쇠화를 겪는다는 것입니다. 마치 감가상각을 당하는 것과 같이. 이것이 창세 이래로 모든 인생이 겪고 있는 운명인데 그 운명이 말하는 것은 듣지 않고 사력을 다해 평안해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사람이 가진 육신의 삶은 소비재라는 것입니다. 즉 육신은 보존이 목적이나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단 한 번 살고 마는 것은 마치 종이컵과 같은 일회용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이란 육신을 가진 존재는 무엇인지 모를 수는 있지만 분명히 존재의 목적이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것을 위하여 소비되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이를 정리해 보면 사람들이 성경이 육신의 정욕이라고 말하는 육신의 평안을 추구하는 것을 선이라고 여기는 자기 생각, 자기 의로움에 매몰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세계에서는 앞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육신의 평안을 추구하고 그것을 하나님 또는 신으로부터 보장 받으려니 그 육신을 정결하게 하려는 노력에 모든 것을 거는 것입니다.


욥의 친구들도 그런 사람들입니다. 오늘날 일요일에 교회에 가서 밥 달라, 돈 달라 기도하는 사람들도 그런 사람들입니다. 신약성경에서 기도라 하니 기도하고 기뻐하라고 하니 화 날 때 그 말씀이 생각나서 참으며 기뻐하는 신앙이 행위로 의로워지려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같은 부류입니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은 하나 같이 자신이 의롭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즉 욥의 마음과 말과 하나님이 욥에게 한 질문이나 엘리후의 말이 이해될 수 없는 것입니다. 그것 이전에 사람이 행위로 의로워질 수 없다는 고백이 먼저 있어양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세례이기도 한데, 욥기를 보고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으면 먼저 그 세례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자신이 하나님 앞에 의로워지려고 노력하던 죄인이라는 것을 고백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욥기가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욥기를 보고 그 의미를 모르겠으면 그렇게 하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제 욥의 마지막 변론을 보면서 사람이 어떻게 자신을 의롭게 여길 수 있는지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물론 근거도 없이 막무가내로 자신을 의롭게 여기는 것은 자유지만 적어도 하나님을 믿노라 하면서 하나님 앞에서 인생이 의롭다고 주장하려면 인생이 자신이 의롭다는 확신 없이는 말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수많은 설교자들이 한 쪽에서는 자신들도 인간이기에 하나님 앞에서 노력할 뿐이라고 말하거나 자신의 잘못에 대한 변명으로 사용하기도 하다가 강단에 서서 로마서라도 설교할 때는 태연하게 사람이 의롭다고 말하는 것은 말 그대로 사기입니다. 자신도 의롭지 못하면서 사람이 의롭다고 말하는 것이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사람은 정말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운가? 의 문제가 있습니다. 그야 성경이 그리 말씀하고 있으니 당연히 그렇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문제는 어떻게 사람이 의로워질 수 있는가의 문제일 것입니다. 그것은 사람이 행동으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행동으로 의로워지는 것에 한계가 있기도 하겠지만 절대적인 문제는 하나님께서 행동으로 사람을 판단하지 않으신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그릇과 같이 만드셨습니다. 그릇이라는 것은 그 안에 담긴 것을 다시 내어 놓는 존재입니다. 사람도 심령에 무엇을 담으면 그것을 나타내는 존재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기 안에 무엇을 담을지 그 선택을 사람이 스스로 하게 하셨습니다. 사람이 질그릇이라고 한 것은 그 안에 담긴 의로움대로 행동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중심을 보신다고 하시면서 한편으로 행함 없는 믿음을 죽은 것이라고 하신 것은 사람이 하나님의 의도대로 하나님의 의를 자기 안에 담고 있으면 그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행동을 할 것이고, 하나님의 의가 아닌 다른 의나 가치를 그 안에 담고 있으면 그것을 내어 놓을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사람의 중심을 보시는 것입니다. 행동은 중심에 있는 것의 표현이고 결과물이기 때문입니다.


욥이 자신을 의롭게 여길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은 그와 같이 사람을 행위로 판단하시는 분이 아니라는 것을 자신이 알고 있기에 그것이 자신을 의롭다고 한다는 것을 확신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보면 로마서가 쓰이기 수 천 년 전에 이미 욥이 그것을 확신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런 욥이 왜 하나님을 원망했을까? 하는 그것이 욥기의 핵심적인 이야기 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욥기를 알고 욥의 원망을 알려면 먼저 자신이 의롭다는 확신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자신이 의롭다고 여겨지지 않는다면 당연히 욥이 하나님을 원망하는 것이 이상할 것이고, 그렇다면 자신이 하나님을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어떤 면에서 보면 욥기를 기록한 의도 중의 하나가 그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의롭다는 것을 확신하는 사람이 하나님을 원망하고 고난을 당하는 것이 무슨 이유인지 알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도 욥기의 의도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면 이제 욥이 왜 하나님을 원망하는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할 수 있고 또 이해가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