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12-13장) 소발에 대한 욥의 반론 – 3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욥기 Date : 2019. 2. 24. 10:59 Writer : 김홍덕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과 담대함


욥은 친구들에게 자신이 하나님 앞에 말하는 것을 내버려 두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자신이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가 내포된 것입니다.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당당할 수 있을 것인가?’라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알고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만큼 하나님 앞에 당당하게 구는 것이 없습니다.


행위를 보고 사람을 판단하시는 분이 아니신 하나님께 가서 자기 육신의 행위로 성경을 지켰으니 자신이 바라는 것을 내어 놓으라고 말하는 것이야말로 하나님 앞에 당당하게 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니 보통은 그런 것을 뻔뻔함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단지 하나님의 능력을 두려워하기에 공손한 말로서 구하니 하나님 앞에 두려움을 가지고 겸손히 구는 것이라 여기지만 말투가 공손해서 공손한 것이 아니라 내용이 합당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욥은 자신은 하나님 앞에 의로우므로 자신의 말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욥은 자신이 하나님께 무엇을 바라고 그 급부로서 하나님을 섬긴 것이 아니라는 증거입니다. 사람들이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것은 어쩌면 하나님의 존재 정체성이 아니라, 자신이 행여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하지 않아서 자신이 해를 당하지나 않을까를 염려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바라는 것이 있는 사람은 그것에 볼모가 되는 것입니다.


욥의 친구들은 욥의 상황이 하나님 앞에 뭔지는 모르지만 죄를 범한(DO) 것이 있다고 여깁니다. 그런 생각을 가졌다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뭔가 잘못하면 저런 꼴을 당한다는 의식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가진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은 하나님의 존재 정체성에 대한 두려움이나 경외함이 아니라, 자신이 구하는 것을 얻지 못할까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욥과 같이 하나님 앞에 자신이 어떤 행위를 드린다고 해서 하나님께서 자신을 판단하시는 분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그런 두려움이 없습니다. 욥은 하나님의 정체성 자체에 대한 경외함은 분명하지만 하나님께서 자신의 행위를 인하여 벌을 주시는 분이 아님을 알기에 그것을 두려워하지는 않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 앞에서 말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책임도 지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별로 책임 질 일은 없을 것입니다.


다만 욥이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의롭다고 말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앞으로 하나님 앞에서 자신이 하나님을 잘 알지 못했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에서 하나님에 대하여 온전히 알아가는 것은 돌이키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 앞에서 무엇을 잘못 행동 했느냐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아는 것이 부족한 것에 대하여는 살아가면서 깨달을 때 마다 자신을 돌이키고 회개하고 그렇게 성장하는 것입니다.


앞서서 사람들이 하나님의 전지전능을 생각함에 있어 <전지전능한 하나님을 믿는 것>이 있고, <하나님은 전지전능해야 한다고 믿는 것>이 있다고 했습니다. 이것 또한 궤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욥이 친구들에게 한 말 중에 “너희가 하나님을 위하여 쟁론하려느냐?”(13:8)라는 말이 있는데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사람이 나서서 변호를 하려고 하느냐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의 변호가 필요한 분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사람이 지키거나 돌봐야 하는 대상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모든 행사가 그럴 것입니다. 이것은 교회도 사람이 지켜야할 이유가 없고, 세상도 사람이 지키려고 할 이유가 없으며, 성경도 신학도 다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사람이 지켜야 할 것은 하나님이 아니라 하나님의 의와 뜻이 자기 안에서 표현되는 삶을 지켜야 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숙제를 하지 않고 등교해서 선생님을 마주한 학생과 같이 하나님 앞에 당당하지 못한 것은 결국은 하나님께 바라는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하시는 대로 순종하는 것인 인생의 목적이라는 것을 알고 산다면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어떻게 하실까 염려하거나 두려워할 이유가 없습니다. 교회나 세상을 지키려하지 않고 결과에 순종할 것입니다. 즉 결과에 순종하는 것이 싫으니 그 결과를 가공하려 하고 그 결과를 이끄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바꾸려고 뭔가 자꾸 하나님께 드리고 행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욥과 같이 그 결과가 무엇이라도 책임지겠다는 마음만 있으면 하나님 앞에서 담대히 행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담대하라고 그렇게 말씀하셨는데 사람들은 사소한 결정 하나도 스스로 하지 못해서 “목사님 이것은 어떻게 할까요?”라며 점집을 찾아서 묻듯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자신이 바라는 결과가 있기 때문이지 하나님이 두려운 것이 아닙니다. 자기가 원하는 삶이 되지 않을까 두려워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것이 담대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나 삶이라는 그 자체가 하나님의 의와 뜻을 이루어내기 위하여 소비되고 사용되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 그것이 인생의 참 목적이자 의미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삶이 어떻게 되는 것이 문제가 아닙니다. 어차피 자기 것이 아닌 것을 아는데, 그래서 청지기임을 아는데 자기가 원하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노심초사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달리 순종이 제사보다 낫다고 하신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다만 우리가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어야 하는 존재로서 살아가는 그 삶이 더 온전하고, 자신이 바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인생을 주실 때 뜻하신 것을 하나라도 더 이루기 위하여 자신을 하나님이 행하시는 일에 드리는 것이 우리가 살면서 하는 유일한 근심이 되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믿노라 말하려면 하나님 앞에서 담대하고 당당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정체성을 외면하고 하나님께 자기 행위를 드리고 자기 육신의 평안을 구하는 뻔뻔함으로 대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것입니다. 또 하나님께 원하는 것이 있으니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하여 하나님을 두렵게 여기는 것과도 또 다른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 것은 하나님께서 뜻하신 것이 우리에게 이루어지는 것을 순종하고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하늘의 뜻이 땅에 이루어지는 것이 그것이고, 순종이 제사보다 낫다고 말씀하신 것이 그것입니다. 그런 삶을 산다면 자기 삶에 일어나는 일과 결과를 모두 순종하며 사는 것인데 삶이 두려울 것이 없을 것입니다. 욥이 하나님께 당당하게 말하겠다는 그 마음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