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과 (40) - 선악과와 율법주의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Date : 2014. 3. 10. 11:19 Writer : 김홍덕

사람이 선악과를 먹고 나면 나타나는 반응은 아담이 보여준 것과 같이 자신이 벗었다는 것, 즉  인간이라는 실체가 드러난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부끄러움에 대처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함축될 수 있다. 그 하나는 율법주의고 또 하나는 영지주의라 할 수 있다.


우선은 아담이 부끄러움을 감추리 위하여 무화과 나무의 잎을 따서 치마를 만들어 부끄러움을 가렸다고 했다. 무화과 나무는 유대인의 나무이다. 요한복음에서 나다나엘을 보고 예수님께서 "네가 무화과 나무 아래 있을 때에 보았노라(요 1:48)"고 하신 것은 나다나엘이 율법 아래서 하나님을 믿는 때를 알고 있다는 의미이다.



figs on tree
figs on tree by Martin LaBar 저작자 표시비영리 <유대인의 나무 무화과>


또한 예수님께서 길가의 무화과 나무의 열매가 없음을 보시고 저주하신 사건(마 21장)에서도 저주하신 그 때가 시기적으로 무화과가 열리는 시기가 아님에도 열매가 없다고 마르게 하셨는데, 이것은 유대인들의 신앙이 열매가 없는, 그러니까 생명이 없음을 말씀하심인 것이다. 예수님께서 먹을 것이 없다는 것은 하나님이 하시는 열매, 곧 하나님의 성품이 나타나는 신앙이 없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무화과는 이스라엘과 유대인을 상징하는 나무인데, 아담이 그 나뭇잎으로 옷을 만들어 벗은 것을 가리려 했다는 것은, 율법적인 계율을 지킴으로서 사람이 가진 육신으로서의 한계를 가리려 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람이 가진 본능적인 욕구들인 성욕을 율법으로 절제하게 하고, 또한 식욕을 금하여 기도하게 하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아담이 무화과 나무로 벗은 것을 가리려 했다는 것은 사람이 하나님이 주신 율법을 잘 지켜 행하면 사람의 부끄러운 것이 가려진다고 믿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종교 안에서 오랫동안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이 기뻐하신다는 전제 하에 사람들은 때로 금식도 하고, 새벽 기도도 하고, 절기도 지킨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오셔서 한 없이 그것을 책망하셨다. 그런데 더 안타까운 것은 지금도 이러한 생각은 모든 종교 안에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돌판에 새겨 주신 것은 그림으로 치면 밑그림을 그린 것이다. 즉 율법이 본 그림이 아니라 율법은 도화지와 같은 것이다. 즉 율법은 사람이 어떤 존재인지 드러나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율법을 잘 지키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는 것이 아니라, 율법을 통하여 우리가 사람이라는 것이 드러나게 하신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율법은 한마디로 사람이 다 지킬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율법을 온전히 지키려 한 사람은 반드시, "이것은 사람으로서는 다 지킬 수 없는 것이구나!"하는 고백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율법은 사람이 부끄럽게 여기는 사람의 정체를 탄로 나게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아담의 무화과 나뭇잎 옷도 결국은 그 부끄러움을 가리지 못한 것도 바로 그런 것을 알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인간의 부끄러움을 한없이 감추려고 한다. 그런 위장을 위하여 늘 율법을 지키려 한다. 그래서 집 밖에 나오면 화장실도 가지 않는 사람처럼 보이려 한다. 그리고 교회는 그런 고상함의 정도가 클수록 신앙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장로와 같은 직분을 주어 찬양하게 한다. 즉, 이것은 고상하게 보일수록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율법주의다.


이 율법주의는 구약의 말씀을 지키려 한 유대인들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성경의 말씀을 행동으로 지켜내려고 하는 모든 시도는 다 율법주의다. 이것은 식칼을 흉기로 쓰는 것과 같이 목적을 벗어난 것이다. 성경의 말씀은 앞에서 한번 포스팅 한 것과 같이, 그 안에 생명이 있으면 아무리 못하게 해도 할 수 밖에 없는 그런 행동을 말하는 것이지, 성경의 말씀을 행동으로 지켜 행한다고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이 아니다.


예수님께서 오셨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유대인들은 금식도 하지 않고, 고상하지 못하게 창기와 세리와 죄인들과 어울리는 예수님의 행동이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기는 커녕 오히려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기에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것이다. 이것은 지금도 교회에서 신약이 되었든 구약이 되었든 행동으로 지켜내지 못하면 십자가에 못 박듯 죄인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아담이 부끄러워한 벗음을 해결한 것은 무화과 나뭇잎이 아니다. 그 부끄러움을 덮은 것은 어린 양의 희생이었다. 즉,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아담이 부끄러워한 그 모습이 바로 사람의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주시고, 그것을 보고 자신의 모습을 인정할 때, 그 부끄러움이 없어지고, 선악과를 먹은 죄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