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이야기하는 것으로 하나님과 사람이 가장 큰 견해의 차이 중의 하나가 바로 우리가 가진 이 육신에 대한 견해의 차이가 큽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낼 도구로서 사람의 육신을 주셨는데 사람들은 육신으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지는 행동을 하는 도구로 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육신을 소모품으로 주셨는데 사람들은 보존하려고 합니다. 


우리의 인생은 하나 같이 다 늙고 약해져서 죽게 되는 소모품으로 지으셨는데 사람들은 오히려 이 육신이 평안하면 하나님께서 복을 주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모품으로 지으신 이가 그 소모품을 보존하는 것을 가치로 여길 리가 없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합니다. 이렇게 사람과 하나님이 사람의 육신을 보는 안목과 견해가 다릅니다. 그것은 사람이 육신을 보는 관점이 하나님 앞에서 죄라는 의미입니다.


이 문제는 신앙 안에서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베드로 사도도 이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육체는 풀과 같고 그 모든 영광이 풀의 꽃과 같으니 풀은 마르고 꽃은 떨어지되(벧전 1:24)

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그것입니다. 앞서 베드로 사도는 썩어질 것으로 거듭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말씀하고 있는데, 이어서 ‘그러므로’라고 이어서 육신은 풀과 같고 영광이 풀의 꽃과 같다고 하는 것은 육신은 곧 썩어질 것이요, 그것으로 거듭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육신으로 거듭나지 않는다는 것은 육신의 행위로 하나님 앞에서 의로워질 수 없다는 말씀인 것입니다.


만약 사람이 육신이 소모품이라는 것만 알아도 많은 것을 달리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사람들은 육신은 늙고 죽는다는 것을 알지만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 생각지 않습니다. 육신이 늙고 죽도록 지으신 이가 하나님이라면 하나님이 그렇게 하신 이유가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하물며 육신이 왜 그런 것인지에 대하여 “Why?‘ 라고 생각도 해 보지 않는 것 같습니다. 단지 ’삶이 그렇다.‘고 고착화 시키고 넘어가기만 합니다.


반대로 육신의 삶이란 늙고 병들고 죽는다는 것을 무정의 용어처럼 여기는 인생들이 어이없게도 그 육신을 잘 보전하려고 갖은 노력을 합니다. 그리고 그것에 그치지 않고 그 육신이 평안할수록 하나님께 또 자신이 믿는 신이 자신을 축복한 것이라고 여깁니다. 늙고 병들어 죽게 되는 것이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 육신에 대하여 그렇게 여기는 그 자체가 어두움이고 성경이 말하는 어리석음입니다.


그러 어두움과 어리석음은 그것에 그치지 않고 그 육신으로 하나님 앞에 의로워지려고 합니다. 육신의 복락이 하나님의 복이라 여기기에 육신의 수고를 드려 그 반대급부로서 육신의 평안을 얻으려고 신을 믿습니다. 그게 다른 신에게는 통할지 모릅니다. 그런 신이 없지만 가령 있다고 하면 사람을 자신이 만들지 않았는데 그 사람이 자신에게 무언가를 드리려 하니 그것은 불로소득이 될 것이니 마다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전혀 다릅니다. 그런 잡신들과는 완전히 구분되는 거룩함을 가지고 계십니다. 그 거룩함의 근원은 하나님께서 세상과 사람을 만드셨다는 것입니다. 만드셨다는 것은 그 존재의 목적을 알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육신이란 하나님 앞에 의로워지는 무언가를 하는 도구가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도루로서 지으셨는데 그것을 가지고 와서 하나님의 의도와 다르게 인식하고 사용하며 목적과 다른 제사를 드리는데 하나님이 그것이 기쁘실 리가 없는 것입니다. 오히려 복창 터질 일일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가 이 육신을 어떻게 볼 것인지는 신앙의 근간에 해당하는 문제입니다. 이 육신이 평안하게 되는 것을 하나님이 주시는 복으로 아는 이들은 육신의 평안을 위하여 하나님께 무엇을 드릴 것인지를 고민합니다. 그 고민과 노력이 하나님 앞에서 의로움을 얻고 그 반대급부로서 육신의 삶에 대한 자신의 바람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여깁니다. 그리고 그 바람이 이루어지면 하나님께서 자기 아들을 영화롭게 하셨다고 여깁니다. 거듭난 생명을 하나님께서 돌보신다고 여깁니다. 즉 육신의 수고가 거듭남을 가져온다고 믿는 것입니다.


그러나 베드로 사도는 이 풀의 꽃과 같은 육신은 썩어질 것이며 그러하기에 이 육신으로는 거듭남을 얻을 수 없다고 말씀하십니다. 육신은 꽃이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그 식물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시들어지듯 이 육신도 하나님이 표현하시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형상을 표현하는 것에 살 동안 소비되고 쇠약해지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 사람 안에 하나님의 말씀이 있고 그 말씀이 이 소비재인 육신으로 표현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거듭남이란 앞선 글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예수님을 보고서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이 자기 안에 생명이 되어 그 생명이 육신으로 표현되는 본성으로 자리하게 되는 것이 바로 거듭남인 것입니다. 그렇게 되는 것이 바로 말씀으로 하나님의 말씀으로 거듭나는 것입니다. 이 온전한 거듭남을 받은 사람은 육신에 대한 하나님의 뜻도 온전히 알아서 이 썩어질 육신은 우리에게 거듭남을 주는 도구가 아니라, 거듭난 생명을 표현하는 소비적 도구라는 것까지 온전히 알게 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