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에 입성한 이튿날 시장하신 예수님께서는 무화과나무에서 열매를 얻으려고 하셨지만, 열매가 없는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다시는 사람이 열매를 얻을 수 없을 것이라 저주하셨다. 하지만 이때는 무화과나무가 열매를 맺는 시절이 아니었다. 무화과나무로선 억울하기 짝이 없는 일이고, 예수님의 모습도 권력남용 같은 분위기 같다.

 

하지만 이 일은 사람이 먹는 무화과나무의 열매 이야기가 아니다. 예수님의 저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는 무화과 열매를 먹는다. 우리나라도 이전에는 귀했지만, 지금은 마트에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는 과일이다. 만약 예수님의 의도가 먹는 과일이 열리지 못하게 하는 거라면 예수님의 저주는 통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예수님의 능력에도 의문이 들 수 있다.

 

이 일은 앞서 설명한 대로 먹는 열매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건 하나님의 양식 이야기다. 수가성 여인을 만났을 때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게 양식이라고 하셨다.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신 일도 이 맥락에서 봐야 한다.

 

무화과는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유대인의 나무다. 그러니까 예수님 앞에 있던 무화과는 과목으로 있는 게 아니라 유대인들의 모습이다. 예수님께서는 잎은 무성한데 열매가 없다고 하셨다. 율법을 지키는 행위는 풍성하지만 정작 하나님이 보내신 양식, 하나님의 의의 열매는 없다고 말씀을 하신 것이다.

 

예수께서 나무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제부터 영원토록 사람이 네게서 열매를 따 먹지 못하리라 하시니 제자들이 이를 듣더라(막 11:14)

 

저주 같은 이 말씀의 의미는 무화과라는 나무가 식물로서 열매를 맺지 못할 것이라는 말이 아니다. 이제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므로 앞으로는 율법적 행위만 풍성한 신앙에서는 열매를 찾을 수가 없고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에게서만 하나님의 양식을 얻을 수 있다는 말씀이다.

 

열매는 생명에게서 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말씀하신 사람은 의학적, 생물학적, 사회적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이 보실 때 사람, 즉 그리스도다. 그러니까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은 형식만 풍성한 신앙을 양식(열매)으로 삼지 않는다. '이제부터'라 하심은 십자가를 지신다는 말씀이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므로 율법과 성경을 신념과 의지로 지켜내는 풍성한 행위만 풍성한 신앙의 시대가 끝나고,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이 나서 하나님께서 양식으로 여기는 열매 맺는 삶을 살게 되었다. 이제부터 사람이 열매를 얻을 수 없다고 하신 건 형식만 무성한 신앙에서 영적인 열매를 얻을 수 없다는 말씀이다.

 

그렇다고 이 말씀이 예수님 당시의 유대인들의 율법적 풍성함만을 두고 하신 말씀이진 않다. 지금도 깊이 생각해보지 않아서 그렇지 성당은 말할 것도 없고, 교회가 하는 많은 예식과 주를 위한다면 어떻게 하라는 수많은 가르침이 바로 예수님께서 책망한 잎만 무성한 신앙이다.

 

그 결정적 차이는 생명으로 가늠된다. 생명은 본성에서 비롯되고, 생명이 아니면 노력한다. 그리스도로 나면 그리스도의 본성으로 살고, 그리스도로 난 게 아니면 거듭났다고 교회나 자신이 말해도 노력한다. 그리스도로 살려고 노력하고, 성경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그 노력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바로 교회의 가르침이다.

 

~~게 하라는 것, 그래야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는 말이 이 사실을 증명한다. 아이가 있는 사람은 누구나 안다. 존재 자체로 기쁨이란 걸. 그리스도로 났다면 그 삶의 모든 게 하나님께 기쁨이다. 이 단순한 법이 믿어지지 않아서 노력한다. 그리고 노력을 치장하기 위해 잎사귀가 무성해진다. 예수님은 결국 이런 행위들을 무덤에 칠한 회라고 일갈했다.

 

그리고 그 노력은 끊이질 않는다. 언제까지, 어떤 경지에 이르러야 끝나는 노력인지 아무도 알려 주지 않는다. 노력하는 자들은 곧 어두운 자들이고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건 사람이 먹을 게 아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으로 여기는 그리스도의 양식이 아니다. 흔히들 무화과나무를 저주했다고 하는 예수님 말씀의 의미가 이것이다.

 

대학생 시절 필자도 그랬다. 언제까지 이 신앙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지, 무엇을 할 정도가 되면 만족할 수 있는지 너무 궁금했지만, 그 시절의 내 모습을 기준으로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자아 안팎의 소리뿐이었다. 물론 좌표도 없었다. 그건 사람이 먹을 게 아니었다. 예수님께서 드시는 양식이 아니었다. 그러니까 그리스도의 양식이 아니었다. 그 시절 나는 거듭났다고 믿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다. 예수님의 책망 그대로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