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 어린이 주일이면 우리는 어린아이 같지 않으면 천국에 들어갈 수 없다는 예수님 말씀을 들을 수 있다. 생각해볼 건 예수님의 의도다. 어린아이 같아지라는 뜻인데, 어떤 게 어린아이 같아지는 건지 생각해봐야 한다. 그리고 여기엔 하나의 단서가 있다. 바로 어떤 상황에서 예수님이 이 말씀을 하신 지다.

 

지금 예수님은 십자가를 지러 가시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예수님의 의도와 달리 예수님이 기적을 일으키는 능력으로 이스라엘의 왕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오천명을 먹이는 능력으로 가난을 해결하는 왕, 그리고 로마의 속국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끄는 왕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유대인은 그런 메시아를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시대 사람들 역시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그리스도를 믿고 있다.

 

이것이 어린아이와 같아야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씀하신 배경이자 이유다. 그렇다면 우선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메시아를 기다리거나 믿는 사람은 어린아이 같지 않음을 말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어린아이는 육신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는 존재임을 알 수 있다. 예수님의 말씀처럼 아이는 먹고사는 문제를 염려하지 않는다. 염려하지 않는 일에 메시아를 기다릴 리는 더더욱 없다.

 

사람들은 어제나 오늘이나 항상 먹고사는 문제에 매몰되어 있다. 그리고 그 문제 해결을 늘 힘들어한다. 물론 그 어려움은 하나님의 설정이 아니다. 스스로 얻은 게 아닌 삶에 자기가 정한 기준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삶의 문제가 곧 구원받아야 할 문제다. 그래서 구원자에게 이 문제를 의지한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문제를 해결하러 오신 분이 아니다. 

 

예수님은 어린아이에게 중요하지 않은 우리가 가진 육신의 문제에 관심이 없다시피 했다. 왜냐하면 그건 하나님께서 이미 사람에게 충분히 또 온전히 주신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다 주신 걸 또 달라는 어리석음은 예수님께서 밝히고자 하신 어두움이었다. 그리고 예수님은 가난 같은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러 이 땅에 오신 게 아니다. 만약 그랬다면 “가난한 자는 항상 너희와 함께 있을 것”이란 말씀은 하시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예수님이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그리스도이길 기대했다. 언뜻 믿음 같지만 그건 그릇된 기대일 뿐이다. 그리스도의 정체성과 전혀 무관한 자기 육신의 문제 해결을 기대하기에 그렇다. 예수님께선 오히려 이런 믿음을 가진 이들에게 하나님의 그리스도가 어떤 존재인지를 보이러 오셨다. 그리고 그 실체는 십자가를 지는 그리스도였다.

 

십자가를 진다는 건 죄는 사람이 짓고 벌은 예수님이 받는 개념이 아니다. 그건 기독교 신학이 만든 대속관일 뿐 전혀 성경적이지 않다. 예수님께서 대속하고자 하는 죄는 사람이 하나님이 정한 정체성을 떠난 일이다. 하나님이 정한 사람의 정체성을 떠난 사람에게 하나님이 정한 사람의 모습을 십자가에서 보이시고, 사람이 이를 보고 떠났던 자기 정체성을 회복하는 게 구원이다. 이 법이 십자가가 죄를 사하는 법이다.

 

이런 십자가의 법 전후에는 어디에도 육신의 문제 해결은 없다. 우리 육신은 하나님이 정한 사람의 존재 목적을 이행하는 형식이다. 이건 본질이 아니다. 따라서 육신의 필요와 문제는 모두 하나님이 사람을 만드실 때 그 목적 이행을 위해 준비하시는 것이다. 이동이란 목적을 위해 자동차를 사는 사람이 주유하고 정비하는 것과 같다. 천부께서 다 아신다고 하신 이유다.

 

어린아이는 먹고 마시는 문제를 자기가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 걱정도 하지 않는다. 아이의 걱정과 관심은 오직 부모와의 관계 그 자체다. 예수님께서 어린아이와 같아야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신 이유가 여기 있다. 삶의 모든 건 하나님이 자신을 창조한 목적 아래 있다는 것을 의지하고 믿는 것, 이게 하나님 나라를 다스리는 하나님의 법이다. 천국의 법이다. 그리고 이 법 아래 있는 사람이어야 천국에 들어간다.

,